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291B1 - 높이 조절 가능한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가능한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291B1
KR100610291B1 KR1020020009163A KR20020009163A KR100610291B1 KR 100610291 B1 KR100610291 B1 KR 100610291B1 KR 1020020009163 A KR1020020009163 A KR 1020020009163A KR 20020009163 A KR20020009163 A KR 20020009163A KR 100610291 B1 KR100610291 B1 KR 10061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ar
pedal
box
keyboa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30A (ko
Inventor
마에하라가즈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10C3/14Keyboards; Keys for playing by the fe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그랜드 피아노는 피아노 케이스(11)의 하부면에 부착된 라이어 블록(12)과, 라이어 블록(12)에 매달려 있는 페달 포스트(13)와, 페달 포스트(13)에 결합된 라이어 박스(14)와, 라이어 박스(14)에 의해 회전 지지된 페달(15A/15B/15C)과, 피아노 케이스(3e) 내에 수용된 댐퍼 기구/건반(3f/3a)과 페달(15A/15B/15C) 사이에 연결된 페달봉(16)에 의해 구성된 페달 기구(10)를 포함하고, 라이어 박스(14)는 페달 포스트(13)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페달을 피아니스트에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커플러(23/25)는 라이어 박스와 페달 포스트 사이에 제공되어, 피아니스트는 연주하기 전에 페달을 적절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가능한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EIGHT CONTROLLABLE PEDALS}
본 발명은 건반 악기에 관한 것이고, 더 자세하게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 및 어쿠스틱 피아노를 기초로 하여 제작된 복합 건반 악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어쿠스틱 피아노의 전형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로 분류된다. 종래 기술의 그랜드 피아노는 피아노 케이스(1), 다리(2) 및 페달 장치(3)를 포함한다. 건반, 작동 기구, 해머, 댐퍼 및 줄이 피아노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다리(2)는 피아노 케이스(1)로부터 하향 돌출하여, 피아노 케이스를 유지시키고 따라서 바닥 위의 구성 요소들을 유지시킨다.
페달 장치(3)는 댐퍼 및 건반에 결합된다. 피아니스트가 페달 장치(3)를 작동할 때, 페달 장치(3)는 줄로부터 이격된 댐퍼 또는 댐퍼들을 유지시키고, 건반 및 해머를 결합 세트의 끈으로부터 약간 편의시킨다. 그 결과, 음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페달 장치(3)를 이용함으로써 음의 소리의 세기 및 음의 길이를 변경하게 된다.
페달 장치(3)는 라이어(lyre) 박스(4), 페달(5A/5B/5C), 페달봉(6) 및 페달 포스트(7)를 포함한다. 라이어 블록은 피아노 케이스(1)의 기부를 형성하는 건반의 하부면에 고정되지만, 라이어 블록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라이어 박스(4) 및 페달 포스트(7)는 나무로 형성된다. 페달 포스트(7)는 라이어 블록에 고정되고, 라이어 블록으로부터 하향 돌출한다. 라이어 박스(4)는 페달 포스트(7)의 하부단에 고정되고, 피아노 케이스(1)에 매달려 있게 된다. 페달 포스트(7)는 너무나 단단하여 사용자는 라이어 블록과 라이어 박스(4) 간의 거리를 변경시킬 수 없다.
페달(5A/5B/5C)은 각각 "댐퍼 페달", "소스테누토 페달" 및 "소프트 페달"로서 불리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페달(5A/5B/5C)은 라이어 박스(4) 내부에서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라이어 박스(4)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돌출한다. 페달봉(6)은 그 하단부에서 페달(5A/5B/5C)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그 상단부에서 댐퍼 및 건반에 연결된다.
의자는 피아노 케이스(1)의 전방 내의 바닥 상에 넣어지게 되고, 피아니스트는 건반을 만지기 위해 의자에 앉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 상에서 한편의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연주자는 음을 늘이거나 줄이도록 적절한 시기에 페달(5A/5B/5C)을 밟게 된다. 페달(5A/5B/5C)은 연주자의 우측발 및 좌측발에 의해 담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라이어 블록과 라이어 박스 간의 거리는 표준 성인의 정강이 보다 더 긴 어느 정도의 거리로 조절된다.
종래 기술의 그랜드 피아노에서 라이어 블록과 라이어 박스 간의 거리가 어린이에게는 너무 길다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의자는 대개 바닥과 쿠션 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어린이가 연주를 하게 될 때, 쿠션은 낮추어질 수 있다. 그후, 어린이는 페달(5A/5B/5C)을 밟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건반은 어린이에게는 너무 높아지게 된다. 페달 장치는 또한 직립 피아노에 합체되고, 페달은 성인 연주자에 맞게 조절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어쿠스틱 피아노는 성인에 의해 연주되도록 설계되고, 어린이는 고려하지 않았다.
해결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해결 방법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9-158190호의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9-44145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보조 페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보조 페달 장치는 페달(5A/5B/5C)에 부착된다. 어린이는 보조 페달 장치를 밟고, 보조 페달 장치는 페달(5A/5B/5C)에 발 동작을 재연한다. 따라서, 보조 페달 장치로 인해 어린이는 성인을 위해 설계된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조 페달 장치에서 다양한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우선, 보조 페달 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갖고,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어린이들의 정강이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종래의 보조 페달 장치는 페달(5A/5B/5C)과 보조 페달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페달(5A/5B/5C)과 보조 페달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없다면,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는 표준 성인의 정강이와 표준 어린이의 정강이 간의 차이를 단지 처리하게 된다. 사용자가 페달(5A/5B/5C)과 보조 페달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는 조절 기구를 구비하게 되고, 조절 기구로 인해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는 복잡해지게 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오작동이 일어나기 쉽다는 점이다. 어린이가 한편의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는 페달(5A/5B/5C)과 보조 페달 간의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사용자에게는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기구를 페달(5A/5B/5C)에 용이하게 부착 및 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 좋다. 간단한 연동 장치가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에 이용된다면,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는 페달(5A/5B/5C)로부터 분리되기 쉽고, 어린이는 연습을 중단하고,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를 페달(5A/5B/5C)에 다시 부착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가 페달(5A/5B/5C)에 강하게 부착되게 되면, 복잡한 조립 및 분리 작업으로 인해 연주자의 기분을 지치게 한다.
계속해서 또 다른 문제점은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가 어쿠스틱 피아노의 외관을 손상시킨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전자 키보드는 현대적 외관을 갖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어쿠스틱 피아노는 고전적 형상을 갖기를 원한다. 종래 기술의 보조 페달 장치가 어쿠스틱 피아노의 페달 장치(3)에 부착될 때, 외관은 호기심을 끌게 되고 고전적 형상과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외관에 어떠한 손상을 주지 않고 어른 및 어린이 모두에 의해 진가가 인정되는 건반 악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라,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평판 상에 장착되고 연주자에게 노출된 건반과, 내부 기구와, 페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기구는 건반에 연결되고 연주자가 건반의 건을 누를 때 작동되는 작용 기구와, 건에 각각 결합되고 연주자가 관련 건을 누를 때 작용 기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해머와, 해머에 결합 제공되고 회전 단부에서 해머와 부딪치는 타격 부재와, 건반에 연결되고 타격 부재의 진동에 영향을 주도록 건에 의해 구동되는 댐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기구는 건을 누르게 될 때 발생되는 음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눌려진 다수의 페달과, 다수의 페달이 그 위에서 회전 지지되는 토대와, 페달의 운동을 내부 기구로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페달과 내부 기구 사이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와, 케이스와 토대 사이에 마련되고 토대가 케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와, 토대를 위해 제공되고 토대가 케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제 위치와 토대가 케이스에 대한 그 위치 변경을 금지하는 고정 위치 사이에서 변경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가 제공된다.
건반 악기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
도면의 도2를 참조하면, 페달 장치(10)는 건 베드(11)에 매달려 있다. 건 베드(11)는 피아노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다리, 건반, 작용 기구, 해머, 댐퍼 및 줄과 함께 차례로 그랜드 피아노를 형성한다. 피아노 케이스, 건반, 작용 기구, 해머, 댐퍼 및 줄은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유사하고, 간소화를 위해 아래에 또 다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페달 장치(10)는 라이어 블록(12), 페달 포스트(13), 라이어 박스(14), 페달(15A/15B/15C), 페달봉(16), 라이어 버팀대(16A) 및 커플러(17)를 포함한다. 커플러(17)는 페달 장치(10)에 새로이 추가되고, 어른 또는 어린이 중 어느 한쪽의 피아니스트에게 적절한 거리 만큼 라이어 블록(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라이어 박스(14)를 조절하기 위해 라이어 박스(14)와 페달 포스트(13) 사이에 제공된다. 라이어 박스(14)는 페달 포스트(13)를 따라 활주 가능하다. 피아니스트는 라이어 박스(14)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라이어 박스(14)를 페달 포스트(13)에 고정시킨다. 라이어 블록(12), 페달 포스트(13), 라이어 박스(14), 페달(15A/15B/15C) 및 페달봉(16)은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외관이 유사하고, 커플러(17)는 라이어 박스(14) 보다 훨씬 더 작다. 커플러(17)는 사용자가 페달 장치에 친밀감을 느끼도록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페달(15A/15B/15C)은 각각 "댐퍼 페달", "소스테누토 페달" 및 "소프트 페달"로서 불리게 된다. 댐퍼 페달(15A) 및 소스테누토 페달(15B)은 댐퍼와 결합하게 되고, 소프트 페달(15C)은 건반과 해머를 결합 줄로부터 편의시킨다. 댐퍼 페달(15A)은 음을 늘이는 데 이용되고, 소스테누토 페달(15B)은 다른 것과 독립적으로 음을 늘이게 된다. 소프트 페달(15C)은 음의 소리의 세기를 줄이는 데 이용된다.
라이어 블록(12)은 건 베드(11)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페달 포스트(13)는 라이어 블록(12)에 고정된다. 페달 포스트(13)는 라이어 블록(12)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하향 돌출한다. 페달 포스트(13)는 나무로 형성되고,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그 길이는 가변적이지 않다.
라이어 버팀대(16A)는 그 상단부에서 피아노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건 베드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서 라이어 박스(14)에 연결된다. 따라서, 라이어 버팀대(16A)는 피아노 케이스와 라이어 박스(14)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하고, 라이어 박스(14)가 페달(15A/15B/15C) 상에 가해진 큰힘에 견디도록 한다.
라이어 박스(14)는 대개 직사각형 평행 6면체 형상을 갖고, 상부/하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전방/후방 패널로 구성된다. 이들 패널들은 도3에 도시된 대로 라이어 박스(14) 내에 내부 공간(14a)을 형성한다. 한 쌍의 관통 구멍(21)은 상부 패널 내에 형성되고, 관통 구멍(21)은 페달 포스트(13) 간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관통 구멍(21)은 하부 패널 내에 형성되고, 관통 구멍(21)은 도4에 도시된 상부 패널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21)에 각각 정렬된다. 관통 구멍(21)은 평면 형상이 페달 포스트(13)와 유사하고, 페달 포스트(13)의 단면 보다 약간 더 넓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페달 포스트(13)는 내부 공간(14a)을 관통하게 되고, 라이어 박스(14)의 하부 패널로부터 돌출한다. 스토퍼 핀(26)은 페달 포스트(13)의 하부 내로 삽입되어, 페달 포스트(13)의 하부가 하부 패널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21)을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3 개의 관통 구멍(22)이 라이어 박스(14)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관통 구멍(22)이 후방 패널에 또한 형성된다. 전방 패널 내의 3 개의 관통 구멍(22)은 후방 패널 내의 3 개의 관통 구멍(22)에 정렬된다. 따라서, 3쌍의 관통 구멍(22)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3쌍의 관통 구멍(22)은 3 개의 페달(15A/15B/15C)에 각각 지정된다. 3 개의 브래킷(31)은 라이어 박스(14)의 하부 패널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3쌍의 관통 구멍(22)을 관통하는 가상선 상에 각각 마련된다. 3 개의 핀(30)은 페달(15A/15B/15C)에 고정되고, 각각의 핀(30)은 결합 페달(15A/15B/15C)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핀(30)은 결합 페달(15A/15B/15C)의 종방향에 실제 수직인 각각의 중심선을 갖는다. 핀(30)은 브래킷(31)에 의해 각각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페달(15A/15B/15C)은 3쌍의 관통 구멍(22)을 통해 라이어 박스(14)의 전방 및 후방 패널로부터 돌출한다. 3쌍의 관통 구멍(22)은 페달(15A/15B/15C)이 핀(30)의 중심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페달(15A/15B/15C)의 두께 보다 더 넓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압축 코일 스프링은 페달(15A/15B/15C)의 전방부와 라이어 박스(14)의 하부 패널 사이에 삽입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은 페달(15A/15B/15C)의 전방부를 항상 상향으로 압박한다. 리세스는 후방 패널에 형성되고, 라이어 버팀대(16A)은 도3에 도시된 대로 리세스 내로 삽입된다. 라이어 버팀대(16A)는 신축 자재하고 정해지지 않은 길이로 고정성을 갖게 되어 사용자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또 다른 위치로 라이어 박스(14)를 변경시킬 수 있다.
페달봉(16)은 페달(15A/15B/15C)의 후방부에 각각 연결된다. 최우측 페달봉(16)과 중앙 페달봉(16)은 댐퍼/소스테누토 페달(15A, 15B)과 댐퍼 사이에서 연결되고, 최좌측 페달봉(16)은 소프트 페달(15C)과 건반 사이에서 연결된다. 페달봉(16)은 페달(15A/15B/15C)의 후방부(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다. 피아니스트가 페달(15A/15B/15C)을 밟을 때, 페달(15A/15B/15C)의 전방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라않게 되고, 후방부는 페달봉(16)을 상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페달 운동은 댐퍼 또는 건반의 구성 요소들을 작동시키도록 결합 페달봉(16)을 통해 댐퍼 또는 건반으로 중계된다. 피아니스트가 페달(15A/15B/15C)로부터 힘을 제거할 때, 압축 코일 스프링은 페달(15A/15B/15C)을 리셋(reset) 위치로 복원시킨다.
페달(15A/15B/15C)과 페달봉(16) 간의 연결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관통 구멍(35)은 페달(15A/15B/15C)의 후방부(5a)에 형성되고, 페달봉(16) 보다 더 두껍게 된다. 페달봉(16)은 (도5에 도시된) 관통 구멍(35) 내로 느슨하게 삽입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은 관통 구멍(35)이 페달(15A/15B/15C)을 페달봉(16)에 대해 경사지도록 하기 때문에 페달(15A/15B/15C)과 페달봉(16) 간의 연결에 바람직하다. 수형 나사(36)는 페달봉(16)의 하부에 형성된다. 나사부는 사용자가 라이어 박스(1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길다. 3쌍의 너트(33)는 페달봉(16)의 나사부에 결합되고, 나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각각의 쌍의 너트(33) 중 하나는 결합 페달(15A/15B/15C)의 후방부 위에 있게 되고, 다른 너트(33)는 후방부 아래에 있게 된다. 각각의 너트(33)는 헤드부(33A)와 기부(33B)를 구비한다. 헤드부(33A)는 구형면의 일부와 유사한 둥근면(38)을 갖는다. 후방부(5a) 위의 너트(33)는 하향 지향된 둥근면(38)을 구비하고, 후방부(5a) 아래의 다른 너트(33)는 상향 지향된 둥근면(38)을 구비한다. 따라서, 둥근면은 서로 대향하게 된다. 각각의 페달의 후방부(5a)는 너트(33)의 둥근면(38) 사이에 개재된다. 둥근면(38)은 결합 페달(15A/15B/15C)의 후방부(5a)의 상부 및 하부면으로 압박되고, 관통 구멍(35)의 주연에 접촉 유지된다. 너트(33)는 후방부(5a)의 딱딱 소리나는 것을 금지시킨다. 둥근면(38)은 후방부(5a)가 매끄럽게 경사지도록 한다. 정지링(36a)은 페달봉(16)의 하부단에 결합되고, 하부 너트(33)가 나사부로부터 바람직스럽지 않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4로 돌아가서, 나사 구멍(25)은 라이어 박스(14)의 측면 패널에 형성되고, 페달 포스트(13)에 수직인 각각의 중심선을 갖는다. 라이어 박스(14)는 볼트(23)에 의해 페달 포스트(13)에 고정된다. 볼트(23)는 각각의 나사식 스템을 구비하고, 나사식 스템은 노브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사용자는 노브를 파지하고, 나사식 스템을 나사 구멍(25)에 정렬시킨다. 사용자는 노브를 회전시킨다. 그후, 나사식 스템은 나사 구멍(25) 내로 나사 결합되고, 페달 포스트(13)와 접촉하게 된다. 사용자는 노브를 더 회전시킨다. 나사식 스템은 페달 포스트(13)에 대해 압박되고, 관통 구멍(21)을 형성하는 라이어 박스(14)의 내부면(14b)을 향해 페달 포스트(13)를 압박한다. 페달 포스트(13)는 내부면(14b)에 대해 강하게 압박되고, 라이어 박스(14)는 페달 포스트(13)에 고정된다. 2쌍의 핀(26)은 페달 포스트(13)의 하단부를 각각 관통하고, 핀(26)은 결합 관통 구멍(21)의 내부 거리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사용자가 라이어 박스(14)를 하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라이어 박스(14)는 핀(26)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핀(26)은 라이어 박스(14)로의 하한치를 설정하고, 라이어 박스(14)가 페달 포스트(13)로부터 하향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제 피아니스트가 어른으로부터 어린이로 변경된다고 가정하면, 어린이 또는 어버이는 라이어 박스(14)를 현재 위치로부터 적절한 위치로 다음과 같이 변경시킨다. 우선, 사용자는 너트(33)를 느슨하게 한다. 너트(33)는 후방부(5a)로부터 이격되고, 페달을 이동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노브를 파지하고, 볼트(23)를 느슨하게 한다. 다른 볼트(23)는 또한 느슨하게 된다. 라이어 박스(14)는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라이어 박스(14)는 핀(26)에서 멈추게 된다. 사용자는 라이어 박스(14)를 들어올리게 된다. 라이어 박스(14)는 페달 포스트(13)를 따라 활주하게 되고, 페달(15A/15B/15C)은 또한 페달봉(16)을 따라 활주하게 된다. 어린이 또는 어버이는 적절한 위치를 찾게 되고, 페달(15A/15B/15C)을 어린이에게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되는 페달(15A/15B/15C)을 발견하게 될 때, 사용자는 볼트(23)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페달 포스트(13)를 라이어 박스(14)의 내부면(14b)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라이어 박스(14)는 페달 포스트(13)에 고정되고, 페달(15A/15B/15C)은 적절한 위치로 유지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너트(33)를 회전시키고, 페달(15A/15B/15C)의 후방부(5a)를 둥근면(38) 사이에 개재시킨다.
선행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는 커플러(17)에 의해 페달(15A/15B/15C)을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라이어 박스(14)를 페달 포스트(13) 상의 임의의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피아니스트가 어린이로 변경되더라도, 페달(15A/15B/15C)은 어린이에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그랜드 피아노 상에서 한편의 음악을 연주할 때, 연주자는 페달 장치(10)를 통해 연주자 자신의 표현을 그 음악에 정확히 제공하게 된다. 임의의 보조 페달 장치는 그랜드 피아노에 필요하지 않게 되고, 커플러(17)는 눈에 잘 띄지 않게 된다. 제조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를 고전적 외관으로 유지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는 사용자가 호감을 갖고 받아들이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 볼트(23)와 나사식 구멍(25)은 전체로서 커플러(17)를 구성한다. 라이어 박스(14)는 토대로서 제공되고, 페달봉(16)은 다수의 커넥터에 대응하게 된다. 관통 구멍(21)이 형성된 상부/하부 패널과 페달 포스트(13)는 전체로서 기구를 구성한다.
제2 실시예
도면의 도6으로 돌아가면, 페달 장치(39)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되어 있다. 제2 실시예를 실시한 그랜드 피아노는 페달 장치(39)를 제외하고는 그랜드 피아노와 구조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페달 장치(39)에 대해 설명을 집중하기로 한다.
페달 장치(39)는 라이어 블록(12), 페달 포스트(13), 라이어 박스(24), 3 개의 페달(15A/15B/15C), 페달봉(16) 및 커플러(27)를 포함한다. 라이어 블록(12), 페달 포스트(13), 3 개의 페달(15A/15B/15C) 및 페달봉(16)은 페달 장치(10)의 것들과 동일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간소화를 위해 이들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라이어 박스(24)는 라이어 박스(14)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평행 6면체 형상을 갖고, 상부/하부 패널, 측면 패널 및 전방/후방 패널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3쌍의 관통 구멍(22)은 전방 및 후방 패널에 형성되고, 페달(15A/15B/15C)은 3쌍의 관통 구멍(22)을 통해 라이어 박스(24)로부터 돌출한다. 그러나, 관통 구멍(21)은 상부 및 하부 패널에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안내 홈(40)이 형성된다. 측면 패널은 홈(40)을 형성하도록 만입되어 있고, 홈(40)은 수직 연장한다. 나사식 구멍(25)은 홈(40)의 기부에 형성된다. 홈(40)은 페달 포스트(13)의 단면과 유사한 각각의 단면을 갖고, 페달 포스트(13)는 각각 홈(40) 내에 수용된다. 라이어 박스(24)는 페달 포스트(13)를 따라 활주 가능하다.
페달 포스트(13)에는 긴 구멍(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41)은 어른 연주자 및 어린이 연주자 간의 차이를 수용하도록 충분히 길다. 볼트(23)의 스템부는 긴 구멍(41)을 관통하고, 나사식 구멍(25) 내로 나사 결합된다.
피아니스트가 어른으로부터 어린이로 변경될 때, 너트(33)는 페달(15A/15B/15C)의 후방부(5a)로부터 또한 이격되고, 볼트(23)는 느슨해지게 된다. 페달 포스트(13)는 라이어 박스(24)로부터 해제되고, 라이어 박스(24)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된다. 볼트(23)는 나사식 구멍(25) 내로 나사 결합되고, 노브는 페달 포스트(13)에 대해 압박된다. 페달 포스트(13)는 차례로 라이어 박스(24)의 기부면에 대해 압박되고, 라이어 박스(24)는 페달 포스트(13)에 고정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이어 박스(24)는 페달 포스트(13)를 따라 활주 가능하고, 커플러(27), 즉 볼트(23) 및 나사(25)에 의해 페달 포스트(13)에 고정된다. 따라서, 페달(15A/15B/15C)은 연주자에 적절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보조 페달 장치는 그랜드 피아노에 필요하지 않게 되고, 고전적 외관은 제2 실시예를 실행하는 그랜드 피아노에서 유지된다.
라이어 박스(14)는 토대로서 제공되고, 페달봉(16)은 다수의 커넥터에 대응하게 된다. 안내 홈(40)이 형성된 측면 패널과 페달 포스트(13)는 전체로서 기구를 구성한다.
제3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3)에 합체된 페달 장치(48)를 도시한 것이다. 건반(3a), 작용 기구(3b), 해머(3c), 댐퍼(3f) 및 줄(3d)은 피아노 케이스(3e) 내에 수용된다. 피아노 케이스(3e)의 일부를 형성하는 폴보드(fallboard)가 들어올려질 때, 건반(3a)은 피아니스트에 노출된다. 작용 기구(3b), 해머(3c) 및 줄(3d)은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며, 아래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페달 장치(48)는 라이어 블록(12), 라이어 박스(49), 3 개의 페달(15), 링크 기구(50) 및 가요성 페달 와이어(51)를 포함한다. 라이어 블록(12) 및 3 개의 페달(15)은 제1 실시예를 실행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것과 유사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설명을 집중하기로 한다.
라이어 박스(49)는 직사각형 평행 6면체 형상을 갖고, 상부/하부 패널, 전방/후방 패널 및 측면 패널은 3 개의 페달(15)이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21)과 나사식 구멍(25)은 상부/하부 패널 및 측면 패널에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두 쌍의 나사식 구멍이 측면 패널에 각각 형성된다.
두 쌍의 링크(53A, 53B)는 라이어 블록(12)의 측면과 라이어 박스(49)의 측면 패널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결된다. 링크(53A, 53B)는 볼트(54)에 의해 라이어 블록(12)에 회전식으로 연결된 각각의 상단부와 볼트(55)에 의해 라이어 박스(49)에 회전식으로 연결된 각각의 하단부를 구비한다. 볼트(54)는 소정 길이 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다른 볼트(55)는 소정 길이 만큼 서로로부터 또한 이격되어 있다. 링크(53A)는 결합 링크(53B)와 길이가 각각 동일하다. 링크(53A, 53B)는 라이어 블록(12)의 측면과 라이어 박스(49)의 측면 패널과 함께 평행 링크 기구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볼트(54, 55)를 느슨하게 할 때, 라이어 박스(49)는 링크 기구(50)에 대해 각운동을 하게 된다.
가요성 와이어는 페달(15)의 후방부(5a)와 댐퍼/건반 사이에서 연결된다. 도면부호 56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을 나타낸다. 가요성 와이어(51)는 구멍을 관통하게 되고, 후방부(5a)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페달 위치를 변경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볼트(54, 55)를 느슨하게 하고, 라이어 박스(49)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낸다. 평행 링크 기구는 라이어 박스(49)를 화살표(AR1)에 의해 나타낸 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가요성 와이어(51)는 변형된다.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를 발견할 때, 사용자는 볼트(54, 55)를 나사식 구멍 내로 나사 결합하고, 링크(53A, 53B)를 라이어 블록(12)과 라이어 박스(49) 내로 고정시킨다. 노브는 링크(53A, 53B)에 대해 압박된다. 링크(53A, 53B)는 차례로 라이어 블록(12)의 측면과 라이어 박스(49)의 측면 패널에 대해 압박된다. 따라서, 링크(53A, 53B)는 라이어 블록(12)에 고정되고, 라이어 박스(49)는 링크(53A, 53B)에 고정된다.
링크 기구(50)와 볼트(54, 55)는 눈에 띄지 않으며, 고전적 외관이 그랜드 피아노(3)에서 유지된다. 커플러, 즉 볼트(54, 55)와 결합 나사식 구멍은 라이어 박스(49)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는 피아니스트가 페달(15)을 임의의 적절한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링크 기구(50)와 가요성 와이어(51)는 피아니스트가 페달(15)을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미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링크 기구(50)와 가요성 와이어(51)에 의해 넓은 대역 내의 최적의 위치에 페달(15)을 위치시킨다.
최종적으로, 가요성 와이어(51)는 사용자가 후방부(5a)로의 연결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술된 실시예의 것 보다 더 간단한 조절 작업을 만들게 된다.
제3 실시예에서, 줄(3d)은 타격 부재로서 제공되고, 작용 기구(3b), 해머(3c) 및 댐퍼(3f)는 조합하여 내부 기구를 형성하게 된다. 라이어 블록(12)의 측면, 링크(53A, 53B), 볼트(54, 55) 및 측면 패널은 전체로서 기구를 구성하게 된다.
제4 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58)를 도시한 것이다. 페달 장치(58)는 링크(53A, 53B)에 형성된 긴 구멍(60)을 제외하고는 페달 장치(48)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페달 장치(58)의 구성 요소들에는 페달 장치(48)의 대응 구성 요소을 나타내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기되어 있다.
볼트(55)의 나사식 스템은 긴 구멍(60)을 관통하고, 라이어 박스(49)의 측면 패널에 형성된 나사식 구멍 내로 나사 결합된다. 사용자가 단지 볼트(55)를 느슨하게 할 때, 사용자는 라이어 박스(49)를 평행하게 이동시키고, 라이어 박스(49)를 라이어 블록(12)을 향해 경사지도록 한다. 물론, 볼트(54, 55)가 느슨하게 될 때, 라이어 박스(49)는 페달 장치(48)와 유사하게 흔들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긴 구멍(60)은 조절 작업에서의 가요성을 향상시킨다.
제5 실시예
도면의 도9로 돌아가면, 페달 장치(61)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되어 있다. 페달 장치(61)는 라이어 블록(12a), 라이어 박스(49a), 3 개의 페달(15), 가요성 와이어(51) 및 링크 기구(62)를 포함한다. 3 개의 페달(15) 및 가요성 와이어(51)는 제3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며,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라이어 블록(12a)은 (도시되지 않은) 건 베드의 하부면에 또한 고정되고, 안내 슬롯(6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슬롯(63)은 측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다. 안내 슬롯(63)은 라이어 블록(12a)의 측면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안내 슬롯(64)은 라이어 박스(49a)의 측면 패널에 또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측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다. 두 쌍의 링크(53A, 53B)와 중심 볼트(66)는 볼트(54, 55)와 함께 조합하여 링크 기구를 형성한다. 링크(53A)는 결합 링크(53B)와 각각 교차하고, 중심 볼트(66)에 의해 링크(53B)에 연결된다. 중심 볼트(66)는 링크(53A, 53B)를 주어진 각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중심 볼트가 느슨하게 될 때, 중심 볼트는 링크(53A, 53B)가 그 사이의 각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한다. 링크(53A)는 그 하단부에서 볼트(55)에 의해 측면 패널에 각각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다른 링크(53B)는 또한 그 상단부에서 볼트(54)에 의해 라이어 블록(12a)의 측면에 각각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링크(53A)의 상단부는 볼트(54)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볼트(54)는 안내 슬롯(63)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정지링은 안내 슬롯(63) 내의 볼트(54)의 나사식 스템부와 결합하게 되고, 볼트(54)가 슬롯(63)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금지시킨다. 마찬가지로, 링크(53B)의 하단부는 볼트(55)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볼트(55)는 안내 슬롯(63)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정지링은 스템부와 또한 결합하게 되고, 볼트(55)가 슬롯(63)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금지시킨다.
사용자가 페달(15)의 위치를 변경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중심 볼트(66)를 느슨하게 하고, 라이어 박스(49a)를 들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볼트(54, 55)는 안내 슬롯(63, 64) 내에서 이동되고, 링크(53A, 53B)가 그 사이의 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 페달(15)을 발견할 때, 사용자는 중심 볼트(66)를 링크(53A, 53B) 내로 나사 결합하고, 링크(53A)를 링크(53B)에 고정시킨다. 링크(53A, 53B)는 그 사이의 각을 변경시킬 수 없고, 라이어 박스(49a)를 그 위치에 유지시킨다.
페달 장치(61)는 제3 실시예의 모든 장점을 달성하게 된다. 사용자는 중심 볼트(66)에 의해 라이어 박스(49a)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조절 작업은 제3 실시예 보다 더 용이하다.
제6 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68)를 도시한 것이다. 페달 장치(68)는 L자형 금속판(71)에 의해 라이어 박스(14)에 연결된 발판(70)을 제외하고는 페달 장치(10)와 유사하다. 라이어 박스(14)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될 때, 발판(70)은 라이어 박스(14)와 함께 이동된다. 어린이 피아니스트는 발을 발판(70) 상에 얹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라이어 박스는 하나의 페달 포스트에 의해 라이어 블록에 매달려 있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지 한 쌍의 관통 구멍이 라이어 박스의 상부 및 하부 패널에 형성되고, 라이어 박스는 하나의 페달 포스트를 따라 활주 가능하다.
발판(70)은 제2 내지 제5 실시예를 실행하는 라이어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페달 장치(10, 39, 48, 58, 61, 68)는 단지 두 개의 페달, 즉 댐퍼 페달 및 소프트 페달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약음 장치(muffler) 페달 및 결합 페달봉은 페달 장치로부터 삭제되고, 단지 2쌍의 관통 구멍(22)이 라이어 박스에 형성된다.
도11,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에 채용 가능한 페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한 쌍의 라이어 포스트(80)는 라이어 블록(81)에 매달려 있게 되고, 라이어 박스(82)는 라이어 포스트(80) 쌍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랙(83)은 라이어 포스트(80)의 후방면에 고정된다. 축(84)은 라이어 박스(82)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한 쌍의 피니언(85)은 축(84)에 고정된다. 피니언(85)은 랙(83) 간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결합 랙(83)에 각각 정합된다. 축(84)은 라이어 박스(82)로부터 비스듬히 돌출하고, 노브(86)는 축(84)의 돌기부에 고정된다. 한 쌍의 위치 설정 나사(87)는 라이어 박스(82)로부터 비스듬히 돌출하고, 선행 단부는 라이어 포스트(80)로부터 이격 및 그에 압박된다. 페달봉 및 라이어 버팀대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라이어 버팀대는 한 쌍의 신축 자재관(T)에 의해 실행된다.
신축 자재관(T)은 그 상단부에서 건 베드(W)의 하부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서 라이어 박스(82)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로 삽입된다.
피아니스트가 라이어 박스(82)를 현재의 위치로부터 또 다른 위치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라이어 박스(82)가 라이어 포스트(8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 나사(87)를 우선 느슨하게 한다. 그 후에, 사용자는 노브(86)를 회전시키고, 노브(86)는 축(84)과 피니언(85)을 회전시키게 된다. 랙(83)은 피니언(85)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고, 라이어 박스(82)는 노브(86)의 회전 방향에 따라 라이어 포스트(80)를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된다. 라이어 박스(82)가 사용자에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 사용자는 위치 설정 나사(87)를 회전시키고, 선행 단부를 라이어 포스트(80)의 측면에 압박한다. 위치 설정 나사는 라이어 박스(82)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페달 장치는 도14 및 도15에 도시되어 있다. 라이어 박스(82)는 전기 모터(M)의 출력축에 고정된 한 쌍의 라이어 포스트(88)에 또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기 모터(M)는 라이어 블록(81)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수형 나사(89)는 라이어 포스트(88)의 표면에 형성되고, 한 쌍의 볼 나사부(90)는 라이어 박스(82)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수형 나사(89)는 볼 나사부(90)에 정합되고, 전기 모터(M)는 적절한 구동 회로에 연결된다. 페달봉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절될 수 있다.
피아니스트가 라이어 박스(82)를 적절한 위치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전기 모터(M)를 통전시킨다. 전기 모터(M)의 출력축은 회전 구동되고, 따라서 수형 나사(89)가 회전하게 된다. 볼 나사부(90)는 수형 나사(89)의 회전을 라이어 박스(82)의 직선 운동으로 변경한다. 라이어 박스(82)는 출력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된다. 라이어 박스(82)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 사용자는 전기 모터를 정지시키고, 전기 모터(M)는 라이어 박스(82)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킨다.
또 다른 페달 장치는 도16에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신축 자재 포스트(92)는 라이어 블록(81)에 매달려 있고, 라이어 박스(82)는 신축 자재 포스트(92)의 하부단에 고정된다. 신축 자재 포스트(92)는 비교적 두꺼운 관형 부재(93)와, 비교적 얇은 축 부재(94) 및 패스너(95)를 각각 구비한다. 축 부재(94)는 관형 부재(93) 내로 각각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패스너(95)에 의해 각각 관형 부재(93)로부터 느슨하게 되거나 그에 고정된다. 관형 부재(93)의 상단부는 라이어 블록(81)에 고정되고, 축 부재(94)의 하단부는 라이어 박스(82)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페달봉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절될 수 있다.
피아니스트가 라이어 박스(82)를 적절한 위치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패스너(95)를 느슨하게 하고, 축 부재(94)를 활주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라이어 박스를 들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축 부재(94)는 관형 부재(93) 내로 수축되거나 그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라이어 박스(82)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 사용자는 패스너(95)에 의해 축 부재(94)를 관형 부재(93)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직립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장치는 어쿠스틱 피아노를 기초로 하여 제작된 복합 건반 악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복합 건반 악기의 전형적인 예는 사일런트(silent) 피아노로서 불리게 되고, 또 다른 예는 자동 연주 피아노이다. 실제 사용되는 건반은 복합 건반 악기의 또 다른 예이다.
사일런트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 즉 그랜드 피아노 또는 직립 피아노 및 전자 음 발생 장치의 조합체이고, 피아니스트는 어쿠스틱 음 또는 전자음으로 한편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가 한편의 음악을 전자음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일런트 피아노는 해머 스토퍼와 전자음 발생 장치를 갖추고 있다. 해머 스토퍼는 해머와 결합하여 제공되고, 자유 위치와 방해 위치 사이에서 변경된다. 해머 스토퍼가 자유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해머는 해머 스토퍼에 의해 어떠한 방해 없이 관련 줄 세트와 부딪치게 된다. 해머 스토퍼가 방해 위치로 변경될 때, 해머 스토퍼는 해머의 궤도 내에 들어가게 되고, 해머는 줄과 부딪치기 전에 해머 스토퍼 상에서 되튀게 된다. 전자음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이웃에 방해를 주는 일이 없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피아노 음 대신에 전자음을 생성하게 된다.
자동 연주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 및 자동 연주 장치의 조합체이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이거나 직립형 피아노이다. 자동 연주 장치는 건반 하방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작동식 건 액츄에이터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한 세트의 음악 데이터 코드가 컨트롤러에 공급될 때, 컨트롤러는 음악 데이터 코드 세트를 분석하고, 건반으로부터 이동되는 건과 건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간을 선택한다. 그 시간이 오게 될 때, 컨트롤러는 이동되는 건 하방의 솔레노이드 작동식 건 액츄에이터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솔레노이드 작동식 건 액츄에이터는 주어진 시간에 건을 이동시키고, 건은 줄을 향해 해머의 자유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작용 유닛을 작동시킨다.
실제 사용되는 건반은 어쿠스틱 피아노를 개조한 것이다. 해머 조립체 및 줄은 두들기는 기구 및 완충기로 대치된다. 훈련 받는 사람이 건반 상에서 한편의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눌려진 건은 관련 작용 유닛을 작동시키고, 차례로 배출구(escape)를 통해 해머의 자유 회전을 발생시킨다. 두들기는 기구는 완충기 상에서 되튀기게 되고, 피아노 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전자음 발생 장치는 또한 실제 사용되는 건반에 합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서는 두들기는 기구를 모니터하고, 두들기는 기구의 현재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알려준다. 컨트롤러는 눌려진 건을 지정하도록 일련의 위치 데이터 정보를 분석한다. 컨트롤러는 건반 상의 연주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고, 그 코드를 음 발생기에 공급한다. 음 발생기는 음악 데이터 코드로부터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음성 장치는 음성 신호를 전자음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훈련 받는 사람은 훈련 중에 전자음을 통해 연주를 점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연주자에게 적절한 높이로 조절될 수 있는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기술의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라이어 박스 내부의 페달과 페달봉 간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4는 페달 포스트 상에서 활주 가능한 라이어 박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페달봉에 연결된 페달을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3은 페달 장치에 합체된 피니언 및 랙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페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페달 기구
11 : 피아노 케이스
12 : 라이어 블록
13 : 페달 포스트
14 : 라이어 박스
30 : 핀
36 : 수형 나사

Claims (14)

  1.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3e)와,
    상기 케이스의 평판(11) 상에 장착되고 연주자에게 노출된 건반(3a)과,
    내부 기구와,
    페달 기구(10, 39, 48, 58, 61, 68)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기구는 상기 건반(3a)에 연결되고 연주자가 건반(3a)의 건을 누를 때 작동되는 작용 기구(3b)와, 상기 건에 각각 결합되고 연주자가 관련 건을 누를 때 작용 기구(3b)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해머(3c)와, 상기 해머(3c)에 결합 제공되고 회전 단부에서 해머(3c)와 부딪치는 타격 부재(3d)와, 상기 건반(3a)에 연결되고 타격 부재(3d)의 진동에 영향을 주도록 건에 의해 구동되는 댐퍼 기구(3f)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기구는 건을 누르게 될 때 발생되는 음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눌려지는 다수의 페달(15A/15B/15C, 15)과, 다수의 페달이 그 위에서 회전 지지되는 토대(14, 24, 49, 49a, 82)와, 페달의 운동을 상기 내부 기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페달(15A/15B/15C, 15)과 상기 내부 기구(3b/3c/3f) 사이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16, 51)와, 상기 케이스(3e)와 상기 토대(14, 24, 49, 49a) 사이에 마련된 기구(12/13/21/26, 12/13/40, 50, 62)를 포함하는 건반 악기(3, 3a)에 있어서,
    상기 기구(12/13/21/26, 12/13/40/41, 50, 62, 80/83/84/85/86, 88/89/90/M, 92)는 상기 토대(14, 24, 49, 49a, 82)가 상기 케이스(3e)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페달 기구(10, 39, 48, 58, 61, 68)는 상기 토대(14, 24, 49, 49a)에 제공되는 커플러(23/25, 23/41, 54/55, 66)를 더 포함하고, 커플러는 토대가 케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제 상태와 토대가 케이스에 대해 위치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3e)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피아노 케이스의 외관을 갖고, 건반(3a), 내부 기구(3b/3c/3f) 및 타격 부재(3d)는 상기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 작용 기구의 조합체, 댐퍼와 해머 및 줄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어쿠스틱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3e), 건반(3a), 내부 기구(3b/3c/3f) 및 타격 부재(3d)는 그랜드 피아노의 피아노 케이스, 건반, 작용 기구의 조합체, 댐퍼 기구와 해머 및 줄에 각각 대응하고, 토대, 기구는 상기 그랜드 피아노의 라이어 박스(14, 24), 적어도 하나의 페달 포스트(13)와 상기 라이어 박스 내에 형성된 안내면(21, 40)의 조합체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안내면은 적어도 하나의 페달 포스트(13)가 그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 구멍(21)을 형성하는 라이어 박스(14, 24)의 상부 및 하부 패널의 주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나사식 구멍(25)은 라이어 박스(14, 24)의 측면 패널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식 구멍(25)은 적어도 하나의 페달 포스트(13)를 주연면으로 압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식 구멍 내로 나사 결합되는 볼트(23)와 함께 커플러(17, 27)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7. 제4항에 있어서, 라이어 박스(14, 24)는 적어도 하나의 페달 포스트(13)를 따른 어떤 일정한 이동 범위를 갖고, 상기 라이어 박스(14, 24)가 적어도 하나의 페달 포스트(13)를 따라 이동되는 중에 페달(15A/15B/15C)이 페달봉(16)의 나사식 표면(36)을 따라 이동되도록 커넥터는 상기 어떤 일정한 범위 보다 더 짧지 않은 나사식 표면(36)이 형성된 페달봉(16)에 대응하고, 너트(33)는 나사식 표면(36) 상의 어떤 일정한 위치에 다수의 페달(15A/15B/15C)을 개재하기 위해 상기 나사식 표면(3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3e), 건반(3a), 내부 기구(3b/3c/3f) 및 타격 부재(3d)는 그랜드 피아노의 피아노 케이스, 건반, 작용 기구의 조합체, 댐퍼 기구와 해머 및 줄에 각각 대응하고, 토대, 기구는 라이어 박스(49, 49a),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된 고정판(12)과 상기 라이어 박스 사이에 연결된 링크 기구(50, 62)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링크 기구(50)는 고정판(12)의 측면과, 라이어 박스(49)의 측면과, 각 쌍의 링크(53A/53B)가 평행 배치되도록 그 제1 단부에서 상기 고정판(12)의 측면에 그 제2 단부에서 라이어 박스(49)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2쌍의 링크(53A/53B)를 포함하고, 커플러는 상기 링크를 상기 측면에 대해 압박하도록 측면 내에 형성된 나사식 구멍과, 상기 링크를 관통하고 상기 나사식 구멍 내로 나사 결합되는 볼트(54/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0. 제9항에 있어서, 링크(53A/53B)에는 긴 슬롯(6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55)는 라이어 박스(49)가 긴 슬롯(6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긴 슬롯(60)을 통해 라이어 박스의 측면 내에 형성된 나사식 구멍 내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링크 기구는 서로 교차하는 2쌍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제1 단부를 라이어 박스의 측면에 회전식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링크의 제2 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된 고정판의 측면에 회전식으로 연결하는 또 다른 연결 부재와, 연결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 슬롯과, 각 쌍의 링크가 그 사이의 각을 변경할 수 있도록 다른 연결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상기 라이어 박스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 슬롯을 포함하고, 커플러는 중심부를 서로 압박하도록 상기 링크의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식 구멍과, 상기 나사식 구멍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2. 제8항에 있어서, 다수의 커넥터(51)는 링크 기구(50, 62)의 운동으로 인한 라이어 박스(49, 49a)의 변동을 수용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3e), 건반(3a), 내부 기구(3b/3c/3f) 및 타격 부재(3d)는 그랜드 피아노의 피아노 케이스, 건반, 작용 기구의 조합체, 댐퍼 기구와 해머 및 줄에 각각 대응하고, 토대는 발판(70)이 매달려 있는 라이어 박스(14)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라이어 박스는 길이가 가변적인 라이어 버팀대(16A, T)에 의해 피아노 케이스에 또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KR1020020009163A 2001-02-21 2002-02-21 높이 조절 가능한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 KR100610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5557 2001-02-21
JPJP-P-2001-00045557 2001-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30A KR20020069130A (ko) 2002-08-29
KR100610291B1 true KR100610291B1 (ko) 2006-08-09

Family

ID=1890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163A KR100610291B1 (ko) 2001-02-21 2002-02-21 높이 조절 가능한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28713B2 (ko)
KR (1) KR100610291B1 (ko)
CN (1) CN100476948C (ko)
DE (1) DE1020734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8713B2 (en) * 2001-02-21 2003-03-0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eight controllable pedals
JP5057669B2 (ja) * 2005-04-28 2012-10-2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楽器のペダル装置
BE1017563A5 (fr) * 2007-04-23 2008-12-02 Marien Christel Pedalier de hauteur variable pour piano.
WO2009108437A1 (en) *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JP5228667B2 (ja) * 2008-07-24 2013-07-0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JP5338323B2 (ja) * 2009-01-13 2013-11-1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ペダル装置
JP5218165B2 (ja) * 2009-03-10 2013-06-2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のペダル装置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131649B2 (ja) * 2010-09-10 2013-0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ペダル装置
JP5736917B2 (ja) * 2011-04-05 2015-06-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プログラム、演奏データ変換プログラム及び装置
CN103680473B (zh) * 2012-08-31 2016-03-30 昆山市玉山镇仕龙设计工作室 可调踏板高度的升降式钢琴
CN106504733B (zh) * 2015-09-07 2019-08-30 雅马哈株式会社 支撑构造
US9812097B1 (en) * 2016-12-15 2017-11-07 Ken Rich Portable accessory pedal and support for a musical instrument
CN108022568A (zh) * 2018-01-31 2018-05-11 浙江欧莱克琴业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矮的钢琴踏板
CN111739482B (zh) * 2019-03-21 2023-07-21 滨州学院 一种钢琴踏板震奏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477A (en) * 1901-05-11 1902-02-18 Max G Wittman Piano-pedal.
KR890014346U (ko) * 1987-12-31 1989-08-10 도요피아노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피아노 페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15420U (ko) * 1994-10-25 1996-05-17 피아노의 페달높이 조절장치
KR19980037610A (ko) * 1996-11-22 1998-08-05 배순훈 디지탈 피아노의 페달높이 조절장치
JPH1165554A (ja) * 1997-08-26 1999-03-0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ペダル機構
KR200209997Y1 (ko) * 2000-08-07 2001-01-15 동영인더스트리주식회사 피아노 페달 높이 조절장치
US6528713B2 (en) * 2001-02-21 2003-03-0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eight controllable peda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977C (de) * H. KUPKE in Berlin N., Chausseestr. 73 Verstellbare Fufsbank zum Klavierspielen mit Pedaltritten
US3365994A (en) * 1966-12-16 1968-01-30 Kimball Piano & Organ Co Bearing block
US4041829A (en) * 1975-09-30 1977-08-16 Robert Ogden Robeson Piano pedal assembly
JPS59158190A (ja) 1983-02-26 1984-09-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時間スイツチ回路
US4924742A (en) * 1988-06-07 1990-05-15 Yamaha Corporation Mechanical keyboard instrument with pedal mechanisms
JPH0726893U (ja) * 1993-10-08 1995-05-19 ヤマハ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
FR2730084B1 (fr) * 1995-01-31 1997-04-04 Rochefordiere Denis De Procede musical pour instruments de musique tels que pianos et mecanisme de mise en oeuvre de celui-ci
JP3369801B2 (ja) 1995-08-03 2003-01-20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補助ペダル装置
US5905220A (en) * 1997-03-27 1999-05-18 Burget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pedal motion and actuating pedals in player pianos
GB9711756D0 (en) * 1997-06-09 1997-08-06 Pillinger Suzanne Adjustable foot rest incorporating piano pedal extension mechanism for grand and upright pianos
JP2001312269A (ja) * 2000-05-02 2001-11-09 Yamaha Corp ピアノのペダル機構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477A (en) * 1901-05-11 1902-02-18 Max G Wittman Piano-pedal.
KR890014346U (ko) * 1987-12-31 1989-08-10 도요피아노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피아노 페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15420U (ko) * 1994-10-25 1996-05-17 피아노의 페달높이 조절장치
KR19980037610A (ko) * 1996-11-22 1998-08-05 배순훈 디지탈 피아노의 페달높이 조절장치
JPH1165554A (ja) * 1997-08-26 1999-03-0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ペダル機構
KR200209997Y1 (ko) * 2000-08-07 2001-01-15 동영인더스트리주식회사 피아노 페달 높이 조절장치
US6528713B2 (en) * 2001-02-21 2003-03-0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eight controllable ped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7345B4 (de) 2004-07-22
KR20020069130A (ko) 2002-08-29
DE10207345A1 (de) 2003-05-15
US6528713B2 (en) 2003-03-04
CN100476948C (zh) 2009-04-08
CN1374638A (zh) 2002-10-16
US20020112594A1 (en)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291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페달을 갖는 건반 악기
US6930234B2 (en)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US20050235801A1 (en) Separate automatic player driving keys and pedals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3341438B2 (ja) 鍵盤楽器
US5565636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driving unit for hammer stopper located in wide space in front of hammer assemblies
US6423889B2 (en)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easily regulating escape timing, silent system cooperative therewith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US5763799A (en) Simulated escape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US6248943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dummy hammer with well-regulated center of gravity for producing piano-like key touch without acoustic sound
KR100522500B1 (ko) 무단계 악기용 보면대 및 이를 설치한 음악기구
JPH07210150A (ja) 鍵盤楽器
KR100413171B1 (ko)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건반 악기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EP1424682B1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US5986202A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6696625B2 (en) Easily adjustable assistant pedal system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6660917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fall board formed with clearance for fingers
JPH07271351A (ja) 鍵盤楽器
CN110070844A (zh) 直接驱动打击乐器踏板系统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2006003530A (ja) 音色変更装置、及び、音色変更装置を備えたピアノ
US20060032366A1 (en) Keyboard device with adjustable key touch sensation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7191665A (ja) 鍵盤楽器
CN108028039A (zh) 钢琴扩展柔音踏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