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233B1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Google Patents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7233B1 KR100627233B1 KR1020040111833A KR20040111833A KR100627233B1 KR 100627233 B1 KR100627233 B1 KR 100627233B1 KR 1020040111833 A KR1020040111833 A KR 1020040111833A KR 20040111833 A KR20040111833 A KR 20040111833A KR 100627233 B1 KR100627233 B1 KR 100627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tructure
- stiffener
- joining member
- angl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부재를 연결하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로서, 복수개의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서로 다른 두 면에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접합되고 1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티프너를 포함한다. 이 접합부재는 철골구조물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킨다.
Description
도 1은 볼트를 이용한 종래 철골구조물의 접합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종래 헌치형 스티프너를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접합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종래 헌치형 스티프너가 이용된 철골구조물의 국부 좌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접합부재가 철골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철골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따른 접합부재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접합부재가 사용된 철골구조물의 접합부에 대한 하중-변형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접합부재 110 : 접합부
112 : 체결공
120 : 스티프너 122 : 홈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에 사용되는 접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구조물의 연결부분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부재를 연결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주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구조 건물에서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볼트 또는 용접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접합부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내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현장용접이 많은 경우 용접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공기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접합부는 용접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품질관리를 철저하게 하더라도 대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지진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은 기둥과 보의 소성변형에 의존하므로 기둥과 보가 손상을 입어 지진발생 후 건물의 복구가 어려우며, 건물을 해체하는 경우 용접부의 해체가 힘들어 부재의 재사용이 어렵다.
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를 볼트로 접합하는 경우에는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지진 등과 같은 수평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 볼트접합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의 취성파단이 조기에 발생한다. 때문에, 볼트접합은 내진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볼트접합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볼트접합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헌치형의 스티프너를 설치한다. 이 경우 스티프너가 설치된 부분의 내력은 증가되어 볼트의 취성파단 등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스티프너가 너무 강하여 지진 등의 외력이 발생하면 스티프너에서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고 그 에너지를 기둥 및 보에 그대로 전달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프너가 끝나는 부분에서 국부좌굴 혹은 취성파단이 발생한다. 때문에 종래에는 기둥 및 보 부재의 재사용과 복구가 매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이하게 접합부에 결합되면서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주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부재를 연결하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로서, 복수개의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 를 갖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서로 다른 두 면에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접합되고 1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접합부재가 철골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철골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따른 접합부재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합부재(100)는 앵글(110)과 복수개의 스티프너(120)로 구성된다.
앵글(11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서 서로 다른 2개의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앵글(110)의 구부러진 각도는 구조부재의 결합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10)과 보(20)의 결합구조를 고려하여 90도 하였다. 앵글(110)에는 일정간격마다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112)에는 볼트(30)가 체결된다. 따라서, 접합부재(100)는 볼트(30)를 매개로 기둥(10)과 보(2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된다.
스티프너(120)는 앵글(110)의 구부러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스티프너(120)의 양 단은 각각 앵글(110)의 서로 다른 두 면에 결합된다. 스티프너(120)와 앵글(110)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티프너(12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곡선형태 로 휘어지는 것이 좋다. 이처럼 스티프너(120)가 휘어져 있으면 앵글(110)을 통해 외력이 전달될 때 스티프너(120)가 보다 잘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직선형태의 스티프너(1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티프너(120)에는 복수개의 홈(122)이 형성된다. 홈(122)은 스티프너(120)의 휨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스티프너(120)의 휨과 인장 변형이 보다 잘 일어나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접합부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분에 볼트(30)를 매개로 결합되어 기둥(10)과 보(20)를 연결하고, 기둥(10)과 보(20)를 통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100)에 수평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면, 스티프너(120)의 위쪽에 형성된 홈(122)은 좁아지고 아래쪽에 형성된 홈(122)은 넓어지는 휨 변형이 일어나면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와 반대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100)에 수평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면, 스티프너(120)의 위쪽에 형성된 홈(122)은 넓어지고 아래쪽에 형성된 홈(122)은 좁아지는 휨 변형이 일어나면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합부재(100)를 사용하면 기둥(10)과 보(20)가 항복되기 전에 스티프너(120)가 소성 변형되면서 수평방향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기둥 (10)과 보(20)의 직접적인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합부재가 사용된 철골구조물의 접합부에 대한 하중-변형그래프로서, 볼트를 매개로 구조부재를 연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항복한 이후의 소성영역에서도 내력이 안정되고 변형능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진이 많은 지역에서도 충분히 사용가능하며 용접접합보다 더욱 큰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기둥과 보의 변형을 최소화하므로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고 지진발생 후에도 기둥과 보의 교체가 용이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친환경적인 건축구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또는 별도의 접합자재 없이 기둥과 보를 접합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재댐퍼를 사용하면 철골구조물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설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 2개 이상의 부재를 연결하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로서,복수개의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앵글과,상기 앵글의 서로 다른 두 면에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접합되고 1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홈은 상기 스티프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스티프너는 곡선형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1833A KR100627233B1 (ko) | 2004-12-24 | 2004-12-24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1833A KR100627233B1 (ko) | 2004-12-24 | 2004-12-24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013A KR20060073013A (ko) | 2006-06-28 |
KR100627233B1 true KR100627233B1 (ko) | 2006-09-25 |
Family
ID=3716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1833A KR100627233B1 (ko) | 2004-12-24 | 2004-12-24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723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8200B1 (ko) * | 2009-11-19 | 2011-01-17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철근콘크리트조 학교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479B1 (ko) * | 2008-07-21 | 2012-03-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면진 장치용 에너지 흡수장치 |
-
2004
- 2004-12-24 KR KR1020040111833A patent/KR10062723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8200B1 (ko) * | 2009-11-19 | 2011-01-17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철근콘크리트조 학교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013A (ko) | 2006-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44483B2 (ja) | ガセットプレートを用いた構造物の接合構造および建築物 | |
JP2001254436A (ja) | 鋼製柱と鋼製梁の接合構造 | |
KR100516332B1 (ko) |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 |
JP4710067B2 (ja) | 柱梁接合構造 | |
JP4931490B2 (ja) |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 |
JP2005264516A (ja) | 鋼製柱と鋼製梁のボルト接合構造。 | |
KR100627233B1 (ko)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
JP2005248487A (ja) | 中空鋼管鉄塔の添接丸材による補強構造 | |
KR101165442B1 (ko) |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지붕시스템 | |
JP4768587B2 (ja) | 建物の耐震構造 | |
JP3124515B2 (ja) | 建物の耐震補強構造 | |
KR101953016B1 (ko) |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 |
KR101299574B1 (ko) |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 |
JPH1162307A (ja) | 鋼製耐震壁 | |
JP4771162B2 (ja) | 鉄骨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 | |
JP5033387B2 (ja) | 制振補強構造 | |
JP2009030321A (ja) |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 |
JPH10169095A (ja) | 耐震ダンパーを内蔵した柱と耐震柱を備えたラーメン構造骨組 | |
JP3742590B2 (ja) | 柱・梁接合構造 | |
JP2006299584A (ja) | 耐震補強接合構造 | |
KR100660524B1 (ko) |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접합부의 보강구조 | |
JP4379732B2 (ja) | 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KR102298130B1 (ko) | 철골보 단부 보강 시스템 | |
KR101371198B1 (ko) |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 |
KR100766301B1 (ko)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