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247B1 -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247B1
KR102426247B1 KR1020200080901A KR20200080901A KR102426247B1 KR 102426247 B1 KR102426247 B1 KR 102426247B1 KR 1020200080901 A KR1020200080901 A KR 1020200080901A KR 20200080901 A KR20200080901 A KR 20200080901A KR 102426247 B1 KR102426247 B1 KR 10242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column
height
flange
fla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284A (ko
Inventor
유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8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2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7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using adhesives or hardening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단부가 상기 기둥에 접합되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웨브부재를 포함하는 보; 및 상기 기둥과 상기 보의 접합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을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기둥 및 상기 플랜지부재에 접합되는 제1 스티프너; 상기 플랜지부재에 접합되고, 상기 보의 상기 제1 스티프너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스티프너; 및 상기 제1 스티프너와 상기 제2 스티프너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티프너에서 제2 스티프너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만곡라인이 형성되는 제3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본 발명의 접합부분이 보강된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발생의 회수나 강도가 증가하고 있어,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조보다 가볍고, 변형능력이 우수하여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강구조물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큰 지진 발생시 힘이 집중되는 보-기둥 접합부쪽의 취성파단이 발생하여 건물이 붕괴되거나, 큰 피해로 이어진 사례들이 많다.
이는 강구조물의 재료뿐만 아니라 보, 기둥의 내력비, 보-기둥 접합상세, 용접 품질, 시공 등의 유기적인 관계가 중요하다.
재료적인 측면에서는 최근 강구조 재료분야의 품질이 향상되어 항복비 0.85이하는 물론 0.8이하의 소재가 개발되어 내진성능에 유리해지고 있다.
또한, 보-기둥 접합상세는 연성능력을 향상시키고 접합부쪽의 취성파단을 방지하고자 보 단면의 일부를 따내는 RBS공법 등이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수평스티프너를 부착하여 취성파단 방지 및 강도보강을 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
강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진설계, 내진용 재료의 선정, 접합부 디테일, 용접을 비롯한 제작의 품질, 시공 오차의 최소화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KR 20-0279918 Y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분의 강도를 보강하여 접합부분에서의 취성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둥; 단부가 상기 기둥에 접합되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웨브부재를 포함하는 보; 및 상기 기둥과 상기 보의 접합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을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기둥 및 상기 플랜지부재에 접합되는 제1 스티프너; 상기 플랜지부재에 접합되고, 상기 보의 상기 제1 스티프너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스티프너; 및 상기 제1 스티프너와 상기 제2 스티프너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티프너에서 제2 스티프너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만곡라인이 형성되는 제3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기둥의 측면과 상기 보의 상면에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상부영역을 보강하는 상부스티프너; 및 상기 기둥의 측면과 상기 보의 하면에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하부영역을 보강하는 하부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플랜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웨브부재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티프너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아래의 수학식 (1), (2), (3),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07624726-pat00025

수학식 (2):
Figure 112022007624726-pat00026

여기서, LS : 스티프너의 길이, h: 보의 춤(높이), ba: 제2 스티프너의 높이, tf: 보의 플랜지부재의 두께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22007624726-pat00027

수학식 (4):
Figure 112022007624726-pat00028

여기서, bn: 제1 스티프너의 높이, bf: 보의 플랜지부재의 폭, da: 제1 스티프너의 길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보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폭방향 전체구간 및 상기 웨브부재의 높이방향 전체구간이 상기 기둥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는 상기 웨브부재에 상기 기둥과 접하는 높이방향 모서리부분에 절개된 형상의 스캘럽이 형성되고, 상기 보는, 상기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폭방향 전체구간 및 상기 스캘럽을 제외한 상기 웨브부재의 높이방향 전체구간이 상기 기둥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과 보의 접합부분의 강도를 보강하여 접합부분에서의 취성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아닌 다른 방법에 의한 보와 기둥 접합부의 보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스티프너의 설계를 위한 치수 등을 표시한 보와 스티프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에서의 보유내력과 발생모멘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험체를 활용한 실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험체를 활용한 실험에 따른 모멘트 - 회전각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둥(1)에 보(2)가 접합되면서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고, 기둥(1)과 보(2)의 사이에 단부보강판(3)이 접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단부보강판(3) 보강법은 접합부에서 최대하중이 발생하는 단부에 단부보강판(3)을 보강하여 비보강 보에 대비하여 높은 내력을 보유할 수 있는 공법이다.
하지만, 단순히 단부보강판(3)으로 보강하게 되면 용접부 단부에서 취성파단부분(4)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재료, 접합부 디테일을 포함한 설계, 제작 품질 등을 통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보(200) 춤(높이) 1,000mm 까지 최고등급의 내진접합부인 특수모멘트 접합부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단순히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의 단부를 보강하여 내력을 높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니라, 소성힌지의 발생의 유도하여 접합부분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소산시켜 취성파단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기둥(100), 보(200), 스티프너(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둥(100)은 H형 단면 또는 I형 단면을 가지는 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100)은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둥플랜지(110)와, 한 쌍의 기둥플랜지(110)를 연결하는 기둥웨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기둥플랜지(110)와, 기둥웨브(120)를 포함하여 횡방향으로 H형 또는 I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기둥(100)은 한 쌍의 기둥플랜지(110)와 기둥웨브(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H형 또는 I형의 단면을 보강하는 수평보강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1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200)는 기둥(100)의 사각형의 단면의 각변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물론, 기둥(100)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200)는 기둥(100)의 다각형의 단면의 각변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물론, 기둥(100)에는 기둥플랜지(110), 기둥웨브(120) 이외에 다른 추가적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200)는 단부가 기둥(100)에 교차되게 접합될 수 있다.
보(200)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210)와 웨브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재(210)는 길이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높이방향으로 대향되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웨브부재(230)에 의해 연결되면서 종방향으로 H형 또는 I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재(210)와 웨브부재(230)는 길이방향(D2) 단부가 기둥(100)의 기둥플랜지(110)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물론, 보(200)에는 플랜지부재(210), 웨브부재(230) 이외에 다른 추가적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200)가 H형강으로 구성될 경우, H형강 보(200)에는 상부측의 플랜지부재(210)에 1개의 스티프너(300)가 설치되고, 하부측의 플랜지부재(210)에 1개의 스티프너(300)가 설치되면서 기둥(100)과 보(200)의 일측 접합부에는 4개의 스티프너(30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보(200)의 상부측의 플랜지부재(210)와 하부측의 플랜지부재(210) 중 어느 일측에만 1개의 스티프너(300)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을 비보강시와 같이 접합부분이 연성거동을 하지 못하고 기둥(100)과 보(200)의 용접부 등의 접합부분에 취성파단이 발생할 수 있는바, H형강 보(200)에는 상부측의 플랜지부재(210)에 1개의 스티프너(300)를 설치하고, 하부측의 플랜지부재(210)에 1개의 스티프너(300)가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티프너(300)는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에 설치되고, 접합부분의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을 보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티프너(300)는 소성힌지의 발생위치의 변경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스티프너(300)는 기둥(100)과 보(200)에 각각 접합되어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소산시켜 취성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티프너(300)는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에 설치됨으로써, 기둥(100)과 용접 접합되는 보(200)의 단부에 집중되던 응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소산시켜 소성힌지의 힌지의 발생위치를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인 보(200)의 단부영역에서 스티프너(300) 내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스티프너(300)는 기둥(100)과 보(200)에 각각 접합되어 기둥(100)과 보(200)의 연결부분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티프너(300)는 길이방향(D2) 단부가 기둥(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기둥플랜지(110)와 수직하게 용접 접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에 수직하게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스티프너(300)는 보(200)와 별도로 제작되고, 보(20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스티프너(300)는 처음부터 보(2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보(200)와 스티프너(300)가 별도의 접합부분 없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스티프너(300)는 보(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재(210)의 상면에 접합되거나 보(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재(210)의 하면에 접합되며, 단부가 기둥(100)의 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스티프너(300)의 길이방향(D2) 단부는 기둥(100)의 기둥플랜지(110)에 접합되고, 스티프너(300)의 길이방향(D2)의 일측면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에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스티프너(300)의 두께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와 동일하고, 보(20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100), 보(200), 스티프너(300)는 용접 접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기둥(100), 보(200), 스티프너(300)는 용접에는 완전용입 용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티프너(300)는 제1 스티프너(310), 제2 스티프너(310), 제3 스티프너(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티프너(300)는 보(2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합되고, 기둥(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스티프너(310), 제3 스티프너(330), 제2 스티프너(3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스티프너(300)의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스티프너(300)의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보(200)의 단부영역에서 발생하는 취성파단을 방지하여 연성능력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스티프너(310)는 기둥(100) 및 플랜지부재(210)에 접합될 수 있다.
제1 스티프너(310)는 길이방향(D2) 단부가 기둥(100)에 접합되고, 플랜지부재(2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스티프너(310)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스티프너(31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스티프너(310)는 플랜지부재(210)에 접합되고, 보(200)의 제1 스티프너(310)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스티프너(320)는 길이방향(D2) 단부가 제1 스티프너(310)와 접하고, 플랜지부재(2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스티프너(310)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스티프너(310)는 제1 스티프너(310)보다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스티프너(330)는 제1 스티프너(310)와 제2 스티프너(310)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스티프너(310)에서 제2 스티프너(31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만곡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티프너(330)는 길이방향(D2) 일측단부는 제1 스티프너(310)와 접하고 타측 단부는 제2 스티프너(320)와 접하며, 플랜지부재(2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스티프너(300)를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에 설치하여, 기둥(100)과 용접 접합되는 보(200)의 단부에 집중되던 응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소산시킴으로써, 소성힌지의 힌지의 발생위치를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인 보(200)의 단부영역에서 스티프너(300)의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스티프너(300)에는 제1 스티프너(310), 제2 스티프너(320), 제3 스티프너(330) 이외에 다른 추가적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티프너(300)는 상부스티프너(300-1) 및 하부스티프너(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스티프너(300-1)는 기둥(100)의 측면과 보(200)의 상면에 접합되고, 접합부분의 상부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상부스티프너(300-1)는 보(200)의 높이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재(210)의 상면과 기둥(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기둥플랜지(110)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하부스티프너(300-2)는 기둥(100)의 측면과 보(200)의 하면에 접합되고, 접합부분의 하부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하부스티프너(300-2)는 보(200)의 높이방향 하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재(210)의 하면과, 기둥(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기둥플랜지(110)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상부스티프너(300-1)와 하부스티프너(300-2)는 각각 길이방향 단부가 기둥플랜지(110)와 수직하게 용접 접합되고,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에 수직하게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2의 (a) 및 도 3의 (a)를 참조하면, 스티프너(300)는 플랜지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웨브부재(230)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스티프너(300)는 웨브부재(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용접 접합될 수 있고, 플랜지부재(210)의 폭방향(D1) 중앙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부스티프너(300-1)는 상부측의 플랜지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웨브부재(230)의 높이방향 상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스티프너(300-2)는 하부측의 플랜지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웨브부재(230)의 높이방향 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성능목표 달성을 위한 설계의 과정 및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보유내력 검토와 관련된 수학식 (1) ~ (5)를 설명하기 전에 관련된 변수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MpA: A단면의 전소성 모멘트, MpB: B단면의 전소성 모멘트, MpC: , C단면의 전소성 모멘트, L: 보(200)의 길이(L)의 절반, L S : 스티프너(300)의 길이, L S1 :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와 제3 스티프너(330)의 길이의 합, L S2 :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 b a :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 b n :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 t f 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 b f :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 b ah : 보(200)의 춤(h)과 한 쌍의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의 합, b nh : 보(200)의 춤(h)과 한 쌍의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의 합, d a :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 d b : 제2 스티프너(320)와 제3 스티프너(330)의 길이의 합, t f :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 tw: 보(200)의 웨브부재(230)의 두께, h: 보(200)의 춤(높이), `b cf : 기둥(100)의 기둥플랜지(110)의 폭이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아래의 수학식 (1),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68324919-pat00005
수학식 (2):
Figure 112020068324919-pat00006
여기서, L S : 스티프너(300)의 길이, h: 보(200)의 춤(높이), b a :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 t f :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성능목표 달성을 위한 설계의 과정과 관련된 수학식 (1) ~ (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에 따르면,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2 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수학식 (1)에 따르면,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2 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2 배 미만으로 될 경우는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학식 (2)에 따르면,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t f )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이 과도하게 좁아질 경우,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수학식 (1) ~ (2)를 만족시킬 경우,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성능목표 달성을 위한 설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보다 바람직하게, 수학식 (1), (2)를 대신하여 아래의 수학식 (1-1), (2-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20068324919-pat00007
수학식 (2-1):
Figure 112020068324919-pat00008
수학식 (2-1)에 따르면,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2 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5배 이하로 형성되어야 한다.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2 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2 배 미만으로 될 경우는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스티프너(300)의 길이(L S )는 보(200)의 춤(h)의 1.5배 이하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될 수 있으나, 불필요한 부분까지 스티프너(300)가 연장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수학식 (2-2)에 따르면,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t f )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t f )의 2배 이하로 형성되어야 한다.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t f )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이 과도하게 좁아질 경우,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스티프너(320)의 높이(b a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두께(t f )의 2배 이하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될 수 있으나, 과다설계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아래의 수학식 (3), (4)를 만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수학식 (1) ~ (4)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0068324919-pat00009
수학식 (4):
Figure 112020068324919-pat00010
여기서, b n :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 b f :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 d a :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성능목표 달성을 위한 설계의 과정과 관련된 수학식 (3) ~ (4)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3)에 따르면,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5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를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5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5배 미만으로 될 경우는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가 과도하게 짧아지면서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학식 (4)에 따르면,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1/3 배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1/3 배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이 과도하게 좁아지면서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발명은 수학식 (1), (2)와 함께 수학식 (3), (4)를 추가적으로 만족함으로써, 스티프너(300)가 기둥(100)과 용접 접합부분인 보(200)의 단부에 집중되던 응력을 보다 원활하게 넓은 영역으로 소산시켜, 소성힌지의 힌지의 발생위치를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분인 보(200)의 단부영역에서 스티프너(300)의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수학식 (1) ~ (4)를 만족시킬 경우,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성능목표 달성을 위한 설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보다 바람직하게, 수학식 (3), (4)를 대신하여 아래의 수학식 (3-1), (4-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1):
Figure 112020068324919-pat00011
수학식 (4-1):
Figure 112020068324919-pat00012
수학식 (3-1)에 따르면,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5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75배 이하로 형성되어야 한다.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를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5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5배 미만으로 될 경우는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가 과도하게 짧아지면서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를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75배 이하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1 스티프너(310)의 길이(d a )는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0.75배를 초과할 경우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될 수 있으나, 과다설계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수학식 (4-1)에 따르면,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1/3 배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은 기둥(100)의 기둥플랜지(110)의 폭(b cf )의 이하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은 보(200)의 플랜지부재(210)의 폭(b f )의 1/3 배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이 과도하게 좁아지면서 제2 스티프너(320)의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스티프너(310)의 높이(b n )은 기둥(100)의 기둥플랜지(110)의 폭(b cf )을 초과하여 구성될 경우, 제1 스티프너(310)가 기둥플랜지(110)와 용접 접합될 수 없는 영역까지 설치되면서 과다설계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제2 스티프너(320)의 길이방향(D2) 영역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기 위해서 아래의 수학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20068324919-pat00013
도 2를 참조하면, 보(200)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210)의 폭방향(D1) 전체구간 및 웨브부재(230)의 높이방향 전체구간이 기둥(100)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는, 보(200)에 용접의 편의를 위해 절개된 공간인 스캘럽(S)을 형성하지 않고, 보(200)와 스티프너(300)의 기둥(100) 방향의 단부 전체가 기둥(100)의 외면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에 적용된 보(200)는 웨브부재(230)에 절개부분인 스캘럽(S)이 형성되지 않고, 웨브부재(230)의 높이방향 단면 전체가 기둥(10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200)는 웨브부재(230)에 기둥(100)과 접하는 높이방향 모서리부분에 절개된 형상의 스캘럽(S)이 형성되고, 보(200)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210)의 폭방향(D1) 전체구간 및 스캘럽(S)을 제외한 웨브부재(230)의 높이방향 전체구간이 기둥(100)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스캘럽(S)은 보(200)의 플랜지, 기둥(100), 웨브가 만나는 지점에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고, 보(200)의 웨브가 만곡지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브부재(230)에 기둥(100)과 접하는 높이방향 모서리부분에 절개된 형상의 스캘럽(S)이 형성될 경우, 기둥(100)과 보(200)를 용접 접합할 때 용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실험체를 활용한 시험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검증을 위하여 실대형 실험을 수행하였고, 기둥(100)에 사용된 부재는 Pos-H로 PH-600x600x50x70이고, 보(200)에 사용된 부재도 Pos-H로 PH-1000x300x16x25로 T형으로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실험체를 제작하였고, 가력방법은 KDS2019에서 제시하고 있는 반복재하절차를 적용하였다.
도 6은 실험체를 활용한 실험과정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0.05rad 2cycle까지 거동하였으며, 0.06rad의 변형은 액츄에이터 가력 범위를 초과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가력 종료시까지 취성적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스티프너(300)의 제2 스티프너(320)부분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였다.
도 7은 도 6의 실험체에 의한 실험에 따른 모멘트 - 회전각(최대변형각)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실험체는 회전각(최대변형각) 기준 0.04rad에서 0.8Mp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어 특수모멘트 접합부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즉, 본 발명의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실험체는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구조의 회전각(최대변형각) 기준 0.04rad 거동시까지 보(200) 전소성 모멘트(Mp)의 80% 이상의 내력을 확보함으로써 특수모멘트골조(SMF)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기둥 2: 보
3: 단부보강판 4: 취성파단부분
100: 기둥 110: 기둥플랜지
120: 기둥웨브 130: 수평보강판
200: 보 210: 플랜지부재
230: 웨브부재 300: 스티프너
300-1: 상부스티프너 300-2: 하부스티프너
310: 제1 스티프너 320: 제2 스티프너
330:제3 스티프너 D1: 폭방향
D2: 길이방향 S: 스캘럽
L: 보의 길이 L S : 스티프너의 길이
L S1 : 제1 스티프너의 길이와 제3 스티프너의 길이의 합
L S2 : 제2 스티프너의 길이 b a : 제2 스티프너의 높이
b n : 제1 스티프너의 높이 t f 는 보의 플랜지부재의 두께
tw: 보의 웨브부재의 두께 b f : 보의 플랜지부재의 폭
b ah : 보의 춤(높이)과 한 쌍의 제2 스티프너의 높이의 합
b nh : 보의 춤(높이)과 한 쌍의 제1 스티프너의 높이의 합
d a : 제1 스티프너의 길이
d b : 제2 스티프너와 제3 스티프너의 길이의 합
t f : 보의 플랜지부재의 두께 h: 보의 춤(높이)

Claims (8)

  1. 기둥;
    단부가 상기 기둥에 접합되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웨브부재를 포함하는 보; 및
    상기 기둥과 상기 보의 접합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을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기둥 및 상기 플랜지부재에 접합되는 제1 스티프너;
    상기 플랜지부재에 접합되고, 상기 보의 상기 제1 스티프너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스티프너; 및
    상기 제1 스티프너와 상기 제2 스티프너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티프너에서 제2 스티프너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만곡라인이 형성되는 제3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기둥의 측면과 상기 보의 상면에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상부영역을 보강하는 상부스티프너; 및
    상기 기둥의 측면과 상기 보의 하면에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분의 하부영역을 보강하는 하부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플랜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웨브부재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티프너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아래의 수학식 (1), (2), (3),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수학식 (1):
    Figure 112022007624726-pat00029

    수학식 (2):
    Figure 112022007624726-pat00030


    여기서, LS : 스티프너의 길이, h: 보의 춤(높이), ba: 제2 스티프너의 높이, tf: 보의 플랜지부재의 두께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22007624726-pat00031

    수학식 (4):
    Figure 112022007624726-pat00032


    여기서, bn: 제1 스티프너의 높이, bf: 보의 플랜지부재의 폭, da: 제1 스티프너의 길이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폭방향 전체구간 및 상기 웨브부재의 높이방향 전체구간이 상기 기둥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되는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상기 웨브부재에 상기 기둥과 접하는 높이방향 모서리부분에 절개된 형상의 스캘럽이 형성되고,
    상기 보는,
    상기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재의 폭방향 전체구간 및 상기 스캘럽을 제외한 상기 웨브부재의 높이방향 전체구간이 상기 기둥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되는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KR1020200080901A 2020-07-01 2020-07-01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KR10242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01A KR102426247B1 (ko) 2020-07-01 2020-07-01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01A KR102426247B1 (ko) 2020-07-01 2020-07-01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284A KR20220003284A (ko) 2022-01-10
KR102426247B1 true KR102426247B1 (ko) 2022-07-28

Family

ID=7934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901A KR102426247B1 (ko) 2020-07-01 2020-07-01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2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0229A1 (en) * 2001-01-26 2002-08-01 Siontech Engineering Consultants, Inc. Seismic-resistant beam-to-column moment connection
KR101431657B1 (ko) * 2012-11-28 2014-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응력 밸런스 타입 기둥-보 접합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18Y1 (ko) 2002-03-16 2002-07-02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장스팬 프리캐스트 시스템의 기둥-보 접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0229A1 (en) * 2001-01-26 2002-08-01 Siontech Engineering Consultants, Inc. Seismic-resistant beam-to-column moment connection
KR101431657B1 (ko) * 2012-11-28 2014-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응력 밸런스 타입 기둥-보 접합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284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420B1 (ko)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US6012256A (en) Moment-resistant structure, sustainer and method of resisting episodic loads
US5913794A (en) Ductile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
US9514907B2 (en) Member-to-member fuse connection
KR101992186B1 (ko)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 내진 보강 공법
KR102108335B1 (ko)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KR20040106829A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JP4576899B2 (ja) 柱梁接合構造の製造方法及び柱梁接合構造
JP722834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躯体とブレース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
KR102426247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JPH11140978A (ja) 柱梁接合部用鋼製h型断面ブラケット
JP7116400B2 (ja) トラス梁
KR102329508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KR102307939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JP4045504B2 (ja) 制震構造物
KR20000040240A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JP7098363B2 (ja) 梯子型耐力壁架構
JPH08246547A (ja) 柱梁接合構造
JP7495309B2 (ja) 梯子型耐力壁架構及び門型架構
JP7033406B2 (ja) あと付けブレースの接合構造
JP2020094478A (ja) 既存構造物の耐震改修方法
JPH09328925A (ja) 衝撃荷重特性に優れた制振装置
KR102571669B1 (ko) 좌굴방지판을 이용한 얇은 강판 웨브형 강박스 부재
JP7426253B2 (ja) トラス梁
JP7262518B2 (ja) 間柱型鋼材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