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067B1 -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 Google Patents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067B1
KR100622067B1 KR1020040108235A KR20040108235A KR100622067B1 KR 100622067 B1 KR100622067 B1 KR 100622067B1 KR 1020040108235 A KR1020040108235 A KR 1020040108235A KR 20040108235 A KR20040108235 A KR 20040108235A KR 100622067 B1 KR100622067 B1 KR 10062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ound bar
arm
bolt
clam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135A (ko
Inventor
채주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0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과 벤딩작업 없이, 복수개의 클램핑 유닛과 회전 아암유닛을 이용하여 아암 간의 결합을 이루어 신속하고 간단하며, 아울러 길이와 각도의 조정이 자유로운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보스를 형성하여 크로스 바아의 홀더에 장착되며, 타측에는 하나의 환봉을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클램핑 유닛; 2개의 환봉을 직각으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클램핑 유닛;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체결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일측에서 하나의 환봉을 체결함과 동시에, 타측에는 진공컵을 체결하는 회전 아암유닛; 상기 제1클램핑 유닛과 제2클램핑 유닛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1환봉; 상기 제1환봉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2클램핑 유닛과 회전 아암유닛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환봉;으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을 개발한 것이다.
연결 아암, 크로스 바아, 진공컵, 패널 이송장치,

Description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A CONNECTING ARM FOR A CROSS BAR}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패널 이송을 위한 크로스 바아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전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3의 B 부분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 및
도 8과 도 9는 도 3의 C 부분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 제1클램핑 유닛 C2; 제2클램핑 유닛
C3; 회전 아암유닛 1,3; 1,2환봉
11; 제1클램핑 블록 21; 제2클램핑 블록
43; 회전 아암 49; 보조 아암
53; 진공컵 고정 아암 7; 진공컵
본 발명은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과 벤딩작업 없이, 아암 간의 결합을 신속하고 간단하며, 아울러 길이와 각도의 조정이 자유로운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패널의 제작은 다단계의 프레스 성형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대의 대형 프레스(100) 사이에서 성형을 위한 소재패널(P)을 각 공정간에 이송시키기 위한 패널 이송용 크로스 바아(C)를 사용하고 있다.
즉,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패널의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 크로스 바아(C)에 연결 아암(CA)을 통하여 장착되는 진공컵(101)을 이용하여 소재패널(P)을 흡착하여 공정간의 이송을 이루도록 해주게 되는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CA)의 구성은 파이프 소재를 이용하여 진공컵(101)이 소재패널(P)의 흡착 위치에 대응하도록 벤딩 성형하여 아암(103)이 제작되며, 상기 아암(103)의 일단에는 상기 크로스 바아(C) 상의 홀더(미도시)에 끼워서 설치되도록 보(105)스가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103)의 타단에는 진공호스(107)와 연결된 진공컵(101)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구성은 상기 보스(BOSS)와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아암의 연결 및 상기 아암과 진공컵(VACUUM CUP)의 연결이 작업자의 용접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프레스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소재 패널의 형상에 따라 바뀌도록 아암의 길이 조정 및 아암의 각도 변경을 위하여 벤딩(BENDING) 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에 의한 용접과 벤딩 작업으로 인해 연결 아암의 제작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동시에 그 형상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과 벤딩작업 없이, 복수개의 클램핑 유닛과 회전 아암유닛을 이용하여 아암 간의 결합을 이루어 신속하고 간단하며, 아울러 길이와 각도의 조정이 자유로운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은 일측으로 보스를 형성하여 크로스 바아의 홀더에 장착되며, 타측에는 하나의 환봉을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클램핑 유닛; 2개의 환봉을 직각으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클램핑 유닛;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체결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일측에서 하나의 환봉을 체결함과 동시에, 타측에는 진공컵을 체결하는 회전 아암유닛; 상기 제1클램핑 유닛과 제2클램핑 유닛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1환봉; 상기 제1환봉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2클램핑 유닛과 회전 아암유닛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전체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구성은 크게, 제1클램핑 유닛(C1)과 제2클램핑 유닛(C2), 회전 아암유닛(C3) 및 제1,2환봉(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클램핑 유닛(C1)은 일측으로 보스(5)를 형성하여 크로스 바아(미도시)의 홀더(미도시)에 장착되며, 타측에는 하나의 환봉을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클램핑 유닛(C2)은 2개의 환봉을 직각으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전 아암유닛(C3)은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체결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일측에서 하나의 환봉을 체결함과 동시에, 타측에는 진공컵(7)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램핑 유닛(C1)과 제2클램핑 유닛(C2)은 상기 제1환봉(1)의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클램핑 유닛(C2)과 회전 아암유닛(C3)은 상기 제1환봉(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제2환봉(3)의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먼저, 상기 제1클램핑 유닛(C1)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일면에 상기 보스(5)가 구성되는 제1클램핑 블록(11)이 구비된다.
상기 제1클램핑 블록(11)은 상기 보스(5)에 대하여 제1환봉(1)이 직각을 이루어 별도의 체결블록(13)에 의해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블록(13)과 함께, 장착홀(H1)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블록(13)은 제1클램핑 블록(11)에 2개의 체결볼트(15)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핑 유닛(C2)은 직육면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제2클램핑 블록(21)이 구비된다.
상기 제2클램핑 블록(21)은 그 일측에 상기 제1환봉(1)의 타단이 설치되도록 관통된 제1체결구(23)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체결구(2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제2환봉(3)의 일단이 설치되도록 관통된 제2체결구(2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체결구(23,25)의 각 외측으로는 절개부(27)가 형성되는데, 상기 각 절개부(27)에는 2개씩의 볼트홀(29)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클램핑 블록(21)의 각 볼트홀(29)에는 상기 각 절개부(27)를 조여주도록 작용하여 상기 제1환봉(1) 및 제2환봉(3)을 각각 고정시켜주는 2개씩의 체결볼트(31)가 체결된다.
상기 회전 아암유닛(C3)의 구체적인 구성은 중공의 볼트홀(41)을 갖는 회전 아암(43)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아암(43)의 일측에는 상기 제2환봉(3)의 타단이 끼워지도록 제1연결구(45)를 형성한다.
상기 볼트홀(41)은 제1연결구(45)와 직각을 이루어 체결볼트(4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 아암(43)의 단부에는 보조 아암(49)이 배치되는데, 상기 보조 아암(49)은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47)의 삽입을 위한 볼트홀(51)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아암(49)의 단부에는 진공컵 고정 아암(53)이 배치된다.
상기 진공컵 고정 아암(53)은 그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47)가 체결되는 볼트홀(55)이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는 진공컵(7)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도그(57)를 삽입시켜 진공컵(7)을 고정하는 도그홀(59)이 형성된다.
즉, 별도의 체결볼트(47)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아암(43)과 보조 아암(49)의 각 볼트홀(41,51)을 통하여 상기 체결볼트(47)를 삽입하며, 상기 체결볼트(47)는 상기 진공컵 고정 아암(53)의 볼트홀(55)에 체결되어 상기 제2환봉(3)의 일단과 상기 진공컵(7)을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의 구성은 프레스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소재패널의 형상에 따라 아암의 길이 조정 및 아암의 각도 변경을 간단하게 이룰 수 있으며, 더욱이 종래와 같은 용접과 벤딩작업에 의한 보스(BOSS)와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아암의 연결 및 상기 아암과 진공컵(VACUUM CUP)의 연결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력 및 작업시간을 덜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스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소재패널의 형상에 따라 진공컵의 흡착 위치의 조정을 정밀하게 이룰 수 있어 그 흡착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에 의하면, 용접과 벤딩작업 없이, 복수개의 클램핑 유닛과 회전 아암유닛을 이용하여 아암 간의 결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게 되며, 아울러 아암의 길이와 각도의 조정이 자유 로워 프레스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소재패널의 형상이 바뀌어도 쉽게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용접과 벤딩작업을 배제하여 연결 아암의 제작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으로 보스를 형성하여 크로스 바아의 홀더에 장착되며, 타측에는 하나의 환봉을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클램핑 유닛; 2개의 환봉을 직각으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클램핑 유닛;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체결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일측에서 하나의 환봉을 체결함과 동시에, 타측에는 진공컵을 체결하는 회전 아암유닛; 상기 제1클램핑 유닛과 제2클램핑 유닛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1환봉; 상기 제1환봉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2클램핑 유닛과 회전 아암유닛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환봉으로 구성되는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핑 유닛은 일면에 상기 보스가 구성되며, 상기 보스에 대하여 제1환봉이 직각을 이루어 별도의 체결블록에 의해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블록과 함께, 장착홀을 형성하는 제1클램핑 블록; 상기 체결블록을 제1클램핑 블록에 체결하기 위한 2개의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클램핑 유닛은 직육면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상기 제1환봉의 타단이 설치되도록 관통된 제1체결구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상기 제1체결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제2환봉의 일단이 설치되도록 관통된 제2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1,2체결구의 각 외측으로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부에는 2개씩의 볼트홀을 형성하는 제2클램핑 블록; 및 제2클램핑 블록의 각 볼트홀에 체결되어 상기 절개부를 조여주도록 작용하여 상기 제1환봉 및 제2환봉을 고정시켜주는 2개씩의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유닛은
    일측에는 상기 제2환봉의 타단이 끼워지도록 제1연결구를 형성하며, 제1연결구와 직각을 이루어 체결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홀을 갖는 회전 아암;
    상기 회전 아암의 단부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삽입을 위한 볼트홀이 형성되는 보조 아암;
    상기 보조 아암의 단부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는 진공컵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도그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도그홀이 형성되는 진공컵 고정 아암;
    상기 회전 아암과 보조 아암의 각 볼트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진공컵 고 정 아암의 볼트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2환봉의 일단과 상기 진공컵을 각각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KR1020040108235A 2004-12-17 2004-12-17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KR10062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35A KR100622067B1 (ko) 2004-12-17 2004-12-17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35A KR100622067B1 (ko) 2004-12-17 2004-12-17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35A KR20060069135A (ko) 2006-06-21
KR100622067B1 true KR100622067B1 (ko) 2006-09-19

Family

ID=3716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235A KR100622067B1 (ko) 2004-12-17 2004-12-17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36Y1 (ko) * 2019-07-16 2021-03-15 주식회사 올뉴텍 블레이드 접이식 드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5249U (ko) * 1992-05-08 1993-12-20 대우전자 주식회사 경사면 사출물의 취출이 가능한 진공패드장치
KR20040050033A (ko) * 2002-12-09 2004-06-14 이용복 차량조립용 진공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5249U (ko) * 1992-05-08 1993-12-20 대우전자 주식회사 경사면 사출물의 취출이 가능한 진공패드장치
KR20040050033A (ko) * 2002-12-09 2004-06-14 이용복 차량조립용 진공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35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6389A1 (en) Clamping assembly for making connections to elongated members
US6579033B2 (en) Coupling/fastening device for squarely arranged square bars
EP2100059A1 (en) Divisible sprocket wheel
US20070031187A1 (en) Tubing frame connection insert
KR100622067B1 (ko) 크로스 바아용 연결 아암
JP4004108B2 (ja) チャック用生爪
KR200356201Y1 (ko) 철근 연결구
JP2021025399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圧送管固定金具
JP2970565B2 (ja) 導波管接続フランジ
JP4203894B2 (ja) 鋼管杭の継手
JPS634789Y2 (ko)
JP3113195U (ja) 配管支持金具
CN209743772U (zh) 一种硬管子母接头支架结构
KR100535388B1 (ko) 버큠컵 어태치먼트용 연결장치
KR200255330Y1 (ko) 교차되는 봉체를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 구조
JP2009024784A (ja) 棒材連結具
JP2018131284A (ja) コンベヤローラの取付構造、ベルトコンベヤ、並びにコンベヤローラ取付用治具
KR930001068Y1 (ko) 트렉터용 작업기 프레임에의 작업기 결합장치
KR200313519Y1 (ko) 플랜지 체결용 훅크볼트
KR200314408Y1 (ko) 프레임의 용접 결합 구조
JPS6041367Y2 (ja) パネル用止め金具
KR200363599Y1 (ko) 자동절단기의 히팅토치 연결장치
JP4265390B2 (ja) 部材結合装置
JPH1072867A (ja) 建築用木材の継合具
JPH0810719Y2 (ja) 配管・配線固定用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