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933B1 -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933B1
KR100607933B1 KR1019990030340A KR19990030340A KR100607933B1 KR 100607933 B1 KR100607933 B1 KR 100607933B1 KR 1019990030340 A KR1019990030340 A KR 1019990030340A KR 19990030340 A KR19990030340 A KR 19990030340A KR 100607933 B1 KR100607933 B1 KR 10060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onnection
plug
release request
digit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115A (ko
Inventor
김도형
성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9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8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handshaking protocol, e.g. RS232C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Abstract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연결 관리 방법은 복수 개의 기기들이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되는 경우,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지를 표시하는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를 요구하는 플러그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를 소정의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하는 각 기기들에 대하여, (a) 임의의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면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제2 기기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하는 단계와, (b)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하는 단계와, (c) 제2 기기가 비동기 로크 트랜잭션을 시도한 제1 기기에 대하여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기기들이 점대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그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Connection managing method of digital interface}
도 1은 종래의 연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IEC-61883 규격에서 사용되는 oPCR 및 iPCR 레지스터의 연결 관련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법에 따른 연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iPMR)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 디지털 장치들 사이의 연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 디지털 장치들 사이에 점대점 접속이 설정되어 있을 때, 이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상기 점대점 연결 을 끊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디지털 장치들은 IEEE-1394 표준과 같은 인터페이스 표준에 준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디지털 기기들 사이의 연결관리에 대하여는 IEC-61883 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다. IEC-61883 표준에 따르면, 각 디지털 기기에 대하여 비트 스트림이 흘러 들어오는 입구로서 입력 플러그(input plug)와 비트 스트림이 흘러 나가는 출구로서 출력 플러그(output plug)를 정의하고, 각 기기들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출력 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utput master plug register: oMPR), 출력플러그제어레지스터(output plug control register: oPCR), 입력 마스터플러그레지스터(input master plug register: iMPR), 및 입력플러그제어레지스터(input plug control register: iPCR) 등의 레지스터들을 관리함으로써 입력 플러그와 출력 플러그를 제어하고, 이로써 디지털 기기들 사이의 연결 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연결의 하나의 형태인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은 출력 플러그와 입력 플러그, 및 이들 사이의 채널로 구성되는 연결로서 임의의 기기가 그 연결을 설정(establish) 및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고, 그 연결을 설정한 기기만이 그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점대점 연결의 설정이나 해제는 상술한 oMPR, oPCR, iMPR, 및 iPCR 등의 레지스터들을 관리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연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IEC-61883 규격에서 사용되는 oPCR 및 iPCR 레지스터의 연결 관련 필드를 나 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DVCR(10), 제1 DTV(12), 및 제2 DTV(14)가 IEEE-1394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기기들은 IEC-61883 규격에서 사용되는 출력 플러그제어레지스터(oPCR:(a))와 입력 플러그제어레지스터(iPCR:(b))는 각각 연결 관련 필드들(P-2-Pcnt, nCh)과 연결 관련 필드들(P-2-Pcnt, nCh)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제어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기기들이 점대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예를들어, DVCR(10)의 oPCR의 내용은 o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1, oPCR.Channel_Number = 33이 되고 제1 DTV(12)의 iPCR의 내용은 i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1, iPCR.Channel_Number = 33이 된다. 또한, iPCR과 oPCR의 조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DVCR(10)와 제1 DTV(12)의 점대점 연결이 설정되었다고 하며, 이러한 점대점 연결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연결 설정 정보에 의하여 DVCR(10)와 제1 DTV(12)의 IEEE-1394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DVCR(10)의 출력 내용을 제1 DTV(12)가 입력받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DVCR(10)와 제1 DTV(12)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싱크 기기인 제2 DTV(14)가 DVCR(10)의 현재 출력 내용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DTV(14)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DVCR(10)와 제1 DTV(12) 사이의 점대점 연결에 중첩(overlay)되어 점대점 연결이나 브로드캐스트-인 연결을 설정하고자 한다.
제2 DTV(14)와 DVCR(10) 사이에 점대점 연결이 중첩 설정되는 경우에는 DVCR(10)의 oPCR의 내용은 o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2, oPCR.Channel_Number = 33이 되고, 제2 DTV(14)의 iPCR의 내용은 iPCR.P-2- P_Connection_Counter(P-2-Pcnt) = 1, iPCR.Channel_Number = 33이 되며, 역시 이 정보에 따라 제2 DTV(14)는 자신의 IEEE-1394 모듈을 제어한다. 이로써, 제2 DTV(14)는 DVCR(10)의 출력 내용을 볼 수 있다.
IEC-61883 규격에 따르면, 점대점 연결에서는 연결을 설정한 기기만이 연결을 끊을 수 있으므로 DVCR(10)과 제1 DTV(12) 사이의 점대점 연결은 제1 DTV(12) 만이 끊을 수 있다. 제1 DTV(12)가 DVCR(10)와의 연결을 끊으면 DVCR(10)의 oPCR은 oPCR.P-2-P_Connection_Counter(P-2-Pcnt) = 0, oPCR.Channel_Number(nCh) = 33이 되고, 제1 DTV(12)의 iPCR은 iPCR.P-2-P_Counter(P-2-Pcnt) = 0, iPCR.Channel_Number(nCh) = 33이 된다.
DVCR(10)과 제1 DTV(12) 사이의 연결을 제1 DTV(12) 이외의 다른 기기가 끊으려고 시도하면 이러한 시도는 규격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DVCR(10)과 제1 DTV(12)는 그러한 시도를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DVCR(10)과 제2 DTV(14) 사이의 연결을 제2 DTV(14) 이외의 다른 기기가 끊으려고 시도하면 이러한 시도는 규격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DVCR(10)과 제2 DTV(14)는 그러한 시도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항은 IEC-61883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비디오 콘텐츠(Audio-Video Contents)를 등시성 비트스트림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기기는 이에 따라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따르면 예를들어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 설정된 점대점 연결을 임의의 제3 기기가 설정하였을 때, 이 연결은 제3 기기 이외에는 어떠한 기기도 끊을 수 없다. 상술한 예 의 경우에, 연결의 당사자 기기인 제1 DTV(12)가 이 연결에 사용되는 입력 플러그를 다른 기기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 플러그는 이미 DVCR(10)에 점대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DTV(14)가 이 연결을 끊어주지 않는 한 제1 DTV(12)는 이 연결을 끊을 수가 없다. 결국, 제1 DTV(12)는 자신의 동작의 상당한 부분을 제2 DTV(14)의 동작에 의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제2 DTV(14)가 제1 DTV(12)가 원하는 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DTV(14)는 자신이 희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들어, IEEE-1394 네트워크에 D-VHS, DTV, 및 DVD가 연결되어 있었는데, 사용자가 D-VHS를 재생모드로 절환시켜 D-VHS가 자신의 디폴트 디스플레이 장치인 DTV로 점대점 연결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D-VHS를 보던 중에 DVD를 보고자 하여 DTV의 소오스 선택 스크린을 기동시켜 DTV 화면상에 소오스로서 DVD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의도는 현재 DTV 화면에 표시되는 D-VHS 내용을 끊고 DVD 내용을 보고자 하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DTV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DTV가 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입력 플러그와 D-VHS의 출력 플러그 사이에 연결된 점대점 연결을 끊고 이어서 자신의 입력 플러그와 DVD의 출력 플러그 사이에 새롭게 연결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D-VHS와의 점대점 연결은 D-VHS가 설정한 것이므로 DTV는 그 연결을 끊을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DTV 화면상으로 DVD를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는 만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따르면 예를들어 연결의 당사자가 끊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 디지털 장치들 사이에 점대점 접속이 설정되어 있을 때, 이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상기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된 복수 개의 기기들에 대한 연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지를 표시하는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를 요구하는 플러그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를 소정의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하는 각 기기들에 대하여, (a) 임의의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면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제2 기기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하는 단계; (b)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하는 단계; (c) 제2 기기가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제1 기기에 대하여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IEEE-1394 표준에 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는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4에는 상기 방법에 따른 연결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소오스 기기(40)와 싱크기기(42)가 소오스 기기(40)의 출력 플러그 ID 2 번과 싱크 기기(42)의 입력 플러그 ID 5 번을 통하여 점대점 연결이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소오스 기기(40)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단계 300)되면 소오스 기기(40)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EST: 44)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다(단계 302).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EST: 44)는 레지스터 공간상에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필드들(Brk_Rq, Brk_PlugID)이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iPMR)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도 5에는 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iPMR)의 구조를 일예로써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 또는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iPMR)는 1 비트의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5 비트의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오스 기기(40)에서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므로 소오스 기기(40)가 기기(EST: 44)의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한다. 일예로, 소오스 기기(40)는 해제를 요구하기 위하여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를 1로 설정하고, 소오스 기기(40)의 점대점 연결 플러그에 해당하는 식별자로서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는 2로 설정한다.
기기(EST: 44)는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기기의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o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하여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04).
만일, 단계(304)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o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 ID 2 번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다(단계 306).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점대점 연결을 싱크 기기(42)의 요구에 의하여 그 연결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싱크 기기(42)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싱크 기기(42)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EST: 44)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다. 즉, 싱크 기기(42)는 해제를 요구하기 위하여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를 1로 설정하고, 싱크 기기(42)의 점대점 연결 플러그에 해당하는 식별자로서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는 5로 설정한다.
기기(EST: 44)는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싱크 기기(42)의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i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 ID 5 번에 대하여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여,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의 해제요구 플러그 ID(iMPR.Brk_PlugID)에 해당하는 플러그 ID 5 번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그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그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기기가 아닌 기기에 의한 요청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자기기록매체 또는 광기록매체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 게는 상기 프로그램은 ROM,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플래시메모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독취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기기들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펌웨어(firmware)를 구성한다. 또한, 펌웨어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동작은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기들 사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토콜로써 작용한다.
이상에서 해제 요구 필드(Brk_Rq)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Brk_PlugID) 필드들은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oMPR)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iPMR) 내에서 정의되는 것을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필드들은 다른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은 복수 개의 기기들이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그 점대점 연결의 당사자 기기가 그 점대점 연결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Claims (3)

  1.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점대점 연결된 복수 개의 기기들에 대한 연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지를 표시하는 해제 요구 필드와 연결 해제를 요구하는 플러그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를 소정의 레지스터 공간상에 구비하는 각 기기들에 대하여,
    (a) 임의의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끊고자 하면 제1 기기가 점대점 연결을 설정한 제2 기기에 대하여 비동기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하는 단계;
    (b)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들을 대상으로 비동기 로크 요구를 발송하는 단계;
    (c) 제2 기기가 비동기 로크(AsyncLock) 트랜잭션을 시도한 제1 기기에 대하여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자신이 이전에 설정하였던 점대점 연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제요구 플러그 ID에 해당하는 플러그에 대한 점대점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IEEE-1394 표준에 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요구 필드와 해제요구 플러그 ID 필드는,
    출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와 입력마스터플러그 레지스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 방법.
KR1019990030340A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KR100607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40A KR100607933B1 (ko)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40A KR100607933B1 (ko)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15A KR20010011115A (ko) 2001-02-15
KR100607933B1 true KR100607933B1 (ko) 2006-08-03

Family

ID=1960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340A KR100607933B1 (ko)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9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726A (en) * 1991-05-31 1997-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to-point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and adapter for virtualizing a LAN system
JPH09261355A (ja) * 1996-03-25 1997-10-03 Sony Corp Av機器及びav機器の所在確認/管理システム
JPH11163912A (ja) * 1997-12-01 1999-06-18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KR20010011114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726A (en) * 1991-05-31 1997-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to-point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and adapter for virtualizing a LAN system
JPH09261355A (ja) * 1996-03-25 1997-10-03 Sony Corp Av機器及びav機器の所在確認/管理システム
JPH11163912A (ja) * 1997-12-01 1999-06-18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KR20010011114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15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4898A (ko) 데이터 전송 관리 방법
KR100644560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US7145872B1 (en) Method for managing system resources in network system in which digital interface is used for connection
KR100607933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KR100644561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JP3348526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マネージャ機器及びオーディオビデオ機器並びに通信方法
JP4304066B2 (ja) HAViクラスタ間のブリッジ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を管理する方法
US7042896B1 (en) Method for managing a digital interface connection
JP2004147251A (ja) 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インタフェース制御半導体集積回路、ならびにプロトコル処理回路制御方法
JP2000253463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ターゲッ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コンシューマ
US7639919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outputting device, signal input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020016882A1 (en) Digital device, data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data input-output control system
US7372821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receiv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0561388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방법
JPWO2003098623A1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2016620A (ja) ディジタル機器、データ入出力制御方法、及びデータ入出力制御システム
JP3637817B2 (ja) 機器接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561389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방법
JP2003324439A (ja)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出力装置、信号入力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110561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上のストリーム管理装置
JP2003324451A (ja)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出力装置、信号入力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249934A (ja) ディジタルデータ処理装置、バス制御方法、バ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149283A (ja) ネットワーク機能を有するデジタル情報機器
KR20010011110A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JP2004274668A (ja) コネクション設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