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063B1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063B1
KR100608063B1 KR1020040070778A KR20040070778A KR100608063B1 KR 100608063 B1 KR100608063 B1 KR 100608063B1 KR 1020040070778 A KR1020040070778 A KR 1020040070778A KR 20040070778 A KR20040070778 A KR 20040070778A KR 100608063 B1 KR100608063 B1 KR 10060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aft
stopper
roll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024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63B1/ko
Priority to US11/166,651 priority patent/US7448624B2/en
Priority to CNB2005100996032A priority patent/CN100474143C/zh
Publication of KR2006002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65H5/06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the axes of the roller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급지장치는 화상형성부와, 용지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이송하는 롤러장치를 구비하는 급지부와,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를 통과할 때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차단하도록 롤러장치를 작동시키는 급지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급지장치와 달리 롤러장치를 이격시키는 구성이 단순하며, 급지장치의 구현에 필요한 공간도 작아지므로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 사이를 빠져나올 때 용지에 작용하는 불필요한 외력이 저하되므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단속부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소형화와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Paper-feed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종래의 급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급지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용지의 이송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급지장치 110...화상형성부
120...급지부 130...롤러장치
140...구동롤러 142...제1축
150...피동롤러 152...제2축
160...급지제어부 210...단속부
220...클러치부 230...스토퍼
240...구동부재 250...록킹부
252...트리거 254...구속부
260...코일 스프링 300...화상형성장치
311...감광드럼 312...현상롤러
313...대전롤러 314...공급롤러
320...제1전사부 330...노광부
331,332...지지롤러 335...중간전사벨트
340...제2전사부 350...정착부
360...센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에 화상을 전사(transfer)시 용지 후단에 가해지는 기계적 진동으로 인해 화상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롤러장치를 구비한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ED 프린터, 디지털 복 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혹은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른 화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옮기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와,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급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급지장치(1)는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3)과, 구동축(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2)와, 구동롤러(2)에 밀착되어 구동롤러(2)에 피동되어 회전하는 피동롤러(5)를 구비한다. 피동롤러(5)는 그 양단의 레버(10)에 의해 힌지축(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구동롤러(2)와 접촉 및 분리된다. 이때, 피동롤러(5)는 가압 스프링(8)에 의해 구동롤러(2)를 향해 탄성 바이어스된다. 레버(10)는 힌지축(7)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힌지축(7)에 결합되며, 양측의 레버(10) 중 일측의 레버(10)는 후술하는 회전캠(12)에 의해 간섭되는 기계적 인터럽터(10a)를 갖는다. 또한, 급지장치(1)는 피동롤러(5)가 회동하여 구동롤러(2)에서 이격되도록 인터럽터(10a)를 간섭하는 회전캠(12)과, 회전캠(12)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전자 클러치(14)를 구비한다.
급지장치(1)의 구동롤러(2)가 회전하면 이에 밀착된 피동롤러(5)가 함께 회전하고, 구동롤러(2)와 피동롤러(5)로 이루어진 롤러장치(20) 사이로 용지의 전단부가 물려 통과하면서, 용지가 화상형성부(미도시)로 급지된다. 용지는 그 전단부부터 화상형성부(미도시)를 통과하며 화상이 형성된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롤러장 치(20)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압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지가 롤러장치(20)에 물려 이송되다가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20) 사이를 빠져나올 때 용지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20) 사이를 빠져나올 때, 피동롤러(5)가 구동롤러(2)에서 이격되도록 회전캠(12)을 회전시켜 인터럽터(10a)를 가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급지장치(1)는 롤러장치(20)를 이격시키기 위해, 회전캠(12), 전자 클러치(14) 등의 복잡한 구조의 부품을 필요로 하며, 구동축(3)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별도로 회전캠(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어렵고,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회전캠(12)을 롤러장치(20)와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20) 사이를 빠져나올 때 용지에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여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비해 단순하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롤러장치에 장착되어 롤러장치를 이격시키는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는, 화상형성부와; 제1면과 그 반대의 제2면을 가지는 용지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형성부로 상기 용지를 이송하는 롤러장치를 구비하는 급지부와; 상기 용지의 후단이 상기 롤러장치를 통과할 때 상기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롤러장치를 작동시키는 급지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용지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제1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제1축과 나란하며 상기 용지의 상기 제2면에 대응하는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구동롤러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2축과 독립하여 회전하는 피동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지제어부는, 상기 제2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켜 상기 구동롤러에 의한 이송력을 단속하는 단속부와; 상기 구동롤러에 의한 이송력을 단속할 필요가 있는 때에 상기 제2축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축을 둘러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제2축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회전력으로부터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록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가 언록킹되면 상기 스토퍼가 고정 설치된 상기 제2축이 상기 스 토퍼와 같이 회전하며,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그 외주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간섭하여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가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를 간섭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트리거의 동작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속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재는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속부는 캠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2축에 구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구동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축의 양 단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상기 제1축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피동롤러를 통과시 상기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와; 제1면과 그 반대의 제2면을 가지는 용지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형성부로 상기 용지를 이송하는 롤러장치를 구비하는 급지부와; 상기 용지의 후단이 상기 롤러장치를 통과할 때 상기 용 지에 대한 이송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롤러장치를 작동시키는 급지제어부를; 갖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용지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제1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제1축과 나란하며 상기 용지의 상기 제2면에 대응하는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구동롤러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2축과 독립하여 회전하는 피동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지제어부는, 상기 제2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켜 상기 구동롤러에 의한 이송력을 단속하는 단속부와; 상기 구동롤러에 의한 이송력을 단속할 필요가 있는 때에 상기 제2축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축을 둘러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제2축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의 외주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회전력으로부터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록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의 록킹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가 고정 설치된 상기 제2축이 상기 스토퍼와 같이 회전하며,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10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0)와, 화상형성부(110)로 용지를 이송하는 롤러장치(130)를 구비하는 급지부(120)와, 필요한 때에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차단하도록 롤러장치(130)를 작동시키는 급지제어부(160)를 구비한다.
급지부(120)는 제1면과 그 반대의 제2면을 가지는 용지에 이송력을 제공한다. 급지부(120)는 롤러장치(130)를 구비하며, 롤러장치(130)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40)와, 구동롤러(140)에 피동하는 피동롤러(150)를 구비한다.
구동롤러(140)는 용지의 제1면에 대응하는 제1축(142)에 결합되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용지를 이송한다. 피동롤러(150)는 제1축(142)과 나란하며 용지의 제2면에 대응하는 제2축(152)에 결합되고, 용지를 구동롤러(140)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제2축(15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용지는 그 선단이 회전하는 구동롤러(140)와 피동롤러(150) 사이로 진입하여, 구동롤러(140)와 피동롤러(150)에 물려 이송된다.
급지제어부(160)는 제2축(152)에 설치되는 단속부(210)와, 단속부(210)의 작 동을 제어하는 클러치부(220)를 구비한다. 단속부(210)는 제1축(142)과 제2축(152)을 이격시켜 제1축(142)에 설치된 구동롤러(140)에 의한 이송력을 단속한다. 제1축(142)과 제2축(152)은 단속부(21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이격되거나, 또는 접근된다. 단속부(210)는 제2축(152)에 구속되어 회전되며, 구동롤러(140)를 사이에 두고 제2축(152)의 양 단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캠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축(152)의 양측단은 디컷(D-cut, 154) 형태로 가공되고, 디컷(D-cut, 154)부에는 단속부(210)와 후술할 스토퍼(230)가 결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단속부(210)는 제1축(142)를 밀어 구동롤러(140)와 피동롤러(150)를 이격시킨다. 단속부(210)는 제2축(152)과 동축에 설치되지만, 피동롤러(150)가 구동롤러(140)와 이격될 필요가 있는 때에만 선택적으로 제2축(15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클러치부(220)는 구동롤러(140)에 의한 이송력을 단속할 필요가 있는 때에 제2축(15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2축(152)에 설치된 단속부(210)를 회동시킨다. 클러치부(220)는 스토퍼(230)와, 구동부재(240)와, 록킹부(250)를 구비한다.
스토퍼(230)는 제2축(152)을 둘러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제2축(152)에 고정 설치되어 제2축(152)과 함께 회전되며, 그 외주에는 돌출 형성된 돌출부(23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32)는 스토퍼(230)의 외주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구동부재(240)는 스토퍼(230)의 외주에 결합되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스토퍼(23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부재(240)는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250)는 트리거(252)와 구속부(254)를 구비하며, 구동부재(240)에 의한 회전력으로부터 스토퍼(23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스토퍼(230)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한다. 트리거(252)는 돌출부(232)를 간섭하여 스토퍼(23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스토퍼(230)를 록킹하거나, 돌출부(232)와의 간섭을 해제하여 스토퍼(230)가 회전되도록 한다. 구속부(254)는 트리거(252)가 스토퍼(230)에 형성된 돌출부(232)를 간섭하거나 해제하도록 트리거(252)의 동작을 구속한다. 구속부(254)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통전되면 자력이 발생하여 트리거(252)를 끌어당기게 되고, 트리거(252)와 돌출부(232)의 간섭이 해제됨에 따라 스토퍼(230)는 회전된다. 따라서 스토퍼(230)에 결합된 제2축(152)이 회전되고, 제2축(152)과 동축에 결합된 단속부(210)도 회전하게 된다. 즉,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130)를 통과시 구속부(254)인 솔레노이드는 돌출부(232)와 간섭하고 있는 트리거(252)를 동작하여 간섭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230)가 언록킹되면 스토퍼(230)가 고정 설치된 제2축(152)이 구동부재(240)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스토퍼(230)와 같이 회전되고, 제2축(152)에 설치된 단속부(210)를 회전시켜 제1축(142)과 제2축(152)을 접근 또는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130)를 통과하면 구속부(254)는 트리거(252)를 동작하여 스토퍼(230)를 간섭하여 회전을 억제한다.
제1축(142)에는 단속부(210)에 의해 멀어진 제2축(152)을 제1축(1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코일 스프링(2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급지장치(100)에는 용지의 후단이 구동롤러(140)와 피동롤러(150)를 통과하는 시점을 감지하여 급지제어부(160)를 작동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360)가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면, 그때부터 용지의 이송속도와 센서(360)에서 롤러장치(130)와의 거리를 기초로 하여 구속부(254)를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급지제어부(16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용지의 이송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지의 선단이 구동롤러(140)와 피동롤러(150) 사이를 통과하며 급지되는 동안,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232)가 트리거(252)에 의해 가로막혀 있어 구동부재(240)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스토퍼(23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230)가 고정결합된 제2축(152)과 동축에 설치된 단속부(210)도 회전하지 않는다.
용지의 후단이 센서(360)를 통과하면 센서(360)가 이를 감지하고, 그때부터 용지의 이송속도와 센서(360)에서 롤러장치(130)와의 거리를 기초로 하여 구속부(254)를 동작한다. 구속부(254)는 트리거(252)를 동작시켜 스토퍼(230)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232)와의 간섭을 해제한다. 따라서, 간섭이 해제된 스토퍼(230)는 구동부재(2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스토퍼(230)가 결합된 제2축(152)도 스토퍼(230)와 같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2축(152)에 설치된 구속부(254)가 회전되며,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130)를 빠져나가는 시점에 맞춰 제1축(142)과 제2축(152)을 이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130) 사이를 빠져나오면서 불필요한 외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4c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부(210)가 제2축(152)에 종동하여 계속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2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격된 롤러장치(130)는 다시 밀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130)를 통과하면 구속부(254)는 트리거(252)를 동작하여 스토퍼(230)에 형성된 돌출부(232)를 다시 간섭한다. 따라서 스토퍼(230)는 트리거(252)에 구속되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급지장치(100)는 도 4a와 도 4b의 상태로 복귀하여 후속 용지의 급지를 대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지의 이송에 따른 급지장치(100)의 일련의 동작이 도 5a와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사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살펴보겠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30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0)와, 용지를 적재한 급지카세트(390)와, 급 지카세트(390)로부터 용지를 인출하는 픽업부(392), 용지를 이송하는 급지장치(10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부(11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 제1전사부(320), 노광부(330C, 330M, 330Y, 330K), 중간전사벨트(335)를 포함한다.
각 노광부(330C, 330M, 330Y, 330K)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으로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부(330C, 330M, 330Y, 330K)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을 채용한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는 감광드럼(311)과 현상롤러(312)와 대전롤러(313)와 공급롤러(314)와 저장부(319)와 규제부재(미도시)와 클리닝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감광드럼(311)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전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다.
대전롤러(313)에는 감광드럼(31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313)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312)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311)으로 공급한다. 현상롤러(312)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31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312)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311)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312)의 외측에는 현상롤러(312)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공급롤러(314)와 현상롤러(312)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가 하우징(315)에 설치되어 있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굳지 않도록 휘저어주는 교반기(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미도시)는 하우징(315)에 설치되며 일단이 감광드럼(311)에 접촉하여 전사후 감광드럼(311)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드럼(311)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 클리닝부재(미도시)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감광드럼(311)에 접촉하여 전사후 감광드럼(311)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드럼(311)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 폐토너저장부(미도시)는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내부에 구비되어 클리닝부재(미도시)에 의해 감광드럼(311)에서 제거된 토너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는 노광부(330C, 330M, 330Y, 330K)에 의하여 주사된 광이 감광드럼(311)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미도시)를 구비한다. 감광드럼(311)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중간전사벨트(335)와 대면된다.
중간전사벨트(335)는 그 일면은 감광드럼(311)에, 그 타면은 제1전사부(320) 와 대면되게 설치되며, 감광드럼(311)과 제1전사부(320) 사이를 경유하여 다수의 지지롤러들(331)(332)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주행된다.
4개의 제1전사부(320)는 중간전사벨트(335)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사부(320)는 감광드럼(311)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드럼(311)과 제1전사부(32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335)로 옮겨진다.
제2전사부(340)는 용지가 통과하는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331)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전사부(340)는 중간전사벨트(335)로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중간전사벨트(335)와 제2전사부(34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로 옮겨진다.
정착부(350)는 가열롤러(351)와 가압롤러(352)를 포함하며,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가열롤러(351)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352)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352)는 가열롤러(351)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디컬부(355)는 정착부(350)를 통과하면서 열에 의해 컬(curl)이 발생된 용지의 컬(curl)을 제거한다. 배출롤러(35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 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부(110)로부터 용지이송경로(380)를 따라 배출롤러(357)에서 배지된 용지는 배지부(358)에 적재된다.
픽업부(392)는 급지카세트(390)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며, 용지를 급지장치(100)로 이송한다. 픽업부(392)에서 픽업된 용지는 급지장치(100)에 의해 화상형성부(110)를 거쳐 배출롤러(35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300) 밖으로 배출된다.
급지장치(100)는 용지이송경로(380)에 설치되며, 급지장치(100)로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100)가 채용된다. 급지장치(100)의 구조와 기능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은 대전롤러(313)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노광부(330C, 330M, 330Y, 330K)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개구(미도시)를 통하여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으로 조사한다. 광이 주사되면 주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출력 패턴이 정전잠상이다.
한편, 토너는 공급롤러(314)에 의하여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현상롤러(312)로 공급된다. 현상롤러(31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312)와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현상롤러(31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드럼(311)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며, 각 현상카트리지 (310C, 310M, 310Y, 310K)의 감광드럼(311)에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용지는 픽업부(392)에 의하여 급지카세트(390)로부터 인출된다. 용지는 급지장치(100)에 의하여 제2전사부(340)의 닙(Nip)으로 인입된다. 용지는 중간전사벨트(335)의 주행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각 현상카트리지(310C, 310M, 310Y, 310K)에 의해 중간전사벨트(335)로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의 선단이 제2전사부(340)와 대면된 전사닙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용지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전사벨트(335)에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은 용지가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제2전사부(340)와 이송롤러(331) 사이를 통과시 용지로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드럼(311)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닝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된다. 정착부(350)는 전사 후 용지에 형성된 칼라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디컬부(355)는 정착부(350)를 통과시 컬(curl)이 발생된 용지에서 컬(curl)을 제거한다. 디컬부(355)를 통과한 용지는 배출롤러(357)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롤러(357)에서 배지된 용지는 배지부(358)에 적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100) 및 화상형성장치(300)는 종래 발명과 달리 제2축(152)에 롤러장치(130)를 이격시키는 단속부(210)를 마련함으로써 용지에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롤러장치(130)를 이격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을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롤러장치를 이격시키는 구성이 단순하며, 급지장치의 구현에 필요한 공간도 작아지므로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용지의 후단이 롤러장치 사이를 빠져나올 때 용지에 작용하는 불필요한 외력이 저하되므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속부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소형화와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용지의 제1면에 대응하는 제1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축과 나란하며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 대응하는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제1롤러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롤러를 갖는 급지부와;
    상기 제2축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의 후단이 상기 제1, 제2롤러를 통과할 때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켜 상기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단속하는 단속부와 상기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단속할 필요가 있는 때에 상기 제2축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부를 갖는 급지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축을 둘러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제2축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외주에 결합되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회전력으로부터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록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가 언록킹되면 상기 스토퍼가 고정 설치된 상기 제2축이 상기 스토퍼와 같이 회전하며,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그 외주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간섭하여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가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를 간섭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트리거의 동작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2축에 구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축의 양 단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상기 제1축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통과시 상기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0.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용지의 제1면에 대응하는 제1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축과 나란하며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 대응하는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제1롤러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롤러를 갖는 급지부와;
    상기 제2축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의 후단이 상기 제1, 제2롤러를 통과할 때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켜 상기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단속하는 단속부와 상기 용지에 대한 이송력을 단속할 필요가 있는 때에 상기 제2축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부를 갖는 급지제어부를; 갖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축을 둘러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제2축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외주에 결합되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회전력으로부터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록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가 언록킹되면 상기 스토퍼가 고정 설치된 상기 제2축이 상기 스토퍼와 같이 회전하며, 상기 제2축에 설치된 상기 단속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접근 또는 이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그 외주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간섭하여 상기 스토퍼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가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를 간섭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트리거의 동작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2축에 구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축의 양 단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상기 제1축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통과시 상기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70778A 2004-09-06 2004-09-0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60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78A KR100608063B1 (ko) 2004-09-06 2004-09-0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166,651 US7448624B2 (en) 2004-09-06 2005-06-27 Paper 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2005100996032A CN100474143C (zh) 2004-09-06 2005-08-30 成像装置的供纸装置和具有该供纸装置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78A KR100608063B1 (ko) 2004-09-06 2004-09-0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4A KR20060022024A (ko) 2006-03-09
KR100608063B1 true KR100608063B1 (ko) 2006-08-02

Family

ID=3612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778A KR100608063B1 (ko) 2004-09-06 2004-09-0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48624B2 (ko)
KR (1) KR100608063B1 (ko)
CN (1) CN1004741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5295B2 (en) * 2005-08-08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ip pressure
JP4516542B2 (ja) * 2006-03-30 2010-08-0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用紙搬送装置
US20100090391A1 (en) * 2008-10-10 2010-04-15 Xerox Corporation Nip release system
US8746692B2 (en) * 2009-04-30 2014-06-10 Xerox Corporation Moveable drive nip
US8196925B2 (en) * 2009-06-30 2012-06-12 Xerox Corporation Sheet transport system with modular NIP release system
US8322872B2 (en) * 2009-08-20 2012-1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Linear light diffusing structure for document scanners
US20110187041A1 (en) * 2010-01-29 2011-08-04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8210530B1 (en) * 2011-03-29 2012-07-03 Lexmark International, Inc. Clutched nip separator device for a roll assembly
US8348273B2 (en) 2011-03-29 2013-01-08 Lexmark International, Inc. Nip separator device for a rol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0640A (ja) 1987-12-03 1989-06-13 Canon Inc 給紙機構
JP2966054B2 (ja) * 1990-07-13 1999-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US5368290A (en) * 1992-01-16 1994-11-29 Fujitsu Limited Paper transport mechanism
JPH0640105A (ja) 1992-03-18 1994-02-15 Nec Corp 印字装置のフィードローラ機構
EP0612000A3 (en) * 1993-02-19 1997-07-30 Canon Kk Original document feeder.
JPH07237782A (ja) * 1994-03-01 1995-09-12 Riso Kagaku Corp 孔版印刷装置
US5600426A (en) * 1994-03-30 1997-02-04 Xerox Corporation Self-aligning, low jam rate idler assembly
US5934664A (en) * 1996-06-25 1999-08-10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feeding apparatus and printer
KR100268134B1 (ko) 1997-12-29 2000-10-16 강병호 자동 급지장치
JPH11310341A (ja) * 1998-04-28 1999-11-09 Oki Data Corp プリンタの給紙装置及び給紙方法
JP3294555B2 (ja) * 1998-08-31 2002-06-2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KR20010011448A (ko) 1999-07-28 2001-02-15 윤종용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US6331002B1 (en) * 1999-07-29 2001-12-1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JP3554256B2 (ja) 1999-07-29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547239B2 (en) * 2000-03-23 2003-04-15 Fuji Photo Film Co., Ltd. Roller structure for sheet feeding apparatus
JP4920882B2 (ja) * 2004-10-28 2012-04-18 東北リコー株式会社 搬送部材解除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4A (ko) 2006-03-09
CN1746781A (zh) 2006-03-15
US20060071419A1 (en) 2006-04-06
US7448624B2 (en) 2008-11-11
CN100474143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689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448624B2 (en) Paper 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70092293A1 (en) Cover member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2806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73102A (ja) 画像形成装置とトナー補給方法
US20070052156A1 (en) Paper feeding unit for preventing multiple feeding
JPH0466963A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240822A1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729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12980A (ja) 画像形成機器
KR100619075B1 (ko) 회전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03801B1 (ko) 컬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US20070071509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142939A (ja) 画像形成装置
JP326647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6215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JP2004333929A (ja) 画像形成装置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KR20060062346A (ko) 화상형성장치
JPH11288188A (ja) 画像形成装置
JP4203650B2 (ja) 給紙装置
KR20060032076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