KR100623203B1 -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 Google Patents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203B1
KR100623203B1 KR1020050063898A KR20050063898A KR100623203B1 KR 100623203 B1 KR100623203 B1 KR 100623203B1 KR 1020050063898 A KR1020050063898 A KR 1020050063898A KR 20050063898 A KR20050063898 A KR 20050063898A KR 100623203 B1 KR100623203 B1 KR 10062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roasting
heating
air conduction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승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승 filed Critical 김영승
Priority to KR102005006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이판에서 구이물을 굽고자 할 때 열원의 직접열에 의해 굽는 것이 아니라 공기 전도방식에 의한 간접열에 의해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고 구이판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이물을 열원의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굽는 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에 구이부가, 그 구이부의 외측에 상기 구이부 보다 낮게 위치하는 기름받이부가 형성된 구이판부재와; 상기 구이판부재의 하부에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열판부재와;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 사이에 다수의 간격유지구에 의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전도부와; 상기 가열판부재의 밑면에 지지되어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의 각 플랜지와 상기 각 간격유지구가 스크류에 의해 고정링부재의 고정편으로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roaster plate for air conduction}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종래 구이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이판
10 : 구이판부재
12 : 구이부 14 : 기름받이부
14a : 배출관
20 : 가열판부재
22 : 드레인공
30 : 공기전도부
32 : 간격유지구
40 : 고정링부재
42 : 고정편 44 : 손잡이
46 : 재치홈
본 발명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이판에서 구이물을 굽고자 할 때 열원의 직접열에 의해 굽는 것이 아니라 공기 전도방식에 의한 간접열에 의해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고 구이판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이판은 통상적으로 주철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소재를 일정한 두깨를 갖는 판형태로 성형한 후, 그 표면으로 구이물이 탄화되어 고착되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코팅부가 형성되도록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구이판에 있어서는 열원이 구이판의 밑면으로 직접 전달되는 직접열에 의해 구이물을 굽는 관계로, 단시간 내에 구이판이 고온으로 달구어져 굽고자 하는 구이물이 원하는 상태로 균일하게 익어가면서 구워지는 것이 아니라 표면으로 코팅부가 형성되어 있는 데도 불구하고 고온으로 인한 탄화가 동시에 진행되어 구이물을 원하는 상태로 굽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구이판에서 구이물이 탄화되면서 고착됨에 따라 구이물을 용이하게 굽지 못하는 문제점은 물론 그 고착된 탄화물을 제거시 코팅면도 탈피되어져 오히려 탄화현상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열원을 통하여 직접열이 아닌 간접열에 의해 가열하는 다양한 형태인, 즉 구이판과 열원 사이에 세라믹체를 개재시키거 나 또는 구이판의 내부에 세라믹 등을 충진시켜 제작한 여러 형태의 구이판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라믹체에 축적된 열에 의해 과열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에는 전술한 구이판과 같이 구이물이 탄화되는 것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상기한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종래의 구이판을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간접 가열방식의 구이판(100)은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에 세라믹 등과 같은 충진부재(130)가 충진되어 지고, 그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외측단인 테두리는 공지의 방식에 의해 압착 결합되거나 브레이징 용접 등에 의해 밀폐되게 용접되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에는 구이물을 구울시 발생되는 기름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40)이 구비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구이판은 열원에 의해 하부판이 가열되고, 그 가열된 열은 충진부재를 통하여 상부판으로 순차적으로 전도됨에 따라 상기 구이판의 상부판으로 올려진 구이물을 열원에 의한 직접열이 아닌 간접열로서 구이물을 굽는 방식으로 구이물이 익혀지도록 굽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간접 가열방식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구비된 충진부재가 일정 시간 경과함에 따라 그 충진부재로 축열된 열이 과열되면서 상기 상부판을 고온 상승시켜 그에 올려진 구이물을 탄화시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접 가열방식의 구이판을 제작시에는 이중 구조로 제작하기 위한 작업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구조 또한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그에 따른 제작원가도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이판에서 구이물을 굽고자 할 때 열원의 직접열에 의해 굽는 것이 아니라 공기 전도방식에 의한 간접열에 의해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고 구이판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욱더 균일한 가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이물을 열원의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굽는 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에 구이부가, 그 구이부의 외측에 상기 구이부 보다 낮게 위치하는 기름받이부가 형성된 구이판부재와; 상기 구이판부재의 하부에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열판부재와;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 사이에 다수의 간격유지구에 의해 이격되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전도부와; 상기 가열판부재의 밑면에 지지되어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의 각 플랜지와 상기 각 간격유지구가 스크류에 의해 고정링부재의 고정편으로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부가 형성된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 사이의 공기전도부는 상기 기름받이부의 밑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 사이의 공기전도부의 높이는 약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판부재의 상기 구이판부재의 기름받이부가 형성된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드레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받이부에는 그에 포집되는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섭취하고자 하는 각종 어류나 육류 또는 채소 등과 같은 구이물을 열원으로부터 가해지는 직접열이 아닌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굽는 통상의 구이판(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이판에 전체적인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에 올려지는 구이물 또한 탄화되지 않은 적정 온도로 가열되어 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에 구이물이 올려지는 구이부(12)가 형성되고, 그 구이부(12)의 외측에 상기 구이부 보다 낮게 위치하여 구이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포집되는 기름받이부(14)가 형성된 구이판부재(10)와;
상기 구이판부재(10)의 하부에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열원에 의해 약 250~280℃의 고온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가열판부재(20)와;
상기 구이판부재(10)와 가열판부재(20) 사이에 통상의 단열재질로 제작된 다수의 간격유지구(32)에 의해 이격되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판부재에서 발생된 복사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골고루 확산시킴과 동시에 열전도가 낮은 공기층을 형성하여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는 온도인 약 190~200℃로 상기 구이판부재를 가열하는 공기전도부(30)와;
상기 가열판부재(20)의 밑면에 지지되어 상기 구이판부재(10)와 가열판부재(20)의 외측에 형성된 각 플랜지와 상기 각 간격유지구(32)가 스크류에 의해 고정링부재(40)의 고정편(42)으로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구이판부재의 플랜지 외측단은 하향 절곡되고, 상기 가열판부재의 플랜지 외측단은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이판부재의 플랜지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그 각 플랜지는 상기 간격유지구에 의해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는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 없게 되므로서, 상기 열원에 의해 고온으로 직접 가열되는 가열판부재로부터 직접적인 열전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공기전도부 내의 뜨거운 공기의 배기 또한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와 구이판부재의 플랜지 사이에는 단열와셔를 개재시켜 하 부 측의 가열판부재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고정링부재(40)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손잡이(44)가 형성되고, 상기 구이판이 열원의 그레이팅(삼발이) 등에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도록 재치홈(4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이부(12)가 형성된 구이판부재(10)와 가열판부재(20)의 사이의 공기전도부(30)는 상기 기름받이부(14)의 밑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서, 상기 공기전도부 내의 공기가 가열시에도 외부로 쉽게 배기되는 것이 아니라 가열로 인한 일정 이상 압력으로 높아질 경우에만 외부와 대류되면서 배기되는 것이다.
상기 구이판부재(10)와 가열판부재(20) 사이의 공기전도부(30)의 높이(H)는 약 3~5mm로 형성함에 따라 약 5mm 이상일 경우에는 그 이격 높이가 높은 관계로, 상기 가열판부재의 가열시에도 복사열이 구이판부재로 원활하게 전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고, 약 3mm 이하일 경우에는 그 이격 높이가 너무 낮아 상기 가열판부재의 고온의 복사열이 구이판부재에 그대로 전달되어져 종래와 같이 구이물이 탄화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그 공기전도부의 높이를 약 3mm~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이판(1)이 열원에 의해 가열판부재(10)가 약 250~28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이 이루어지고, 그 가열에 의해 가열판부재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복사열은 상기 가열판부재(20)와 구이판부재(10) 사이의 간격유지구(32)에 의해 약 3~5mm 정도 높이를 가지면서 외부와 연 결 형성된 공기전도부(30)를 통하여 상기 가열판부재의 구이부로 올려지는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고 적당하게 구워질 정도의 온도인 약 190~200℃의 간접열로서 구이판부재(10)로 전도되어 지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가열판부재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복사열이 공기전도부의 내의 공기를 가열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그 공기전도부 내 전체로 골고루 퍼지게 함과 동시에 비교적 열전도가 낮은 그 공기전도부 내의 공기층에서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변환된 후 구이판부재에 전도되어져 상기 구이부로 올려진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고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가열판부재의 구이부는 국부적인 부분만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그 가열온도 또한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을 정도로 유지하게 됨에 따라 구이물이 탄화됨 없이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전도부 내의 공기는 가열에 의해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높아질 경우에 그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과 동시에 외부의 저온의 공기 유입되어 지는 데, 이때 상기 공기전도부는 그 가열판부재에 형성된 기름받이부의 밑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공기전도부 내의 공기층은 상기 기름받이부 부분에서 외부공기와 차단되는 듯한 현상으로 가열에 의해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높아 질 경우에만 외부와 대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이판부재의 구이부는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부분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가열됨과 아울러 그에 올려지는 구이물 또한 그 구이물이 탄화 되지 않은 온도의 간접열에 의해 구워짐에 따라 섭취자로 하여금 단시간 내에 탄화되지 않은 상태의 구이물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열판부재(20)의 그 상부 측의 상기 구이판부재(10)의 기름받이부(14)가 형성된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드레인공(22)을 형성하므로서, 구이판의 용도로 사용하고 난 후에 세정수 등에 의해 세척시 세정수가 고여 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받이부(14)에는 구이물의 조리에 따른 그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이 포집된 후 배출되도록 배출관(1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관은 상기 가열판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드레인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시켜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판에서 구이물을 굽고자 할 때 열원의 직접열에 의해 굽는 것이 아니라 공기 전도방식에 의한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을 정도의 간접열에 의해 구이물이 탄화되지 않고 구이판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이물의 탄화됨으로 인한 구이판으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섭취자로 하여금 단시간 내에 탄화되지 않고 골고루 익혀진 구이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공기전도부의 공기를 가열에 의해 일정 이상 압력으로 높아 질 경우에만 대류되도록 하므로서, 구이판에서 더욱더 균일한 가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일정 사용 기간 후에도 오염된 가열판부재를 세정수를 세정한 후 드레인공을 통하여 세정수가 고이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구이판부재의 기름받이부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하여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포집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5)

  1. 구이물을 열원의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굽는 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에 구이부(12)가, 그 구이부의 외측에 상기 구이부 보다 낮게 위치하는 기름받이부(14)가 형성된 구이판부재(10)와;
    상기 구이판부재의 하부에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열판부재(20)와;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 사이에 다수의 간격유지구(32)에 의해 이격되되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전도부(30)와;
    상기 가열판부재의 밑면에 지지되어 상기 구이판부재와 가열판부재의 각 플랜지와 상기 각 간격유지구가 스크류에 의해 고정링부재(40)의 고정편(42)으로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12)가 형성된 구이판부재(10)와 가열판부재(20) 사이의 공기전도부(30)는 상기 기름받이부(14)의 밑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부재(10)와 가열판부재(20) 사이의 공기전도부(30)의 높이(H)는 약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부재(20)의 상기 구 이판부재(10)의 기름받이부(14)가 형성된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드레인공(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부(14)에는 그에 포집되는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관(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KR1020050063898A 2005-07-14 2005-07-14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KR10062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898A KR100623203B1 (ko) 2005-07-14 2005-07-14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898A KR100623203B1 (ko) 2005-07-14 2005-07-14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203B1 true KR100623203B1 (ko) 2006-09-13

Family

ID=3762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898A KR100623203B1 (ko) 2005-07-14 2005-07-14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2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79B1 (ko) * 2007-07-23 2008-05-22 김기태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489406B1 (ko) * 2014-08-12 2015-02-04 김기성 직화구이에서 탄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석쇠
KR101646243B1 (ko) * 2015-03-24 2016-08-05 윤명식 구이용 불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79B1 (ko) * 2007-07-23 2008-05-22 김기태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489406B1 (ko) * 2014-08-12 2015-02-04 김기성 직화구이에서 탄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석쇠
KR101646243B1 (ko) * 2015-03-24 2016-08-05 윤명식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40B1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WO2015006891A1 (zh)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KR100623203B1 (ko)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KR100831379B1 (ko)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887468B1 (ko) 구이 및 보온장치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JP2004065553A (ja) 加熱調理器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KR101281088B1 (ko) 이중 구이판
KR100714442B1 (ko) 테이블형 구이장치용 열 분산판
KR200321211Y1 (ko) 구이용 숯불 가마
KR20080111758A (ko) 다공성 도기 화덕
KR20080074446A (ko) 전열식 구이기
KR20100107307A (ko)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CN217592596U (zh) 一种多功能料理锅
CN218338259U (zh) 一种电陶烤炉
CN209996071U (zh) 一种烧烤用器具
KR100793402B1 (ko) 방열판이 설치된 구이용 석쇠
JP3273559B2 (ja) 加熱調理器具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KR100696862B1 (ko) 구이기
JP3063582U (ja) 魚焼器
KR200307359Y1 (ko) 생선용 구이기
KR101314084B1 (ko) 전열기용 조리기
KR100522401B1 (ko) 직화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