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307A -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 Google Patents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307A
KR20100107307A KR1020090025532A KR20090025532A KR20100107307A KR 20100107307 A KR20100107307 A KR 20100107307A KR 1020090025532 A KR1020090025532 A KR 1020090025532A KR 20090025532 A KR20090025532 A KR 20090025532A KR 20100107307 A KR20100107307 A KR 20100107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le
dissipation plate
heat dissipation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102009002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307A/ko
Publication of KR2010010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덕으로부터 가열부를 통하여 석쇠로 직상승하는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켜 석쇠에 전달되는 열기가 전부분에 골고루 전달되게 하므로서, 석쇠에서 구워지는 고기가 석쇠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른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열전달부 상부에 위치하는 열분산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열분산판의 본체상의 작은 경사요철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경사요철부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관통공의 위치가 중앙부에는 듬성듬성하게 구성하고, 경사요철부의 길이방향 전후단부에는 촘촘하게 구성되게 하여, 중앙부에 비하여 전후단부에서 보다 많은 열기가 통과될 수 있게 하고, 본체 전방에는 손잡이를 구성하고 후방양측 단부에는 축핀을 구성하고, 본체 테두리에는 격판이 형성되게 하여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HEAT DISPERSION PLATE FOR ROASTER BY CORN FUEL}
본 발명은 주로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덕으로부터 가열부를 통하여 석쇠로 직상승하는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켜 석쇠에 전달되는 열기가 전부분에 골고루 전달되게 하므로서, 석쇠에서 구워지는 고기가 석쇠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른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어류등을 굽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 가스불이나 숯불, 연탄불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천연옥수수를 연소시켜 연소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한 구이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에서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예를 들면 2001년에 등록된 미국특허 제6,223,737호 "펠릿연료 버닝장치"가 있고, 그 이후에 국내에서 2003년에 출원하여 2005년 공개(공개번호 10-2005-14604호)된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와, 2007년 특허등록(10-752761호)된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과, 2008년 특허등록(10-869071호)된 "펠릿연료를 이용한 구이기"등 이외에도 여러구성의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구이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구이기들의 공통적인 구성을 검토하여 보면 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옥수수연료가 이송스크류를 따라 화덕 내에 공급되어 연소되고, 옥수수연료의 연소로 발생된 열기가 가열부를 통하여 수직상승하면서, 가열부 윗쪽에 위치한 열분산판과 기름받이 및 석쇠에 전달되어 석쇠위에 얹혀진 고기류들이 구워질 수 있게 한 구성들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구이기는 화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최상부에 위치한 석쇠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고, 특정부위에만 열기가 전달되므로 석쇠위에 얹혀진 고기류들이 위치에 따라 구워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석쇠위에 고기류들을 동시에 얹어 굽더라도 위치에 따라 타는 곳과 익지 않은 곳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국특허나 국내 일부발명에서는 화덕의 열기가 직상승하는 가열부에 요철형태로 구성된 열분산판을 설치하여 화덕으로부터 직상승하는 연소열기가 분산될 수 있게 한 수단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열분산판의 경우 요철의 형태가 가열부나 화덕의 크기에 비하여 대체로 크게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요철부에 뚫린 통공이 열분산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뚫려 있고, 또한 열분산판의 각 테두리가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열분산판인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열분산판에 구성된 요철이 대체로 크게 구성되어 있어 열분산의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요철부에 뚫린 통공이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뚫려 있어, 통 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가 고르게 상승한다는 이론이 성립될 수 있으나, 화덕 직상부, 즉 열분산판의 중앙부에 위치한 통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와, 열분산판의 외주면에 위치한 통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 사이에는 열기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열분산판 위에 얹혀진 석쇠에 전달되는 열기 역시 중앙부와 외주면이 달라지게 되므로 고른 구이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열분산판 테두리는 개방되어 있어 화덕으로부터 수직상승한 열기가 열분산판 저면에서 정체되어 열분산판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열하거나 정체되어 있다가 통공을 통하여 윗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정체현상없이 외측방향으로 빠져나가 석쇠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열손실이 큰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화덕에서 연소하는 옥수수연료의 열기가 가열부 상에 위치하는 열분산판을 통하여 골고루 분산되게 하므로서 열분산판 상부에 위치하는 석쇠에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어 석쇠에서 구워지는 고기가 위치에 관계없이 고른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열전달부 상부에 위치하는 열분산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열분산판의 본체상의 작은 경사요철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경사요철부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관통공의 위치가 중앙부에는 듬성듬성하게 구성하고, 경사요철부의 길이방향 전후단부에는 촘촘하게 구성되게 하여, 중앙부에 비하여 전후단부에서 보다 많은 열기가 통과될 수 있게 하고, 본체 전방에는 손잡이를 구성하고 후방양측 단부에는 축핀을 구성하고, 본체 테두리에는 격판이 형성되게 하여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열전달부 상면에 설치되는 열분산판의 본체를 작은 경사요철부가 지그재그로 구성되게 하되, 상기 경사요철부에 형성된 관통공이 중앙부에는 듬성듬성하게 형성되게 하고, 전후단부에는 조밀하게 구성 되게 하므로서 화덕으로부터 수직상승하는 열기가 열분산판을 통하여 석쇠로 고르게 전달되게 하여 고기의 구이가 위치에 관계없이 고른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열분산판의 본체 테두리에는 격판을 형성시켜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열효율을 좋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열분산판(10)은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기(100)의 가열부(110) 직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구이기(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체(120)의 가열부(110) 하단에 화덕(130)을 설치하여 호퍼(150)에 투입된 옥수수연료가 이송스크류(도시안됨)에 의해 일정량씩 화덕(130)으로 투입되어 연소되게 하는 것이고, 열분산판(10) 상부에는 기름받이(160)와 석쇠(170)가 안치되고, 본체(120) 하단에는 고기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을 수집하는 기름수집통(140)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성의 구이기(100)에 사용되는 열분산판(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20)을 지그재그로 절첩하여 작은 경사요철부(21)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경사요철부(21) 중앙부에는 관통공(22)이 듬성듬성 형성되게 하고, 전후단부에는 촘촘하게 형성되게 한다.
이때 본체(20) 중앙부(A)에 뚫린 관통공(22)은 원형으로 구성되게 하고, 전후단부(B)(C)에 뚫린 관통공(22)은 장방향으로 구성하여 열기의 통과가 중앙부에 비하여 많게 한다.
또한 전후단부에 뚫린 관통공의 면적은 전단부(B)에 비하여 후단부(C)의 면적이 더 넓게 하여 열기의 통과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열분산판(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각 테두리에는 격판(30)을 구성하여 구이기(100)의 화덕(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열분산판(10) 저면에서 정체될 수 있게 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본체(20) 후단부 양측에는 축핀(31)을 구성하여 열분산판(10)이 구이기의 가열부(110) 일측 단부에 구성된 결합홈(111)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열분산판(10)이 축핀(31)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본체(20) 전방에는 손잡이(40)를 구성하고, 손잡이(40)가 위치하는 본체(20)에는 삽입공(24)을 구성하여 기름받이(100)에 구성된 돌출편(161)이 끼워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미설명부호 (50)은 옥수수연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옥수수를 연료로 사용하는 통상의 구이기(100) 가열부(110) 상에 설치하여 화덕(130)에서 연소되는 옥수수연료(50)의 열기가 가열부(110)를 통하여 수직상승하고, 수직상승한 열기가 열분산판(10)에서 분산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열분산판(10)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열분산판에 비하여 열의 분산이 골고루 이루어지게 되어 석쇠에서 구워지는 고기가 위치에 관계없이 고른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즉 화덕(130)에서 연소되는 옥수수연료(50)의 열기가 가열부(110)를 통하여 수직상승하게 되면 가열부(110) 상부에 안치된 열분산판(10) 저면중앙부에 도달하여 가열하게 되고, 열분산판(10) 저면 중앙에 도달한 열기 중 일부는 본체(20) 중앙부(A)에 듬성듬성하게 뚫린 관통공(22)을 통하여 열분산판(10) 직상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160)로 전달된다.
이때 열분산판(10) 저면 중앙에 도달한 열기중 본체(20) 중앙부(A)에 뚫린 관통공(22)을 통과하지 못한 열기는 경사요철부(2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되며, 전후방향으로 퍼져나간 열기는 전단부(B)와 후단부(C)에 촘촘하게 뚫린 관통공(22)을 통하여 열분산판(10) 직상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160)로 전달된다.
상기에서 열분산판(10) 전단부(B)와 후단부(C)에 관통공(22)이 촘촘하게 뚫려 있어 중앙부(A)에 비하여 많은 열기가 윗쪽으로 전달되나, 열기의 온도가 중앙부에 비하여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국 기름받이(160) 저면으로 전달되는 열기의 온도는 거의 고르게 전달되고, 기름받이(160) 저면에 전달된 열기는 통공(162)을 통하여 석쇠(170) 저면을 가열하게 되므로 석쇠(170)는 전면에 걸쳐 고르게 가열된다.
따라서 석쇠(170)에서 구워지는 고기는 위치에 관계없이 고르게 구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열분산판(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0)의 전단부(B)에 비하여 후단부(C)에 뚫린 관통공(22)의 면적을 더욱 넓게(촘촘하게) 구성한 것은, 구이기(100)의 가열부(110)에 안치되는 열분산판(10)이 전단부(B)가 높고 후단부(C)가 낮게 경사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분산판(10) 저면 중앙에 도달한 열기가 후단 부(C)보다 전단부(B)쪽으로 보다 많이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전단부(B)에 뚫린 관통공(22)의 면적이 후단부(C)에 뚫린 관통공(22)의 면적보다 좁게 구성하더라도 관통공(22)을 통하여 기름받이(160) 저면으로 전달되는 열기의 온도에는 큰 편차없이 고르게 전달된다.
뿐만 아니라 열분산판(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중앙부(A)에 뚫린 관통공(22)은 듬성듬성하게 뚫려 있고, 또한 경사요철부(21)의 요철깊이가 깊지 않기 때문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쉽게 퍼질 수 있게 된다.
본체(20) 각 테두리에 구성된 격판(30)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정체를 길게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분산판(10)은 본체(20)의 후단부 양측에 축핀(31)이 돌출구성되어 있어 열분산판(10)을 구이기(100)의 가열부(110) 상에 안치할때 축핀(31)이 가열부(110) 양측 단부에 뚫린 결합홈(111)에 끼워 조립케 하므로서 열분산판(10)이 안정되게 지지될 뿐 아니라, 전단부에 구성된 손잡이(40)를 잡고 들어올리면 축핀(31)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열분산판(1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도 6에서와 같이 직립되게 하여 구이기 내부를 쉽게 소제할 수도 있으며, 직립시킨 상태에서 손잡이(40)를 잡고 들어 올리면 가열부(110)로부터 열분산판(10)을 쉽게 분리시켜 세척할 수도 있다.
열분산판(10)의 본체(20) 선단부 중앙에 뚫린 삽입공(24)은 열분산판(10) 상부에 안치되는 기름받이(160)의 돌출편(161)이 끼워지면서 기름받이(160)가 열분산판(10) 상에 안정되게 안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열분산판(10)은 본체(20)에 구성되는 경사요철부(22)의 요철깊이를 얇게 구성함과 동시에, 경사요철부(21)에 구성되는 관통공(22)을 중앙부(A)에는 듬성듬성하게 하여 열기의 통과를 제어하고, 전후단부(B)(C)에는 관통공(22)을 촘촘하게 뚫어 면적을 넓게 하므로서, 많은 열기가 통과될 수 있게 구성하여 열분산판(10) 상에 위치하는 석쇠(170)로 전달되는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게 하고, 또한 열분산판(10) 테두리에는 격판(30)을 구성하여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 정체시간을 길게 하여 효율적인 열이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이 사용되는 구이기의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이 구이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직립시킨 상태도
도 7 : 본 발명의 사용상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열분산판 (20)--본체
(21)--경사요철부 (22)--관통공
(24)--삽입공 (30)--격판
(31)--축핀 (50)--옥수수연료
(100)--구이기 (110)--가열부
(111)--결합홈 (120)--본체
(130)--화덕 (140)--기름수집통
(150)--호퍼 (160)--기름받이
(170)--석쇠

Claims (1)

  1. 호퍼에 투입된 옥수수연료가 이송스크류에 의해 일정량씩 화덕으로 공급, 연소되게 하고, 상기 연소된 열기가 가열부 상에 안치된 열분산판을 통하여 석쇠에 전달되어 고기가 구워질 수 있게 한 통상의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열분산판(10)의 본체(20) 상에 작은 경사요철부(21)를 지그재그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요철부(21) 상에 관통공(22)을 뚫어 구성하되, 본체(20)의 중앙부(A)에는 관통공(22)을 듬성듬성하게 뚫어 관통공(22)의 면적을 좁게 구성하고, 전후단부(B)(C)에는 촘촘하게 뚫어 관통공(22)의 면적이 중앙부(A) 보다 넓게 구성하면, 열분산판(10) 테두리에는 격판(30)을 구성하여, 열분산판(10) 저면에 도달한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고 정체될 수 있게 하므로서, 열효율을 좋게 할 뿐 아니라, 본체(20)의 중앙부(A)에 듬성듬성하게 뚫린 관통공(22)과, 전후단부(B)(C)에 촘촘하게 뚫린 관통공(22)을 통하여 열분산판(10) 상부에 위치하는 석쇠에 열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열분산판.
KR1020090025532A 2009-03-25 2009-03-25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KR20100107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32A KR20100107307A (ko) 2009-03-25 2009-03-25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32A KR20100107307A (ko) 2009-03-25 2009-03-25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07A true KR20100107307A (ko) 2010-10-05

Family

ID=4312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32A KR20100107307A (ko) 2009-03-25 2009-03-25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73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62A (ko) 2015-01-08 2016-07-18 강성탁 연소기
KR101891962B1 (ko) * 2017-09-26 2018-08-27 나형배 훈연용 그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훈연 구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62A (ko) 2015-01-08 2016-07-18 강성탁 연소기
KR101891962B1 (ko) * 2017-09-26 2018-08-27 나형배 훈연용 그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훈연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9235A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160082349A (ko) 직화구이 스팀 불판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EP2816937A1 (en) Broiling rack for a barbecue grill
KR20100107307A (ko)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20090015234A (ko) 조리구이판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100642020B1 (ko) 구이장치
KR100623203B1 (ko) 공기 전도방식을 이용한 구이판
KR200459206Y1 (ko) 가스레인지의 그릴
KR100714442B1 (ko) 테이블형 구이장치용 열 분산판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KR20120113088A (ko) 이중 구이판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CN211933703U (zh) 一种与烧烤烤炉配套使用的烧烤烤盘
KR20080109228A (ko) 석쇠의 분열장치
KR101032528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JP2009072346A (ja) ロースター
KR101499671B1 (ko) 고구마 구이기
KR20100107247A (ko)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