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462A - 연소기 - Google Patents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462A
KR20160085462A KR1020150002495A KR20150002495A KR20160085462A KR 20160085462 A KR20160085462 A KR 20160085462A KR 1020150002495 A KR1020150002495 A KR 1020150002495A KR 20150002495 A KR20150002495 A KR 20150002495A KR 20160085462 A KR20160085462 A KR 2016008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eater
combustor
fu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탁
Original Assignee
강성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탁 filed Critical 강성탁
Priority to KR102015000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462A/ko
Publication of KR2016008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20)의 구성은 내부에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를 구비한 연소기 바디(21);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상기 히터 챔버(20BC)에 구비된 히터(26); 상기 연소기 바디(21)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 챔버(20BC)와 상기 연료 챔버(20AC)로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잉팬(28)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 팬챔버(20CC)가 구비되어, 상기 팬챔버(20CC)에 상기 블로잉팬(28)이 내장되고, 상기 연료 챔버(20AC)와 상기 히터 챔버(20BC)는 격판(23)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격판(23)에는 에어 소통홀(AH)이 구비되어 상기 블로잉팬(28)으로부터 불어주는 에어가 상기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상기 연료 챔버(20AC)와 상기 히터 챔버(20BC)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과 같은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을 이용하거나 히터에 의한 열을 이용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열원을 손쉽게 채택할 수 있으며, 열원의 채택이 손쉬운 만큼 활용도가 높은 새로운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염의 열기가 구이 대상 음식물로 최대한 많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주변으로는 화염의 열기가 최대한 적게 전달되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여주는 구조이므로,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펜션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육류가 구워지거나 기타 음식물이 가열조리되는 화덕부로 공급되는 화염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연소기의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시 편리성을 높인 새로운 연소기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방법에는 오븐과 같이 소정의 구획 내부를 가열하여 대류열과 훈열로 조리하는 간접식 조리기를 이용하는 것과 숯불 등의 화염에 음식물을 직접 노출시켜 구워주는 구이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직화 구이는 숯불을 이용하는 경우 숯의 향이 고기에 베어서 고기 맛이 좋아지는 것과 같이 여러 장점이 있다.
종래의 구이기는 중앙부에 화염구가 구비되고 화염구의 주위에는 도랑형의 드로워가 구비되어 물을 채워놓고 고기를 구우면서 생기는 기름은 드로워로 받아내는 지지 용기와, 이 지지 용기에 거치되어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화염 유입구가 구비된 구이판 등을 구비한 구조로서, 화염이 구이판 지지대의 중앙부 화염구와 구이판의 화염 유입구를 통해 올라와서 육류(삼겹살 등)를 직화식으로 굽게 된다.
한편, 상기 구이기는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서 사용하기도 하고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러한 구이기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화염의 열기가 구이 대상 육류로 최대한 많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주변으로는 화염의 열기가 최대한 적게 전달되어 소실되는 화기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다. 육류 구이시 최대한 화염의 열기가 육류에 많이 전달되도록 하면서도 주변으로 소실되는 것을 차단하면 그만큼 안전성면이나 열효율 측면에서 좋을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구이기는 육류를 굽는 화염이 구이판으로 집중되어 굽기보다는 육류가 구워지는 부분 이외의 주변으로 전달되어 열소실이 많기 때문에, 상기한 안전성 면이나 열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화염원이 되는 연료의 연소시 열손실이 많다고 할 수 있어서 이점에서 별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육류나 어류등을 굽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 가스불이나 숯불, 연탄불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천연옥수수를 연소시켜 연소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한 구이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의 예를 들면 2001년에 등록된 미국특허 제6,223,737호 "펠릿연료 버닝장치"가 있고, 그 이후에 국내에서 2003년에 출원하여 2005년 공개(공개번호 10-2005-14604호)된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와, 2007년 특허등록(10-752761호)된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과, 2008년 특허등록(10-869071호)된 "펠릿연료를 이용한 구이기"등 이외에도 여러구성의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구이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구이기들에 의하면 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옥수수연료가 이송스크류를 따라 화덕 내에 공급되어 연소되고, 옥수수연료의 연소로 발생된 열기가 가열부를 통하여 수직상승하면서, 가열부 윗쪽에 위치한 열분산판과 기름받이 및 석쇠에 전달되어 석쇠위에 얹혀진 고기류들이 구워질 수 있게 한 구성들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구이기는 화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최상부에 위치한 석쇠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고, 특정부위에만 열기가 전달되므로 석쇠위에 얹혀진 고기류들이 위치에 따라 구워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석쇠위에 고기류들을 동시에 얹어 굽더라도 위치에 따라 타는 곳과 익지 않은 곳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육류가 구워지는 화덕부로 화염을 공급하는 연료의 연소량을 조절하여 화염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미흡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육류와 같은 구이 음식이나 만두나 찐빵과 같이 쪄서 먹는 음식을 조리할 때에 열원으로 숯과 같은 연료를 사용할지 아니면 히터를 열원으로 활용할지에 대해서 쉽게 채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숯 등의 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할 때와 히터를 사용할 때에 각각 다른 제품을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32203호(2003.10.27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133958호(2013.12.10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897831호(2009.05.08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07307호(2010.10.0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숯불과 같은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을 이용하거나 히터에 의한 열을 이용할 수 있고, 화염의 열기가 구이 대상 음식물로 최대한 많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주변으로는 화염의 열기가 최대한 적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육류가 구워지거나 기타 음식물이 가열조리되는 화덕부로 공급되는 화염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기능을 겸비한 새로운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연료 챔버와 히터 챔버를 구비한 연소기 바디; 상기 연소기 바디의 상기 히터 챔버에 구비된 히터; 상기 연소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 챔버와 상기 연료 챔버로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잉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가 제공된다.
상기 연소기 바디의 내부에 팬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팬챔버에 상기 블로잉팬이 내장되고, 상기 연료 챔버와 상기 히터 챔버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는 에어 소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블로잉팬으로부터 불어주는 에어가 상기 에어 소통홀을 통해서 상기 연료 챔버와 상기 히터 챔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 챔버의 양쪽 위치에 각각 상기 히터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 챔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히터 챔버 옆에 상기 팬챔버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 챔버 및 상기 연료 챔버를 구획하는 상기 격판에 상기 에어 소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 챔버와 상기 팬챔버를 구획하는 격판에 에어 소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기 바디는 바닥부에 측벽부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바닥부에서 일정 간격 위로 이격된 내부 바닥판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 챔버와 상기 히터 챔버를 구획하는 상기 격판은 상기 바닥판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내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에어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기 바디의 양쪽에 하나씩 상기 히터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 챔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히터 챔버 옆에 팬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팬챔버에 내장된 블로잉팬에 의해 에어를 불어줄 때에 상기 내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통로를 통해 에어가 지나가서 상기 히터 챔버와 상기 연료 챔버를 구획하는 격판의 에어 소통홀을 통해 상기 연료 챔버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기 바디는 바닥부에 측벽부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기 바디의 내부의 상기 히터 챔버에는 히터가 내장되고, 상기 히터 챔버의 옆에 배치된 팬챔버에는 블로잉팬이 내장되며, 상기 연소기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는 상기 히터와 상기 블로잉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인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연료 챔버와 히터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 챔버에는 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 챔버의 옆에는 팬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팬챔버에는 블로잉팬이 내장된 연소기; 상기 연소기가 투입되는 연소기 투입 챔버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기 투입 챔버와 연통된 화덕홀이 상부에 구비된 연소기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가 제공된다.
상기 연소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화덕홀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거치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기 하우징의 바닥판에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연소기의 하부가 접촉되어 상기 연소기 하우징의 바닥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소기 하우징 내부의 연소기 투입 챔버로 투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숯불과 같은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지의 여부, 히터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지의 여부, 히터의 열과 연료의 열을 모두 활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마음대로 손쉽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처럼 열원의 채택이 손쉬운 만큼 활용도가 매우 높은 효과가 있는 새로운 연소기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형 가열기의 주요부인 연소기 하우징과 연소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소기 하우징에 연소기를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연소기 하우징에 연소기의 일부를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가열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의 구조를 각각 보여주는 종단면도 및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20)는 내부에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를 구비한 연소기 바디(21)와, 이 연소기 바디(21)의 히터 챔버(20BC)에 내장된 히터(26)와, 상기 연소기 바디(21)에 구비된 블로잉팬(28)을 구비한다.
상기 연소기 바디(21)는 바닥부(21D)의 둘레부에 측벽부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기 바디(21)는 사각판 형태의 바닥부(21D) 둘레부에 선단부 측벽부(21A)와 기단부 측벽부(21B) 및 양쪽 사이드 측벽부(21C)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내부 바닥판(24)이 구비된다. 내부 바닥판(24)은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안쪽면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내부 바닥판(24)과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사이에 에어가 통과되기 위한 통로(FP)가 확보된다. 이때, 내부 바닥판(24)은 용접이나 리벳 등에 의해 연소기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바닥판(24)에는 블로잉팬(28) 작동시 에어가 연료 챔버(20AC)로 올라오도록 복수개의 에어 소통홀(AH)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격판(23)이 구비되어, 격판(23)에 의해 연소기 바디(21) 내부 공간부가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 및 팬챔버(20CC)로 구획된다. 상기 연소기 바디(21) 내부에는 구비된 내부 바닥판(24)에 격판(23)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지지되어,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가 구획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기 바디(2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 내부 바닥판(24)에 격판(23)의 하단부가 연결 지지되어, 상기 격판(23)에 의해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가 구획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격판(23)의 하단부가 상기 내부 바닥판(24)에 연결되도록 지지되어, 연료 챔버(20AC)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히터 챔버(20BC)가 구비된다. 즉, 연료 챔버(20AC)는 내부 바닥판(24)과 두 개의 격판(2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료 챔버(20AC)의 전후 위치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격판(23)에 의해 구획된 히터 챔버(20BC)가 확보된 구조이다.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 구비된 다른 격판(23)에 의해서는 히터 챔버(20BC)와 구획된 팬챔버(20CC)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팬챔버(20CC) 구획용 격판(23)은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와 연료 챔버(20AC) 구획을 위한 두 개의 격판(23) 중에서 한쪽의 격판(23)은 상기 팬챔버(20CC) 구획용 격판(23)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히터 챔버(20BC)와 연료 챔버(20AC) 구획을 위한 다른 격판(23)은 연소기 바디(21)의 선단부 측벽부(21A) 및 상기 한쪽 격판(23)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선단부 측벽부(21A)와 기단부 측벽부(21B) 사이에 세 개의 마주하는 격판(23)이 구비되고, 두 개의 격판(23)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 바닥판(24)에 하단부가 연결 지지되어 연료 챔버(20AC)와 두 개의 히터 챔버(20BC)가 구획되며,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와 한쪽의 격판(23) 사이에 배치된 격판(23)에 의해서는 히터 챔버(20BC)와 팬챔버(20CC)가 구획된다. 정리하면,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선단부 측벽부(21A,30A)에서 기단부 측벽부(21B)를 따라 히터 챔버(20BC), 연료 챔버(20AC), 히터 챔버(20BC), 팬챔버(20CC)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물론,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 히터 챔버(20BC)와 팬챔버(20CC) 및 연료 챔버(20AC)는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결국, 연소기(20)에서 연소기 바디(21) 내부에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 및 팬챔버(20CC)가 구비되는 한편, 연료 챔버(20AC)는 연소기 바디(21) 내부에 구비된 내부 바닥판(24)에 의해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외부 바닥판이라 할 수 있음)에서 일정 간격의 위쪽으로 떠 있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소기 바디(21)의 외부 바닥판과 내부 바닥판(24)(즉, 연료 챔버(20AC)를 형성하는 바닥판) 사이에 상기 통로(FP)가 확보된 것이다.
상기 격판(23)들에는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된다. 히터 챔버(20BC)와 연료 챔버(20AC)를 구획하는 격판(23)에 복수개의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되고, 히터 챔버(20BC)와 팬챔버(20CC)를 구획하는 격판(23)에도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 챔버와 팬챔버를 구획한 격판(23)에는 블로잉팬(28)이 정렬되어서 결합되는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되는데, 상기 팬챔버 구획용 격판(23)의 에어 소통홀(AH)은 팬장착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챔버(20CC)에 내장된 블로잉팬(28)의 가동시에 발생하는 에어가 격판(23)들의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연료 챔버(20AC)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에도 복수개의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된다. 블로잉팬(28)의 가동시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에어가 연소기 바디(21)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연료 챔버(20AC)에는 숯과 같은 다양한 연료가 충전되는 한편, 상기 히터 챔버(20BC)에는 히터(26)가 내장된다. 이때, 히터(26)는 애자와 같은 절연체에 의해 연소기 바디(21)와 절연되도록 구성된다. 히터(26)의 전선 연결 단부에 애자 등의 절연체가 구비되고, 상기 절연체는 연소기 바디(21)에 구비된 히터(26) 장착홀에 결합됨으로써 히터(26)가 연소기 바디(21) 내부의 히터 챔버(20BC)에 내장되면서 동시에 연소기 바디(21)와 절연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히터(26)는 유자형 히터(26)로 구성될 수 있는데, 유자형 히터(26)의 한 쌍의 전선 연결 단부가 애자 등의 절연체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절연체가 연소기 바디(21)의 히터(26) 장착홀에 결합되어 유자형 히터(26)가 연소기 바디(21)와 절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즉, 외부 바닥판)에 히터(26)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21D)의 히터(26) 장착홀에 히터(26)의 전선 연결 단부를 감싸고 있는 애자 등의 절연체가 결합되며, 상기 절연체에 구비된 브라켓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소기 바디(21)에 결합(즉,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에 결합)됨으로써 히터(26)가 연소기 바디(21)의 히터 챔버(20BC)에 내장되면서 동시에 연소기 바디(21)와 히터(26)가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 히터(26)에 결합된 절연체의 브라켓을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소기 바디(21)에 결합할 경우 체결구를 풀어주기만 하면 히터(26)를 들어낼 수 있어서 히터(26)의 교체나 보수 작업 등에서 보다 유리하다.
상기 연소기 바디(21) 내부에 확보된 팬챔버(20CC)에는 블로잉팬(28)이 내장된다. 블로잉팬(28)은 브라켓과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소기 바디(21) 내부의 팬챔버(20CC)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로잉팬(28)이 가동하면 에어가 각 격판(23)들의 에어 소통홀(AH)을 통과하여 상기 연료 챔버(20AC)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연료 챔버(20AC) 하부에 확보된 통로(FP)를 통해서도 에어가 통과되었다가 연소기 바디(21)의 측벽부, 구체적으로, 선단부 측벽부(21A)에 부딪힌 다음 격판(23)의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연료 챔버(20AC)에 공급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바닥판(24)의 하부와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사이에 형성된 통로(FP)로 에어가 통과된 다음 연소기 바디(21)의 선단부 측벽부(21A) 안쪽면에 부딪혔다가 한쪽의 격판(23)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과하여 연료 챔버(20AC)로 공급된다. 즉, 연료 챔버(20AC)를 구획하는 두 개의 격판(23) 중에서 한쪽 격판(23)의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는 블로잉팬(28)에 의해 불어지는 에어가 통과되어 연료 챔버(20AC) 내부로 공급되고, 연료 챔버(20AC) 하부의 통로(FP)를 통과한 에어는 연료 챔버(20AC)를 구획하는 다른 격판(23)의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연료 챔버(20AC) 내부로 공급된다. 다시 말해, 연료 챔버(20AC)의 양쪽에서 에어가 들어와서 연료 챔버(20AC) 내부에 고르게 공급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상단부에는 한쪽의 히터 챔버(20BC)를 위에서 덮어주는 히터 커버(26CV)와 다른 쪽의 히터 챔버(20BC)를 위에서 덮어주는 다는 히터 커버(26CV)가 구비된다. 상기 다른 히터 커버(26CV)는 연소기 바디(21) 내부의 팬챔버(20CC)도 같이 위에서 덮어준다. 상기 히터 챔버(20BC)들은 연소기 바디(21)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료 챔버(20AC)에 충전되어 있는 연료를 점화시키고 히터 챔버(20BC)는 히터 커버(26CV)에 의해 덮어줄 수 있다. 히터 커버(26CV)에 의해 히터 챔버(20BC)를 덮어주면 히터(26)의 열기가 연료 챔버(20AC)로 들어와서 연료 챔버(20AC) 상단부의 개방부를 통해 위로 올라오게 되므로, 열이 더해진다. 즉, 히터(26)의 열이 연료 연소 열과 더해져서 연료 챔버(20AC) 상단부의 개방부로 올라온다. 이때, 상기 연료 챔버(20AC)의 상단부 개방부는 후술하는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만나게 되어 있어서, 상기 히터(26)와 연료 챔버(20AC) 내부의 연료 연소시의 열기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로 올라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소기 바디(21)는 바닥부(21D)에 측벽부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의 히터 챔버(20BC)에는 히터(26)가 내장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의 옆에 배치된 팬챔버(20CC)에는 블로잉팬(28)이 내장되는데,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는 히터(26)와 블로잉팬(2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접속부(29)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에 전원 접속부(2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 접속부(29)는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에 구비된 플러그핀 하우징과, 이러한 플러그핀 하우징에 내장되어 히터(26)와 블로잉팬(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히터(26)는 두 개이고 블로잉팬(28)은 하나이므로 상기한 구조의 전원 접속부(29)가 세 개가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핀 하우징에 플러그핀이 내장된 전원 접속부(29)는 접속 포트식 전원 접속부(29)라 할 수 있다. 접속 포트식 전원 접속부(29)를 채용할 경우 사용시에 외부 전원 코드선을 전원 접속부(29)에 꽂아주면 되므로 보다 편리한 측면이 있다.
이때, 상기 전원 접속부(29)는 히터(26)와 블로잉팬(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코드와, 이 전원 코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코드에 외부 전원 플러그가 연결된 전원 접속부(29)는 코드식 전원 접속부(29)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포트시기 전원 접속부(29)이든 코드식 전원 접속부(29)이든 모두 히터(26) 스위치와 팬스위치를 구비하여, 히터(26) 스위치에 의해 히터(26)의 온오프 동작과 히터(26)의 발열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팬스위치에 의해 팬의 온오프 동작과 블로잉팬(28)의 속도 조절 동작(풍량 조절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기 바디(21)에는 히터 작동 램프(26L)와 팬 작동 램프(28L)가 구비된다. 연소기 바디의 기단부 측벽부(21B)에 히터 작동 램프(26L)와 팬 작동 램프(28L)가 구비되어, 히터와 블로잉팬(28) 작동시 히터 작동 램프(26L)와 팬 작동 램프(28L)가 점등되므로, 히터와 블로잉팬(28)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20)는 주요부인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아래에 공간부(SP)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터(26)가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에 애자 등의 절연체를 매개로 결합되는데, 히터(26)에 배선된 전선이 상기 바닥부(21D) 아래의 공간부(SP)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원 접속부(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아래 공간부(SP)에 배선 전선이 수용된다. 이러한 연소기 바디(21) 하부 공간부(SP)는 전선이 위쪽의 히터(26)는 물론 연료 챔버(20AC)와도 공간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전선이 열에 의해 녹는 등의 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동시에 히터(26)와 연료 챔버(20AC) 내에서의 연료 연소시의 열이 연소기(20)의 하부에서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하부 공간부(SP)는 최하측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최하측 케이싱은 최하측 바닥판에 상향으로 연장된 최하측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최하측 측벽부가 용접 등에 의해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연료 챔버(20AC)를 형성하는 내부 바닥판(24)과 연소기 바디(21)를 구성하는 바닥부(21D) 사이에 하부 차단판(25)이 구비된다. 하부 차단판(25)은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막혀있는 판으로서 이러한 하부 차단판(25)이 연료 챔버(20AC)의 내부 바닥판(24)과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내부 바닥판(24)의 아래에 하부가 막힌 보조 공간부(SP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연소기 바디(21)를 측단면에서 볼 때에 보조 공간부(SP1)의 앞쪽은 개방부이고 보조 공간부(SP1)의 뒤쪽은 패쇄부이다. 즉, 보조 공간부(SP1)의 앞부분은 뚫려있고 보조 공간부(SP1)의 뒤쪽은 막혀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공간부(SP1)의 아래에 상기 통로(FP)가 확보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차단판(25)과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 사이에 상기 통로(FP)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통로(FP)는 앞쪽과 뒤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연료 챔버(20AC)의 앞쪽 히터 챔버(20BC)의 연료 챔버(20AC)의 뒤쪽 히터 챔버(20BC) 사이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블로잉팬(28)이 가동하여 연소기 바디(21)의 기단부 측벽부(21B)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에서부터 에어(이때, 에어는 블로잉팬(28)의 회전시 불어주는 산소라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편의상 에어라 칭하기로 함)가 불어져 들어오면, 상기 보조 공간부(SP1)의 앞쪽 개방부를 통해 에어의 일부가 들어와서 상기 내부 바닥판(24)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위로 올라오므로 연료 챔버(20AC)에 채워진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에어가 아래에서 공급되고, 동시에 상기 연료 챔버(20AC)의 앞쪽 격판(23)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에어가 들어와서 연료 챔버(20AC)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보조 공간부(SP1) 아래에 확보된 통로(FP)로도 에어가 통과한 다음 연소기 바디(21)의 선단부 측벽부(21A)에서 반사되어 연료 챔버(20AC)의 뒤쪽 격판(23)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연료 챔버(20AC) 내부로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연료 챔버(20AC)에 채워진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에어가 연료 챔버(20AC)의 앞쪽과 뒤쪽 및 하부에서 골고루 공급되므로 연소 효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공간부(SP1)의 뒤쪽은 막혀 있는 폐쇄부이므로, 상기 보조 공간부(SP1)로 들어온 에어가 보다 원활하게 내부 바닥판(24)의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위쪽의 연료 챔버(20AC)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공간부(SP1)는 연소기(20) 내부의 연료 챔버(20AC)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에 발생되는 열이 전도에 의해 직접 연소기(20)의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공간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상기 연소기 바디(20) 내부의 보조 공간부(SP1)와 상기 통로(FP) 및 하부 공간부(SP)에 의해 연료 챔버(20AC) 아래에 삼중의 단열 공간이 확보된 셈이 되어서 연소기(20)의 하부가 연료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열이 전도 현상에 의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보조 공간부(SP1)와 상기 통로(FP) 및 하부 공간부(SP)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연소기(20)에서 외부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에 있어서 매우 탁월하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연소기(20)가 내부로 투입되는 연소기 하우징(30)을 포함하는 복합형 가열기가 제공된다. 즉, 상기 연소기(20)는 내부에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에는 히터(26)가 구비되고, 히터 챔버(20BC)의 옆에는 팬챔버(20CC)를 구비하며, 팬챔버(20CC)에는 블로잉팬(28)이 내장되는데, 연소기 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된 연소기 투입 챔버로 상기 연소기(20)가 투입된다.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은 내부에 연소기 투입 챔버를 구비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연소기 하우징(30)은 바닥판과, 이 바닥판에 구비된 선단부 측벽부(30A)와, 상기 바닥판과 선단부 측벽부(30A)에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측벽부(30B)를 구비하며, 연소기 하우징(30)의 기단부측은 개방된 연소기 투입홀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기 투입홀이 연소기 하우징(30) 내부의 연소기 투입 챔버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소기 투입홀을 통해 연소기(20)를 연소기 투입 챔버로 밀어넣거나 연소기 투입 챔버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소기(20)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손잡이를 잡고 연소기(20)를 연소기 하우징(30)에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소기(20)의 기단부 측벽부(21B)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잡이를 잡고 연소기 하우징(30) 내부의 연소기 투입 챔버에 연소기(20)를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은 내부의 연소기 투입 챔버와 연통된 화덕홀(32)이 상부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을 구성하는 상부벽은 양쪽 사이드 측벽부(30B)와 선단부 측벽부(30A)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벽에 화덕홀(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상면에는 화덕홀(32)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거치부재(34)가 더 구비된다. 거치부재(34)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연소기 하우징(30)의 상면, 다시 말해, 연소기 하우징(30)의 상부판에 용접이나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34)에는 화기공(34H)이 구비되는데, 화기공(34H)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상하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 거치부재(34)에는 상부로 연장된 지지 테두리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부재(34)에 고기를 구울 때 쓰는 기름받이를 얹어놓거나 석쇠 등을 얹어놓을 수 있는데, 상기 거치부재(34)에 지지 테두리부가 구비된 경우, 지지 테두리부가 기름받이나 석쇠 등을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어서 보다 좋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20) 및 이를 활용한 복합형 구이기에 의하면, 상기 연소기(20)의 연료 챔버(20AC)에 숯 등의 연료를 채워넣고 연소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연소기(20)를 투입한 다음, 상기 연소기(20)의 블로잉팬(28)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연료 챔버(20AC)에 충전되어 있는 연료에 불을 붙여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연료 챔버(20AC)에 연료를 채워넣지 않고 히터(26)만을 가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료 챔버(20AC)에 숯 등의 연료를 채워넣고 연료를 점화시키고 동시에 히터(26)도 가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히터(26)를 직접 열원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히터 커버(26CV)를 열어서 히터 챔버(20BC)의 상단 개구부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만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챔버(20AC)에 채워진 연료의 연소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격판(23)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과 내부 바닥판(24)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연료 챔버(20AC)에 앞쪽과 뒤쪽 및 하부에서 고르게 에어(산소)가 공급되므로, 연료 연소 효율의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숯불과 같은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지의 여부, 히터(26)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지의 여부, 히터(26)의 열과 연료의 열을 모두 활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마음대로 손쉽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처럼 열원의 채택이 손쉬운 만큼 활용도가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히터(26)를 함께 가동하는 한편 블로잉팬(28)에 의해 에어를 불어주어 사용하면 연료 연소열과 히터(26)의 열풍이 함께 더해져서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조리 효율이 더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소기(20)의 연료 챔버(20AC)에 채워진 연료에 점화를 하거나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블로잉팬(28)에 의해 연료 챔버(20AC)에 원활하게 에어(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로잉팬(28)이 가동하면 각 격판(23)들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연료 챔버(20AC) 내부로 연료 연소에 필요한 에어가 공급되는 한편, 상기 연소기(20)의 바닥부(21D)와 내부 바닥판(24) 사이에 확보된 통로(FP)를 통해서도 에어가 통과된 다음 연소기 바디(21)의 측벽부에 부딪혔다가 격판(23)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도 에어가 통과되어 연료 챔버(20AC)로 연료 연소에 필요한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연료 챔버(20AC)의 양쪽(양쪽 격판(23) 부분)에서 에어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연료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연료 챔버(20AC)에 에어가 앞에서도 공급되고 뒤에서도 공급되므로 연료 점화 효율의 향상은 물론 연료 연소시의 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소기 하우징(30)에 연소기(20)를 투입한 정도를 조절하여 화덕홀(32)로 올라오는 화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 하우징(30)에 연소기(20)를 완전히 투입함으로써 연료 챔버(20AC)의 상단부측 개방부 전체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직하방에서 만나도록 정렬하면, 연료에 연소에 의한 화기가 가장 세다고 할 수 있으며,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에 연소기(20)를 완전히 투입하지 않고 대략 연소기 하우징(30)에서 연소기(20)의 일부가 나와 있는 상태로 투입한 상태에서는 연료 챔버(20AC)의 상단부측 개방부 전체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직하방에서 정렬되는 것이 아니라 연료 챔버(20AC)의 상단부측 개방부 일부만이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만나도록 정렬하면, 연료의 연소에 의한 화기가 더 약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연소기(20)를 연소기 하우징(30)에 투입하는 정도에 따라 화기의 조절이 쉬워지므로 사용성 등에서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둘레부에는 단열재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단열재 챔버에 단열재(IS)가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 챔버 없이 그냥 연소기 하우징(30)의 둘레부에 단열재(IS)만 씌울 수도 있다. 이처럼 연소기 하우징(30)의 둘레부에 단열재(IS)가 구비된 경우 히터(26)의 열이나 연료 연소시의 열이 연소기 하우징(30)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 단열 효과가 있으며, 연소기 하우징(30)의 과열에 의한 화상의 염려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연료 연소시의 화염의 열기가 구이 대상 음식물로 최대한 많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주변으로는 화염의 열기가 최대한 적게 전달되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여주는 구조이므로,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펜션, 음식점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더홀 주위에 구비된 거치부재(34)에 기름받이나 석쇠나 찜용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조리시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전원 접속부(29)와 외부 전원 코드 사이에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히터(26)와 블로잉팬(28)의 작동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연소기 하우징(30)의 바닥판에는 가이드 부재(GM)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소기 바디(21)의 바닥부(21D)에 공간부(SP)를 매개로 일정 간격 아래에 이격된 최하측 케이싱의 최하측 바닥판 (ML) 이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바닥판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GM)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바닥판에서 연소기(20)의 최하측 바닥판이 위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연소기 하우징(30) 내부의 연소기 투입 챔버로 연소기(20)가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소기(20)가 연소기 하우징(30)의 바닥부에 끌리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서 연소기 하우징(30)에 연소기(20)를 투입하거나 연소기 하우징(30)으로부터 연소기(20) 빼내는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단부에 뾰족한 가이드 첨두부를 구비하도록 한 쌍의 경사 가이드판 상단부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 부재 상단부의 가이드 첨두부만이 연소기(20)를 구성하는 최하측 케이싱의 최하측 바닥판 외표면에 선접촉되므로, 연소기 하우징(30)에 연소기(20)를 투입하거나 빼낼 때에 더욱더 원할하면서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연소기(20)의 구성인 최하측 케이싱의 최하측 바닥판 외표면에는 가이드 부재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연소기(20) 최하측 바닥판 외표면에 롤러가 구비된 경우, 연소기(20)를 연소기 하우징(30)에 투입하거나 빼낼 때에 롤러가 가이드 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므로 연소기(20)의 투입이나 인출이 더욱더 원활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상면에는 화덕홀(32)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향 연장된 네크부(36)를 구비한 거치부재(34)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재(34)에는 상향 테두리벽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향 테두리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의 거치부재(34)에도 화기공(34H)이 구비되고, 화기공(34H)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과 상하로 정렬된다. 상기 네크부(36)는 화기공(34H)의 주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네크부(36)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재(34)의 상향 테두리벽에 용기(예를 들어, 만두나 찐빵 등을 찌는 찜용기)를 맞추어서 거치하면, 상기 용기가 상향 테두리벽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음식물 조리시 보다 안전하다. 물론, 상기 상향 테두리벽에 의해 기름받이나 석쇠, 구이판 등과 같이 조리에 필요한 도구는 모두 안정적으로 거치부재(34)에 얹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재(34)에 직경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구비된다. 거치부재(34)의 상향 테두리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나 조리 기구 등의 직경이 다르더라도 각각의 다른 직경의 단차부에 용기나 조리 기구를 맞추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용기나 조기 기구의 사용 호환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크부(36)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즉, 네크부(36)가 연소기 하우징(30)의 화덕홀(32)에서 위로 갈수록 점점 벌어진 가이드판 형태로 구성되므로, 연료 연소시의 열기나 히터(26) 가동시의 열기가 음식물로 올라오는 효율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가 가지는 기능 내지 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부에 복수개의 서포트 풋트(46)를 구비한 보조 용기(40)를 더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용기(40)는 바텀판(42)에 상부로 연장된 둘레벽(44)을 구비함으로써 상단부가 개방된 용기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보조 용기(40)의 바텀판(42)에 복수개의 서포트 풋트(46)가 구비된다. 각각의 서포트 풋트(46)가 바텀판(42)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서포트 풋트(46)가 삼발이 구조를 이루도록 세 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 용기(40)의 바텀판(42)에는 복수개의 에어 소통홀(AH)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용기(40)는 연소기 바디(21) 내부의 연료 챔버(20AC) 내부에 수용되는데, 보조 용기(40)의 부피는 연료 챔버(20AC)의 부피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보조 용기(40)를 연료 챔버(20AC)에 수용하였을 때에 보조 용기(40)와 연료 챔버(20AC) 사이에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즉, 상기 보조 용기(4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 풋트(46)의 하단부가 연료 챔버(20AC)의 내부 바닥판(24)에 접촉된 상태로 보조 용기(40)가 연료 챔버(20AC)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용기(40)의 체적이 연료 챔버(20AC)의 체적보다 작으므로 보조 용기(40)의 외표면과 연료 챔버(20AC)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한편, 상기 보조 용기(40)의 바텀판(42)과 연료 챔버(20AC)의 내부 바닥판(24) 사이에도 일정 간격 떨어진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오로지, 상기 보조 용기(40)의 하부 서포트 풋트(46)의 하단부만이 연료 챔버(20AC)를 형성하는 내부 바닥판(24)에 접촉되어 있다. 즉, 보조 용기(40)에서 서포트 풋트(46) 부분만 연료 챔버(20AC)의 내부 바닥판(24)에 접촉되어 있는 보조 용기(40)의 나머지 부분은 연료 챔버(20AC)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 용기(40)에 숯 등의 연료를 담아서 연료 챔버(20AC)에 투입하고, 상기 블로잉팬(28)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보조 용기(40)에 충전되어 있는 연료에 점화시키면, 상기 보조 용기(40)의 바텀판(42)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에어가 아래쪽에서 보조 용기(40) 내부로 공급되므로 연료가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소기(20) 내부의 격판(23)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하여 에어가 상기 연료 챔버(20AC)로 투입된 다음 보조 용기(40)의 바텀판(42)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보조 용기(4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용기(40)가 하부의 서포트 풋트(46)의 하단부만 연료 챔버(20AC)에 접촉되어 있어서, 보조 용기(40)로부터 연료 챔버(20AC)로 직접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연소기(20)가 연료 연소시 과열되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보조 용기(40)가 서포트 풋트(46) 부분만 거의 점으로 연료 챔버(20AC)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료 챔버(20AC)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전도 현상에 의해 연료 연소시의 열이 연소기(20)에 직접 전달되어 연소기(20)가 과열되는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는 데에서 상기 보조 용기(40)를 채용하는 것의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한편, 상기 서포트 풋트(46)의 하단부에는 보조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지지판의 사이즈는 상기 연료 챔버(20AC)를 구성하는 내부 바닥판(24)의 에어 소통홀(AH)의 사이즈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포트 풋트(46)에 의해 보조 용기(40)가 연료 챔버(20AC)의 내부 바닥판(24)에서 위쪽으로 이격된 상태로 보조 용기(40)를 연료 챔버(20AC) 내부에 수용할 때에 서포트 풋트(46)에 구비된 보조 지지판이 내부 바닥판(24)의 에어 소통홀(AH)로 빠지는 일이 없게 되므로, 보조 용기(40)는 연소기(20) 내부의 연료 챔버(20AC) 수용할 때에 보다 편리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보조 용기(40)가 수용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보조 용기(40)의 하부 서포트 풋트(46)의 외경이 연료 챔버(20AC)의 내부 바닥판(24)에 형성된 에어 소통홀(AH)의 직경보다 작더라도 상기 보조 지지판의 사이즈는 내부 바닥판(24)의 에어 소통홀(AH) 직경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 보조 용기(40)의 서포트 풋트(46)를 내부 바닥판(24)에 거치시킬 때에 에어 소통홀(AH)로 서포트 풋트(460가 빠지는 일이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보조 용기(40)를 연소기(20) 내부의 연료 챔버(20AC)에 수용할 때에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연소기 21. 연소기 바디
23. 격판 24. 내부 바닥판
26. 히터 28. 블로잉팬
29. 전원 접속부 30. 연소기 하우징
32. 화덕홀 34. 거치부재
34H. 화기공 36. 네크부
AH. 에어 소통홀 40. 보조 용기
42. 바텀판 44. 둘레벽
46. 서포트 풋트

Claims (9)

  1. 내부에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를 구비한 연소기 바디(21);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상기 히터 챔버(20BC)에 구비된 히터(26);
    상기 연소기 바디(21)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 챔버(20BC)와 상기 연료 챔버(20AC)로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잉팬(2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 팬챔버(20CC)가 구비되어, 상기 팬챔버(20CC)에 상기 블로잉팬(28)이 내장되고, 상기 연료 챔버(20AC)와 상기 히터 챔버(20BC)는 격판(23)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격판(23)에는 에어 소통홀(AH)이 구비되어 상기 블로잉팬(28)으로부터 불어주는 에어가 상기 에어 소통홀(AH)을 통해서 상기 연료 챔버(20AC)와 상기 히터 챔버(20BC)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 챔버(20AC)의 양쪽 위치에 각각 상기 히터 챔버(20BC)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히터 챔버(20BC) 옆에 상기 팬챔버(20CC)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 챔버(20BC) 및 상기 연료 챔버(20AC)를 구획하는 상기 격판(23)에 상기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와 상기 팬챔버(20CC)를 구획하는 격판(23)에 에어 소통홀(A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바디(21)는 바닥부(21D)에 측벽부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에는 상기 바닥부(21D)에서 일정 간격 위로 이격된 내부 바닥판(24)이 구비되고, 상기 연료 챔버(20AC)와 상기 히터 챔버(20BC)를 구획하는 상기 격판(23)은 상기 바닥부(21D)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내부 바닥판(24)과 상기 바닥부(21D) 사이에 에어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FP)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양쪽에 하나씩 상기 히터 챔버(20BC)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히터 챔버(20BC) 옆에 팬챔버(20CC)가 구비되어, 상기 팬챔버(20CC)에 내장된 블로잉팬(28)에 의해 에어를 불어줄 때에 상기 내부 바닥판(24)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통로(FP)를 통해 에어가 지나가서 상기 히터 챔버(20BC)와 상기 연료 챔버(20AC)를 구획하는 격판(23)의 에어 소통홀(AH)을 통해 상기 연료 챔버(20AC)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바디(21)는 바닥부(21D)에 측벽부가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내부의 상기 히터 챔버(20BC)에는 히터(26)가 내장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의 옆에 배치된 팬챔버(20CC)에는 블로잉팬(28)이 내장되며, 상기 연소기 바디(21)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는 상기 히터(26)와 상기 블로잉팬(2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접속부(2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복수개의 서포트 풋트(46)를 구비한 보조 용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용기(40)는 상기 연소기 바디(21) 내부의 상기 연료 챔버(20AC)에 수용되고, 상기 보조 용기(40) 하부의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풋트(46) 하단부가 상기 연료 챔버(20AC)를 형성하는 내부 바닥판(24)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20).
  8. 내부에 연료 챔버(20AC)와 히터 챔버(20BC)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에는 히터(26)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 챔버(20BC)의 옆에는 팬챔버(20CC)를 구비하며, 상기 팬챔버(20CC)에는 블로잉팬(28)이 내장된 연소기(20);
    상기 연소기(20)가 투입되는 연소기 투입 챔버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기 투입 챔버와 연통된 화덕홀(32)이 상부에 구비된 연소기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상기 화덕홀(32)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거치부재(3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를 활용한 복합형 가열기.
KR1020150002495A 2015-01-08 2015-01-08 연소기 KR20160085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495A KR20160085462A (ko) 2015-01-08 2015-01-08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495A KR20160085462A (ko) 2015-01-08 2015-01-08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462A true KR20160085462A (ko) 2016-07-18

Family

ID=5667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495A KR20160085462A (ko) 2015-01-08 2015-01-08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46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03Y1 (ko) 2003-08-01 2003-11-05 신원진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
KR100897831B1 (ko) 2008-09-26 2009-05-15 유병철 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
KR20100107307A (ko) 2009-03-25 2010-10-05 김명자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KR20130133958A (ko) 2012-05-30 2013-12-10 김순덕 괴탄을 연료로 하는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03Y1 (ko) 2003-08-01 2003-11-05 신원진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
KR100897831B1 (ko) 2008-09-26 2009-05-15 유병철 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
KR20100107307A (ko) 2009-03-25 2010-10-05 김명자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KR20130133958A (ko) 2012-05-30 2013-12-10 김순덕 괴탄을 연료로 하는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778A (en) Gas Barbecue Assembly
JP6559963B2 (ja) 調理装置
EP2986130B1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KR101776683B1 (ko) 연도를 이용한 구이기
WO2000069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KR101635714B1 (ko) 야외용 우드 펠릿 그릴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US20190125129A1 (en) Grill
KR20170084989A (ko) 바비큐 그릴 및 바비큐 그릴을 이용한 조리방법
US3991666A (en) Portable cooking unit
CN107713807A (zh) 一种便携式烧烤设备
KR101299119B1 (ko)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20200010800A (ko) 구이장치
KR101816526B1 (ko)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20160085462A (ko) 연소기
KR20150116603A (ko)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KR20140032765A (ko) 휴대용 구이기
WO2018214511A1 (zh) 一种明火烤炉
KR101737060B1 (ko)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