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433B1 -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433B1
KR100619433B1 KR20040035820A KR20040035820A KR100619433B1 KR 100619433 B1 KR100619433 B1 KR 100619433B1 KR 20040035820 A KR20040035820 A KR 20040035820A KR 20040035820 A KR20040035820 A KR 20040035820A KR 100619433 B1 KR100619433 B1 KR 10061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hydroxylamine
weinreb amide
mmole
carboxylic acid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872A (ko
Inventor
한기종
이학영
김미수
Original Assignee
한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종 filed Critical 한기종
Priority to KR2004003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43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carboxylic acids or from esters, anhydrides, or halides thereof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2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 농약 등의 정밀화학 물질의 중간체 또는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중간체로 유용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디포스젠(diphosgene)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존재 하에서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직접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 유도체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 디포스젠(diphosgene),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

Description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Weinreb amide derivatives}
본 발명은 의, 농약등의 정밀화학 물질의 중간체 또는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중간체로 유용한 일반식 ( I )으로 표시되는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일반식 (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디포스젠(diphosgene) 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존재 하에서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직접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Figure 112004021220937-pat00001
상기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및 치환 알킬기, 또는 아릴 및 치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직접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얻는 방법으로, 전체 합성공정이 간단하고 상압, 실온 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반응시키고 또한 지금까지의 합성방법들에서 사용한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중간체의 합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부산물도 거의 생성되지 않는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 유도체의 새로운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는 Weinreb등이 1981년 Tetrahedron Letters 22권 381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아실(acyl)기 도입 시약으로 유용함을 발표한 이후 그리냐드(Grignard)시약, 또는 유기리튬(organolithium) 시약과 반응하여 부산물 생성 없이 케톤(ketone)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유용한 중간체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 예로서, Woller등은 1997년 J. Am. Chem. Soc. 119권 3824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를 아실레이션(acylation) 반응에 의해 새로운 기능기들을 도입하고 적절한 후속 반응을 거쳐 목표화합물의 구조에 접근해가는 합성 중간체로 사용하였으며, Chrisman등은 1999년 Tetrahedron Letters 40권 7889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직접 포밀레이션(formylation) 시약으로 사용하였고, George등은 2000년 J. Am. Chem. Soc. 122권 11995에 발표한 논문에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의 환원제에 대한 반응 선택성을 이용해서 알데히드(aldehyde)를 도입하는 시약으로도 사용하였다. 이렇게 여러 유용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중간체로서의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는 여러 가지 합성 방법들이 보고 되어 있다. Weinreb등은 1977년 Tetrahedron Letters 18권 4171쪽에 발표한 논문에 트란스아민화(transamination) 반응에 의해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를 합성 하였지만 그 후,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에 대한 유용성이 인식 되면서 새로운 합성 방법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아마이드(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의 유용성이 인식되기 이전인 1971년에 Barstow등은 J. Org. Chem. 36권 130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트리페닐포스핀과 CBr4를 THF 용매 내에서 리플럭스(reflux) 반응시켜 포스포니움salt를 생성시킨 후 카르복실산과 아민유도체를 반응시켜 아마이드유도체를 얻었다. 이 경우 2단계 반응으로 첫 단계가 비교적 격렬한 반응조건이고 부산물로서 할로포름과 트리페닐포스파이트(triphenylphosphite)가 함께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Weinreb amide의 유용성이 인식되면서 더 효율적인 합성법을 찾는 노력이 기울여 졌는데, Einhorn등은 앞의 Barstow등이 사용한 방법을 개선하여 1990년 Synthetic Communications 20권 8호의 110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을 나중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포스포니움salt를 생성시켜 카르복실산과 아민유도체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지만 역시 부산물이 생성되고 수율도 낮았다. Konrad Sandhoff등은 1992년 Tetrahedron 48권 28호 585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천연물 유사체 합성과정 중,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ydroxybenzotrizole)과 dicyclohexylcarbodiimide 및 ethyldiisopropylamine 존재 하에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다. Sibi등은 1995년 Synthetic Communications 25권 8호 1255쪽에서 Mukayama등이 베타락탐 합성시 사용했던 2-chloro-1-methylpyridinium iodide를 사용하여 methylene chloride용매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N,O-dimethylhydroxylamine를 7시간 정도 reflux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는데 이 경우는 부산물로서 피리돈(pyridone)이 당량 비만큼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Kessler등은 1998년 Tetrahedron Letters 39권 253쪽에서 폴리포스포릭언하이드라이드(polyphosphoric acid anhydride)와 메틸모폴린(N-methylmorpholine)존재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N,O-dimethylhydroxylamine을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Singh등은 1999년 Synthetic Communications 29권 8호 321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카르복실산을 피발로일클로라이드(pivaloyl chloride)와 반응시켜 입체 방해효과를 줄 수 있는 무수물을 제조한 후에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킴으로써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Georg등은 2000년 Organic Letters 2권 25호 4091쪽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산불화물(acid fluoride)로 전환한 후에 다시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다. Taddle등은 2001년 J. Org. Chem. 66권 2534쪽에서 2-chloro-4,6-dimethoxy-[1,3,5]triazine을 사용하여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활성화시킨 중간체를 얻은 후, 이것을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는 2단계 반응으로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알려진 카르복실산유도체로 부터 직접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들은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격렬한 조건에서 또 다른 중간체를 합성하여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먼저 카르복실산을 활성화 시킨 중간체를 합성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방법들에서는 목적하는 생성물외에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과의 분리문제가 발생되며, 다단계 반응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수율도 낮아지는 등 산업적인 이용에는 한계가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예의 주시하면서 바람직한 제조법 확립을 위해 노력을 경주해온 결과, 간결한 1단계 반응이면서 상압, 실온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직접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부산물 생성 없이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의,농약등의 정밀화학물질의 중간체 또는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중간체로 유용한 일반식 ( I )으로 표시되는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일반식 (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디포스젠(diphosgene) 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존재 하에서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직접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Figure 112004021220937-pat00002
상기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및 치환 알킬기, 또는 아릴 및 치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디포스젠과(diphosgene)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은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기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하며, 디포스젠(diphosgene)은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0.50몰배 내지 1.00몰배를 사용하고 트리페닐포스핀(tripenylphosphine)은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1.0 몰배 내지 1.2몰배를 사용한다.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은 상업화 되어 있는 HCl salt 형태로 사용하며,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1.0 내지 2.0 몰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몰배를 사용한다. N,O-dimethylhydroxyl amine HCl salt 형태를 중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메카니즘상 발생되는 HCl을 중화하기 위해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3차 아민을 사용하며, 반응온도는 0 내지 45 oC,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oC에서 반응시킨다. 반응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톨루엔등 일반적인 유기용매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반응순서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0 내지 5 oC에서 디클로로메탄에 디포스젠(diphosgene)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을 첨가하여 5분정도 교반하여 트리페닐포스핀디클로라이드(PPh3Cl2)를 형성한 후에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을 투입하고 교반하면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이 증가된 산염화물(acid chloride)형태의 중간체가 형성되며, 여기에 HCl salt 형태의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 을 투입하고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면서 교반해주면 결합전자들의 이동 및 재구성을 거쳐 목적하는 일반식 ( I )의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르복실산의 활성화 시약으로 사용한 디포스젠(diphosgene)은 Mai등이 1986년 Tetrahedron Letters 27권 20호의 2203쪽에 발표한 바와 같이 아마이드유도체로부터 니트릴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흡습제로 사용되거나, Seeger등이 1996년 J. Org. Chem. 61권 3883쪽에 발표한 바와 같이 아민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주로 사용되던 시약으로, 카르복실산을 활성화시켜 아마이드유도체를 합성하는 시약으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확인, 개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들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5mL을 넣고 얼음수조(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524 mg(2.0 mmole), 디포스젠(diphosgene) 198 mg(1.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벤조산(benzoic acid) 244 mg(2.0 mmole)과 triethylamine 809 mg(8.0 mmole)을 투입하고 20분간 교반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벤조산이 완벽하게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짧은관 실리카겔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를 310 mg 얻었다(수율 94.0%).
실시예 2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5mL을 넣고 얼음수조(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524 mg(2.0 mmole), 디포스젠(diphosgene) 198 mg(1.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디니트로벤조산(2,4-dinitrobenzoic acid) 426 mg(2.0 mmole)과 triethylamine 809 mg(8.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acid가 완벽하게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짧은관 실리카겔 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를 485 mg 얻었다(수율 95.0%).
실시예3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5mL을 넣고 얼음수조(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524 mg(2.0 mmole), 디포스젠(diphosgene) 198 mg(1.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파라톨루익에시드(p-Toluic acid) 272 mg(2.0 mmole)과 triethylamine 809 mg(8.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산이 완벽하게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짧은관 실리카겔 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를 345 mg 얻었다(수율 96.2%).
실시예4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5mL을 넣고 얼음수조(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524 mg(2.0 mmole), 디포스젠(diphosgene) 198 mg(1.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디메틸아미노벤조산(4-(dimethylamino) benzoic acid) 330 mg(2.0 mmole)과 triethylamine 809 mg(8.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산이 완벽하게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짧은관 실리카겔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400 mg 얻었다(수율 95.9%).
실시예5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5mL을 넣고 얼음수조(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524 mg(2.0 mmole), 디포스젠(diphosgene) 198 mg(1.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니코틴산(nicotinic acid) 246 mg(2.0 mmole)과 triethylamine 809 mg(8.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산이 완벽하게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짧은관 실리카겔 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를 305 mg 얻었다(수율 91.9%).
실시예 6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5mL을 넣고 얼음수조(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524 mg(2.0 mmole), 디포스젠(diphosgene) 198 mg(1.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싸이오펜아세틱에시드(2-Thiopheneacetic acid) 284 mg(2.0 mmole)과 triethylamine 809 mg(8.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산이 완벽하게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짧은관 실리카겔 필터(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335 mg 얻었다(수율 90.5%).
카르복실산유도체로부터 직접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종래의 알려진 방법들은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격렬한 조건에서 또 다른 중간체를 합성하여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먼저 카르복실산과 결합된 중간체를 합성한 후, 이 중간체를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방법들에서는 목적하는 생성물과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과의 분리문제가 발생되며, 다단계 반응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수율도 낮아지는 등 산업적인 이용에는 한계가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들이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간결한 1단계 반응이면서 상압, 실온 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직접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부산물 생성 없이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전체 합성공정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반응을 완결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새로운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 유도체의 합성 방법은 부산물도 거의 생성되지 않고 반응의 신뢰성 및 재현성이 매우 우수하여 산업화시 이전의 방법들에 비해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목적화합물의 분리, 정제 비용도 크게 절감하여 경제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1. 하기 일반식 (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디포스젠(diphosgene) 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존재 하에서 디메틸히드록실아민(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 ( I )의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 제조방법.
    Figure 112006031596879-pat00003
    상기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및 치환 알킬기, 또는 아릴 및 치환 아릴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서 디포스젠(diphosgene)을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0.5몰배 내지 1.0몰배를 사용하여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 I )의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반응온도를 0 내지 45 oC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I)의 와인랩아마이드(Weinreb amide)유도체 제조방법.
KR20040035820A 2004-05-20 2004-05-20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KR10061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820A KR100619433B1 (ko) 2004-05-20 2004-05-20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820A KR100619433B1 (ko) 2004-05-20 2004-05-20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872A KR20050110872A (ko) 2005-11-24
KR100619433B1 true KR100619433B1 (ko) 2006-09-08

Family

ID=3728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5820A KR100619433B1 (ko) 2004-05-20 2004-05-20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4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6212A1 (en) 1999-02-05 2000-08-10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 of producing substituted pyrimidine derivatives
KR20010045865A (ko) * 1999-11-09 2001-06-05 박희중 산염화물 및 그를 이용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030139630A1 (en) 2000-05-29 2003-07-24 Hanns Wurziger Method for formulating organic compounds
KR20050030753A (ko) * 2003-09-26 2005-03-31 이학영 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6212A1 (en) 1999-02-05 2000-08-10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 of producing substituted pyrimidine derivatives
KR20010045865A (ko) * 1999-11-09 2001-06-05 박희중 산염화물 및 그를 이용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030139630A1 (en) 2000-05-29 2003-07-24 Hanns Wurziger Method for formulating organic compounds
KR20050030753A (ko) * 2003-09-26 2005-03-31 이학영 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872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433B1 (ko)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CN114478424B (zh) 一种环烯基在β位取代的吖内酯衍生物的制备方法
KR100619434B1 (ko) 와인랩아마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050071800A (ko) 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0619435B1 (ko) 아마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050032135A (ko)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050030753A (ko) 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0619436B1 (ko) 디포스젠을 이용한 아마이드 제조방법
JP2835785B2 (ja) 光学活性2−(1−ヒドロキシアルキル)ベンズアルデヒド類の製法
JP4613276B2 (ja) 光学活性ピロリジン誘導体
JP3252484B2 (ja) 4,5−ジヒドロ[1,2,4]トリアゾロ[4,3−a]キノキサリ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2997763B2 (ja) 第3級アミン類の製造法
KR100593629B1 (ko) 트리포스젠을 이용한 산염화물 제조방법
KR100593643B1 (ko) 디포스젠을 이용한 산염화물 제조방법
KR100594693B1 (ko) 디포스젠을 이용한 에스테르 제조방법
JP3808931B2 (ja) 光学活性な4,5−ジフェニル−1,3−ジアルキル−2−ハロゲノイミダゾリニウム・ハロゲニド
KR100570472B1 (ko) 트리포스젠을 이용한 에스테르 제조방법
JP3576267B2 (ja) アミド誘導体の製造方法
JP4105481B2 (ja) トリ置換芳香族化合物の製造法
Dai et al. A novel synthesis of (n-arylsulfonyl)-phosphonodipeptide derivatives
JP2652248B2 (ja) アルコキシニトリル化合物の製法
JPH041736B2 (ko)
JPH0713065B2 (ja) フルフリルアルコ−ル類の製造方法
JPH0827150A (ja) スピロ(オキシラン−2,3′)キヌクリジンの製造方法
JPS61265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