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95B1 -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95B1
KR100602295B1 KR1020037012679A KR20037012679A KR100602295B1 KR 100602295 B1 KR100602295 B1 KR 100602295B1 KR 1020037012679 A KR1020037012679 A KR 1020037012679A KR 20037012679 A KR20037012679 A KR 20037012679A KR 100602295 B1 KR100602295 B1 KR 10060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filter
high frequency
outpu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480A (ko
Inventor
후루사와도시히로
후지시마아키라
다케우치히로토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고주파 수신 장치는, 입력된 신호가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자에는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혼합기와, 혼합기의 출력이 접속된 필터와, 필터의 출력이 공급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적어도 혼합기와 필터는 평형 회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 배제 능력이 높고, 각 회로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방해를 차폐하는 구분판 등이 불필요하며, 수신 장치는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HIGH FREQUENCY SIGNAL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등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종래의 수신 장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1)와, 입력 단자(1)에 입력된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회로(2)와, 입력 회로(2)의 출력이 그 한쪽의 입력에 공급되고, 또한 다른 쪽의 입력에는 국부 발진기(4)의 출력이 공급되는 혼합기(3)와, 혼합기(3)의 출력이 공급되는 필터(5)와, 필터(5)의 출력이 그 한쪽의 입력에 공급되고, 또한 다른 쪽의 입력에는 제 2 국부 발진기(6)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2 혼합기(7)와, 제 2 혼합기(7)의 출력이 공급되는 복조 회로(8)와, 국부 발진기(4)에 루프 접속된 위상 동기 회로(Phase Locked Loop, PLL)(10)와, PLL 회로(10)에 접속된 수정 진동자(11)를 구비한다. 각 회로는 불평형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수신 장치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회로는 금속제의 구분판(12)으로 구분되고, 또한 금속제의 프레임(13)으로 덮여 있다.
상기 종래의 수신 장치에서는, 수정 진동자(11)의 발진 신호의 고조파 등이 혼합기(3)나 필터(5)나 입력 회로(2) 등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거리를 두고 각 회로를 배치하거나, 또는 국부 발진 회로(4)와, PLL 회로(10) 및 수정 진동자(11)를 금속제의 구분판(12)이나 프레임(13)으로 덮어야 한다. 그 때문에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는 커진다.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는 국부 발진기와, 한쪽의 단자에 고주파 신호가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형성된 혼합기와, 혼합기의 출력이 접속된 평형 회로로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다.
그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각 회로 사이에서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6은 종래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종래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부품 배치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도이다. 안테나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의 평형(平衡)인, 즉 진폭이 같고 위상이 반대인 2개의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21)에는 저잡음 증폭기(22)가 접속되어 고주파 신호가 증폭된다. 혼합기(25)는, 저잡음 증폭기(22)의 출력의 신호가 그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는 제 1 국부 발진기(24)의 출력이 접속된다.
제 1 혼합기(25)는 국부 발진기(24)의 발진 신호와 저잡음 증폭기(22)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고, 입력 단자(21)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그 최대 주파수의 대략 1.5배의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실시예 1에서는, 입력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 등의 고주파 신호는 대략 50㎒ 내지 800㎒의 주파수이며, 이 중간 주파수 신호는 그 주파수가 1.2㎓이기 때문에, 입력되는 신호의 2차 왜곡, 3차 왜곡 등에 의한 방해를 받기 어렵다.
제 1 혼합기(25)의 출력이 접속된 표면탄성파(SAW) 필터(26)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한다. SAW 필터(26)는 매우 급격한 감쇠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필요로 되는 주파수 신호만이 통과할 수 있어, 불필요한 방해를 확실히 배제할 수 있다.
또,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신호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쌍방을 수신하는 경우는, 각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대역이 필요하기 때문에, SAW 필터(26)의 통과 대역은 6㎒이다. 디지털 음성 방송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는 0.428㎒의 통과 대역을 갖는 SAW 필터가 필터(26)로서 이용된다.
실시예 1에서, 중간 주파수는 1.2㎓로 매우 높기 때문에 SAW 필터(26)를 작게 할 수 있어,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 2 혼합기(28)는, SAW 필터(26)의 출력이 그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자에는 국부 발진기(2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공급된다. 실시예 1에서의 제 2 혼합기(28)는 국부 발진기(27)로부터의 신호와 SAW 필터(26)로부터의 신호를 혼합하는 제 1 혼합부와, 국부 발진기(27)로부터의 신호를 90도 위상 반전한 신호와 SAW 필터(26)로부터의 신호를 혼합하는 제 2 혼합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혼합부는 각각 SAW 필터(26)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검파하여, 그것으로부터 색 신호인 I 신호와 Q 신호를 추출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 검파기는 필요가 없어 소형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주파수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와 거의 동등하다.
제 2 혼합기(28)의 출력이 공급되는 복조 회로(29)에서 복조된 출력이 출력 단자(30)에 공급된다.
제 1 위상 동기 회로(Phase Locked Loop, PLL)(31)는 국부 발진기(24)와 루프되고, 제 2 PLL 회로(32)는 국부 발진 회로(27)에 루프 접속된다. PLL 회로(31, 32)의 입력 단자에는 기준으로서 수정 진동자(33)가 접속되어 있고, 실시예 1에서 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에서는 이들이 한 개의 프린트 기판 상에 형성된다.
제 1 혼합기(25)와 SAW 필터(26) 및 제 2 혼합기(28)는 평형인 2개의 고주파 신호를 입출력하는 평형 회로로 형성되고, 이들 회로 사이에는 평형인 2개의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교환된다. 따라서, 국부 발진기(24)나 수정 진동자(33)의 발진 신호나 그 고조파 등이 혼합기(25)나 SAW 필터(26) 등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이들 회로는 방해 배제 능력이 높은 평형 회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를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국부 발진기(24)와 혼합기(25)나 SAW 필터(26) 등으로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국부 발진기(24)와 혼합기(25)나 SAW 필터(26) 사이를 구분하는 금속제의 구분판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저잡음 증폭기(22), 국부 발진기(24), 제 2 혼합기(28)와 국부 발진기(27)도 평형 회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국부 발진기(24), 수정 진동자(33)나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신호나, 그 고조파 등이 저잡음 증폭기(22)로 들어가 방해를 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각각의 회로 사이는 평형 회로, 즉 서로 평형인 2개의 신호선으로 접속되어 있고, 특히 혼합기(25)와 SAW 필터(26) 사이를 접속하는 2개의 신호선은 길이가 같고, 인덕턴스가 같으며, 또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혼합기(25)와 SAW 필름(26) 및 혼합기(28)는 방해 배제 능력이 높은 평형 회로를 이용하고, 또한, 혼합기(25)와 필터(26)는 길이가 같은 2개의 신호선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선에서의 신호의 위상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국부 발진기(24), 수정 진동자(33)나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신호나, 그 고조파 등이 각 회로 사이의 접속부로 들어가는 것에 따른 방해를 확실히 배제할 수 있다.
이들 회로는 한 장의 프린트 기판 상에서 형성되어 모듈로 할 수 있고 면실장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의 자동 부품 실장기 등으로 회로가 실장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3은 그 주요부 단면도이다. 평형 회로로 형성된 제 1 혼합기(25)와 평형 회로로 형성된 SAW 필터(26) 사이에 평형의 정합 회로(40)가 마련된다. 정합 회로(40)는 혼합기(25)와 SAW 필터(26)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신호선(41a, 41b)에 각각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접속점(44)에 접속된 같은 커패시턴스를 갖는 2개의 칩 콘덴서(42a, 42b)가 다층 기판(43) 상에 직접 접속되고, 리플로 납땜으로 실장되어 있다.
접속점(44)은 다층 기판(43)의 이면에 마련된 그라운드 플레인(45)에 스루홀(46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다층 기판(43)의 표면에는 칩 콘덴서(42a, 42b)의 근방까지 그라운드 패턴(47a, 47b)이 부설되고, 그라운드 패턴(47a, 47b)은 그들의 선단 근방에서 그라운드 플레인(45)과 스루홀(46a, 46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즉, 접속점(44)을 중심으로 하여 2개의 신호선(41a, 41b) 및 2개의 칩 콘덴서(42a, 42b)가 대칭 형상을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합 회로의 칩 콘덴서를 한 점에서 그라운드에 접속하는 것으로 되어, 그들 콘덴서의 그라운드 전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 회로의 성능을 더 향상할 수 있어, 방해 배제 능력이 향상한다.
다층 기판(43)을 덮는 도전성을 갖는 커버(48)는, 다층 기판(43)의 단면(43b)에서 이 커버(48)의 단부에 있는 다리(48a)와 땜납(49)으로 납땜되고, 그라운드 플레인(45)에 기계적으로도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다.
다리(48a)의 선단에 마련된 버(burr)(48b)는 단면(43b)에 접촉하여, 단면(43b)과의 사이에 극간이 발생한다. 이 극간에 땜납(49)이 충전되어 확실히 납땜된다. 버(48b)는 커버(48)의 재료인 금속판을 금형으로 절단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리고 절단 방향으로 금속판을 90도 구부리는 것에 의해 다리(48a)를 갖는 커버(48)를 얻을 수 있어, 다리(48a)의 선단에서 버(48b)가 내측에 나타난다.
그라운드 패턴(47a, 47b) 및 접속점(44)의 근방에서, 커버(48)로부터 돌출한 도전 부재(48c, 48d, 48e)가 땜납 등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혼합기(25)와 SAW 필터(26) 사이에 있는 정합 회로(40)의 그라운드 전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혼합기(25), SAW 필터(26)를 연결하는 2개의 신호선(41a, 4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신호선(41a, 41b)을 통과하는 신호의 위상에 차이 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호선(41a, 41b)에 들어간 노이즈는 확실히 상쇄되어, 평형 성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방해를 배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칩 콘덴서(42a)와 그라운드 플레인(45)과 그라운드 패턴(47a)과 스루홀(46a, 46c)과 커버(48)는 이들에 둘러싸인 작은 창을 형성 하고, 칩 콘덴서(42b)와 그라운드 플레인(45)과 그라운드 패턴(47b)과 스루홀(46b, 46c)과 커버(48)는 이들에 둘러싸인 작은 창을 형성한다. 이들 창의 전위는 그라운드 레벨이며, 창의 한변의 길이는 국부 발진기(24)나 수정 진동자(33)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조파의 파장에 비교해서 충분히 작고, 따라서 이 고조파는 이들 창을 통과하지 않는다. 즉 이들 창에 의해 금속제 구분판은 불필요 또는 간이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그라운드 패턴(47a, 47b) 및 접속점(44)은 그들의 근방에서 커버(48)로부터 돌출한 도전 부재(48c, 48d, 48e)와 땜납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창은 더 작아지기 때문에 더 파장이 짧고, 높은 주파수의 신호도 통과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48)는 외부로부터의 방해를 방지하고, 또한, 이 수신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외부의 기기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칩 콘덴서(42a, 42b)는 리플로 납땜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리플로 시의 셀프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 정밀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혼합기(25)와 SAW 필터(26)의 선(41a, 41b)이 갖는 인덕턴스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한 정합 회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 1에서의 정합 회로(40)에서는 칩 콘덴서(42a, 42b)로 정합 회로를 구성했지만, 같은 리액턴스를 갖는 리액턴스 소자로 정합 회로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즉 인덕터에 의해 정합 회로를 구성해도 관계없고, 칩 콘덴서는 칩 인덕터로 대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평형 회로로 형성된 제 1 혼합기(25)와 평형 회로로 형성된 SAW 필터(26)가 평형 회로로 접속되지만, 다른 회로를 평형 회로로 형성하여 서로 평형 회로로 접속해도 무방하다. 모든 회로를 실시예 1에 따른 정합 회로로 접속함으로써, 방해 배제 능력이 매우 높은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국부 발진기(24, 27)와 혼합기(25, 28)나 필터(26) 사이를 구분하는 금속제의 구분판 등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수신 장치의 비용을 싸게 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구분판을 가진 프레임은 필요없이, 외부로부터 들어가거나, 또는 이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나오는 고주파 누설 신호만을 차단하는 간단한 커버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매우 염가인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혼합기(25) 이외에 국부 발진기(24)나 각각을 접속하는 접속부도 방해 배제 능력이 높은 평형 회로로 형성하면, 그들의 회로 전체는 방해로부터 강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회로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작더라도, 국부 발진기로부터의 발진 신호 등이 들어가지 않고 회로의 S/N 비가 악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기, 국부 발진기나 PLL 회로를 일체화하여 집적 회로(IC)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매우 소형이고 또한 매우 생산성이 양호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혼합기(28)나 국부 발진기(27)도 평형 회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IC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2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입력 단자(52)에는 안테나로부터 공급되는 평형인, 즉 진폭이 같고 위상이 반대인 2개의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고주파 회로 집적 회로(IC)(54)는 입력 단자(52)에 입력된 신호가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자에는 수정 진동자(53)의 출력이 공급된다. 고주파 회로 IC(54) 중에는, 실시예 1에서의 저잡음 증폭기(22), 제 1 혼합기(25), 국부 발진기(24)나 PLL 회로(31)가 포함되어 있다. 탄성 표면파(SAW) 필터(55)는 IC(54)의 출력이 공급되어, 필요한 중간 주파수만을 통과시킨다.
고주파 회로 IC(56)는, SAW 필터(55)의 출력이 그 한쪽의 입력에 공급되고, 또한 다른 쪽의 입력에는 수정 진동자(53)로부터의 출력이 공급된다. IC(56)에는, 실시예 1에서의 국부 발진기(27), 혼합기(28)나 PLL 회로(32)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수신 장치는 IC(56)의 출력이 공급되는 복조기 IC(57)와, 복조기 IC(57)에서 복조된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의 출력 단자(58)를 갖고 있고, 이들 회로가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프린트 기판(51) 상에 배치된다.
고주파 회로 IC(54)와 SAW 필터(55)와 고주파 회로 IC(56)는 이 순서대로 프린트 기판(51) 상에서 SAW 필터(55)를 정점으로 하여 「L」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주파 회로 IC(54)와 고주파 회로 IC(56)와 대략 같은 거리에 수정 진동자(53)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4개의 부품은 사각형의 정점에 장착되어, 프린트 기판(51)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예 2에서는, 수정 진동자(53)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추장 진동자(53)는 수신 장치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관계없고,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더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경우에도 수정 진동자(53)를 IC(54)와 IC(56)와 대략 같은 거리에 마련하여 놓으면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C(54), SAW 필터(55) 및 IC(56)는 평형 회로로 형성된다. IC(54)와 SAW 필터(55) 사이를 접속하는 각각의 신호선은 그들의 인덕턴스를 같게 하기 위해서, 그 선로 길이를 같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정 진동자(53)의 발진 신호의 고조파 등이 IC(54)나 SAW 필터(55) 사이의 신호선, 또는 IC(54)와 SAW 필터(55) 사이의 신호선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평형 회로로 형성된 IC(54)와 SAW 필터(55) 및 IC(56)는 방해 배제 능력이 높고, IC(54)와 SAW 필터(55) 사이의 각각의 신호선(59)의 길이는 같기 때문에 신호의 위상이 어긋나는 일은 없어, 방해를 확실히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 진동자(53)와 IC(54)의 거리, 또는 수정 진동자(53)와 IC(56)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정 진동자(53)와 IC(54) 사이나 수정 진동자(53)와 IC(56) 사이를 구분하는 금속제의 구분판도 간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IC(54)와 SAW 필터(55) 사이도 각각의 신호선의 인덕턴스를 같게 하기 위해서 선로 길이의 길이를 같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방해를 확실히 상쇄할 수 있다.
또, 회로 배치 상, IC(54)와 SAW 필터(55) 사이의 신호선의 선로 길이를 같게 할 수 없는 경우는, 칩 인덕턴스 등을 이들 신호선과 직렬로 장착함으로써, 각 신호선의 인덕턴스를 같게 해도 무방하다.
IC(54)와 SAW 필터(55)와 IC(56)는 프린트 기판(51) 상에서 「L」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 기판(51)은 대략 정방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51)은 전체로서의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2에 따른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는 마더보드에 실장하기 쉽다.
또한, 상기 마더보드에 수신 장치에서의 수정 진동자(53)의 발진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의 진동자, 또는, 같은 주파수의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그 신호를 수신 장치에 공급하여 기준 신호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신호는 그 신호가 필요로 하는 회로에 근접한 외부 단자를 거쳐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 신호가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내부에서 맴돌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신호가 IC(54)와 IC(56)나 SAW 필터(55)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수정 진동자(53)는 IC(54)와 IC(56)로부터 대략 같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IC(54)와 수정 진동자(53) 사이의 거리 및 IC(56)와 수정 진동자(53)의 거리를 어느 쪽이나 모두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 진동자(53)의 발진 신호나, 그 고조파 등이 누설하기 어렵게 된다.
실시예 2에서는, 하나의 수정 진동자(53)가 이용되지만, IC(54)와 IC(56)에 각각 대응하는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그 경우에도 그들의 수정 진동자를 IC(54)와 IC(56)에 각각 대략 같은 거리의 위치에 배치하면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 배치도이다. 실시예 2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고 있다.
실시예 3의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는, 고주파 회로 IC(54)와 SAW 필터(55)와 고주파 회로 IC(56)는 프린트 기판(51a) 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IC(54)보다 IC(56)에 가까운 위치에 수정 진동자(53)가 배치된다.
IC(54)와 SAW 필터(55) 사이를 접속하는 각각의 신호선(60a, 60b)의 인덕턴스는 같게 하기 위해서, 그 선로 길이의 길이를 같게 하고 있다.
또한, SAW 필터(55)와 고주파 회로 IC(56) 사이를 접속하는 각각의 신호선(61a, 61b)의 인덕턴스도 같게 하기 위해서, 그 선로 길이의 길이를 같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정 진동자(53)나 그 발진 신호의 고조파 등이 IC(54), SAW 필터(55)나 IC(56) 또는, 선(60a, 60b), 선(61a, 61b) 등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IC(54)와 SAW 필터(55) 및 IC(56)는 방해 배제 능력이 높은 평형 회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를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60a, 60b)의 인덕턴스값을 같게, 또한 신호선(61a, 61b)과 인덕턴스값을 같게 하기 위해서, 그들의 선로 길이를 같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선에서도 평형이 유지되고, 그것들을 전파하는 신호의 위상이 어긋나지 않고, 방해를 확실히 상쇄할 수 있다.
IC(54)와 SAW 필터(55)와 IC(56)는 프린트 기판(51a) 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회로 사이를 최단으로 배치할 수 있어, 신호의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와 3에 따른 수신 장치의 각 회로 사이에 실시예 1에 따른 정합 회로를 접속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는 평형 회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나, 그 고조파 등이 혼합기나 필터 등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방해를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방해에 대하여 매우 강하게 되어, 회로의 S/N 비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국부 발진기와 혼합기나 필터 등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사이를 구분하는 금속제의 구분판이 불필요 또는 간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소형화하고 또한 염가로 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구분판을 가진 프레임은 필요없고, 간단한 커버로 외부로부터 들어가거나, 또는 이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로부터 나오는 고주파 누설 신호만을 차단할 수 있 다.
또한, 혼합기 이외에 국부 발진기나 PLL 회로도 방해 배제 능력이 높은 평형 회로로 형성하면, 그들의 회로 전체는 방해를 받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회로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해도, 국부 발진기로부터의 발진 신호 등이 들어가는 것에 의한 회로의 S/N 비가 악화하지 않기 때문에, 혼합기, 국부 발진기나 PLL 회로를 일체의 IC로 할 수 있어, 소형이고 또한 생산성이 양호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4)

  1. 국부 발진기와,
    한쪽의 단자에 고주파 신호가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 상기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형성된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의 출력이 접속된 평형 회로로 형성된 필터와,
    상기 혼합기와 상기 필터 사이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신호선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선에 각각의 일단이 접속되고, 각각의 타단이 서로 접속점에서 그라운드에 접속된, 대략 동등한 리액턴스를 갖는 제 1 및 제 2 리액턴스 소자를 갖는 정합 회로
    를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액턴스 소자는 대략 동등한 커패시턴스를 갖는 콘덴서인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액턴스 소자는 대략 동등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인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와 상기 필터를 표면에 탑재하는 기판을 더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이면에 마련된 그라운드 플레인을 더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과 상기 그라운드 플레인을 접속하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제 1 스루홀을 더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액턴스 소자의 근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 1 및 제 2 리액턴스 소자의 근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그라운드 플레인을 각각 접속하는 제 2 및 제 3 스루홀
    을 더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 제 2 국부 발진기와,
    한쪽의 단자에 고주파 신호가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는 상기 제 1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구성된 제 1 혼합기와,
    상기 제 1 혼합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구성된 필터와,
    한쪽의 단자에 상기 필터의 출력이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 상기 제 2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구성된 제 2 혼합기와,
    상기 제 1, 제 2 국부 발진기와 상기 제 1, 제 2 혼합기와 상기 필터를 탑재하는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혼합기와 상기 필터와 상기 제 2 혼합기는, 상기 필터를 정점으로 하여 「L」자형으로 배치되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 1, 제 2 국부 발진기와 상기 제 1, 제 2 혼합기와 상기 필터를 탑재하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대략 사각형인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국부 발진기는 각각 제 1, 제 2 위상 동기 회로(Phase Locked Loop, PLL)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PLL 회로의 기준으로 되는 신호를 발진하는, 상기 기판에 탑재된 수정 진동자를 더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30. 삭제
  31. 제 1, 제 2 국부 발진기와,
    한쪽의 단자에 고주파 신호가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는 상기 제 1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구성된 제 1 혼합기와,
    상기 제 1 혼합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구성된 필터와,
    한쪽의 단자에 상기 필터의 출력이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에 상기 제 2 국부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평형 회로로 구성된 제 2 혼합기와,
    상기 제 1, 제 2 국부 발진기와 상기 제 1, 제 2 혼합기와 상기 필터를 탑재하는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혼합기와 상기 필터와 상기 제 2 혼합기는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기와 상기 필터 사이를 접속하는 제 1 및 제 2 신호선을 더 구비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선은 서로 길이가 동등한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 제 2 신호선 및 상기 제 1, 제 2 리액턴스 소자가 대칭 형상을 이루도록 배설되어 있는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KR1020037012679A 2002-01-22 2003-01-21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KR100602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12517A JP3972663B2 (ja) 2002-01-22 2002-01-22 高周波信号受信装置
JPJP-P-2002-00012517 2002-01-22
PCT/JP2003/000465 WO2003063371A1 (fr) 2002-01-22 2003-01-21 Appareil de reception de signal haute frequ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480A KR20030088480A (ko) 2003-11-19
KR100602295B1 true KR100602295B1 (ko) 2006-07-14

Family

ID=2760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679A KR100602295B1 (ko) 2002-01-22 2003-01-21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94245B2 (ko)
EP (1) EP1469608A1 (ko)
JP (1) JP3972663B2 (ko)
KR (1) KR100602295B1 (ko)
CN (1) CN1620763A (ko)
WO (1) WO2003063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0500A1 (en) * 2005-01-14 2006-07-20 Xytrans, Inc. VSAT block up converter (BUC) chip
JP6692569B2 (ja) * 2015-03-24 2020-05-13 株式会社フジクラ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及び高周波回路基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3848A (en) * 1979-04-26 1980-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ide band receiving circuit
JPS5981925A (ja) * 1982-11-02 1984-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広帯域チユ−ナ
JPS6292399A (ja) * 1985-10-18 1987-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チユ−ナのシ−ルド体
US4792939A (en) * 1986-01-24 1988-12-20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Duplex radio communication transceiver
JPH0753725B2 (ja) * 1987-10-08 1995-06-07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4h―1―ベンゾピラン―4―オン誘導体およびその塩、それらの製造法並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抗炎症剤
US5284856A (en) * 1988-10-28 1994-02-08 Hoechst Aktiengesellschaft Oncogene-encoded kinases inhibition using 4-H-1-benzopyran-4-one derivatives
US5703075A (en) * 1988-12-21 1997-12-30 Pharmacia & Upjohn Company Antiatherosclerotic and antithrombotic 1-benzopyran-4-ones and 2-amino-1,3-benzoxazine-4-ones
US5252735A (en) * 1990-06-29 1993-10-12 The Upjohn Company Antiatherosclerotic and antithrombotic 2-amino-6-phenyl-4H-pyran-4-ones
US5302613A (en) * 1990-06-29 1994-04-12 The Upjohn Company Antiatheroscleroic and antithrombotic 2-amino-6-phenyl-4H-pyran-4-ones
JPH0669829A (ja) * 1991-03-19 1994-03-11 Hitachi Ltd Ic化受信装置
JPH0553331A (ja) 1991-08-29 1993-03-05 Nec Corp 微細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2550283Y2 (ja) * 1991-12-10 1997-10-08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バータ
ES2160626T3 (es) * 1993-04-09 2001-11-16 Toyama Chemical Co Ltd Inmunomodulador, inhibidor de la adherencia celular, y agente que permite tratar y prevenir enfermedades autoinmunes.
GB9503064D0 (en) * 1995-02-16 1995-04-05 Philips Electronics U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zero IF receivers
JPH08298393A (ja) * 1995-04-27 1996-11-12 Sharp Corp チューナ装置
US5733920A (en) * 1995-10-31 1998-03-31 Mitotix, Inc. Inhibitors of cyclin dependent kinases
JPH09275355A (ja) * 1996-04-04 1997-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周波数変換回路、周波数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機器
US6308048B1 (en) * 1997-11-19 2001-10-23 Ericsson Inc. Simplified reference frequency distribution in a mobile phone
KR100301019B1 (ko) 1998-12-28 2001-09-06 윤종용 디지털텔레비전수상기의자동미세튜닝장치
JP2002305691A (ja) * 2001-04-06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装置
US6690251B2 (en) * 2001-04-11 2004-02-10 Kyocera Wireless Corporation Tunable ferro-electric filter
US6627992B2 (en) * 2001-05-21 2003-09-30 Xytrans, Inc. Millimeter wave (MMW) transceiver module with transmitter, receiver and local oscillator frequency multiplier surface mounted chip set
JP2002368641A (ja) * 2001-06-04 2002-12-20 Toshiba Corp 整合回路とこの整合回路を備えた無線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030015707A1 (en) * 2001-07-17 2003-01-23 Motorola, Inc. Integrated radio frequency , optical, photonic, analog and digital functions in a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structure utilizing the formation of a compliant substrate for materials used to form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9608A1 (en) 2004-10-20
US7194245B2 (en) 2007-03-20
KR20030088480A (ko) 2003-11-19
CN1620763A (zh) 2005-05-25
WO2003063371A1 (fr) 2003-07-31
JP3972663B2 (ja) 2007-09-05
US20040067744A1 (en) 2004-04-08
JP2003218725A (ja)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2242B2 (en) Integrable tunable filter circuit comprising a set of BAW resonators
US6308056B1 (en) Double super tuner
US5057803A (en) Stripline split ring resonator bandpass filter
EP0909019A2 (en) Television tuner system
JPS61137407A (ja) 周波数変換器
JPH11274818A (ja) 高周波回路装置
JP2001185951A (ja) 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通信装置
KR100602295B1 (ko)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US20040077329A1 (en) High frequency device
US7012479B2 (en) Filter circuit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same
JP3833261B2 (ja) 差動回路の分布素子
JPH09232790A (ja) プリント基板回路のシールド方法
JP2002158449A (ja) 高周波電子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モジュール用多層基板
JP2956719B2 (ja) ラジオ受信機用1チップic
JP4792616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3610196B2 (ja) ダブルコンバージョンチューナ
EP1120905A2 (en) Output amplifier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H0134419Y2 (ko)
JP2003168992A (ja) テレビ信号受信装置
KR20050025844A (ko) Ltcc 내장 필터
JPH0595204A (ja) 分波器
US8422980B2 (en) High-frequency circuit in which high-frequency filter is parallel installed to integrated circuit
RU1798923C (ru) Конвертор дл радиоприемника
JP2000286635A (ja) 高周波発振器
JPS62234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