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574B1 -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574B1
KR100610574B1 KR1020030035492A KR20030035492A KR100610574B1 KR 100610574 B1 KR100610574 B1 KR 100610574B1 KR 1020030035492 A KR1020030035492 A KR 1020030035492A KR 20030035492 A KR20030035492 A KR 20030035492A KR 100610574 B1 KR100610574 B1 KR 10061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photographing
predetermined
control means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507A (ko
Inventor
고레키다쿠
유모토노보루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8Output means providing an audible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9Output mean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to the user, e.g. using a l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머알람, 저전압경보 등의 통지기능을 갖는 디지털카메라나 착신통지기능을 갖는 카메라내장의 휴대전화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광학계(12), CCD(13), 샘플홀드회로(16), A/D변환기(17) 및 컬러프로세스회로(18)와, 현재시각 또는 설정시간의 계시를 실시하는 타이머(32)와, 통지시각 또는 통지시간을 설정하는 키입력부(27)와, 음성을 이용한 통지와 이용하지 않는 통지를 선택 가능한 복수의 통지수단으로서의 표시부(26), 바이브레이터(30), LED표시부(33) 및 스피커(35)와, 타이머(32)에 의한 계시의 종료시점에서 촬영동작 중이었던 경우에 그 촬영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수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통지시키는 제어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카메라, 알람, 타이어, 바이브레이터, 피사체

Description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ELECTRONIC CAMERA AND INFORM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ELECTRONIC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 전체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메라부착휴대전화기 전체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동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 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지털카메라 11: 모터
12: 렌즈광학계 13: CCD
14: 타이밍발생기(TG) 15: 수직드라이버
16: 샘플홀드회로(S/H) 17: A/D변환기
18: 컬러프로세스회로 19: DMA컨트롤러
20: DRAM인터페이스(I/F) 21: DRAM
22: 제어부 23: VRAM컨트롤러
24: VRAM 25: 디지털비디오엔코더
26: 표시부 27: 키입력부
28: JPEG회로 29: 메모리카드
30, 45: 바이브레이터 31: 음성처리부
32: 타이머 33: LED표시부
34: 마이크로폰(MIC) 35, 46: 스피커(SP)
40: 카메라부착휴대전화기 41: 안테나
42: 무선송수신부 43: 무선신호처리부
44: 드라이버
본 발명은 타이머알람, 저전압경보 등의 통지기능을 갖는 디지털카메라나 착신통지기능을 갖는 카메라내장의 휴대전화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내장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스틸카메라가, 은염필름을 이용한 종래로부터의 은염카메라를 대신하여 널리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또 단체로서의 디지털스틸카메라뿐만이 아니라 휴대전화기에 카메라기능을 탑재하고, 이 카메라기능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내장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에 기록하며, 기록한 화상데이터를 휴대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에 표시시키거나, 전자메일에 첨부파일로서 첨부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도 각 회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에는 기본기능으로서 착신시에 알람음이나 바이브레이터에서의 진동에 의해 통지를 실시하는 착신통지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외에, 미리 설정한 시각이 된 시점, 혹은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알람음이나 바이브레이터에서의 진동에 의해 통지를 실시하는 알람통지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카메라기능을 탑재한 휴대전화기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이나 음성부착의 정지화상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 촬영 중에 착신이 있거나, 알람시각이 도래하여 버리면 녹음음성 중에 알람음이 혼입하여 버리거나,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으로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이 흔들려서 촬영되어 버리는 등, 촬영을 엉망으로 하여 버리는 사태로 될지도 모른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착신통지나 타이머통지 등의 통지기능을 탑재해도 촬영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는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즉시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1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2 통지제어수단을 구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촬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소정의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통지부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스틸카메라(이하 「디지털카메라」라고 약칭한다)에 적용한 경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그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10이 디지털카메라이다. 이 디지털카메라(10)는 기본모드로서 기록(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전환하여 설정 가능하고, 기록모드에서의 모니터링상태에 있어서는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초점이 맞는 위치나 조리개위치가 이동되는 렌즈광학계(12)의 촬영광축 후방에 배치된 촬상소자인 CCD(13)가 타이밍발생기(TG)(14), 수직드라이버(15)에 의하여 주사구동되고, 일정 주기마다 결상한 광상에 대응하는 광전변환출력을 1화면분 출력한다.
이 광전변환출력은 아날로그값의 신호의 상태에서 RGB의 각 원색성분마다 적당히 게인조정된 후에 샘플홀드회로(S/H)(16)에서 샘플홀드되고, A/D변환기(17)에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며, 컬러프로세스회로(18)에서 화소보간처리, γ보정처리, 휘도ㆍ색차데이터변환처리를 포함하는 컬러프로세스처리가 실시되어 디지털값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Cb, Cr)가 생성되고, DMA(Direct Memory Access)컨트롤러(19)에 출력된다.
DMA컨트롤러(19)는 컬러프로세스회로(18)의 출력하는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Cb, Cr)를 똑같이 컬러프로세스회로(18)로부터의 복합동기신호, 메모리기입이네이블신호 및 클록신호를 이용하여 한번에 DMA컨트롤러(19) 내부의 버퍼에 기입하고, DRAM인터페이스(I/F)(20)를 통하여 버퍼메모리로서 사용되는 DRAM(21)에 DMA전송을 실시한다.
제어부(22)는 상기 휘도 및 색차신호의 DRAM(21)에의 DMA전송완료 후에 이 휘도 및 색차신호를 DRAM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DRAM(21)으로부터 판독하고, VRAM컨트롤러(23)를 통하여 VRAM(24)에 기입한다.
디지털비디오엔코더(25)는 상기 휘도 및 색차신호를 VRAM컨트롤러(23)를 통하여 VRAM(24)으로부터 정기적으로 판독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기초로 비디오신호를 발생하여 표시부(26)에 출력한다.
이 표시부(26)는 예를 들면 백라이트부착의 컬러액정표시패널과 그 구동회로로 구성되고, 디지털카메라(10)의 배면측에 설치되며, 기록모드시에는 모니터표시부(전자파인더)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디지털비디오엔코더(25)로부터의 비디오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실시하는 것으로, 그 시점에서 VRAM컨트롤러(23)로부터 받아들이고 있는 화상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26)에 그 시점에서의 화상이 모니터화상으로서 리얼타임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지화상촬영을 실시하고 싶은 타이밍에서 키입력부(27)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중의 셔터버튼을 조작하면 트리거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2)는 이 트리거신호에 따라서 CCD(13)를 기록보존용의 정지화상을 얻기 위해 주사구동(노광)하고, 받아들인 1화면분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DRAM(21)에의 DMA전송의 완료 후 기록보존의 상태로 천이한다.
이 기록보존의 상태에서는 제어부(22)가 DRAM(21)에 기입되어 있는 1프레임분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DRAM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Y, Cb, Cr의 각 콤포넨트마다 세로 8화소×가로 8화소의 기본블록이라고 호칭되는 단위로 판독하여 JPEG(Joint Photograph coding Experts Group)회로(28)에 기입하고, 이 JPEG회로(28)에서 ADCT(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 적응이산코사인변환), 엔트로피부호화방식인 하프만부호화 등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압축한다.
그리고 얻은 부호데이터를 해당 JPEG회로(28)로부터 판독하고 JPEG의 정지화상데이터파일로서 디지털카메라(10)의 기록매체로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메모리를 봉입한 메모리카드(29)에 기입한다.
그리고 1프레임분의 휘도 및 색차신호의 압축처리 및 메모리카드(29)에의 전체압축데이터의 기입종료에 동반하여 제어부(22)는 파인더표시용의 화상을 얻기 위한 촬영동작에 촬영처리계(CCD(13)∼표시부(26))의 동작을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22)에는 추가로 바이브레이터(30), 음성처리부(31), 타이머(32) 및 LED표시부(33)가 접속된다.
바이브레이터(30)는 후술하는 타이머(32)의 계시결과에 따라서 시각알람 등을 진동으로 통지출력한다.
음성출력부(31)는 PCM음원 등의 음원회로를 구비하며, 음성의 녹음시에는 마이크로폰(MIC)(34)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데이터압축하여 음성데이터파일을 작성해서 제어부(22)에 송출하는 한편, 음성의 재생시에는 보내져온 음성데이터파일을 신장하여 아날로그화하고 스피커(SP)(35)를 구동하여 녹음한 음성이나 알람의 비프(beep)음, 음성메시지 등을 확성방음시킨다.
타이머(32)는 제어부(22)와는 별도의 전원관리로 현재시각을 계시하는 RTC(Real Time Clock)기능을 갖고, 제어부(22)에 의해 설정된 시각으로 되었을 때, 혹은 제어부(22)에 설정된 시간을 계시하여 그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제어부(22)에 타임업신호를 송출한다.
LED표시부(33)는 이 디지털카메라(10)의 케이스전면에 설치된 셀프타이머용의 LED램프, 동일 케이스배면의 광학파인더내에 설치된 초점이 맞는 표시 및 스트로브챠지표시용의 각 LED램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디케이터표시를 실시하는 것이며, 상기 기능타이머(32)의 계시결과에 따라서 알람통지를 점멸표시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27)는 상기한 셔터버튼의 외에 기본모드인 기록(REC)모드(촬영모드)와 재생(PLAY)모드를 전환하는 녹/재모드전환키, 기록모드에서 추가로 「음성부착정지화상촬영모드」「무음성정지화상촬영모드」「음성부착동화상촬영모드」「무음성동화상촬영모드」「음성메모기록모드(음성만)」를 전환하는 기록모드전환키, 각종 메뉴항목을 표시시키는 「메뉴」키, 화상이나 각종 모드의 선택, 메뉴선택항목의 지정 등을 위해 상하좌우 각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십자키, 이 십자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내용을 지시설정하는 「세트」키, 상기 표시부(26)에서의 표시를 ON/OFF하는 디스플레이키 등으로 구성되며, 그들의 키조작에 동반하는 신호는 직접 제어부(22)에 송출된다.
또한 음성부착의 정지화상촬영시에 있어서는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조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정지화상촬영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마이크로폰(34)에 의한 녹음동작을 개시하고, 소정의 녹음시간(예를 들면 15초)이 경과하면 녹음동작을 종료한다. 녹음동작에 의해 얻어진 음성데이터는 음성데이터파일로서 메모리카드(29)에 기록된다. 다만 녹음의 개시타이밍이나 녹음의 종료타이밍은 사용자가 임의로 키입력부(27)를 조작함으로써 지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런데 정지화상이 아니라 동화상의 촬영시에 있어서는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계속 조작되고 있는 동안 CCD(13)에 의해 반복취득되는 정지화상데이터를 DRAM(21)에 기억해두고, 해당 셔터버튼의 조작이 종료된 시점(또는 소정의 동화상촬영가능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DRAM(2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차례로 JPEG회로(28)에서 데이터압축한 후 이들의 부호데이터를 모션JPEG의 동화상데이터파일로서 메모리카드(29)에 기록한다.
또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시에 있어서는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계속 조작되고 있는 동안 CCD(13)에 의해 반복취득되는 정지화상데이터를 DRAM(21)에 기억하는 동작과 마이크로폰(34)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처리부(31)의 내부메모리에 기억하는 동작을 병행하여 실행하고, 해당 셔터버튼의 조작이 끝난 시점(또는 소정의 동화상촬영가능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DRAM(2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차례로 JPEG회로(28)에서 데이터압축한 후 이들의 부호데이터를 모션JPEG의 동화상데이터파일로서 메모리카드(29)에 기록한다. 이것과 동시에 해당 셔터버튼의 조작이 끝난 시점(또는 소정의 동화상촬영가능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음성처리부(31)의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를 음성데이터파일로서 메모리카드(29)에 기록한다.
또 정지화상데이터파일과 동화상데이터파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응하는 음성데이터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음성데이터파일도 화상데이터파일과 동일한 데이터파일명으로 설정하여 메모리카드(29)에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는 화상과 음성을 동시에 재생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기본모드로서 기록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22)가 실행하는, 주로 타이머기능에 관한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당초에는 타이머기능에 관한 설정모드가 선택되는지 아닌지(스텝A01), 실제로 타이머(32)에 설정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스텝A02)를 반복판단하는 것으로 이들의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상기 스텝A01에서 타이머기능에 관한 설정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다음에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에 음성으로 통지하는 곡명을 선택한다(스텝A03).
이것은 예를 들면 미리 준비해둔 곡명의 정보를 표시부(26)에서 일람표시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키입력부(27)의 십자키와 「세트」키의 조작에 의해 이 디지털카메라(10)의 사용자에게 임의의 1곡을 선택하여 받음으로써 실행한다.
계속해서 도면에서는 「타이머시간」이라고 칭하고 있는데,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시간 혹은 시각을 설정한다(스텝A04). 이것은 그 시점으로서 몇시간 몇분후에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시간을 설정하거나, 혹은 특정한 시각으로 된 시점에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지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선택한 후에 그 구체적인 수치를 입력설정하는 것으로, 그 설정을 종료한 시점에서 상기 스텝A02으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스텝A02에서 타이머기능을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시점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있는 때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A05).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있는 때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그대로 상기 스텝A03에서 선택한 곡명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35)로부터 확성방음하는 것으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하면 마이크로폰(34)에 의한 녹음 중의 음성에 그 악곡이 혼입하여 버리게 되므로, 해당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를 대신하여 표시부(26)에서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된 것을 경고메시지로서 표시에 의해 통지하는 동시에, 상기 LED표시부(33)에 속하는 각 LED램프 중의 카메라케이스배면측에 위치하는 것을 일제히 점멸표시시키면서(스텝A06) 해당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A07).
그러나 스텝A07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상기 스텝A06에서의 표시에만 의한 알람통지를 정지하고, 다시 상기 스텝A03에서 선택한 악곡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35)로부터 확성방음하는 것으로 알람통지를 실시하고(스텝A08), 이상으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시 상기 스텝A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A05에서 타이머기능을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된 시점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설정한 바와 같은 알람통지를 실시해도 아무런 문제 없는 것으로서, 상기 스텝A03에서 선택한 악곡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35)로부터 확성방음시키는 알람통지를 실시하면서(스텝A09),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되었는지 아닌지(스텝A10), 그 선택된 악곡의 재생이 종료했는지 아닌지(스텝A11)를 반복판단하는 것으로, 그 알람통지를 종료시키는 타이밍으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런데 상기 스텝A11에서 선택된 악곡의 재생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이상으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시 상기 스텝A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A10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알람통지로서의 악곡의 재생출력도중이기는 하지만 그대로 재생을 계속하면 촬영하는 음성 중에 그 악곡이 혼입하여 버리게 되므로, 악곡의 재생출력을 바로 정지하고(스텝A12) 이상으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 것으로서 상기 스텝A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기본으로 악곡을 선택하고 음성으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하면서, 특히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를 금지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알람통지의 음성이 촬영하는 동화상과 함께 녹음하는 음성 중에 혼입하여 버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그 경우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통지수단인 악곡의 음성을 다시 확성출력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보다 확실히 이 디지털카메라(10)의 사용자에게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된 것을 통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적인 알람통지수단으로서 악곡에 의한 음성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프음이나 PCM음원을 이용한 각종 의음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음성뿐만이 아니라 바이브레이터(30)에 의한 진동이나 LED표시부(33)의 LED램프의 점멸패턴, 표시부(26)에서 표시하는 경고메시지의 문자열 등을 택일적으로, 혹은 적당히 임의로 조합하여 선택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 촬영에 대하여 악영향이 나온다고 생각되는 것, 예를 들면 음성부착의 동화상/정지화상의 촬영동작 중에는 음성이나 진동으로의 알람통지를 피하고 다른 통지수단(통지방법)으로 전환하여 알람통지를 실시하고, 그 촬영이 종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다시 미리 선택한 통지방법에 의해 알람통지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촬영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확실히 알람통지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영동작 중에 미리 설정한 알람통지를 위한 통지수단을 실행하면 촬영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상태에서, 촬영이 종료한 시점에서의 알람통지를 실행하지 않고 촬영동작 중에 있어서의 다른 통지수단에 의한 알람통지만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촬영동작 중에 미리 설정한 알람통지를 위한 통지수단을 실행하면 촬영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상태에서, 다른 통지수단에 의한 알람통지를 실행하지 않고 그 촬영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촬영이 종료한 시점에서 설정되는 바와 같은 통지수단에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은 지연되어 버리지만 촬영종료 후에는 설정한 바와 같은 통지수단에서 통지가 실시되기 때문에 촬영 중에 예정 외의 통지수단에서 통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놀라서 카메라를 움직이게 하여 버려서 촬영동작에 악영향을 주어 버린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동작 중에 미리 설정한 알람통지를 위한 통지수단을 실행하면 촬영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상태인 경우에만 촬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통지수단(통지방법)으로 전환하여 알람통지를 실시하도록 했지만, 촬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에 관해서는 촬영동작 중인지 아닌지에 관계 없이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항상 실시하도록 하고, 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촬영에 악영향을 미치는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를 금지하는 동작만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무음성의 정지화상/동화상의 촬영동작 중에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는 다른 통지수단으로 전환하는 일 없이 설정대로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를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 무음성의 정지화상/동화상의 촬영동작 중에 진동에 의한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는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로 전환하여 알람통지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은데, 비록 직접적으로 촬영동작에 대한 악영향은 없다고 해도 굳이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를 하지 않고 표시에 의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은 이 디지털카메라(10)의 사용자가 촐영동작 중에 발해지는 알람음에 놀라는 등 하여 일시적으로 홀딩해 있는 카메라가 흔들려 버리는 케이스가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실제의 촬영동작 중에 한정하지 않고,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으로 되었을 때에 촬영모드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촬영모드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통지를 금지하는 것으로 통지동작이 촬영동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으로 되었을 때에 촬영동작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촬영동작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악영향을 미치는 통지출력을 금지하고 다른 통지방법으로 변경하도록 했는데, 촬영동작을 개시했을 때에 통지를 금지(통지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촬영동작을 종료한 시점에서 동작모드를 해제하도록 하거나, 촬영동작을 개시했을 때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통지장치를 회로(하드)적으로 다른 통지장치로 전환하고, 촬영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촬영동작 전의 전환상태로 되돌리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스틸카메라(이하 「디지털카메라」라고 약칭한다)에 적용한 경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카메라 전체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음성출력과 표시출력에 의해 통지가 실시되는 타이머기능이 구비되어 있다고 한 경우의 음성부착동화상촬영모드하에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당초에는 CCD(13)에서 촬상하고 있는 화상을 그대로 버퍼메모리인 DRAM(21)에 홀딩하고, 표시부(26)에서 모니터표시시키는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하면 서(스텝E01)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에 의해 해당 촬영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 아닌를 반복판단한다(스텝E02).
상기 스텝E02에서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눌러내림조작되고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의 개시가 지시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한 모션JPEG의 데이터파일 및 음성데이터파일을 작성하기 위해 해당 동화상촬영동작과 녹음동작을 개시시키는 동시에(스텝E03), 음성출력에 의한 통지동작을 금지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한다(스텝E04).
그 후 상기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이 해제되어 촬영을 종료했는지 아닌지(스텝E05), 동화상촬영을 개시하고 나서 30초 경과했는지 아닌지(스텝E06)를 반복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이들의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상기 스텝E05 또는 E06의 판단결과가 YES로 되면, 동화상촬영동작과 녹음동작을 정지하고, 동화상데이터파일 및 녹음데이터파일을 작성하여 메모리카드(29)에 기록하는 동시에(스텝E07), 음성출력에 의한 통지동작을 금지하기 위한 모드를 해제하여 스텝E01로 되돌아간다(스텝E08).
이와 같이 음성부착동화상촬영동작 중 이외의 타이밍으로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에는 음성출력과 표시출력에 의해 통지가 실시되게 되고, 음성부착동화상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에는 표시출력에만 의해 통지가 실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알람통지의 음성이 촬영하는 동화상과 함께 녹음하는 음성 중에 혼입하여 버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스틸카메라(이하 「디지털카메라」라고 약칭한다)에 적용한 경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카메라 전체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타이머(32)에 의한 타이머기능을 이용한 알람통지의 통지방법을 음, 진동, 표시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 경우의 무음성동화상촬영모드하에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당초에는 CCD(13)에서 촬상하고 있는 화상을 그대로 버퍼메모리인 DRAM(21)에 홀딩하고 표시부(26)에서 모니터표시시키는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하면서(스텝B01),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에 의해 해당 촬영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 아닌지(스텝B02), 타이머(32)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스텝B03)를 반복판단하는 것으로 이들의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상기 스텝B03에서 타이머(32)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시점에서는 아직 무음성의 동화상촬영이 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미리 임의로 설정되어 있는 통지수단에 의거한 알람통지를 실행하고(스텝B04), 그 후에 다시 상기 스텝B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B02에서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눌러내림조작되고 무음성의 동화상촬영의 개시가 지시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한 모션JPEG의 데이터파일을 작성하기 위해 해당 촬영을 개시시키는 동시에(스텝B05), 이번은 타이머(32)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스텝B06), 또는 상기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이 해제되어 촬영을 종료했는지 아닌지(스텝B07)를 반복판단하는 것으로 이들의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스텝B07에서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이 해제되어 촬영을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29)에 기록하는 모션JPEG의 데이터파일의 설정제어를 실시하는 동시에, 이 도 4에 관련되는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의 처리로서는 다시 상기 스텝B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B06에서 무음성의 동화상촬영의 동작 중에 타이머(32)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음에 미리 임의로 설정된 통지수단이 바이브레이터(30)에서의 진동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B08).
여기에서 바이브레이터(30)에서의 진동에 의해 알람통지를 실시한다고 설정되어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바이브레이터(30)에서의 진동출력을 실시하면 디지털카메라(10)가 삼각으로 고정되어 있는지 아닌지, 사용자가 손으로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촬영하고 있는 화상이 흐트러져 버리게 되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30)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스피커(35)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람음을 확성방음함으로써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스텝B09), 그 통지 후에 다시 상기 스텝B06으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B08에서 바이브레이터(30)에서의 진동에 의해 알람통지를 실시한다고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음에 알람음에 의한 알람통지를 실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B10).
여기에서 알람음에 의한 알람통지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설정대로 스피커(35)로부터 알람음을 확성방음하여 알람통지를 실시하고(스텝B11), 그 통지 후에 다시 상기 스텝B06으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B10에서 알람음에 의한 알람통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에 의한 알람통지가 설정되어 있게 되어 그대로 설정대로 표시부(26)에서의 경고메시지표시에 의한 알람통지를 실시하고(스텝B12), 그 통지 후에 다시 상기 스텝B06으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무음성의 동화상촬영을 실시할 때에는, 촬영동작 중에 바이브레이터(30)에 의한 진동으로 알람통지를 실시하면 화상이 흔들려 촬영되어 버리기 때문에, 촬영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다른 통지수단, 예를 들면 표시나 음성으로 전환하여 알람통지함으로써, 촬영동작 중이어도 타이머기능을 활용하여 확실히 통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동화상의 촬영동작시에는 이 디지털카메라(10)의 사용자가 촬영동작 중에 발해지는 알람음에 놀라는 등 하여 일시적으로 홀딩해 있는 카메라가 흔들려 버리는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텝B09 또는 B11의 처리에 있어서도 굳이 음성에 의한 알람통지를 하지 않고 표시에 의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동화상의 촬영시에 바이브레이터(30)의 진동에 의한 알람통지를 피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동화상촬영에 한정하지 않고 정지화상촬영에 있어서도 똑같이 바이브레이터(30)의 진동에 의한 알람통지를 피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특히 저속의 셔터속도로의 촬영에 동반하는 카메라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실제의 촬영동작 중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촬영모드 중에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으로 되었을 때에, 설정되어 있는 통지수단의 종류를 판단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모드에 의한 촬영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통지수단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통지수단을 대신하거나, 혹은 촬영모드가 해제되기까지 알람통지를 지연시키거나 하는 것으로 통지동작이 촬영동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으로 된 경우에 통지방법을 변경하도록 했는데, 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이 도래한 경우에 촬영동작이 종료하기까지 알람통지를 지연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촬영동작 중에 있어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으로 된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통지방법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서 통지방법을 변경하여 통지출력할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했는데, 촬영동작을 개시한 시점에서 알람설정되어 있는 통지방법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서 알람설정되어 있는 통지방법을 변경설정할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여기에서 변경설정된 알람설정이 있는 경우 촬영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촬영동작 전의 상태로 알람설정을 되돌리도록 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스틸카메라(이하 「디지털카메라」라고 약칭한다)에 적용한 경우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카메라 전체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2단계의 스트로크로 동작하고, 일반적으로 「반누름」이라고 표현되어 있는 제 1 단계의 조작상태에서 AF(자동초점맞음), AE(자동노광)를 시작으로 하는 촬영의 준비를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전부누름」이라고 표현되어 있는 제 2 단계의 조작상태에서 촬영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통지수단으로서 알람음을 선택설정하여 음성부착동화상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의 타이머기능에 의거한 알람통지에 관한 일련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당초에는 알람통지의 수단으로서 스피커(35)로부터의 알람음의 확성방음을 선택설정하고(스텝C01), 또한 타이머(32)에 의한 타이머기능의 실행과, 실제로 알람통지를 실시하기까지의 시간, 또는 시각을 설정한다(스텝C02).
덧붙여서 촬영모드로서 음성부착동화상의 촬영을 선택설정하면(스텝C03) 그 음성부착동화상의 촬영을 촬영하는 준비가 갖추어지게 되고, 이 이후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반누름조작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C04).
그러나 스텝C03에서 해당 셔터버튼이 반누름조작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그 디지털카메라(10)에서 음성부착동화상촬영 가능한 연속시간(Time1)을 산출한다(스텝C05).
이것은 상기 메모리카드(29)에 충분한 빈 용량이 있는 상태에서는 디지털카메라(10)의 기종에 고유의 미리 설정된 값(혹은 사용자가 미리 임의로 설정한 값)이고, 또 메모리카드(29)에 충분한 빈 용량이 없는 상태에서는 그 빈 용량을 단위시간당 사용하는 음성부착동화상파일의 추정용량에서 제산한 몫으로 된다.
또한 상기 스텝C02에서 설정한 알람통지를 실시하는 시간 또는 시각까지의 시간(Time2)을 타이머(32)에 의해 산출한다(스텝C06).
이것은 상기 스텝C02에서 설정한 것이 시간인 경우에는 그 카운트다운하고 있는 시간값이고, 또 설정한 것이 시각인 경우에는 그 설정시각으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감산한 값이다.
이들 시간(Time1, 2)의 산출을 끝내면 다음으로 시간(Time1)이 시간(Time2) 이상인지 아닌지, 환언하면 그 시점으로부터 바로 음성부착동화상촬영을 개시했다고 하고 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스텝C07).
또한 설정한 것이 시각인 경우는 스텝C05∼C07에 있어서, 음성부착동화상촬영 가능한 연속시간(Time1)과 현재 시각으로부터 촬영종료추정시간을 산출하고 이 촬영종료추정시각과 설정되어 있는 타이머시각을 비교함으로써 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시간(Time1)이 시간(Time2)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만 촬영동작 중에 알람통지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취지를 예를 들면 표시부(26)에서 문자메시지에 의해 경고표시하는 등 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스텝C08).
그 후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누름조작되었는지 아닌지(스텝C09), 똑같이 셔터버튼이 여전히 반누름조작되어 있는지 아닌지(스텝C10)를 반복판단하는 것으로 촬영의 준비상태를 유지하면서 촬영의 개시를 대기한다.
스텝C10에서 셔터버튼이 반누름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촬영의 준비상태를 일단 해제하고 다시 상기 스텝C04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스텝C09에서 셔터버튼이 전부누름조작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이후 그 촬영의 준비상태에서의 내용으로부터 촬영을 실행하면서(스텝C11) 셔터버튼의 조작이 해제되는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동화상촬영의 최장연속시간이 경과하거나, 혹은 메모리카드(29)의 빈 용량이 없어지거나의 어느 쪽인가에 의하여 촬영을 종료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C12)는 처리를 반복실행하고 촬영의 종료를 대기한다.
그리고 스텝C12에서 촬영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다시 다음의 촬영에 구비하기 위해 상기 스텝C04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동화상촬영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촬영도중에서 타이머기능에 의한 알람통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그 취지의 경고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경고에 의거하여 동화상촬영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일시적으로 타이머기능을 해제하거나, 동화상촬영의 개시를 지연시키거나 하는 등 어느 쪽인가의 대책을 강구해둘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디지털스틸카메라(이하 「디지털카메라」라고 약칭한다)에 적용한 경우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카메라 전체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특히 음성부착동화상의 촬영동작 중을 기타의 경우와 구별한, 타이머기능에 의거하는 알람통지에 관한 일련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당초에는 음성부착동화상촬영을 제외하는 통상시의 알람통지의 수단으로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선택설정하고(스텝D01), 아울러 음성부착동화상촬영의 촬영동작 중인 경우의 알람통지의 수단으로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선택설정한다(스텝D2).
그리고 타이머(32)에 의한 타이머기능의 실행과 실제로 알람통지를 실시하기까지의 시간, 또는 시각을 설정하면(스텝D3), 이후 촬영모드가 음성부착동화상촬영으로 설정되었는지 아닌지(스텝D04), 상기 스텝C03에서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스텝D05)를 반복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이들의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런데 상기 스텝D04에서 촬영모드가 음성부착동화상촬영으로 설정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으로 키입력부(27)의 셔터버튼이 눌러내림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D06),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텝D05로 진행하고 이후 상기 스텝D04, D06, D05의 처리를 반복하면서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에 의한 음성부착동화상촬영의 개시가 지시되거나, 타이머기능에서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스텝D06에서 셔터버튼이 눌러내림조작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촬영을 개시하는 동시에 이후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는지 아닌지(스텝D07),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의 해제 의해 해당 촬영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 아닌지(스텝D09)를 반복하여 판단한다.
스텝D07에서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D02에서 설정한 음성부착동화상촬영시의 통지수단에 의거하여 알람통지를 실행하고(스텝D08) 그것을 끝낸 시점에서 상기 스텝D09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D09에서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조작의 해제에 의해 당초 촬영의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시 상기 스텝D06으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음성부착동화상촬영의 개시가 지시되거나, 타이머기능에서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또한 상기 스텝D05에 있어서 설정한 시간 또는 시각으로 되었다고 판단한 경 우에는 상기 스텝D02에서 설정한 통상시의 통지수단에 의거하여 알람통지를 실행하고(스텝D10), 그것을 끝낸 시점에서 다시 상기 스텝D04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음성부착동화상촬영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디지털카메라(10)의 사용자가 임의로 통지방법을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한 커스터마이즈(customize)가 가능하여 보다 사용하기에 편리함을 향상되어서 그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통지수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의 동작 중의 알람통지를 기타 경우의 알람통지와 구별하여 임의로 통지수단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인데, 개개의 촬영모드마다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로 임의의 통지수단에 의한 알람통지를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는 어느 쪽이나 촬영동작 중 혹은 촬영모드 중에 타이머설정된 시간 또는 시각이 도래했다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상기한 통지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것인데, 카메라기능을 가진 휴대전화기의 경우 촬영동작 중 혹은 촬영모드 중에 착신이 있었다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한 통지제어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제 6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카메라부착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그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40이 카메라부착휴대전화기이다.
또한 카메라부착휴대전화기 전체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으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송수신부(42)는 무선에 의해 안테나(41)를 통하여 음성데이터, 화상데이터, 문자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무선신호처리부(43)는 무선송수신부(42)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거나, 송신용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송수신부(42)에 출력한다.
드라이버(44)는 착신통지용의 바이브레이터(45), 스피커(46)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이다.
또한 음성신호처리부(31), 마이크로폰(34) 및 스피커(35)는 음성부착촬영동작이나 음성부착화상의 재생동작시에 사용되는 외에, 다른 휴대전화기와의 사이에서 음성데이터를 수수하고 통화를 실시하기 위해서도 이용되는 것이다.
도 8은 기본모드로서 기록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22)가 실행하는 주로 착신처리에 관한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당초에는 착신처리에 관한 설정모드가 선택되는지 아닌지(스텝F01) 착신이 있었는지 아닌지(스텝F02)를 반복판단하는 것으로 이들의 상태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또한 스텝F02에서는 다른 전화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때, 혹은 전자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착신있음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스텝F01에서 착신처리에 관한 설정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다음으로 착신시에 음성출력시키고 싶은 곡의 곡명을 선택한다(스텝F03).
이것은 예를 들면 미리 준비해둔 곡명의 정보를 표시부(26)에서 일람표시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키입력부(27)의 십자키와 「세트」키의 조작에 의해 이 카메라부착휴대전화기(40)의 사용자에게 임의의 1곡을 선택해 받음으로써 실행한다.
또 상기 스텝F02에서 착신있음이라고 판단한 경우 그 시점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있을 때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F04).
여기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있는 때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나타내는 착신마크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LED표시부(33)에 속하는 어느 쪽인가의 LED램프를 소정 시간 점멸표시시키면서(스텝F05) 해당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F06).
그러나 스텝A07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촬영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상기 스텝A06에서의 표시에만 의한 착신통지를 정지하고, 다시 상기 스텝F02에서 선택한 악곡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46)로부터 확성방음하는 것으로 착신통지를 실시하며(스텝F07), 이상으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시 상기 스텝F0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스텝F04에서 착신이 있었던 시점에서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나타내는 착신마크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LED표시부(33)에 속하는 어느 쪽인가의 LED램프를 소정 시간 점멸표시시키는 동시에(스텝F08), 상기 스텝F03에서 선택한 악곡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46)로부터 확성방음시키는 알람통지를 실시하고(스텝A09), 이상으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시 상기 스텝F01로부터의 처리로 되 돌아간다.
또한 착신통지의 방법으로서 바이브레이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똑같이 음성부착의 동화상의 촬영 중에 착신이 있었던 경우는 바이브레이터(45)에 의한 착신통지를 금지하고 촬영종료 후에 바이브레이터(45)에 의한 착신통지를 개시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는 어느 쪽이나 본 발명을 타이머알람기능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 6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착신통지기능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인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전지의 소모를 알리는 저전압통지기능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는 어느 쪽이나 본 발명을 디지털스틸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 6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카메라기능을 가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인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디지털비디오(무비)카메라나 카메라기능을 가진 PDA 등의 기기이어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또 음성부착정지화상의 촬영동작에 있어서의 녹음동작은 정지화상촬영의 직전 또는 직후에 실시되는데, 여기에서는 정지화상촬영동작과 녹음동작을 합쳐서 촬영동작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상기한 촬영(기록)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여기에서는 촬영동작 중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Claims (21)

  1.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즉시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1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2 통지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지수단은 음발생수단 또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임의의 통지시간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지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의 지시에 의해 개시된 제 1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동작의 실행중에,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촬영동작의 개시가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의 지시에 의해 개시된 제 1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정지시키는 제 3 통지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타수신이 있던 경우에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즉시 상기 제 1 통지수단과는 다른 제 2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4 통지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지수단은 표시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은 즉시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소정의 악곡의 재생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지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소정의 악곡의 재생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다른 악곡 중에서 임의의 악곡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재생동작의 개시를 즉시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지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재생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다른 통지수단 중에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이 상기 제1 통지수단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제 1 통지수단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시 상기 제 1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3 통지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즉시 상기 제 1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지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제 1 통지수단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제 1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으로서 동화상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수단, 상기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으로서 정지화상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수단, 소정의 촬영동작으로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동작과 녹음수단에 의한 녹음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수단, 촬영지시수단에 의해 촬영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수단, 및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촬영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수단 중 적어도 1개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2. 수동조작에 의해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과,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즉시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1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찰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한 촬영모드의 설정이 해제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2 통지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3.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임의의 알람시각을 수동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알람시각과 현재시각이 일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일치했다고 판단되었을 때,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 상기 통지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통지수단에 대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4.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임의의 알람시간을 수동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알람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알람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었을 때,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이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 상기 통지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통지수단에 대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5. 촬상수단에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복수의 다른 통지수단 중에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제 1 선택수단과,
    복수의 다른 통지수단 중에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제 2 선택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찰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 1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제 1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찰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제 2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제 2 통지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6. 촬상수단에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통지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통지수단에 대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과,
    상기 통지수단과는 다른 복수의 통지수단 중에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금지수단에 의해 통지동작의 실행이 금지되는 상기 통지수단 대신에,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7. 촬상수단에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복수의 다른 통지수단 중에서 임의의 통지수단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제 1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지수단이 소정의 통지수단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수단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통지수단에 대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수단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통지수단에 대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허가하는 허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수단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금지수단에 의해 통지동작의 실행이 금지되는 상기 통지수단과는 다른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제 2 통지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19. 촬상수단에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복수의 다른 촬영모드중에서 임의의 촬영모드를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통지수단에 통지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통지제어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가 소정의 촬영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촬영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통지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통지수단에 대한 통지동작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20. 촬상수단에 소정의 촬영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촬영제어수단과,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이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된 경우, 통지수단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 1 통지제어수단과,
    이 제 1 통지제어수단의 지시에 의해 개시된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동작중에,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소정의 촬영동작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이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소정의 촬영동작의 개시가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통지제어수단의 지시에 의해 개시된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동작을 정지하는 제 2 통지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
  21.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소정의 통지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촬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소정의 촬영동작이 실행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소정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통지부에 대해 통지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
KR1020030035492A 2002-06-04 2003-06-03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 KR100610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63052 2002-06-04
JP2002163052 2002-06-04
JP2003097032A JP3794395B2 (ja) 2002-06-04 2003-03-31 電子カメラ及びその報知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3-00097032 2003-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507A KR20030094507A (ko) 2003-12-12
KR100610574B1 true KR100610574B1 (ko) 2006-08-09

Family

ID=2955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92A KR100610574B1 (ko) 2002-06-04 2003-06-03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59781B2 (ko)
EP (1) EP1370059B1 (ko)
JP (1) JP3794395B2 (ko)
KR (1) KR100610574B1 (ko)
CN (1) CN100590519C (ko)
DE (1) DE60311607T2 (ko)
TW (1) TWI2335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935B1 (ko) * 2003-10-31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촬영 방법
US7202905B2 (en) * 2003-12-05 2007-04-1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tor providing vibration and camera adjustment functionality
KR101042796B1 (ko) * 2003-12-22 2011-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
JP3888354B2 (ja) * 2004-01-16 2007-02-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モード切換動作プログラム
JP4189349B2 (ja) * 2004-04-27 2008-12-03 Hoya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電話と着信報知方法
WO2005106614A2 (en) * 2004-04-29 2005-1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input and/or control device
KR101156115B1 (ko) * 2005-05-18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7072252A (ja) * 2005-09-08 2007-03-22 Canon Inc 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787708B2 (ja) * 2005-10-13 2011-10-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受信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036314A1 (en) * 2006-06-22 2009-03-18 Noki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an illuminated static display
KR20080044386A (ko) * 2006-11-16 2008-05-21 엘지노텔 주식회사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4873031B2 (ja) * 2009-03-18 2012-0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873349B1 (en) 2009-10-06 2011-01-18 Sur-Tec,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ce gathering and position tracking
US8457596B2 (en) * 2009-07-02 2013-06-04 Sur-Tec,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ce gathering and position tracking
JP5836578B2 (ja) * 2010-09-17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85943A (zh) * 2013-11-22 2014-03-26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图像采集控制装置以及方法
JP5839065B2 (ja) * 2014-03-19 2016-01-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DK179823B1 (en) 2016-06-12 2019-07-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WO2018129041A1 (en) * 2017-01-03 2018-07-12 Gopro, Inc. Remote image capture and mounting ecosystem
DK201770372A1 (en) * 2017-05-16 2019-01-08 Apple Inc. TACTILE FEEDBACK FOR LOCKED DEVICE USER INTERFACES
CN112135192B (zh) * 2020-08-14 2022-09-13 杭州视洞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告警在客户端上的显示及交互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2269A (en) * 1970-04-08 1972-06-27 Phyllis Tabankin Sequentially operable hidden camera device
US5101230A (en) 1987-11-16 1992-03-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ation device for a camera
JP2823728B2 (ja) 1992-02-26 1998-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JP3101435B2 (ja) * 1992-08-31 2000-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2849301B2 (ja) 1993-03-25 1999-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US5477264A (en) 1994-03-29 1995-12-1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imaging system using a removable software-enhanced storage device
JP3137836B2 (ja) 1994-05-25 2001-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H11205761A (ja) 1998-01-14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機能付携帯電話装置
JP3098991B2 (ja) 1998-05-01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話付きビデオ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775361B1 (en) * 1998-05-01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video camera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281182B2 (ja) 1998-11-19 2009-06-17 株式会社ニコン 通信機能付きカメラ
US6950126B1 (en) * 1998-11-19 2005-09-27 Nikon Corporation Camer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communication device
JP4261688B2 (ja) 1999-07-01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能付き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339615B2 (en) * 1999-12-22 2008-03-04 Fujifil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and for recording data that includes image data and audio data separately prepared from the image data
DE60101823T2 (de) 2000-06-09 2004-11-04 Sagem S.A. Mobiltelefon versehen mit einer Kamera
GB2366696B (en) * 2000-08-31 2004-03-10 Nokia Mobile Phones Ltd Reminders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JP3644388B2 (ja) * 2001-01-17 2005-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0059A3 (en) 2004-01-28
DE60311607T2 (de) 2007-05-24
EP1370059A2 (en) 2003-12-10
EP1370059B1 (en) 2007-02-07
TWI233531B (en) 2005-06-01
KR20030094507A (ko) 2003-12-12
TW200401941A (en) 2004-02-01
DE60311607D1 (de) 2007-03-22
CN100590519C (zh) 2010-02-17
JP2004064730A (ja) 2004-02-26
JP3794395B2 (ja) 2006-07-05
US20030222988A1 (en) 2003-12-04
CN1472594A (zh) 2004-02-04
US7259781B2 (en)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574B1 (ko) 전자카메라 및 전자카메라의 통지제어방법
US7145601B2 (en) Multi-modal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camera
JP200507073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74412A (ja) 撮像装置
US20050237420A1 (en) Camera system and camera main unit
JP3747914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46389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including generation of backup data
JP2005269180A (ja) 動画撮影装置、動画一覧表示方法、および、動画一覧表示プログラム
JP200518448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95614B2 (ja) 電子機器、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26637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096227A (ja) 音声処理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211764B2 (ja) 電子カメラ、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22144B2 (ja) 画像撮影装置
JP478446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2128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70295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3974433B2 (ja) カメラ
JP4324733B2 (ja) 画像送信装置、送信制御方法、および、送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618642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219243A (ja) 画像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72728B2 (ja) 動画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34646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10603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59845A (ja) 撮像装置、画像取込方法および画像取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