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996B1 - 디스크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996B1
KR100620996B1 KR1020050119859A KR20050119859A KR100620996B1 KR 100620996 B1 KR100620996 B1 KR 100620996B1 KR 1020050119859 A KR1020050119859 A KR 1020050119859A KR 20050119859 A KR20050119859 A KR 20050119859A KR 100620996 B1 KR100620996 B1 KR 10062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cording
disk
verification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187A (ko
Inventor
조원형
임종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996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1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comprising means for 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6Means for locking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버는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개폐이력 확인홀과 기록여부를 나타내는 기록여부확인홀 기록시 검증 수행여부를 나타내는 검증여부확인홀 및 기록시 검증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검증여부 확인홀을 통하여 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카트리지의 모드 선택수단의 상태에 따라 기록 또는 모드를 판별하여 해당 기록 또는 재생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이상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디스크에 대하여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자동적으로 모드변환되어 검증없이 기록되지 않도록하여 기록시 데이터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염이나 손상되지 않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스토퍼를 개폐이력 확인홀에 취부하여 개폐구동수단(회전구동 슬라이더 또는 직선구동 슬라이더)의 구동을 제한함으로써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로 기록모드가 선택되게 하므로 기록시 데이터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버{DISC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버에 구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선"A-A'"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A) 및 회전구동 슬라이더의 배면도(B).
도 3은 각 기록모드에 따른 삼각클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카트리지로부터 디스크가 탈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모드에 따른 회전구동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으로부터 홀더가 탈장될 때 회전구동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이력이 있는 디스크에 있어서 기록모드에 따른 회전구동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버에 구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직선구동 슬라이더에 의한 기록모드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하우징으로부터 홀더가 탈장될 때 직선구동 슬라이더 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크 2 : 하우징
2a : 단턱부 2b : 절결면
3 : 개폐이력 확인홀 3a : 스토퍼
4 : 기록여부 확인홀 5 : 검증여부 확인홀
7 : 홀더 7c : 삼각 탄성 돌기
8 : 셔터 9 : 회전구동 슬라이더
9a : 날개 9b : 단턱
9c : 삼각클릭 9d : 사용자 조정홈
9e : 환형홀 10 : 직선구동 슬라이더
10a : 사각홀 10b : 돌기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문이나 먼지 등의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디스크를 보호하기 위한 카트리지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는 CD-ROM, DVD-ROM과 같은 재생전용과 재기록 가능 횟수에 따라 WORM(Write Once Read Many) 타입, Rewritable 타입, RAM 타입 등의 기록 가능형으 로 나뉘어진다. 기록 가능형의 디스크는 고밀도화에 따라 먼지나 지문과 같은 오염이나 스크래치(scratch) 등의 손상에 대하여 약한 정보 기록면을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록 가능형 디스크는 오염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카트리지로부터 꺼내어진 베어 디스크(Bare disc)는 지문이나 먼지 등에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이 불가능하기도 하고 설령 기록이 된 경우라 해도 기록된 정보의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카트리지에 다수의 기능홀들을 형성하여 수납된 디스크의 상태에 따라 기록금지여부 또는 검증 수행후 기록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 카트리지에 형성된 기능홀들은 개폐 여부에 따라 복수개의 기능들을 가지게 된다. 디스크 드라이버는 기능홀을 감지하여 로드된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여부, 기록시 검증여부 등을 쉽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홀들의 기능 및 동작을 정확히 알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디스크 드라이버는 특정 기능홀의 개폐상태에 따라 한 번 이상 카트리지로부터 꺼내진 디스크는 오염이 되었다고 단정하여 기록모드시에 검증을 선행한 후 기록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검증과정은 기록과정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검증을 선행한 후 기록하게 되면 직접 기록모드(검증 없이 기록모드)에 대비할 때 적어도 두 배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베어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을 닦아 내어 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카트리지에 수납한 후, 디스크 드라이버에 로드하게 되는 경우에도 디스크 드라이버는 기능홀의 개폐상태에 따라 검증을 선행한 후 기록을 하 게 된다. 한편, 카트리지로부터 한 번도 탈장되지 않은 디스크의 경우 디스크 드라이버는 특정 기능홀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디스크에 대하여 직접 기록모드로 기록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중요한 데이터의 손상방지 등의 목적으로 디스크를 재생전용 디스크처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디스크 드라이버는 특정 기능홀의 개폐상태에 따라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로 인식하여 직접 기록모드로 기록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디스크에 대하여 사용자가 검증과정 없이 바로 기록할 수 있기를 원하는 경우에 이를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카트리지에 형성된 기능홀들의 기능은 디스크의 탈장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크의 탈장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기능홀들의 개폐상태를 보고 디스크의 현재 기록 모드를 판별하기가 어렵게 되고 기능홀들의 기능들을 정확히 숙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해당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금지 또는 기록시 검증여부 등의 다양한 기록모드를 선택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최근, 소형/휴대용 정보기기의 정보 저장 매체로서 사이즈가 작은(예를 들면 직경이 80 mm) 디스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 또한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있다. 소형 사이즈의 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는 기존의 대형 사이즈의 카트리지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 기능을 가지는 많은 기능홀들과 이 기능홀들의 개폐상태를 절환하는 개폐 구동 기구부들이 설치되기에는 설계 공간상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되지 않은 디스크(오염이나 손상되지 않은 디스크)에 대하여 검증과정 없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록이 금지되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한 번이상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이 금지되거나 기록시 검증선행 여부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한 번이상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디스크에 대하여 검증수행 없이 기록되지 않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개폐이력 확인홀과 기록여부를 나타내는 기록여부확인홀 기록시 검증 수행여부를 나타내는 검증여부확인홀 및 기록시 검증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검증여부 확인홀을 통하여 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카트리지의 모드 선택수단의 상태에 따라 기록 또는 모드를 판별하여 해당 기록 또는 재생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의 일 예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개폐 이력 확인홀과; 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록 여부 확인홀과;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디스크에 수록된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먼저 수행하도록 하는 검증 여부 확인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드 선택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디스크 드라이버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기록 금지모드, 직접 기록모드 또는 검증 선행 기록모드 중 어느 일 모드로 선택되어지는 모드의 상태를 감지하여 선택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모드 선택수단은 상기 개폐 이력 확인홀을 차폐시키기 위한 스토핑 부재와 상기 기록여부 확인홀과 검증여부 확인홀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기 디스크가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홀더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개구부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홀더 부재는 개부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수단은 기록 여부 확인홀과 검증 여부 확인홀을 개폐하도록 홀더 부재에 회전구동 또는 직선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의 일 예로 회전구동 슬라이더 또는 직선구동 슬라이더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버는 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 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직접 기록모드에서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상기 모드선택 수단의 모드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판별되는 상태에 따라 기록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 가능한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 번 탈장된 적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폐 이력 확인홀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모드 선택 수단이 구비되고,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하여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금지모드와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될 수 있고, 디스크가 상기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 번 이상 탈장된 경우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금지모드, 직접 기록모드, 검증선행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읽거나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모드 선택수단은 디스크가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 된 적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록금지모드 또는 상기 검증선행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디스크가 직접 기록모드 상태에서 탈장 될 때 상기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상기 제어수단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판별되는 상태에 따라 기록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 수단은 상기 모드 선택 수단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을 광학적으로 엑세스하는 센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드 선택수단은 기록 여부를 나타내는 기록 여부 확인홀, 기록시 검증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검증 여부 확인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제어부가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의 상태에 따른 모드를 판별하여 해당 기록 또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 드라이버에 장착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의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버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에 장착되어 디스크 드라이버와 연동 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억세스 공간을 위한 억세스 개구부와 디스크 탈장을 위한 저면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과, 저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홀더(7)와, 모드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기록모드를 나타내는 개폐이력 확인홀(3),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이하 설명되는 상기 개폐이력 확인홀(3)을 차폐시키기 위한 스토핑 부재와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수단과 스토핑 부재의 일례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상기 홀더(7)에 회전구동하도록 설치되는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적용시킬 수도 있고, 상기 개폐이력 확인홀(3)을 차폐시키기 위한 스토핑 부재로는 스토퍼(3a)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도 1에 있어서, 확대된 원안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2) 내부 구조와 회전구동 슬라이더(9)가 상세히 나타내도록 상기 하우징(2)의 전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하우징(2)에는 디스크(1)가 수납되고 상기 디스크(1)를 엑세스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8)가 직선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2)의 측벽에는 홀더(7)가 탈장되는 경우(즉, 사용자가 디스크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구동하여 기록모드를 변환하도록 한 모드변환 단턱부(2a)가 형성된다.
홀더(7)는 사용자가 디스크(1)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홀더(7) 내측에는 도 2의 (A)와 같이 기록여부 확인홀(4) 과 검증여부 확인홀(5)에 대향되는 회전구동 슬라이더(9)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홀더(7)의 배면에는 도 2의 (B)와 같이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 돌기들(7c)이 형성된다. 도 2의 (B)에는 상기 탄성 돌기(7c)들이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다. 회전구동 슬라이더(9)는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구동 슬라이더(9)의 일 측면에는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방하는 환형홀(9e)이 형성되고, 다른 일 측면에는 상기 탄성 돌기들(7c)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삼각클릭(9c)이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날개(9a)와 단턱(9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회전구동 슬라이더(9)의 작동에 의하여 디스크 드라이버가 구동되게 된다. 이하, 디스크 드라이버의 작동을 위해 상기 회전구동 슬라이더(9)가 작동되는 상태를 구성의 설명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회전구동 슬라이더(9)의 삼각클릭(9c)과 상기 홀더(7)의 탄성 돌기들(7c)은 회전구동 슬라이더(9)의 환형홀(9e)이 기록여부 확인홀(4) 또는 검증여부 확인홀(5)에 정확하게 대향되도록 환형홀(9e)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날개(9a)는 홀더(7)가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될 때, 즉, 디스크(1)가 하우징(2)에서 분리될 때, 모드변환 단턱부(2a)에 접촉되어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케 함으로써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이 차폐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디스크(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경우, 홀더(7)는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토퍼(3a)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일정 각도로만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되어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이 번갈아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삼각클릭(7c)에는 사용자 조정홈(9d)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조정홈(9d)에 뾰족한 기구물을 끼워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이 번갈아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의 개방 또는 차폐는 회전구동 슬라이더(9)에 형성되는 환형홀(9e)에 의해 이루어진다.
개폐 이력 확인홀(3)은 개폐상태에 따라 하우징(2)으로부터 디스크(1)의 탈장여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개폐 이력 확인홀(3)에는 개폐 이력 확인홀(3)을 차폐시키는 스토퍼(3a)가 취부된다. 이 스토퍼(3a)는 하우징(2)으로부터 홀더(7)가 탈장됨과 동시에 개폐 이력 확인홀(3)로부터 분리되어 개폐 이력 확인홀(3)을 개방시키게 된다. 개폐 이력 확인홀(3)이 차폐된 상태는 하우징(2)에 수납된 디스크(1)가 한 번도 외부로 꺼내어지지 않음을 나타내고, 개방된 상태는 하우징(2)에 수납된 디스크(1)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외부로 꺼내어졌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버에 장착되어 디스크 드라이버가 구동되는 예로, 만일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클릭(9c)을 이용하여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여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폐하게 되면, 상기 카트리지는 검증선행 기록모드,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상기 카트리지에 표시되는 검증선행 기록모드,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의 상태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 검증선행 기록모드,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로 구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록금지모드는 기록 자체가 불가능한 기록모드를 의미하고 검증선행 기록모드는 검증후 기록이 가능한 기록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직접 기록모드는 검증과정 없이 기록이 가능한 기록모드를 의미한다.
만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기록금지모드일 경우,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디스크(1)의 오염 또는 손상 상태가 심하여 기록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별하게 되거나, 사용자 스스로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할 목적 등에 의해 재생 전용 디스크처럼 재생만 가능한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검증선행 기록모드일 경우,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수납된 디스크(1)의 오염 또는 손상이 경미하여 검증후 기록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직접 기록모드일 경우,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수납된 디스크(1)가 전혀 오염 또는 손상되지 않거나 오염 또는 손상되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치유하여 기록시 검증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에 의해 판별되는 상기 각각의 모드는 검증여부홀(3)과 기록여부홀(4)의 개폐여부에 따라 판별된다. 각 기록모드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기록여부 확인홀 검증여부 확인홀 개폐이력 확인홀
기록금지모드 개방 차폐 차폐
직접 기록모드 차폐 개방
기록금지모드 개방 차폐 개방
검증선행 기록모드 차폐 차폐
직접 기록모드 차폐 개방
표 1을 참조하면, 각 기록모드에 따른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의 개폐상태는 개폐이력 확인홀(3)의 개폐여부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된다. 개폐이력 확인홀(3)이 차폐된 상태는 하우징(2)에 수납된 디스크(1)가 한 번도 외부로 꺼내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개폐이력 확인홀(3)이 차폐된 상태에서는 기록금지모드와 직접 기록모드만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해당 디스크(1)를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를 도 4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크(1)가 하우징(2)으로부터 한 번도 꺼내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토퍼(3a)가 개폐이력 확인홀(3)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토퍼(3a)는 회전구동 슬라이더(9)의 회전구동을 제한하게 된다.
현재의 기록모드가 도 4의 (A)와 같은 기록금지모드라면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직접 기록모드로 변환될 수는 있게 되고, 그 역변환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에서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회전구동 슬라이더(9)가 거의 360도로 회전되어야 하는데 스토퍼(3a)가 회전구동 슬라이더(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단턱(9b)에 접촉되어 회전이 멈추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날개(9a)에 접촉되어 회전이 멈추게 되어 회전구동 슬라이더(9)의 회전구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태를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모드변환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가 하우징(2)으로부터 한 번도 탈장되지 않은 경우에, 이 디스크(1)는 오염이나 손상이 되지 않았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직접 기록모드로 기록될 수도 있고, 기록금지모드로 모드변환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를 인식하여 직접 기록모드 또는 기록금지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개폐이력 확인홀(3)이 개방된 상태는 하우징(2)에 수납된 디스크(1)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외부로 꺼내어졌음을 나타낸다. 개폐이력 확인홀(3)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기록금지모드, 직접 기록모드 및 검증선행 기록모드 모두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도 5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2)으로부터 홀더(7)가 탈장될 때 스토퍼(3a)는 개폐이력 확인홀(3)로부터 분리되어 개폐이력 확인홀(3)은 개방된다. 이 때, 도 4의 (A) 상태와 같은 기록금지모드에서는 날개(9a)와 단턱(9b) 사이의 절결면이 단턱부(2a)에 의해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구동 슬라이더(9)가 회전하지 않은채 홀더(7)를 따라 하우징(2) 외부로 꺼내어지게 된다. 즉, 수납되었던 디스크(1)가 기록금지모드였다면 이 디스크(1)를 외부로 빼내고 다시 하우징(2)에 수납하게 되면 여전히 기록금지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4의 (B)와 같은 직접 기록모드에서는 날개(9a)가 단턱부(2a)에 의해 간섭되므로 회전구동 슬라이더(9)는 도 5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환형홀(9e)이 홀더(7)를 따라 하우징(2)으로부터 외부로 꺼내어지게 된다. 즉, 직접 기록모드에서 디스크(1)를 외부로 빼내고 다시 하우징(2)에 수납하게 되면 환형홀(9e)이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을 벗어나게 되므로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된다. 이는 하우징(2)에 수납되었던 디스크(1)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외부로 노출되면 지문이나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정보 기록면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해당 디스크(1)가 하우징(2)에 다시 수납된 경우라도 자동적으로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되어 기록시에 검증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 기록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하우징(2)에 디스크(1)를 수납하고 홀더(7)를 하우징(2)에 장착하게 되면 스토퍼(3a)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개폐이력 확인홀(3)은 개방되어 있고 회전구동 슬라이더(9)는 360°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도 6에서와 같이 회전구동 슬라이더(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록금지모드, 검증선행 기록모드 직접 기록모드 중 자신이 원하는 기록모드로 모드변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검증선행 기록모드를 더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버에 구비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버에 구비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억세스 공간을 위한 억세스 개구부와 디스크 탈장을 위한 저면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과, 저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홀더(7)와, 모드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기록모드를 나타내는 개폐이력 확인홀(3),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두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이하 설명되는 상기 개폐이력 확인홀(3)을 차폐시키기 위한 스토핑 부재와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수단과 스토핑 부재의 일례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상기 홀더(7)에 직선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직선구동 슬라이더(10)를 적용시킬 수도 있고, 상기 개폐이력 확인홀(3)을 차폐시키기 위한 스토핑 부재로는 스토퍼(3a)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도 7에 있어서, 원 내는 직선구동 슬라이더(10)와 하우징(2)의 내측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도록 하우징(2)의 전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부분이다. 기록여부 확인홀(4), 검증여부 확인홀(5) 및 스토퍼(3a)가 취부되는 개폐이력 확인홀(3)은 도 1에 도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직선구동 슬라이더(10)는 홀더(7)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내삽되어 도 1에 도시된 회전구동 슬라이더(9)와 동일한 역할 즉,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방 또는 차폐하게 된다. 이 직선구동 슬라이더(10)에는 기록여부 확인홀(4) 또는 검증여부 확인홀(5)을 개방시키는 사각홀(10a)이 형성된다. 기록모드의 변환은 표 1과 같이 개폐이력 확인홀(3)의 개폐여부(즉, 디스크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장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진다.
각 기록모드에 따른 개폐이력 확인홀(3),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의 개폐상태는 도 8과 같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 개폐이력 확인홀(3),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의 개폐상태와 그에 따른 기록모드는 표 1의 내용과 정확하게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즉, 디스크(1)가 한 번도 하우징(2)으로부터 탈장되지 않게 된다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해당 디스크(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버에 의하여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1)가 적어도 한 번 이상 하우징(2)으로부터 탈장되었다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기록금지모드, 검증선행 기록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해당 디스크(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버에 의하여 기록금지모드, 검증선행 기록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하우징(2)에는 경사지게 절결된 절결면(2b)을 형성하고 직선구동 슬라이더(10)에는 절결면(2b)에 대향되게 접촉되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절곡된 돌기(10b)를 형성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홀더(7)가 하우징(2)으로부터 탈장될 때, 현재의 기록모드가 직접 기록모드라면 돌기(10b)가 절결면(2b)을 타고 좌측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기록여부 확인홀(4)과 검증여부 확인홀(5) 모두를 차폐하게 되어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된다.
이 때, 현재의 기록모드가 기록금지모드라면 돌기(10b)가 절결면(2b)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기록금지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홀더(7)가 하우징(2)으로부터 탈장될 때, 스토퍼(3a)는 제거되어 개폐이력 확인홀(3)은 개방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개폐이력 확인홀(3),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현재 로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기록모드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판별된 기록모드에 따라 기록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은 개폐이력 확인홀(3), 기록여부 확인홀(4) 및 검증여부 확인홀(5)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Switch), 홀들(3,4,5)을 광학적으로 억세스(access)하는 광센서 등 홀들(3,4,5)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처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모드 상태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버가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에 의하여 직접기록모드 또는 기록금지모드로서 디스크(1)에 정보가 기록되다가 디스크(1)가 외부로 꺼내어지게 되면, 직접 기록모드는 자동적으로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되고 기록금지모드는 현 기록모드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기능홀들의 복잡한 기능을 모르고 사용하더라도 디스크(1)를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탈장된 디스크(1)를 카트리지에 수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모드를 선택한 다음 해당 디스크(1)를 디스크 드라이버에 로드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모드로 디스크 드라이버가 작동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이나 손상되지 않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스토퍼를 개폐이력 확인홀에 취부하여 개폐구동수단(회전구동 슬라이더 또는 직선구동 슬라이더)의 구동을 제한함으로써 기록금지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로 기록모드가 선택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탈장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스토퍼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개폐구동수단의 구동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록금지모드, 검증선행 기록모드 또는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 번이상 카트리지로부터 탈장된 디스크에 대하여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자동적으로 모드변환되어 검증없이 기록되지 않도록하여 기록시 데이터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 가능하고, 상기 카트리지에 삽입된 기록 매체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작동 모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개폐 이력 확인홀과;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록 여부 확인홀과;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디스크에 수록된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먼저 수행하도록 하는 검증 여부 확인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드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기록 금지모드, 직접 기록모드 또는 검증 선행 기록모드 중 어느 일 모드로 선택되어지는 모드의 상태를 감지하여 선택된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구성되는 모드 선택수단은 상기 개폐이력 확인홀을 차폐시키기 위한 스토핑부재와;
    상기 기록여부 확인홀과 검증여부 확인홀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하우징의 일 단부에 상기 디스크가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기록 여부 확인홀과 검증 여부 확인홀을 개폐하도록 홀더 부재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 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직접 기록모드에서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기록 여부 확인홀과 검증 여부 확인홀을 개폐하도록 홀더 부재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7. 카트리지 형태의 매체를 기록/재생하도록 구동되는 디스크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수납 가능한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 번 탈장된 적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폐이력 확인홀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모드 선택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하여 디스크가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금지모드와 직접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적어도 한 번 이상 탈장된 경우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금지모드, 직접 기록모드, 검증선행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되도록 하여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읽거나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상기 디스크가 적어도 한번 이상 탈장 된 적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록금지모드 또는 상기 검증선행 기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상기 디스크가 직접 기록모드 상태에서 탈장 될 때 상기 검증선행 기록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상기 제어수단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판별되는 상태에 따라 기록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모드 선택 수단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디스크 드라이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을 광학적으로 엑세스하는 센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13. 제 12 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수단은 기록 여부를 나타내는 기록 여부 확인홀, 기록시 검증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검증 여부 확인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디스크 드라이버의 제어부가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의 상태에 따른 모드를 판별하여 해당 기록 또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KR1020050119859A 2005-12-08 2005-12-08 디스크 드라이버 KR10062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859A KR100620996B1 (ko) 2005-12-08 2005-12-08 디스크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859A KR100620996B1 (ko) 2005-12-08 2005-12-08 디스크 드라이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232A Division KR100575623B1 (ko) 1998-07-02 1998-07-13 디스크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187A KR20050122187A (ko) 2005-12-28
KR100620996B1 true KR100620996B1 (ko) 2006-09-19

Family

ID=3729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859A KR100620996B1 (ko) 2005-12-08 2005-12-08 디스크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9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187A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20359A (ja)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625821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620996B1 (ko) 디스크 드라이버
JP399164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6874157B2 (en) Disk case
KR100575623B1 (ko) 디스크카트리지
KR100362369B1 (ko) 디스크카트리지어댑터및그구동장치
JP2000260153A (ja) ディスクケース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36287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548737B1 (en) Cartridge for recording medium
JP200118906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200245383Y1 (ko) 컴팩트 디스크 케이스
JP3093808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478461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370578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装置の誤記録防止機構
KR100289526B1 (ko) 디스크카트리지
US20080019046A1 (en) Disk Cartridge
KR20060126423A (ko) 디스크 카트리지
JPH0935391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トレーと媒体自動交換装置
JPH0626723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09777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86506A (ja) 情報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276280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743902B2 (ja) デイスクカセツト
JP200217035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