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32B1 -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32B1
KR100615932B1 KR1020037015324A KR20037015324A KR100615932B1 KR 100615932 B1 KR100615932 B1 KR 100615932B1 KR 1020037015324 A KR1020037015324 A KR 1020037015324A KR 20037015324 A KR20037015324 A KR 20037015324A KR 100615932 B1 KR100615932 B1 KR 100615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pulley
plunger
switch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005A (ko
Inventor
다카이가즈히코
우라타다카노리
고바야시히데히코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는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플런저(6a 내지 6c)가 다단계로 실린더(5)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완충 장치 본체(2)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한쪽 단부가 최상단 플런저(6a)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다른쪽 단부가 제 1 고정부(8)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중간부는 두 개의 상호 결합된 가동 풀리(12a, 12b)와 고정 풀리(13)를 구비하는 다중 풀리 감기 수단(10)을 구비하고 있는 풀리 기구(3)와, 상기 가동 풀리(12a, 12b)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따라서 작동되는 복귀 검사 스위치(4)를 포함하고 있다.
카(car), 완충 장치, 승강로, 플런저,가요성, 풀리, 복귀 검사 스위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ELEVATOR BUFFE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car)나 현수 추가 어떠한 이유로 하강하더라도 가능한 한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카나 현수 추를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단계(multiple stage)로 결합된 플런저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00A)는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위치한 피트(pit) 하부에 설치된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101)를 가지고 있다.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101)는 오일(oil)로 충전된 실린더(102), 이 실린더(102)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연장/수축되는 플런저(103), 및 이 플런저(103)와 실린더(102) 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104)을 포함하고 있다.
캠 부착 암(arm)(105)은 플런저(10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캠 로드(106)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캠 부착 암(105)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캠 로드(106)의 하단부는 복귀 검사 스위치(107)의 조작 암(107a)에 결합되어 있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는 캠 로드(106)의 하방 이동에 의해서 스위치를 ON에서 OFF로 설정한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는 스위치 부착 암(108)을 통해서 실린더(102)에 부착되어 있으며, 플런저(103) 등의 수축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09는 복귀 검사 스위치(107)의 스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코드(cord)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00A)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서, 어떠한 이유에서든 카(110)가 하강하여 플런저(103)의 상부면과 충돌하게 되면, 플런저(103)는 유압력 또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점차 수축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카(110)가 안전하게 정지하게 된다. 플런저(103)의 수축은 캠 로드(106)를 하강시켜서 복귀 검사 스위치(107)를 OFF로 한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가 OFF로 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플런저(103) 상의 카(110)를 복구 작업 등에 의해서 정상 운전 영역으로 상승시킨 이후에, 플런저(103)는 스프링력에 의해서 팽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플런저(103)의 팽창에 의해서, 캠 로드(106)가 상승하면서 복귀 검사 스위치(107)는 ON으로 된다. 이 복귀 검사 스위치(107)의 ON에 의해 비로소 전원이 ON으로 되고 카(110)의 정상 운전이 허용된다. 즉 카(110)는 플런저(103)가 팽창 위치로 복귀한 이후에만 정상 운전이 가능하며, 카(110)의 비정상적인 하강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00B)는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위치한 피트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101)는 오일로 충전된 실린더(102), 상기 실린더(102)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연장/수축되는 플런저(103), 및 상기 플런저(103)와 실린더(102) 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104)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 암(111)은 플런저(10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트링(string)과 같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112)의 한쪽 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착 암(111)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112)의 다른쪽 단부는 복귀 검사 스위치(107)의 조작 암(107a)에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103)가 팽창한 위치에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112)의 인장력은 복귀 검사 스위치(107)를 ON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는 플런저(103)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ON에서 OFF로 전환하게 설정되어 있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는 스위치 부착 암(107)을 통해서 실린더(102)에 고정되어 있고, 플런저(103) 등과 간섭하여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09는 복귀 검사 스위치(107)의 스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코드(cord)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00B)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서, 어떠한 이유에서든 카(110)가 하강하여 플런저(103)의 상부면과 충돌하게 되면, 플런저(103)는 유압력 또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점차 수축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카(110)가 안전하게 정지하게 된다. 플런저(103)의 수축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112)의 장력을 해제시켜서 복귀 검사 스위치(107)를 OFF로 한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가 OFF로 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플런저(103) 상의 카(110)를 복구 작업 등에 의해서 정상 운전 영역으로상승시킨 이후에, 플런저(103)는 스프링력에 의해서 팽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플런저(103)의 팽창에 의해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112)의 장력이 복귀되면서 검사 스위치(107)는 ON으로 된다. 복귀 검사 스위치(107)가 ON으로 됨에 따라 전원 공급은 ON으로 되어, 카(110)의 정상 운전이 허용된다.
상술한 방식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00A, 100B)가 충격을 흡수하면서 카(110) 등의 비정상적인 하강에 대항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복귀 검사 스위치(107)가 비정상적으로 하강된 카(110) 등을 정상 운전 영역으로 상승시킨 이후에 팽창 위치로 플런저(103)를 되돌렸음을 검출하기 전까지는 카(110) 등의 운전을 중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은 보장된다.
초고속 엘리베이터용으로 사용되는 완충 장치에 대해서는, 완충 장치를 소형으로 하면서 플런저의 왕복 운동을 더 길게 하기 위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를 구비한 완충 장치 본체를 사용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검사 스위치의 설치 구조를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 시스템의 완충 장치 본체를 사용하는 완충 장치 내에 단순 배치하면, 구성은 도 3의 (a)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된다.
도 3의 (a)에서, 완충 장치(100C)에는,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위치한 피트(pit)의 하부에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103a 내지 103c)를 가지는 유압식 버퍼 본체(101)가 배치되어 있다. 캠 부착 암(105)은 최상측 플런저(103a)에 설치되어 있으며, 캠 로드(106)는 캠 부착 암(105)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 요소는 상술한 것들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길이에 비해서 플런저의 왕복 운동이 더 길어졌기 때문에 실린더(102)의 설치면(120)과 캠 로드(106)의 간섭이라는 문제가 있다.
도 4에 나타낸 완충 장치(100D)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각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완충 장치(100D)에는, 각 캠 부착 암(105) 및 캠 로드(106)가 각각의 플런저(103a 내지 103c)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귀 검사 스위치(107)는 실린더(102) 내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단(stage)의 플런저(103b) 및 제 3 단의 플런저(103c)에도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플런저(103a 내지 103b)의 수축 이동은 복수의 복귀 검사 스위치(107)에 의해서 검출된다.
최상측 플런저(103a)는 상부에 장착한 카(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수축되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최상측 플런저 보다 아래에 있는 플런저(103b, 103c)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복귀 검사 스위치(107)의 어떠한 것도 확실하게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복귀 검사 스위치의 설치 구조를 다단으로 결합된 흡수 장치(absorber)를 사용하는 완충 장치(100D)에 적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가 매우 길어지게 되므로, 플런저의 수축이나 팽창 중에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가 얽히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복귀 검사 스위치가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또한 얽힘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를 파손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복귀 검사 스위치의 확실하고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없게 만든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의 흡수 장치 본체를 사용하며, 실린더의 설치면(installation surface)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확실하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는 복수의 플런저가 다단계로 실린더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완충 장치 본체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한쪽 단부가 최상단 플런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다른쪽 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중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 풀리를 구비하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느슨함을 상기 가동 풀리의 하강에 의해서 흡수하는 다중 풀리 감기 수단을 구비하는 풀리 기구와, 상기 가동 풀리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따라서 동작되는 복귀 검사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는, 플런저가 수축했을 때,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가 플런저의 스트로크 거리와 동일한 크기(dimension)만큼 하강하게 되고,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하강 크기는 가동 풀리의 하강에 의해서 흡수된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하강 크기의 흡수는 충분히 작은 하강 거리로 가능하다. 고정 풀리와 가동 풀리 사이에서 현수된 채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하강량이 흡수되기 때문에, 얽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의 완충 장치 본체를 사용하는, 즉 실린더의 치수(dimension)가 플런저가 이동 하여 전체 수축 스트로크 보다 짧은 경우의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는 실린더의 설치면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장력 부여 추를 가동 풀리에 부착하고, 복귀 검사 스위치를 상기 장력 부여 추 또는 실린더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에서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장력이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느슨해짐에 따른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오동작 또는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복귀 검사 스위치가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설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복귀 검사 스위치의 동작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귀 검사 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fixing part)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장력 부여 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동 풀리 또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요동(swing)은 장력 부여 추에 의해서 억제된다. 따라서 가동 풀리 등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동 풀리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탄성 가압 수단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에서는, 플런저가 수축할 때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풀리가 용이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느슨해짐에 따른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오동작 및 얽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쪽 단부가 가동 풀리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에 복귀 검사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각 풀리의 상하 변위를 다른쪽 단부에 증폭된 변위로서 전달하는 증폭 링크를 설치한다.
본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에서는, 가동 풀리의 하강 스트로크가 증폭 링크에 의해서 큰 변위로 변환되기 때문에, 복귀 검사 스위치는 이 큰 변위에 의해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복귀 검사 스위치는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다단계로 결합된 플런저 시스템의 흡수 장치 본체를 사용하고, 도 1에 나타낸 복귀 검사 스위치의 설치 구조를 간단하게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플런저의 팽창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의 개략 정면도를, 도 3의 (b)는 플런저의 수축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다단계로 결합된 플런저 시스템의 흡수 장치 본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1의 복귀 검사 스위치의 설치 구조가 각각의 플런저용으로 배치된 완충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 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풀리 기구(mechanism)의 풀리 다중 감기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풀리 기구에 있어서의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하강 크기에 대한 가동 풀리의 하강 거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다음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A)의 개략 정면도를, 도 6은 풀리 기구(3)의 풀리 다중 감기 수단(10)의 사시도를, 도 7은 상기 풀리 기구(3)에서의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하강 크기에 대한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 거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A)는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위치한 피트(pit)의 하부에 제공된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2)와, 상기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2)의 플런저(6a 내지 6c)의 수축에 의해서 가동 풀리(12a, 12b)를 하강시키기 위한 풀리 기구와, 상기 풀리 기구(3)의 가동 풀리(12a, 12b)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따라서 작동되는 복귀 검사 스위치(4)를 포함하고 있다.
유압식 완충 장치 본체(2)는 오일(oil)로 충전된 실린더(5), 상기 실린더(5)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연장/수축되는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 및 상기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와 실린더(5) 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풀리 기구(3)는 한쪽 단부가 부착 암(7)을 통해서 최상측 플런저(6a)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실린더(5)의 상부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제 1 고정부(8)에 연결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를 둘러 감기 위해서 실린더(5)의 높이 범위(실린더(5)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배치된 풀리 다중 감기 수단(10)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리 다중 감기 수단(10)은 축(11) 상에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가동 풀리(12a, 12b)와, 제 1 고정부(8)에 의해서 지지되는 고정 풀리(13)를 가지고 있다. 최상측 플런저(6a)로부터 늘어 뜨려진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는 한쪽의 상부 가동 풀리(12a) 및 상부 고정 풀리(13), 그리고 다른쪽의 가동 풀리에 순차적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런 순서로 감겨진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다른쪽 단부측은 제 1 고정부(8)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고정부(8)는 부착 부재(18)에 의해서 실린더(5)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부착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승강로(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동일하게 다음의 제 2 고정부(14)에도 적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검사 스위치(4)는 스위치 본체(4a)와 이 스위치 본체(4a)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 암(4b)을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4a)는 실린더(5)의 높이 범위 내에 배치된 제 2 고정부(14)에 고정된다. 조작 암(4b)은 가동 풀리(12a, 12b)에 의해서 간섭을 받는 위치에 배치된다. 복귀 검사 스위치(4)는 플런저(6a 내지 6c)의 하강에 의해서 행해지는 가동 풀리(12a, 12b)의 하방 이동에 의해서 ON에서 OFF로 전환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면 부호 15는 복귀 검사 스위치(4)의 스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코드(cord)를 표시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A)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서, 카(16)가 어떠한 이유로든 하강하여 최상측 플런저(6a)의 상부면과 충돌하게 되면, 각각의 플런저(6a 내지 6c)는 유압력 또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점차 수축하게 되고, 따라서 카(16)는 안전하게 정지하게 된다. 각각의 플런저(6a 내지 6c)의 수축으로 인해서 플런저의 스트로크 길이와 동일한 크기만큼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하강하게 되면, 가동 풀리(12a, 12b)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하강 크기를 흡수하도록 하강하게 된다.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에 의해서, 복귀 검사 스위치(4)는 OFF로 전환된다. 복귀 검사 스위치(4)의 OFF로의 전환에 의해서,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플런저(6a 내지 6c) 상의 카(16)가 복구 작업 등에 의해서 정상 운전 영역으로 상승하게 되면, 플런저(6a 내지 6c)는 스프링력에 의해서 팽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플런저(6a 내지 6c)가 팽창하게 되면, 가동 풀리(12a, 12b)가 상승하게 되어 상술한 동작과는 반대로 복귀 검사 스위치(4) 상의 스위치가 ON으로 전환된다. 복귀 검사 스위치(4)가 ON으로 전환됨에 따라서, 비로소 전원 공급이 ON으로 전환되어 카(16)가 정상적으로 운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조작 과정에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하강 크기와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 거리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하강 크기가 L1이고, 가동 풀리(12a, 12b) 각각에 대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감긴 횟수를 N이라 하면,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 거리(L2)는 L2 = L1 / (2 × N)이 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N은 2가 되는데, 그 이유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2 개의 가동 풀리(2a, 2b)에 감겨져 있기 때문이며, 가동 풀리(2a, 2b)의 하강 거리(L2)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하강 거리(L1), 즉 플런저 스트로크 거리의 1/4이 된다. 따라서 가동 풀리(2a, 2b) 의 짧은 하강 거리에 의해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하강 거리(L1)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5)의 설치면(17)에 대한 가동 풀리(2a, 2b)의 간섭은 절대 일어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는 고정 풀리(13)와 가동 풀리(2a, 2b) 사이에 걸려 있으면서도 상기 하강 거리를 흡수하기 때문에 얽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를 사용하는 완충 장치, 즉 실린더(5)가 플런저의 전체 수축 스트로크 보다 더 짧은 경우에 있어서, 복귀 검사 스위치(4)는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없이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A)를 얻을 수 있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에는, 구체적으로 로프(rope), 벨트(belt), 체인(chain) 등이 포함된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를 로프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저렴하게 준비할 수 있다. 벨트로 구성하는 경우라면, 로프와 비교했을 때 벨트의 팽창이 더 작기 때문에 복귀 검사 스위치(4)를 좀 더 정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체인으로 구성하는 경우라면, 로프와 벨트와 비교했을 때 체인의 팽창이 더 작기 때문에 훨씬 더 정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접힘 직경(시브(sheave)의 직경)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특정한 예는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며, 그 이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풀리의 숫자는 2 개, 즉 12a와 12b이며, 가동 풀리(12a, 12b)에 감기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감긴 횟수도 마찬가지로 2이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가동 풀리의 숫자는 하나(1)라도 좋으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감긴 횟수 또한 하나(이 경우에 고정 풀리는 기본적으로 불필요하다)라도 좋으며, 또는 가동 풀리의 숫자를 3 개 이상으로 하고 가동 풀리에 대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감긴 횟수 또한 3 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가동 풀리에 대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감긴 횟수의 값은 플런저 전체의 수축 스트로크 거리와 실린더(5)의 높이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이는 이하의 제 2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 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B)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B)는 장력 부여 추(20)가 가동 풀리(2a, 2b)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B)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를 사용하는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B)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장력을 장력 부여 추(20)에 의해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가 느슨 해짐에 따른 오동작 및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C)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복귀 검사 스위치(4)는 제 2 고정부(14)에 부착되어 있었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C)에 있어서, 복귀 검사 스위치(4)는 장력 부여 추(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복귀 검사 스위치(4)의 조작 암(4b)은 실린더(5)에 고정된 캠(21)과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C)의 동작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를 사용하는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C)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 검사 스위치(4)가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설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복귀 검사 스위치(4)의 동작 위치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고도 캠(2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이 용이해진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장력 부여 추(20)의 바로 하 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 검사 스위치(4)의 노출(exposure)을 피할 수 있고, 먼지를 가능한 한 많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귀 검사 스위치(4)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D)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복귀 검사 스위치(4)는 제 2 고정부(14)에 부착되어 있었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복귀 검사 스위치는 실린더(5)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D)의 동작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를 사용하는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D)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 검사 스위치(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도 8의 제 2 고정부(14)와 유사함)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제 5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E)를 나타내는 개 략 정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E)는 각각의 가동 풀리(12a, 12b)의 외주측을 덮도록 커버(22)가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4 실시예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E)의 동작은 제 4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의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E)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 풀리(12a, 12b)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는 먼지 등을 커버(22)에 의해서 가능한 한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 등에 의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 또는 가동 풀리(12a, 12b)의 동작 실패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F)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F)는 안내 레일(23)이 장력 부여 추(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4 실시예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 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F)의 동작은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의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F)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 풀리(12a, 12b) 또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요동(swing)을 장력 부여 추(20)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풀리(12a, 12b) 등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G)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G)는 가동 풀리(12a, 12b)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 가압 수단으로서 압축 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5 실시예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7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G)의 동작은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의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G)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6a 내지 6c)가 팽창/수축할 때 압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가동 풀리(12a, 12b)가 용이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느슨해짐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9)의 오동작이나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가압 수단은 압축 스프링(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동 풀리(12a, 12b)에 초기 하방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기만 한다면 어떠한 수단을 채택하여도 좋다.
(제 8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H)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8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H)는 부착 암(7)이 더 길게 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한 증폭 링크(25)의 한쪽 단부가 가동 풀리(12a, 12b) 측(구체적으로는 장력 부여 추(20)의 아래)에 결합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가 복귀 검사 스위치(4)의 조작 암(4b)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5 실시예와는 다르다. 증폭 링크(25)에 있어서, 지점(fulcrum)(26)은 상기 다른쪽 단부에 각각의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 변위를 증폭된 변위로서 전달하도록 설정된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부착 암(7)은 다른 구성 요소들과 길이가 같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 8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1H)의 동작은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의 완충 장치 본체(2)의 완충 장치에서는, 복귀 검사 스위치(4)가 실린더(5)의 설치면(17)과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완충 장치(1H)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 스트로크 거리는 증폭 링크(25)에 의해 큰 변위로 전환되며, 복귀 검사 스위치(4)는 이 큰 변위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귀 검사 스위치(4)는 확실하고 정확하게 동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가동 풀리(12a, 12b)의 하강 스트로크가 짧게 설정(적어도 실린더(5)의 높이 크기 보다 더 짧게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짧은 하강 스트로크에 의해서 복귀 검사 스위치(4)를 직접적으로 동작시키면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능성은 제 8 실시예의 사용에 의해서 확실하게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으로 연결된 플런저(6a 내지 6c)는 3 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2 단, 4 단 또는 그 이상의 단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하강 크기 를 가동 풀리의 하강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고, 또한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하강 크기를 충분히 짧은 가동 풀리의 하강 거리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하강부의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가 고정 풀리 및 가동 풀리 사이에서 현수된 채로 흡수되어 얽힘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설치면과 어떠한 간섭도 없이 복귀 검사 스위치를 확실하고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플런저가 다단계로 실린더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로의 최하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완충 장치 본체와,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한쪽 단부가 최상단 플런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다른쪽 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중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 풀리를 구비하며, 가요성의 길이가 긴 부재의 느슨함을 상기 가동 풀리의 하강에 의해서 흡수하는 다중 풀리 감기 수단을 구비하는 풀리 기구와,
    상기 가동 풀리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따라서 동작되는 복귀 검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력 부여 추가 상기 가동 풀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귀 검사 스위치는 상기 장력 부여 추 또는 상기 실린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풀리는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 가능한 풀리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복귀 검사 스위치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풀리의 상하 변위를 다른쪽 단부에 증폭된 변위로서 전달하는 증폭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KR1020037015324A 2002-03-29 2003-03-24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KR100615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7863A JP4006254B2 (ja) 2002-03-29 2002-03-29 エレベータの衝撃緩衝装置
JPJP-P-2002-00097863 2002-03-29
PCT/JP2003/003517 WO2003082723A1 (en) 2002-03-29 2003-03-24 Elevator buf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005A KR20040003005A (ko) 2004-01-07
KR100615932B1 true KR100615932B1 (ko) 2006-08-28

Family

ID=2867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324A KR100615932B1 (ko) 2002-03-29 2003-03-24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006254B2 (ko)
KR (1) KR100615932B1 (ko)
CN (1) CN1296266C (ko)
MY (1) MY141821A (ko)
TW (1) TW590978B (ko)
WO (1) WO2003082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708B2 (ja) * 2004-04-20 2010-08-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衝撃緩衝装置
FI119808B (fi) * 2007-12-17 2009-03-31 Kone Corp Hissin puskurijärjestely
JP5368289B2 (ja) * 2009-12-18 2013-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2011256001A (ja) * 2010-06-08 2011-12-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CN101955101A (zh) * 2010-09-17 2011-01-26 昆山京都电梯有限公司 电梯曳引机测试装置
CN103359577B (zh) 2013-07-23 2015-04-01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导向的特种电梯防坠缓冲器
CN105600641A (zh) * 2015-12-01 2016-05-25 佛山市欧汇电梯配件有限公司 液压缓冲器
JP7156044B2 (ja) 2019-01-11 2022-10-1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897A (en) * 1976-08-26 1978-01-2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5195616A (en) * 1992-07-15 1993-03-23 Otis Elevator Company One to two stroke roped elevator pit buffers
FI101373B1 (fi) * 1993-04-05 1998-06-15 Kone Oy Järjestely ripustus- ja kompensaatioköysien venymän kompensoimiseksi
JP2001226053A (ja) * 2000-02-16 2001-08-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92262A (ja) 2003-10-15
KR20040003005A (ko) 2004-01-07
CN1514798A (zh) 2004-07-21
JP4006254B2 (ja) 2007-11-14
WO2003082723A1 (en) 2003-10-09
MY141821A (en) 2010-06-30
CN1296266C (zh) 2007-01-24
TW200305537A (en) 2003-11-01
TW590978B (en)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32B1 (ko)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
RU2535772C2 (ru) Компен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лифт
KR101257553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KR20030091682A (ko) 엘리베이터의 완충 장치
EP3284710A1 (en) Tie-down tensioning device for compensation sheave, compensation sheave and elevator
JP5368289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60249337A1 (en) Tie-down compensation for an elevator system
WO2004108576A1 (en) Tie-down compensation for an elevator system
JP4323483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481936B1 (en) Elevator car comprising a car top handrail
JP2007197138A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6444520B2 (ja) エレベータ
JP4597394B2 (ja) エレベータ用複段式緩衝器
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707941B2 (ja) エレベーターの補償ロープ張り車装置
JP5562768B2 (ja) 吊りビーム装置
JP6418048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重りクリアランス測定装置及び釣合い重りクリアランス測定方法
JP2004168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30409B2 (ja) エレベータ
JP4903953B2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4653460B2 (ja) クレーンの起伏緩衝装置
EP3782946B1 (en)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nd elevator system
JPH0692571A (ja) エレベータの補償ロープ張り車装置
JP2022117571A (ja) エレベータ装置
SU1323511A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роительного подъем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