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21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215B1
KR100636215B1 KR1020050000081A KR20050000081A KR100636215B1 KR 100636215 B1 KR100636215 B1 KR 100636215B1 KR 1020050000081 A KR1020050000081 A KR 1020050000081A KR 20050000081 A KR20050000081 A KR 20050000081A KR 100636215 B1 KR100636215 B1 KR 100636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nsor
roller
actuato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634A (ko
Inventor
백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2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06C7/505Anchors being adapted to fix a ladder to a vertical structure, e.g. ladde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의 용지의 이송경로에 일측이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정착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에서 용지의 잼이 발생된 경우 용지에 일측이 간섭되어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발명과 달리 정착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에서 용지가 걸린 경우 용지가 구겨지기 전에 용지의 이송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지가 구겨지기 전에 용지의 이송을 중지시킴으로써 아코디언 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코디언 잼을 방지하여 잼 상태의 용지의 제거시 발생되던 사용자의 불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잼으로 인한 A/S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정착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에 아코디언 잼이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중 정착부와 배지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용지가 제1액츄에이터와 접촉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용지가 제1액츄에이터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잼이 발생시 제2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급지센서부와 배지센서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상형성장치 120...현상 카트리지
122...하우징 130...감광체
170...전사롤러 175...정착부
176, 177...정착롤러 178...배지롤러
192...급지센서부 194...배지센서부
195...제어부 210...제1액츄에이터
215...제1용지접촉아암 220...제1센서작동아암
222...차광부 250...제2액츄에이터
255...제2용지접촉아암 260...제2센서작동아암
262...차광부 280...센서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롤러를 통과한 용지의 이송단계에서 발생되는 아코디언 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ED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한 후, 이를 중간전사벨트나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정착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에 아코디언 잼이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지(P)의 이송경로를 따라 한 쌍의 정착롤러(10)와 배지롤러(50) 사이에는 용지(P)의 이송과 잼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액츄에이터(60)가 마련된다.
액츄에이터(60)는 정착롤러(10)의 앞쪽(용지(P)가 정착롤러(10)를 통과한 쪽)에 일점(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츄에이터(60)는 한 쌍의 정착롤러(1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용지(P)에 접촉되는 용지접촉아암(62)과, 상기 용지접촉아암(62)이 용지(P)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용지접촉아암(62)과 함께 회동되는 센서작동아암(64)을 갖는다.
용지접촉아암(62)은 본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용지접촉아암(62)은 그 단부가 정착롤러(10)의 출구측까지 연장되어 최초에는 정착롤러(10)의 출구를 가로막고 있다. 정착롤러(10)로부터 용지(P)가 배출되면, 용지(P)는 용지접촉아암(62)을 밀어 회동시키게 된다.
센서작동아암(64)은 용지접촉아암(62)과 함께 회동되어 정착롤러(1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에 간섭되어 센서부(80)를 ON/OFF시킨다. 센서작동아암(64)의 일단에는 센서부(80)를 ON/OFF시키는 차광부(66)가 마련된다.
용지(P)가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정착롤러(1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의 선단부가 용지(P)의 이송경로를 가로막고 있는 용지접촉아암(62)을 밀어 용지접촉아암(62)을 회동시킨다. 이때, 용지접촉아암(62)과 함께 회동되는 센서작동아암(64)이 회동되면서 센서부(8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차광부(66)를 회동시킨다. 차 광부(66)가 회동되면서 센서부(80)가 ON된다. 용지(P)가 이송되면서 용지접촉아암(62)을 눌러주게 되므로 센서부(80)는 소정 기간동안 ON 상태를 유지한다. 용지(P)가 계속해서 이송되어 용지(P)의 후단부와 용지접촉아암(62)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차광부(66)가 처음의 상태로 회동되어 센서부(80)를 OFF시키게 된다.
용지(P)가 정착롤러(10)를 통과하여 액츄에이터(60)를 작동시킨 후,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않고 배지롤러(50)의 리브(rib)나 배지롤러(50)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가 정착롤러(10)를 통과한 후 배지되지 못하고 아코디언 형상으로 접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60)의 기능은 용지(P)가 일정한 시간 내에 배지롤러(50)를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액츄에이터(60)에 의해 센서부(80)가 OFF되지 않는다면 이때가 되어서야 사용자는 잼이 발생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잼이 발생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야 잼 발생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용지(P)의 선단은 진행되지 못하고 용지(P)의 후단은 계속해서 이송되므로 아코디언 잼이 발생된다. 아코디언 잼이 발생되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용지(P)를 빼내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서비스 건수가 늘어나게 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도 추락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가 정착롤러를 통과한 후 배지롤러를 통과시 용지의 선단이 배지롤러를 통과한 후 배지부 리브(rib)에 걸려 진행되지 못하거나, 배지롤러를 통과하지 못하고 용지의 후단부가 구겨지면서 부채꼴 모양의 아코디언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대면되게 회전되면서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와, 상기 정착롤러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제1용지접촉아암과 상기 제1용지접촉아암이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용지접촉아암과 함께 회동되는 제1센서작동아암을 갖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정착이 완료된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한 쌍의 배지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롤러와 상기 배지롤러 사이의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에 일측이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정착롤러와 상기 배지롤러 사이에서 상기 용지의 잼이 발생된 경우 상기 용지에 일측이 간섭되어 상기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정착롤러의 닙(nip)과 상기 배지롤러의 닙(nip)을 연결한 가상의 일직선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잼 발생시 상기 용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2용지접촉아암과; 상기 제2용지접촉아암과 함께 회 동되면서 상기 제2용지접촉아암이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부를 ON/OFF시키는 제2센서작동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용지의 선단이 상기 제1액츄에이터를 간섭한 후 상기 제2액츄에이터가 상기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잼으로 인식하여 상기 용지의 이송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센서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작동아암에 의해 ON/OFF되는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작동아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차광부가 회전되는 경로의 양 측면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빠른 이해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중 정착부와 배지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 내부에 마련되는 광주사 유닛(110), 및 현상 카트리지(120)를 구비한다.
광주사 유닛(110)은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L)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감광체(130)에 주사하여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광주사 유닛(110)은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상기 빔편향기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광을 주사하는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 112)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폴리곤미러(112) 대신에 디스크면에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회절 주사시킴에 의해 광을 편향 주사시키는 홀로그램 디스크(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는 프레임(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외장을 이루는 현상 카트리지 하우징(122)의 내부에는 감광체(130), 대전롤러(139), 클리닝부재(138), 현상롤러(140), 토너층 규제부재(158), 공급롤러(160) 및 교반기(agitator, 1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카트리지 하우징(122)의 내부에는 상기 클리닝부재(138)에 의해 감광체(130)에서 분리된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저장부(123)와,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저장부(125)가 마련된다. 현상 카트리지(120)는 토너 저장부(125)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프레임(101)의 상측부에는 프레임(101) 내부로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가 탈착될 수 있도록 도어(103)가 마련된다.
감광체(130)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다. 감광체(130)는 대전롤러(139)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 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신호에 따라 광주사 유닛(110)에서 조사된 광(L)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39)에는 감광체(130)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39)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40)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체(130)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40)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30)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0)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30)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현상롤러(140)는 알루미늄(Al) 코어를 샌드 블러스트(sand blust) 처리를 하여 니켈(Ni) 코팅(coating)한 현상롤러를 사용하였다. 스테인레스강 축(SUS shaft)에 고무를 입혀서 약 1.0 mm 두께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롤러(160)는 현상롤러(140)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agitator, 162)는 토너 저장부(125)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소정의 속도로 토너를 요동시키며, 토너를 공급롤러(160) 쪽으로 이송시킨다. 토너층 규제부재(158)는 공급롤러(160)로부터 공급되어 현상롤러(140)의 외주면에 부착된 토너의 두께를 규제한다.
클리닝부재(138)는 일단이 감광체(130)에 접촉되도록 하우징(122)에 설치되며, 감광체(130)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되어 전사 후 감광체(130)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낸다. 클리닝부재(138)는 하우징(122)에 별도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137)에 그 일측 가장자리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 클리닝부재(138)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감광체(130)에 접촉하여 전사후 감광체(130)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체(130)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
폐토너 저장부(123)는 현상 카트리지(120)의 내부에 마련되며, 클리닝부재(138)에 의해 감광체(130)에서 제거된 토너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120)는 광주사 유닛(110)에 의하여 조사된 광이 감광체(130)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127)를 구비한다. 감광체(130)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전사롤러(170)와 대면된다.
전사롤러(170)는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감광체(130)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용지(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30)와 전사롤러(14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P)로 옮겨진다. 상기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감광체(130)와 전사롤러(170)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70)와 감광체(130)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착부(175)는 서로 대면되게 회전되면서 용지(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정착롤러는 히트롤러(heat roller, 176)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pressure roller, 177)를 구비하며, 용지(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76)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77)에 나란히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77) 는 히트롤러(176)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P)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8, 179)는 각각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며, 정착이 완료된 용지(P)를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시킨다.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배지된 용지(P)는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레임(101)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P)가 적재되는 제1 및 제2 급지카세트(105, 106)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80, 182)는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이송롤러(181, 191)는 픽업된 용지(P)를 용지정렬기(19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용지정렬기(190)는 용지(P)가 감광체(130)와 전사롤러(170)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P)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P)를 정렬한다.
급지센서부(192)는 이송롤러(191)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용지(P)의 이송과 잼(JAM)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잼(JAM)은 용지 걸림 등 용지가 이송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지센서부(194)는 한 쌍의 정착롤러(176, 177)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용지(P)의 이송과 잼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배지센서부(194)는 용지(P)의 이송과 잼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280)와, 상기 센서부(280)를 ON/OFF시켜 용지(P)의 잼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 제1액츄에이터(210)와 제2액츄에이 터(250)를 구비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액츄에이터 및 제2액츄에이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용지가 제1액츄에이터와 접촉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용지가 제1액츄에이터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잼이 발생시 제2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액츄에이터(210)는 정착부(175)의 앞쪽(용지(P)가 정착부(175)를 통과한 쪽)에 일점(2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액츄에이터(210)는 한 쌍의 정착롤러(176, 177)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용지(P)에 접촉되는 제1용지접촉아암(215)과, 상기 제1용지접촉아암(215)이 용지(P)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용지접촉아암(215)과 함께 회동되는 제1센서작동아암(220)을 갖는다.
제1용지접촉아암(215)은 본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회동부재(2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용지접촉아암(215)은 이 회동부재(2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용지접촉아암(215)은 그 단부(216)가 정착롤러(176, 177)의 출구를 지나 이송되는 용지(P)의 이송경로 측까지 연장되어 최초에는 용지(P)의 이송경로를 가로막고 있다. 정착롤러(176, 177)로부터 용지(P)가 배출되면, 용지(P)는 제1용지접촉아암(215)을 밀어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부재(230)에는 탄성부재(2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240)는 제1용지접촉아암(215)이 용지(P)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 성바이어스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지(P)가 소정의 이송경로를 거쳐 배지롤러(178) 쪽으로 이송된다. 용지(P)의 후단부가 제1용지접촉아암(215)을 지나가면 제1용지접촉아암(215)은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어 처음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30)의 단부(231)에는 제1센서작동아암(220)이 마련된다. 제1센서작동아암(220)은 제1용지접촉아암(215)과 함께 회동되어 정착롤러(176, 177)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에 간섭되어 후술하는 센서부(280)를 ON/OFF시킨다. 제1센서작동아암(220)의 일단에는 센서부(280)를 ON/OFF시키는 차광부(222)가 마련된다.
제2액츄에이터(25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액츄에이터(21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성의 차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액츄에이터(250)는 정착롤러(176, 177)와 배지롤러(178) 사이의 용지(P)의 이송경로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제2액츄에이터(250)는 정착롤러(176, 177)와 배지롤러(178) 사이에서 용지(P)의 잼이 발생된 경우 용지(P)의 일면에 간섭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센서부(280)를 ON/OFF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액츄에이터(250)는 정착롤러(176, 177)의 닙(nip)과 배지롤러(178)의 닙(nip)을 연결한 가상의 일직선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액츄에이터(250)는 정착롤러(176, 177)의 닙(nip)과 배지롤러(178)의 닙(nip)을 연결한 가상의 일직선의 아래쪽에 일점(25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액츄에이터(250)는 한 쌍의 정착롤러(176, 177)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용지(P)에 잼이 발생시 구겨지는 용지(P)의 배면과 접촉되는 제2용지접촉아암(255) 과, 상기 제2용지접촉아암(255)이 용지(P)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2용지접촉아암(255)과 함께 회동되는 제2센서작동아암(260)을 갖는다.
제2용지접촉아암(255)은 일점(251)을 중심으로 본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제2액츄에이터(250)는 제1액츄에이터(21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2용지접촉아암(255)은 프레임에 회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용지접촉아암(255)은 이 회동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용지접촉아암(255)은 그 일측(256)이 용지(P)의 이송경로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정착롤러(176, 177)로부터 용지(P)가 배출된 후 용지(P)의 잼이 발생되면, 용지(P)가 구겨지면서 용지(P)의 배면이 제2용지접촉아암(255)을 간섭하여 제2용지접촉아암(255)을 밀어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부재(미도시)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회동부재(미도시)의 단부에는 제2센서작동아암(260)이 마련된다. 제2센서작동아암(260)은 제2용지접촉아암(255)과 함께 회동되면서, 정착롤러(176, 177)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에 잼이 발생된 경우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센서부(280)를 작동시킨다. 즉, 제2센서작동아암(260)은 제2용지접촉아암(255)과 함께 회동되면서 제2용지접촉아암(255)이 용지(P)의 배면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센서부(280)를 ON/OFF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에 잼이 발생된 경우 센서부(280)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어부(195, 도 2 참조)는 용지(P)의 선단이 제1액츄에이터(210)를 간섭한 후 제2액츄에이터(250)가 센서부(280)를 작동시키는 경우, 이를 잼으로 인식하여 용지(P)의 이송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용지(P)의 이송을 중지시킴으로 아코디언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280)는 제1센서작동아암(220)과 제2센서작동아암(260)에 의해 ON/OFF되는 하나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는 제1센서작동아암(220)과 제2센서작동아암(26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차광부(222, 262)가 회전되는 경로의 양 측면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발광부(282)와 수광부(284)를 구비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282)로부터 광(L)이 출사되며, 수광부(284)에는 발광부(282)로부터 출사된 광(L)이 수광된다. 즉, 발광부(282)에서 출사된 광(L)은 차광부(222, 262)가 회전되는 경로를 거쳐 수광부(284)로 유입된다. 이때, 차광부(222, 262)가 발광부(282)와 수광부(284) 사이에 위치되면 수광부(284)에 유입되는 광량의 변화가 있게 되므로, 이에 의해 용지(P)의 이송이나 잼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120)의 감광체(130)는 대전롤러(139)에 인가된 대전 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 유닛(110)은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개구(127)를 통하여 현상 카트리지(120)의 감광체(130)로 조사한다. 광이 주사되면 주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출력 패턴이 정전잠상이다.
한편, 토너 저장부(125) 내부의 토너는 교반기(162)에 의해 교반되고, 공급 롤러(114)에 의하여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현상롤러(14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40)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층 규제부재(158)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140)와 토너층 규제부재(158)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현상롤러(140)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체(130)의 외주에 형성된 정점잠상으로 부착되며, 감광체(130)에는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용지(P)는 픽업롤러(180)에 의하여 급지카세트(105)로부터 인출된다. 용지(P)는 이송롤러(181)에 의해 이송되고, 용지정렬기(190)에 의해 급지 및 정렬되어 감광체(130)과 전사롤러(170) 사이를 통과한다. 이 때 전사롤러(170)에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감광체(130)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용지(P)로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닝부재(138)에 의해 제거되어 폐토너 저장부(123)에 축적된다. 정착롤러(176, 177)는 전사 후 용지(P)에 형성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정착롤러(176, 177)를 통과한 용지(P)는 배지롤러(178, 179)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출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용지(P)가 정착롤러(176, 177)의 닙(nip, 접촉부)을 통과한 후 배지롤러(178)를 통과해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고 배지롤러(178)의 리브(rib)나 배지롤러(178)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용지(P)가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정착롤러(176, 177)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의 선단부가 용지(P)의 이송경로를 가로막고 있는 제1용지접촉아암(215)을 밀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시(C) 방향으로 제1용지접촉아암(215)을 회동 시킨다. 이때, 제1용지접촉아암(215)과 함께 회동되는 제1센서작동아암(220)이 회동되면서 센서부(28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차광부(222)를 회동시킨다. 발광부(282)와 수광부(284)를 가로 막고 있던 차광부(222)가 회동되면서 센서부(280)가 ON된다(이하, 차광부(222)가 발광부(282)와 수광부(284) 사이를 가로 막고 있지 않은 상태를 ON이라 한다). 용지(P)가 이송되면서 제1용지접촉아암(215)을 눌러주게 되므로 센서부(280)는 소정 기간동안 ON 상태를 유지한다. 용지(P)가 계속해서 이송되어 용지(P)의 후단부와 제1용지접촉아암(215)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차광부(222)가 처음의 상태로 회동되어 센서부(280)를 OFF시키게 된다.
그러나, 용지(P)가 정착롤러(176, 177)를 통과한 후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않고 배지롤러(178)의 리브(rib)나 배지롤러(178)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때, 센서부(280)는 용지(P)가 제1용지접촉아암(215)과 접촉된 상태이므로 ON 상태이다. 이후 용지(P)의 선단이 이송경로를 따라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걸려있게 된다. 용지(P)가 걸린 상태에서도 정착롤러(176, 177)가 계속해서 회전되므로 용지(P)가 구겨지게 된다. 용지(P)가 구겨지면서 용지(P)의 배면과 제2용지접촉아암(255)이 접촉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센서작동아암(260)을 화살표시(D)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2용지접촉아암(255)과 함께 회동되는 제2센서작동아암(260)이 회동되면서 차광부(262)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차광부(262)가 발광부(282)와 수광부(284) 사이로 이동되어 센서부(280)를 OFF시키게 된다. 센서부(280)가 용지(P)의 후단부가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OFF되었으므로, 제어부(195)는 이 경우를 잼으로 간주하고 용지(P)의 이송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도 9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9는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급지센서부와 배지센서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상적으로 용지(P)가 이송되는 경우 용지(P)가 이송되면서 먼저 급지센서부(192)를 ON시키고, 용지(P)의 선단이 정착롤러(176, 177)와 배지롤러(178) 사이를 통과하면서 배지센서부(194)를 ON시킨다. 이후 용지(P)가 계속해서 이송되면 용지(P)의 후단이 이송되면서 급지센서부(192)와 배지센서부(194)를 OFF시킨다. 이와 같이 용지(P)가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배지센서부(194)가 ON된 후 OFF되기까지 T1 시간이 걸린다.
잼이 발생된 경우, 급지센서부(192)가 ON/OFF되는 시간은 상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P)의 후단이 배지센서부(194)를 빠져나가기 전에 제2액츄에이터(250)가 배지센서부(194)를 OFF시킨다. 즉, 배지센서부(194)가 ON된 후 OFF되기까지 T2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정착롤러(176, 177)와 배지롤러(178) 사이에서 잼이 발생된 경우 T2〈 T1 이 되므로, 제어부(195)가 아코디언 잼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정착롤러(176, 177)와 배지롤러(178) 사이에서 용지(P)가 걸린 경우 용지(P)가 구겨지기 전에 용지(P)의 이송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 리 정착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에서 용지가 걸린 경우 용지가 구겨지기 전에 용지의 이송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지가 구겨지기 전에 용지의 이송을 중지시킴으로써 아코디언 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코디언 잼을 방지하여 잼 상태의 용지의 제거시 발생되던 사용자의 불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잼으로 인한 A/S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서로 대면되게 회전되면서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와, 상기 정착롤러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제1용지접촉아암과 상기 제1용지접촉아암이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용지접촉아암과 함께 회동되는 제1센서작동아암을 갖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정착이 완료된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한 쌍의 배지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롤러와 상기 배지롤러 사이의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에 일측이 근접 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정착롤러와 상기 배지롤러 사이에서 상기 용지의 잼이 발생된 경우 상기 용지에 일측이 간섭되어 상기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정착롤러의 닙(nip)과 상기 배지롤러의 닙(nip)을 연결한 가상의 일직선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잼 발생시 상기 용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2용지접촉아암과;
    상기 제2용지접촉아암과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2용지접촉아암이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부를 ON/OFF시키는 제2센서작동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선단이 상기 제1액츄에이터를 간섭한 후 상기 제2액츄에이터가 상기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잼으로 인식하여 상기 용지의 이송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센서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작동아암에 의해 ON/OFF되는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작동아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차광부가 회전되는 경로의 양 측면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00081A 2005-01-03 2005-01-03 화상형성장치 KR100636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81A KR100636215B1 (ko) 2005-01-03 2005-01-03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81A KR100636215B1 (ko) 2005-01-03 2005-01-0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34A KR20060079634A (ko) 2006-07-06
KR100636215B1 true KR100636215B1 (ko) 2006-10-19

Family

ID=3717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81A KR100636215B1 (ko) 2005-01-03 2005-01-0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929B2 (ja) * 2008-08-26 2011-02-2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34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9002A2 (en) Safety interlock mechanism
US2005027663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6766120B2 (en) Electrostatic image forming device with conditional toner cleaning roller
US20060233558A1 (en) Jam remo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jam removing method
JP4687642B2 (ja) 画像形成装置
JP4112518B2 (ja) 画像形成装置
US6760554B2 (en) Drop seal actuator
US7725063B2 (en) Image-forming device with interlockingly movable two paper guide members
KR100636215B1 (ko) 화상형성장치
EP1376254B1 (en) Jam clearance member for media in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2014004444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607B1 (ko) 화상형성장치
US5267001A (en) Image forming cartridge
JP458639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0360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을감지하는 방법
JP2005316283A (ja) 画像形成装置
JP7229462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100469A (ja) 画像形成装置
JP36356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58524A (ja) 画像形成装置
JP39286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19834A (ja) 画像形成装置
KR940009715B1 (ko) 화상형성용 카트리지
JP46546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6479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