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110A -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110A
KR20010011110A KR1019990030335A KR19990030335A KR20010011110A KR 20010011110 A KR20010011110 A KR 20010011110A KR 1019990030335 A KR1019990030335 A KR 1019990030335A KR 19990030335 A KR19990030335 A KR 19990030335A KR 20010011110 A KR20010011110 A KR 2001001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output plug
outpu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970B1 (ko
Inventor
김도형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9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04N21/4358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e.g. for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에서 채널 번호에 대한 관련 규격 사항을 만족하는 채널을 미리 확보하는 채널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채널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출력 플러그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출력 플러그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아웃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출력 플러그에 대해 미리 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미리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그 채널 번호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 상기 기기가 구비한 출력 플러그 갯수만큼의 연속되는 번호를 갖는 채널을 새로인 할당 받아 이중에서 상기 출력 플러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channel in device having digital interface}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에서 채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에서 채널 번호에 대한 관련 규격 사항을 만족하는 채널을 미리 확보하는 채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 디지털 VCR, 디지털 셋톱박스등 각종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 디지털 기기들이 서로 인터페이스할 수있는 네트워크인 IEEE 1394가 도입되고 있다.
IEEE 1394 와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연결된 시스템에서 IEC61883 규격(Specification of Digital Interface for Electronic Audio/Video Equipment, Part 1, December 1995, HD Digital VCR Conference)은 이들 디지털 기기간의 연결 관리(connection management)를 규정하고 있다. IEC61883 규격은 각 디지털 기기에 대하여 비트스트림에 대한 입구 및 출구로서 입력 플럭그(input plug) 및 출력 플러그(output plug)를 정의하며, 또한 각 디지털 기기들의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 oPCR(output plug control register),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를 관리함으로써 입력 플러그와 출력 플러그를 제어하여 디지털 기기간의 연결 관리를 수행하도록한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간의 연결 형태는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과 브로드캐스트 연결(broadcast connection)이 존재한다.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은 출력 플러그와 입력 플러그, 그리고 이들 사이의 채널로 구성되는 연결로서 임의의 디지털 기기가 그 연결을 설정 (establish/overlay)할 수있고, 그 연결을 설정한 기기가 나중에 그 연결을 브레이크(break)하고 이에 따라 그 연결에 대한 자원(채널, 대역폭)을 해제(free)한다.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연결(broadcast connection)은 브로드캐스트-인 연결과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로 나누어지는 데, 브로드캐스트-인 연결은 입력 플러그와 채널간의 연결이고,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은 출력 플러그와 채널간의 연결이다. 브로드 캐스트 연결은 실제로 이 연결에 의해 비트스트림을 입출력하는 기기만이 설정할 수있고, 그 연결의 브레이크 및 해제는 네트워크상의 임의의 기기가 설정할 수있다. 이때 점대점 연결 및 브로드캐스트 연결의 설정이나 해제를 포함하는 모든 관리는 iMPR, oMPR, iPCR, oPCR 레지스터를 이용하며, 또한 자원을 할당 및 해제하려는 기기가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의 IRM(Isochronous Resource Manager)을 담당하는 기기와 통신하여 자원을 할당받고 해제한다. 이중에서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은 임의대로 설정할 수있는 것은 아니며, 그 연결 설정 주체, 설정시 할당받을 채널 번호, 설정시 할당 받을 대역폭, 해제 주체등에 대해 몇가지 규정이 있다. 이중에서 브로드캐스트 아웃 연결을 설정할 때 할당받는 채널 번호는 oMPR에서 설정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Broadcast_Channel_Base)필드와 일정한 관계를 갖고, 또한 기기의 출력 플러그가 복수인 경우 oMPR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 (Broadcast_Channel_Base)필드가 해당 채널 번호가 아니면 이들 출력 플러그에 대해서 서로 연속된 채널 번호가할당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규정에 의해 할당받도록 정해진 채널 번호가 어떠한 사정에 의해 현실적으로 할당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에 대한 해결책이 없었다. 예를 들면 기기의 출력 플러그가 3개이고 oMPR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 필드(Broadcast_Channel_Base)에 설정되어 있는 채널 번호가 63이라고 가정하면, 출력 플러그 0에 대해 이미 채널 번호가 63이 할당되어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출력플러그 1에 대해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을 설정해야하는 데 채널 번호 64번이 다른 기기가 사용하고 있어 할당받을 수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전혀 규정된 바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IEEE 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출력 플러그를 적어도 두개이상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에서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에 대한 IEC61883규정에 의해 할당되는 채널 번호를 미리 확보함으로써 채널 사용을 안정화하는 디지털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기기들 내부에 포함된 oPCR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기기들 내부에 포함된 oMPR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출력 플러그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출력 플러그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아웃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출력 플러그에 대해 미리 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미리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그 채널 번호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 상기 기기가 구비한 출력 플러그 갯수만큼의 연속되는 번호를 갖는 채널을 새로인 할당 받아 이중에서 상기 출력 플러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관리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IEEE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 설정시 채널 번호를 할당받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시스템은 소스(Source)기기인 셋탑박스(SetTopBox:이하 STB)(110)와 싱크(Sink)기기인 디지털 텔레비젼(Digital Television:이하 DTV)이 IEEE1394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도 1과 같이 둘 이상의 디지털 기기가 연결되어 영상등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기기들간에 데이터 전송용 이소크로너스(isochronous) 연결인 브로드캐스트 연결을 설정한다. STB(110)가 특정 채널(예를 들면 채널 63번)로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을 설정하고 DTV(120)가 이 채널로 브로드캐스트-인 연결을 설정하면 STB(110)와 DTV(120)간에 특정 채널이 매개물이 되어 영상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때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은 설정시 할당받을 채널 번호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디지털 기기가 n개의 출력 플러그를 가지고 있는 경우, i번째 출력 플러그에 대해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을 설정할 때 할당 받을 채널 번호는
if (Broadcast_Channel_Base !=63)
Channel_Number[i]=(Broadcast_Channel_Base +i)% 63; (0≤i〈n)
else
Channel_Number[i]= 63; (0≤i〈n)
에 의해 결정 된다. 여기서 Broadcast_Channel_Base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의 oMPR 레지스터의 특정 필드로서 기기가 초기화되는 시점에서 정해지는 수이며, "a % b"는 나머지 연산으로서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 합을 구하는 연산이다. 즉, 브로드캐스트-아웃 채널 번호는 도 3에 도시된 기기의 oMPR의 Broadcast_Channel_Base 필드와 일정한 관계가 있으며, 또 기기가 여러개의 출력 플러그를 갖는 경우 이들 출력 플러그들의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에 대한 채널 번호 할당에 대해서 Broadcast_Channel_Base 값이 63인 경우 동일한 채널 번호가 할당되고 Broadcast_Channel_Base 값이 63이 아닌 경우 이들 출력 플러그들에 할당된 채널 번호들은 서로 연속된 채널 번호를 갖도록한다. 단 채널 번호 할당에 대한 이러한 제약은 이 출력 플러그에 대한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이 이스태블리시 케이스(establish case)인 경우에만 적용되며 오버레이 케이스(overlay case)인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즉, 기존에 이 출력 플러그에 대해 점대점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또 다시 이 출력 플러그에 브로드캐스트-아웃 출력을 연결하려고 하는 경우 위의 규정들은 적용되지 않고 기존의 점대점 연결에 사용되고 있는 채널 번호가 그대로 사용된다. 할당된 채널 번호들은 이 출력 플러그에 대한 연결이 모두 브레이크되는 때에 이 연결을 브레이크시키는 기기가 해제 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의 설명을 위해 3개의 출력 플러그를 갖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기를 가정하고, 현재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Broadcast_Channel_Base)는 33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410과정에서 출력 플러그에 채널 번호를 할당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도 2의 oPCR의 channel number에 채널 넘버를 할당하기 시작한다.
420과정에서 출력플러그(예를 들면, oPCR[1])을 사용할 경우 이 출력 플러그에 대해 미리 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430과정에서 미리 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면 이 출력 플러그에 대해 그 채널 번호를 사용한다.
440과정에서 미리 할당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신의 출력 플러그들에 대해 채널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출력 플러그에 대해 브로드캐스트-아웃 규정에 맞게 사용할 수있는 채널 확보에 들어가며, 필요하다면 확보된 채널 번호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oMPR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Broadcast_Channel_Base)값을 변경한다. 즉, IEC61883 규격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 (Broadcast_Channel_Base)와 브로드 캐스트-아웃 채널 번호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 관계를 만족하는 연속적인 3개의 채널을 할당 받는다. 이 예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 (Broadcast_Channel_Base)가 33이므로 채널 33∼35를 할당받으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이 채널 확보에 대한 시도가 성공하지 못할 경우 채널의 갯수는 일반적으로 충분히 제공되므로 전체 네트워크에서 연속된 번호의 3개의 채널을 임의로 할당 받아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Broadcast_Channel_Base)의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채널 12∼14가 할당되면 이에 맞게 자신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 (Broadcast_Channel_Base)의 값을 12로 정정한다.
450과정에서 자신의 플러그에 맞는 채널 번호를 찾아 사용한다. 즉, 할당 받은 채널을 각각 ch0, ch1, ch2라고 하면, ch0는 oPCR[0]이고 ch1는 oPCR[1]이고 ch2는 oPCR[2]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출력 플러그 1을 사용하려고 하므로 440과정의 채널 확보 과정이 종료되면 ch1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기에 대해 한번 채널을 확보하는 과정을 거치면 각 출력 플러그에 대해 사용할 채널 번호가 미리 확보되어 이후의 연결에 대해 미리 확보된 채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시스템이 전원에 인가되어 초기화되는 시점에 자신(기기)의 모든 출력 플러그를 위해 연속된 번호의 채널을 할당받아 유지 및 관리하다가 전원이 오프될 때 할당 받았던 채널을 해제할 수있다. 이경우 자신의 동작을 항상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있다.
또한 출력 플러그들중에서 실제로 연결이 설정되어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플러그가 존재할 때 기기를 위한 채널들을 확보하고 모든 출력 플러그에 대해 연결이 해제되어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플러그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때 그동안 확보해둔 채널들을 해제할 수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채널의 사용을 보다 최적화할 수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매체로 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CD-ROM, DVD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인터넷을 통해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IEEE 1394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 및 복수개의 출력 플러그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에서 브로드캐스트아웃 연결에 대한 IEC61883 규격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있다.

Claims (2)

  1. 하나 이상의 출력 플러그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의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출력 플러그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아웃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출력 플러그에 대해 미리 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미리할당된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그 채널 번호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 상기 기기가 구비한 출력 플러그 갯수만큼의 연속되는 번호를 갖는 채널을 새로인 할당 받아 이중에서 상기 출력 플러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에서 새로이 할당받은 채널 번호에 따라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에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관리 방법.
KR1019990030335A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KR100618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35A KR100618970B1 (ko)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35A KR100618970B1 (ko)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10A true KR20010011110A (ko) 2001-02-15
KR100618970B1 KR100618970B1 (ko) 2006-09-01

Family

ID=1960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335A KR100618970B1 (ko) 1999-07-26 1999-07-26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9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970B1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474B2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allocating node identification
CN1842044B (zh) 用于改进的设备互用性的装置和方法
US8824499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nodes in digital interface
US6366964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enumerating objects representing devices within an IEEE 1394 serial bus networking
US672183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us in digital interface
EP1472832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connection and resource reserv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bridge
KR100644559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할당방법
KR100644558B1 (ko) 디지탈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자원 관리방법
US6885631B1 (en)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digital interface
KR100618970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채널 관리방법
US7020725B2 (en) Method of reserving isochronous resources in a network comprising a wireless link
KR20000007567A (ko) Ieee 1394 버스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의 버스 리셋 처리방법
KR100618971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브로드 캐스트 아웃 연결 설정방법
KR100644557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의 브로드 캐스트 전송 속도 결정방법
US20020016882A1 (en) Digital device, data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data input-output control system
KR100561388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방법
KR100561389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방법
US20030091326A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outputting device, signal input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1175592A (ja) Ieee1394上のデータ受信装置における受信方法
JP2000059407A (ja) ネットワ―ク管理方泡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情報提供媒体
JP2001077826A (ja) 機器接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