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135A -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135A
KR20050032135A KR1020030068126A KR20030068126A KR20050032135A KR 20050032135 A KR20050032135 A KR 20050032135A KR 1020030068126 A KR1020030068126 A KR 1020030068126A KR 20030068126 A KR20030068126 A KR 20030068126A KR 20050032135 A KR20050032135 A KR 2005003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nreb amide
carboxylic acid
dimethylhydroxylamine
triphosgen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영
김미수
한기종
Original Assignee
이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영 filed Critical 이학영
Priority to KR102003006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2135A/ko
Publication of KR2005003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carboxylic acids or from esters, anhydrides, or halides thereof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2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9/00Compounds containing nitrogen-to-halogen bonds; Hydroxylamino compounds or ethers or esters thereof
    • C07C239/08Hydroxylamino compounds or their ethers or esters
    • C07C239/14Hydroxylamino compounds or their ethers or esters having nitrogen atoms of hydroxylamino groups further bound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 농약 등의 정밀화학 물질의 중간체 또는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중간체로 유용한 Weinreb amide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triphosgene 및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직접 Weinreb amide 유도체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Description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Weinreb amide derivatives}
본 발명은 의, 농약등의 정밀화학 물질의 중간체 또는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중간체로 유용한 일반식 ( I )으로 표시되는 Weinreb amide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일반식 (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triphosgene 존재 하에서 N,O-dimethylhydroxylamine와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Weinreb amide유도체를 직접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및 치환 알킬기, 또는 아릴 및 치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직접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는 방법으로, 전체 합성공정이 간단하고 상압, 실온 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반응시키고 또한 지금까지의 합성방법들에서 사용한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중간체의 합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부산물도 거의 생성되지 않는 Weinreb amide 유도체의 새로운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Weinreb amide는 Weinreb등이 1981년 Tetrahedron Letters 22권 381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acyl기 도입 시약으로 유용함을 발표한 이후 Grignard시약, 또는 organolithium 시약과 반응하여 부산물 생성 없이 ketone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유용한 중간체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 예로서, Woller등은 1997년 J. Am. Chem. Soc. 119권 3824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Weinreb amide를 acylation 반응에 의해 새로운 기능기들을 도입하고 적절한 후속 반응을 거쳐 목표화합물의 구조에 접근해가는 합성 중간체로 사용하였으며, Chrisman등은 1999년 Tetrahedron Letters 40권 7889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Weinreb amide유도체를 직접 formylation 시약으로 사용하였고, George등은 2000년 J. Am. Chem. Soc. 122권 11995에 발표한 논문에서 Weinreb amide의 환원제에 대한 반응 선택성을 이용해서 aldehyde를 도입하는 시약으로도 사용하였다. 이렇게 여러 유용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중간체로서의 Weinreb amide유도체는 여러 가지 합성 방법들이 보고 되어 있다. Weinreb등은 1977년 Tetrahedron Letters 18권 4171쪽에 발표한 논문에 transamination 반응에 의해서 Weinreb amide를 합성 하였지만 그 후, Weinreb amide에 대한 유용성이 인식 되면서 새로운 합성 방법들이 만이 발표되었다.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Weinreb amide의 유용성이 인식되기 이전인 1971년에 Barstow등은 J. Org. Chem. 36권 130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트리페닐포스핀과 CBr4를 THF 용매 내에서 reflux 반응시켜 phosphonium salt를 생성시킨 후 카르복실산과 아민유도체를 반응시켜 amide유도체를 얻었다. 이 경우 2단계 반응으로 첫 단계가 비교적 격렬한 반응조건이고 부산물로서 할로포름과 triphenylphosphite가 함께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Weinreb amide의 유용성이 인식되면서 더 효율적인 합성법을 찾는 노력이 기울여 졌는데, Einhorn등은 앞의 Barstow등이 사용한 방법을 개선하여 1990년 Synthetic Communications 20권 8호의 110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을 나중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phosphonium salt를 생성시켜 카르복실산과 아민유도체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지만 역시 부산물이 생성되고 수율도 낮았다. Konrad Sandhoff등은 1992년 Tetrahedron 48권 28호 585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천연물 유사체 합성과정 중,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hydroxybenzotrizole과 dicyclohexylcarbodiimide 및 ethyldiisopropylamine 존재 하에 N,O-dimethylhydroxylamine와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다. Sibi등은 1995년 Synthetic Communications 25권 8호 1255쪽에서 Mukayama등이 베타락탐 합성시 사용했던 2-chloro-1-methylpyridinium iodide를 사용하여 methylene chloride용매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N,O-dimethylhydroxylamine를 7시간 정도 reflux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는데 이 경우는 부산물로서 pyridone이 당량 비만큼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Kessler등은 1998년 Tetrahedron Letters 39권 253쪽에서 polyphosphoric acid anhydride와 N-methylmorpholine존재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N,O-dimethylhydroxylamine을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Singh등은 1999년 Synthetic Communications 29권 8호 3215쪽에 발표한 논문에서 카르복실산을 pivaloyl chloride와 반응시켜 입체 방해효과를 줄 수 있는 무수물을 제조한 후에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킴으로써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Georg등은 2000년 Organic Letters 2권 25호 4091쪽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acid fluoride로 전환한 후에 다시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었다. Taddle등은 2001년 J. Org. Chem. 66권 2534쪽에서 2-chloro-4,6-dimethoxy-[1,3,5]triazine을 사용하여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활성화시킨 중간체를 얻은 후, 이것을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는 2단계 반응으로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알려진 카르복실산유도체로 부터 직접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들은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격렬한 조건에서 또 다른 중간체를 합성하여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먼저 카르복실산을 활성화 시킨 중간체를 합성한 후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방법들에서는 목적하는 생성물외에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과의 분리문제가 발생되며, 다단계 반응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수율도 낮아지는 등 산업적인 이용에는 한계가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예의 주시하면서 바람직한 제조법 확립을 위해 노력을 경주해온 결과, 간결한 1단계 반응이면서 상압, 실온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직접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부산물 생성 없이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의,농약등의 정밀화학물질의 중간체 또는 천연물질의 전합성 과정에서 중간체로 유용한 일반식 ( I )으로 표시되는 Weinreb amide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일반식 (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triphosgene 존재 하에서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Weinreb amide유도체를 직접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및 치환 알킬기, 또는 아릴 및 치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정 반응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triphosgene은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기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0.33몰배 내지 1.00몰배, 바람직하게는 0.33몰배 내지 0.50몰배를 사용한다. N,O-dimethylhydroxylamine은 상업화 되어 있는 HCl salt 형태로 사용하며 ,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1.0 내지 2.0 몰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몰배를 사용한다. N,O-dimethylhydroxylamine HCl salt 형태를 중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메카니즘상 발생되는 HCl을 중화하기 위해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3차 아민을 사용하며, 반응온도는 0 내지 45 oC,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oC에서 반응시킨다. 반응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톨루엔등 일반적인 유기용매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앞에서 제시한 반응메카니즘을 기본으로 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반응순서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0 내지 5 oC에서 디클로로메탄에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triphosgene을 투입하고 교반하면 메카니즘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이 증가된 혼합무수물 형태의 중간체가 형성되며, 여기에 HCl salt 형태의N,O-dimethylhydroxylamine 과 트리에틸아민을 투입하고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면서 교반해주면 앞의 메카니즘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결합전자들의 이동 및 재구성을 거쳐 목적하는 일반식 ( I )의 Weinreb amide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르복실산의 활성화 시약으로 사용한 triphosgene은 Burk등이 1993년 Tetrahedron Letters 34권 3호의 395쪽에 발표한 바와 같이 1,3-cyclic diol로부터 cyclic carbonate합성 시약으로 사용 하거나, Runqiu등이 2000년 J. Organometallic Chem. 604권 287쪽에서 발표한 바와 ferrocene carboxylic acid로부터 ferrocenoyl chloride를 제조 하는 시약으로 사용되었고, 2003년에 Alkhathlan이 Tetrahedron 59권 8163쪽에 발표한 바와 같이 2-hydroxyacetophenone hydrazone으로부터 benzoxazinone유도체를 합성 시 탈수반응 및 고리화 반응에 주로 사용되던 시약으로, 카르복실산을 활성화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시약으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확인, 개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들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Benzoic acid 244 mg(2.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5mL, triphosgene 297 mg(1.0 mmloe)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다.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 및 트리에틸아민 809 mg(8.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benzoic acid가 완벽하게 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short path 실리카겔 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320 mg 얻었다(수율 97%).
실시예 2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p-toluic acid 272 mg(2.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5mL, triphosgene 297 mg(1.0 mmloe)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다.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 및 트리에틸아민 809 mg(8.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p-toluic acid가 완벽하게 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short path 실리카겔 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337 mg 얻었다(수율 94%)
실시예3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2,4-dinitrobenzoic acid 426 mg(2.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5mL, triphosgene 297 mg(1.0 mmloe)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다.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 및 트리에틸아민 809 mg(8.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2,4-dinitrobenzoic acid가 완벽하게 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short path 실리카겔 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485 mg 얻었다(수율 95%).
실시예4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nicotinicic acid 246 mg(2.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5mL, triphosgene 297 mg(1.0 mmloe)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다.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 및 트리에틸아민 809 mg(8.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nicotinicic acid가 완벽하게 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short path 실리카겔 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312 mg 얻었다(수율 94%).
실시예5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4-(dimethylamino)benzoic acid 330 mg(2.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5mL, triphosgene 297 mg(1.0 mmloe)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다.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 및 트리에틸아민 809 mg(8.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4-(dimethylamino)benzoic acid가 완벽하게 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short path 실리카겔 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392 mg 얻었다(수율 94%).
실시예 6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2-thiopheneacetic acid 284 mg(2.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5mL, triphosgene 297 mg(1.0 mmloe)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다. N,O-dimeth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195 mg(2.0 mmole) 및 트리에틸아민 809 mg(8.0 mmole)을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시키며 교반, 반응시키면 약 1시간 후 TLC로 2-thiopheneacetic acid가 완벽하게 Weinreb amide유도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체로 생성된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short path 실리카겔 filter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Weinreb amide를 359 mg 얻었다(수율 97%).
카르복실산유도체로부터 직접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는 종래의 알려진 방법들은 반응성이 떨어지는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격렬한 조건에서 또 다른 중간체를 합성하여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먼저 카르복실산과 결합된 중간체를 합성한 후, 이 중간체를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방법들에서는 목적하는 생성물과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과의 분리문제가 발생되며, 다단계 반응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수율도 낮아지는 등 산업적인 이용에는 한계가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들이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간결한 1단계 반응이면서 상압, 실온 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직접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켜 부산물 생성 없이 Weinreb amide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전체 합성공정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반응을 완결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새로운 Weinreb amide 유도체의 합성 방법은 부산물도 거의 생성되지 않고 반응의 신뢰성 및 재현성이 매우 우수하여 산업화시 이전의 방법들에 비해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목적화합물의 분리, 정제 비용도 크게 절감하여 경제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1. 하기 일반식 (II)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유도체를 triphosgene 존재 하에서 N,O-dimethylhydroxylamine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 ( I )의 Weinreb amide유도체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및 치환 알킬기, 또는 아릴 및 치환 아릴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서 triphosgene을 일반식 ( II )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대비 0.33몰배 내지 1.00몰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 I )의 Weinreb amide유도체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반응온도를 0 내지 45 oC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I)의 Weinreb amide유도체 제조방법.
KR1020030068126A 2003-10-01 2003-10-01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050032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26A KR20050032135A (ko) 2003-10-01 2003-10-01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26A KR20050032135A (ko) 2003-10-01 2003-10-01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135A true KR20050032135A (ko) 2005-04-07

Family

ID=3723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126A KR20050032135A (ko) 2003-10-01 2003-10-01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34B1 (ko) * 2004-05-27 2006-09-08 한기종 와인랩아마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34B1 (ko) * 2004-05-27 2006-09-08 한기종 와인랩아마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1800A (ko) 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050032135A (ko) 와인랩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0619434B1 (ko) 와인랩아마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0619435B1 (ko) 아마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0619433B1 (ko) 와인랩아마이드의 제조방법
KR20050030753A (ko) 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JP2867847B2 (ja) 5−メチレン−1,3−ジオキソラン−4−オン類の製造方法
JP4667589B2 (ja) 2,4−ジヒドロキシピリジンの製造方法
KR100619436B1 (ko) 디포스젠을 이용한 아마이드 제조방법
KR100527624B1 (ko) 질소에 포밀기를 갖는 아민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JP2659587B2 (ja) 4―アジリジニル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KR100593629B1 (ko) 트리포스젠을 이용한 산염화물 제조방법
JPH11255759A (ja) 光学活住β−ラクトン類の製造方法
JP2579547B2 (ja) アルコキシカルボニル化合物の製法
KR100570472B1 (ko) 트리포스젠을 이용한 에스테르 제조방법
KR100594693B1 (ko) 디포스젠을 이용한 에스테르 제조방법
RU225433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2-диметил-4-алкокси-5,5-диметил-1,3,2-оксазасилолов
KR100593643B1 (ko) 디포스젠을 이용한 산염화물 제조방법
JP3012933B1 (ja) ジチアナフタレノファン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
KR100927242B1 (ko) 알릴알렌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0619440B1 (ko) 포름아마이드 유도체 제조방법
JPH0376313B2 (ko)
JPH11199563A (ja) 光学活性ピペリジン類の製造方法
JPH05255297A (ja) 新規なΔ▲α,β▼−ブテノリド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6572A (ko) 하이드록사메이트 제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