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250B1 -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250B1
KR100617250B1 KR1020030026996A KR20030026996A KR100617250B1 KR 100617250 B1 KR100617250 B1 KR 100617250B1 KR 1020030026996 A KR1020030026996 A KR 1020030026996A KR 20030026996 A KR20030026996 A KR 20030026996A KR 100617250 B1 KR100617250 B1 KR 10061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edge
fastening
plate
civil engin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963A (ko
Inventor
박종원
황인규
Original Assignee
박종원
황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원, 황인규 filed Critical 박종원
Priority to KR102003002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250B1/ko
Priority to RU2005135277/11A priority patent/RU2362917C2/ru
Priority to PCT/KR2004/000984 priority patent/WO2004097228A1/en
Priority to JP2006507827A priority patent/JP2006525480A/ja
Priority to CNB2004800114100A priority patent/CN100419281C/zh
Priority to EP04730365A priority patent/EP1623124A4/en
Publication of KR2004009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963A/ko
Priority to US11/262,293 priority patent/US200601153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4Clamping connections other than bolting or 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9Adjustable connections, e.g. using elongated slots or threaded adjustm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62Angularly adjustable connections without hing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40Clamping arrangements where clamping parts are received in recesses of elements to be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재에 의도적인 가공을 요하지 않고도 강재 두께의 칫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접합되는 강재간 발생되는 단차나 상호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등 실제 시공상의 오차도 흡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합된 강재는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보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강재 접합장치의 제작이 용이하여 낮은 코스트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강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된 체결부(210)를 갖는 체결케이스(200)와; 상기 체결부(210)에 삽입되어 체결부(210)의 내면(212)에 밀착되는 한 쌍의 소켓(300)과; 상기 체결부(210)에 삽입된 한 쌍의 소켓(300)과 강재(100)의 양면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일체형 또는 분할형의 쐐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강재, 빔, 접합, 쐐기, 소켓, 분할, 간격

Description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STEEL BEAM COUPLING DEVICE}
도 1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원리와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강재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를 사용하여 H-빔을 맞대기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체결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소켓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쐐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강재 접합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에 의해 결합된 강재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결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결합상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춤(높이)이 다른 강재 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강재 110 : 스터드
200 : 체결케이스 210 : 체결부
212 : 내면 214 : 개방부
300 : 소켓 310 : 외측면
320 : 내측면 322 : 제 1 경사면
324 : 제 2 경사면 400 : 쐐기(일체형)
400a,400b : 쐐기(가로분할형)
400c : 스프링 400d,400e : 쐐기(세로분할형)
400f : 간격조절구 410 : 외측면
412 : 제 1 경사면 414 : 제 2 경사면
420 : 내측면 422 : 홈
본 발명은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이하 “강재”로 약칭함)에 의도적인 가공을 요하지 않고도 강재 두께의 치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접합되는 강재 간 발생되는 단차나 상호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등 실제 시공상의 오차도 흡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합된 강재는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보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의 제작이 용이하여 낮은 코스트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가 삽입되는 개방부의 폭보다 내측 중심폭이 더 크게 된 원형채널의 체결부를 갖는 체결케이스와; 상기 원형채널의 체결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의 내면에 접하는 외측면이 상기 내면과 같은 원호면으로 된 한 쌍의 소켓; 및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한 쌍의 소켓과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의 양면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강재 예를 들면, 철골조 구조물의 기둥과 기둥의 이음, 기둥과 보의 접합, 보와 보의 이음 및 브레이스 접합을 위한 방법은 공지의 볼트체결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체결하고자 하는 강재의 연결부에 다수의 볼트구멍을 천공하고 이 결합부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볼트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구멍을 천공시킨 연결판 또는 브라켓을 대고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볼트체결방법은 강재의 체결부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천공하여야 했었으므로 볼트구멍에 의한 모재의 단면결손, 응력집중 및 에너지흡수능력의 저하를 피할 수 없었으며, 위험한 환경하에서 볼트체결을 위한 작업공수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의 볼트체결방식은 볼트의 지름이 볼트구멍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좌우로의 힘 즉, 압축력과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강재 사이에 밀림현상이 발생하여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볼트에 큰 축력을 도입하여 접합면의 마찰력이 하중을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밀림현상과 응력집중현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 고장력볼트를 이용한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강재의 체결장치로 PCT/KR01/00572호를 제안한 바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10)가 삽입되는 체결부를 갖는 체결케이스(20)와; 상기 강재(10)가 삽입된 체결부의 나머지 공간에 삽입되는 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 쐐기(30)는 체결케이스 (20)와 접촉되는 면의 마찰계수보다 강재와 접촉되는 면의 마찰계수가 크도록 한 것으로, 강재(10)에 외력이 작용하면, 쐐기(30)의 사면과 체결케이스(20)사이의 마찰계수와 쐐기의 저면과 강재(10)사이의 마찰계수 차이로 인해 외력이 증가할수록 쐐기(30)가 강재(10)에 가하는 수직력이 증가하게 되어 쐐기(30)가 강재(10)와 체결케이스(20)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어 체결케이스가 파괴되지 않는 한 강재(10)가 체결케이스(2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된 것이었다.
PCT/KR01/00572호의 체결장치는 접합을 요하는 강재에 결합을 위한 볼트구멍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체결공에 의한 모재의 단면결손, 응력집중, 에너지흡수능력저하를 피할 수 있고, 마찰접합에서의 볼트, 볼트구멍형성, 연결판 또는 브라켓 등의 첨판에 소요되는 원가에 비해 상당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고, 많은 수의 볼트체결이 필요 없으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고소에서의 작업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도 줄일 수 있는 유용성을 갖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그 첫째로는 강재와 쐐기가 삽입되는 체결케이스의 체결부를 강재의 두께와 쐐기의 칫수에 맞게 정확한 칫수로 가공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것과, 실제로 정확한 칫수로 이루어진 체결케이스에 강재를 삽입시키고 쐐기를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생각보다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로는 현재 생산되고 있는 강재인 H-빔은 그 플랜지부의 두께에 있어서 칫수의 허용오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강재 접합장치가 이 허용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야 시공성과 안전성을 갖게 되나 체결케이스에 형성되는 체결부와 쐐기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있어서는 이 오차를 흡수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셋째로는 강재의 접합시 상호 접합되는 강재사이에 단차가 있거나 일직선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적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재에 의도적인 가공을 요하지 않고도 강재의 칫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접합되는 강재간 발생되는 단차나 상호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등 실제 시공상의 오차도 흡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합된 강재는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보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강재 접합장 치의 제작이 용이하여 낮은 코스트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강재 접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된 체결부를 갖는 체결케이스와;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체결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소켓과;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한 쌍의 소켓과 강재의 양면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재 접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재 접합장치에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 중심폭은 강재의 삽입을 위한 개방부의 폭보다 큰 원형의 채널로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강재 접합장치에서 쐐기에 접하는 2개의 사면을 정확하게 가공하는 구조에 비하여 체결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체결부에 삽입되는 소켓은 체결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외측면과 쐐기에 밀착되는 내측면을 갖되, 이 내측면은 그 중심으로부터 각각 내외측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진 제 1 및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쐐기는 상기 소켓의 제 1 및 제 2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외측면과 강재에 밀착되는 내측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쐐기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의 경계부에서 내외측으로 즉, 가로방향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쐐기 사이에 쐐기를 벌려주기 위한 스프링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쐐기가 세로방향으로 분할되어지되, 분할된 좌우측 쐐기의 외측면은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내측면도 상기 쐐기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좌우측보다 중심부가 더 깊은 경사면을 이루며, 세로방향으로 분할된 쐐기 사이에는 쐐기를 벌려주기 위한 간격조절구를 더 구비하여 체결후 외부에서 간격조절구를 조절하여 분할된 쐐기사이의 간격을 벌려 줌으로써 보다 견고한 쐐기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강재 접합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재와 쐐기사이의 결합상태가 보다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체결부에 삽입된 강재의 표면에는 스터드를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쐐기의 내측면에는 이 스터드가 결합되는 홈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강재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를 사용하여 철골조 건물의 보를 이루는 H-빔을 맞대기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재 접합장치는 강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된 체결부(210)를 갖는 체결케이스(200)와; 상기 체결부(210)에 삽입되어 체결부(210)의 내면(212)에 밀착되는 한 쌍의 소켓(300)과; 상기 체결부(210)에 삽입된 한 쌍의 소켓(300)과 강재(100)의 양면 사 이에 각각 삽입되는 쐐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강재(100)는 철골조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로 사용되는 각종 강재 빔 또는 교량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 및 기타 비철금속이나 FRP 부재 등을 의미하며, 이들 강재의 소재 및 크기나 형태에는 제한이 없고, 이 강재는 본 발명의 강재 접합장치에 의해 맞대기(직선형) 접합이나 직각 접합 등이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강재를 상호 맞대기 접합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재 접합장치를 이루는 체결케이스(200)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체결부(2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체결부(210)의 내측 중심폭(D)은 강재의 삽입을 위한 개방부(214)의 폭(d)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케이스(200)의 폭은 접합하고자 하는 강재의 폭, 예를 들면 H-빔의 플랜지 폭에 맞는 칫수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체결부(210)는 그 양측이 소켓과 쐐기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일 외측으로는 강재(100)의 삽입을 위한 개방부(214)가 형성된 원형의 채널(골)을 이룬다.
상기 체결케이스(200)에 형성되는 체결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를 직선형으로 접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 체결부(210)를 좌우에 대칭되게 형성하고, 직각 접합의 경우에는 체결부(210)를 상호 직각이 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체결부(210)의 갯수와 위치는 강재간의 결합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체결케이스(200)의 외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단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4각 또는 이 이상이 다각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타원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 접합장치의 구성요소인 소켓의 사시도로서, 이 소켓 (300)은 강재(100)와 쐐기(400)를 밀착시키기 위한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데, 그 형태는 상기 체결케이스(200)의 원형 체결부(210)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외측면(310)과, 쐐기(400)에 밀착되는 내측면(320)을 갖고 있으며, 이 내측면(320)은 그 중심으로부터 각각 내외측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진 제 1 및 제 2 경사면(322,324)으로 이루어져 쐐기(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소켓(300)은 강재(100)의 두께나 오차에 따라 그 칫수를 다양하게 제작함으로써 강재의 두께에 적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쐐기(400)에 접하는 내측면(320)은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해 연삭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소켓(300)은 쐐기(400)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하여 제작시 칫수오차가 발생할 경우 더 밀어 넣거나 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소켓 (300)의 내측면(320) 폭과 두께는 내측으로 갈 수록 외측의 칫수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쐐기(4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소켓(300)의 내측면(320)을 이루는 제 1 및 제 2경사면(322,324)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경사면(412,414)으로 이루어진 외측면(410)과, 강재(100)에 밀착되는 내 측면(4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쐐기(400)의 외측면(410)은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연삭가공하고, 강재(100)에 밀착되는 내측면(420)은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찰계수를 높일 수 있도록 거친 표면형태나 사각뿔 형태의 마찰돌기를 다수개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강재 접합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에 의해 결합된 강재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케이스(200)의 체결부(210)에 삽입된 강재(100)의 표면에는 스터드(110)가 용접되어 있고, 이 강재(100)에 밀착되는 쐐기(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터드(110)가 끼워지는 홈(422)이 형성된 것이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재(100)와 쐐기(400)사이의 밀착이 충분치 않아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경우에 스터드(110)가 홈(422)에 끼워져 있으므로 표면마찰에 의한 결합방식에 추가하여 스터드와 홈의 요철결합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보다 나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에 의해 결합된 강재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체결케이스(200)의 체결부(210)에 삽입된 강재(100)는 체결부(210)의 내부에서 체결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해서 회전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져 접합되는 부재(100)가 정확하게 일직선을 이루지 않는 시공상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결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케이스(200)와 소켓(300)은 상기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다만 강재(100)의 상하부 중의 어느 일측의 쐐기(400)가 절반씩 분할된 형태를 이루고 있는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쐐기(400)는 제 1경사면(412)과 제 2경사면(414)의 경계부에서 강재(100)의 삽입방향, 즉 강재(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내외측으로(가로방향)으로 수직으로 분할된 한 쌍의 쐐기(400a,400b)로 이루어져 있고, 분할된 쐐기(400a,400b)사이에는 쐐기 (400a,400b)를 벌려주기 위한 스프링(400c)이 더 구비되어 체결케이스(200)의 체결부(210)에서 분리된 쐐기(400a,400b)사이가 스프링(400c)에 의해 벌어지면서 쐐기(400a,400b)와 강재(1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강재 접합장치의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케이스(200)는 상기 첫번째 내지 세번째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쐐기(400)와 소켓(300)만이 다른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쐐기(400)는 상기 세번째 실시예에서와 달리 강재(100)의 삽입방향, 즉 강재(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쐐기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내외측으로) 절반씩 분할된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분할된 좌우측 쐐기(400d,400e)의 외측면(4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며, 상기 소켓(300)의 내측면(3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400)의 외측면(410)에 대응되도록 좌우측보다 중심부가 더 깊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분할된 쐐기 (400d,400e)사이에는 나사식의 간격조절구(400f)가 더 구비되어 이 간격조절구 (400f)를 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해 분할된 쐐기(400d,400e)의 간격을 벌려주거나 좁혀줌으로써 쐐기(400)가 강재(100)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장치를 사용하여 춤(높이)이 다른 강재 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강재 접합장치는 실제 시공시 접합되는 강재(100,100a)간 단차가 발생된 경우 또는 접합되는 강재의 두께칫수가 다른 경우에도 소켓(300)의 삽입정도나 규격이 다른 소켓의 선택적입 삽입에 의해 어느 정도의 흡수력을 갖고 있으며, 또한, 강재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더라도 상호간의 접합이 가능하여 실제 현장에서 우수한 시공성을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부를 갖는 체결케이스의 내부에 쐐기 를 삽입하고 강재를 끼운 후 소켓을 삽입하거나 쐐기를 벌려주어 강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강재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에 의해 강재의 두께오차 또는 단차를 흡수할 수 있어 실제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우수하고, 소켓을 압입하는 힘에 의해 쐐기가 강재에 밀착되기 때문에 쐐기작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스터드와 홈을 이용한 방식에 있어서는 쐐기와 강재가 밀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스터드에 의해 쐐기작용이 발휘되어 시공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분할형 쐐기를 적용한 방식에 있어서는 두께오차를 갖고 있는 강재의 접합에 있어서 오차흡수능력이 우수하여 높은 시공성을 가짐은 물론 스프링의 탄성과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쐐기가 강재에 밀착되므로 쐐기작용에 대한 안전성도 우수하며, 강재의 접합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어서 기존의 볼트체결방식이나 단순한 쐐기만을 사용하는 접합방식에 비하여 높은 시공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삭제
  2.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가 삽입되는 개방부(214)의 폭(d)보다 내측 중심폭(D)이 더 크게 된 원형채널 형태의 체결부(210)를 갖는 체결케이스(200);
    상기 체결케이스의 체결부(210) 내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의 내면(212)에 접하는 외측면(310)이 상기 내면과 동일한 원호면으로 된 한 쌍의 소켓(300); 및
    상기 체결케이스의 체결부 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소켓과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간의 쐐기결합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소켓과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의 양면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쐐기(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300)은 체결부(210)의 내면(212)에 밀착되는 외측면(310)과 쐐기(400)에 밀착되는 내측면(320)을 갖되,
    이 내측면(320)은 그 중심으로부터 각각 내·외측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진 제1 및 제2 경사면(322,3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쐐기(400)는 소켓(300)의 제1 및 제2 경사면(322,324)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경사면(412,414)으로 이루어진 외측면(410)과,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에 밀착되는 내측면(4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쐐기(400)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10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할된 한 쌍의 쐐기(400d,400e)로 이루어지되, 분할된 좌·우측 쐐기의 외측면(410)은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고, 상기 소켓(300)의 내측면(320)은 상기 쐐기(400)의 외측면(410)에 대응되도록 좌·우측보다 중심부가 더 깊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쐐기(400d,400e) 사이에는 나사식 간격조절구(400f)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쐐기(400)의 내측면(420)에는 홈(422)이 형성되고, 상기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100)의 표면에는 상기 홈(422)에 끼워지는 스터드(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KR1020030026996A 2003-04-29 2003-04-29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KR10061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996A KR100617250B1 (ko) 2003-04-29 2003-04-29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RU2005135277/11A RU2362917C2 (ru) 2003-04-29 2004-04-29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льных балок
PCT/KR2004/000984 WO2004097228A1 (en) 2003-04-29 2004-04-29 Steel beam coupling device
JP2006507827A JP2006525480A (ja) 2003-04-29 2004-04-29 鋼材接合装置
CNB2004800114100A CN100419281C (zh) 2003-04-29 2004-04-29 钢梁连接装置
EP04730365A EP1623124A4 (en) 2003-04-29 2004-04-29 STEEL BEAMS AND POWER DEVICE
US11/262,293 US20060115322A1 (en) 2003-04-29 2005-10-28 Steel beam coup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996A KR100617250B1 (ko) 2003-04-29 2003-04-29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963A KR20040095963A (ko) 2004-11-16
KR100617250B1 true KR100617250B1 (ko) 2006-08-29

Family

ID=3656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996A KR100617250B1 (ko) 2003-04-29 2003-04-29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15322A1 (ko)
EP (1) EP1623124A4 (ko)
JP (1) JP2006525480A (ko)
KR (1) KR100617250B1 (ko)
CN (1) CN100419281C (ko)
RU (1) RU2362917C2 (ko)
WO (1) WO2004097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1370B1 (fr) * 2007-01-17 2012-10-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ontage d'un cache style
ITMI20101135A1 (it) * 2010-06-23 2011-12-24 C S R S R L Struttura di giunzione per lamiere
CN102995752B (zh) * 2011-09-16 2015-06-24 沈阳远大铝业工程有限公司 一种钢结构杆件联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20A (en) * 1890-03-04 Shaft-coupling
US85465A (en) * 1868-12-29 William s
US3243153A (en) * 1964-08-28 1966-03-29 John V Kelly Adjustable clamp
US3685866A (en) * 1970-04-15 1972-08-22 Wilfrid J Patenaude Connector for structural steel
JPS5151539Y2 (ko) * 1971-09-06 1976-12-10
FR2171601A5 (ko) * 1972-02-08 1973-09-21 Breteche Serge
DE2642227C2 (de) * 1976-09-20 1978-10-26 Felix Wien Puschkarski Klemmelement
CH675280A5 (ko) * 1988-03-21 1990-09-14 Asea Brown Boveri
US5061111A (en) * 1991-01-02 1991-10-29 Kiyoshi Hosokawa Metal connector for wooden building and jointing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using the same
CN2170401Y (zh) * 1993-08-29 1994-06-29 马云辉 一种卡压固定条形夹具
CN2275172Y (zh) * 1994-12-30 1998-02-25 波丹公司 鱼尾板连接装置
SI9600083A (en) * 1996-03-11 1997-10-31 Brezavscek Vladimir Dipl Ing Element for a detachable angular connection of two plates
KR20000058544A (ko) * 2000-06-13 2000-10-05 박종원 쐐기를 이용한 철재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KR100375655B1 (ko) * 2001-02-14 2003-03-19 김용근 철근 연결구
US6695524B2 (en) * 2001-11-19 2004-02-24 Robert James Monson Mount locking plate
US20030231925A1 (en) * 2002-06-13 2003-12-18 Ching-Cheng Chen Visual inspection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62917C2 (ru) 2009-07-27
EP1623124A1 (en) 2006-02-08
CN100419281C (zh) 2008-09-17
CN1780990A (zh) 2006-05-31
WO2004097228A1 (en) 2004-11-11
KR20040095963A (ko) 2004-11-16
US20060115322A1 (en) 2006-06-01
RU2005135277A (ru) 2006-06-27
EP1623124A4 (en) 2007-05-23
JP2006525480A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24270A (ja) ガセットプレートを用いた構造物の接合構造および建築物
TW201608087A (zh) 柱與樑間之接合構造及方法
JP3995042B2 (ja) 締結装置
JP4710067B2 (ja) 柱梁接合構造
JP4644386B2 (ja) 柱・梁接合構造
KR10071645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보강 구조
KR20090050778A (ko)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KR100617250B1 (ko)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JP4683571B2 (ja) 鉄骨造露出型柱脚構造
JP2010084503A (ja) 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3209111U (ja)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KR101193796B1 (ko) 기둥과 보 골조 내진보강공법
JP2005264516A (ja) 鋼製柱と鋼製梁のボルト接合構造。
JPH08284250A (ja) 木部材の柱と鉄骨梁の接合部
KR102321284B1 (ko) 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
KR200294215Y1 (ko) 리브와 도그본 및 부분용접을 이용한 철골용보-기둥접합장치
KR100627233B1 (ko)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JP4639012B2 (ja) 箱形断面柱とh形断面梁の高力ボルト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307939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KR102426247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CN211646757U (zh) 一种用于连接梁与柱的螺栓连接器
JP7126386B2 (ja) 柱梁接合構造
JP2019157518A (ja) 梯子型耐力壁架構
JP2000008480A (ja) 鉄骨構造物の接合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ダイアフラム体
JP4081406B2 (ja) 鉄骨造露出型柱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