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68B1 -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68B1
KR100602268B1 KR1020040078728A KR20040078728A KR100602268B1 KR 100602268 B1 KR100602268 B1 KR 100602268B1 KR 1020040078728 A KR1020040078728 A KR 1020040078728A KR 20040078728 A KR20040078728 A KR 20040078728A KR 100602268 B1 KR100602268 B1 KR 10060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mage reading
original
length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873A (ko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68B1/ko
Priority to US11/236,625 priority patent/US20060072949A1/en
Publication of KR2006002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24Document property detectors
    • G03G2215/00329Document size detectors

Abstract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양면 화상 독취 장치는 원고급지대로부터 급지된 원고가 화상독취유닛을 경유하여 화상 독취과정을 마친 후 배지롤러를 통해 본체의 외측으로 배지되는 경로를 이루는 원고이송로와, 배지롤러를 통해 배지되는 원고의 후단을 선위치로 하여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원고반전유닛과, 원고이송로에 설치되어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에 의해 감지된 원고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원고반전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면 화상 독취 장치를 통하여 원고의 길이에 따라 원고반전로를 각각 다르게 하여 반전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반전 경로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시켜 화상 독취 속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양면 화상 독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양면 화상 독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화상 독취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양면 화상 독취 장치 101 : 원고
111 : 본체 113 : 원고급지대
110 : 반송부 200 : 화상독취부
117 : 이송롤러 117a : 픽업롤러
119 : 배지롤러(정,역회전롤러) 121 : 원고이송로
127a,127b : 원고반전로 130 : 원고반전유닛
131 : 모터 141 : 반전센서
150 : 원고센서 151,152,153 : 제 1,2,3원고센서 160 : 경로전환장치 161 : 게이트바
162 : 솔레노이드 210 : 화상독취유닛
S2,S3 : 제1,2경로전환점 E2 : 종점
본 발명은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독취 유닛쪽으로 역 반송되는 반전 경로를 원고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원고 화상 독취 속도를 향상시키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면 화상 독취 장치의 일 예로서, 일본공개공개특허공보(특개평9-307701호, 공개일 평성 9년(1997년)11월 28일, 발명의 명칭 :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원고급지트레이로부터 제1반송부 DF1으로 반송된 원고는 원고독취위치에서 화상독취부에 의해 그 제 1면이 독취된다. 그에 더하여 제2반송부 DF2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된 후 U턴해서 표면 반전된 상태로 원고독취위치 P3를 우방향으로 통과해서 그 제 2면이 독취된다. 그후 제3반송부 DF3로 되는 원고배출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 2반송부 DF2의 반송경로의 길이는 최대 사이즈를 갖는 원고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양면 원고 독취 장치(1)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고급지대(2)로부터 공급된 원고(3)는 픽업롤러(5)를 통하여 픽업되어 원고이송로(7)로 급지된다. 픽업롤러(5)를 통해 급지된 원고(3)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롤러(9)를 통과하면서 낱장씩 분리된다. 이때 ADF롤러(9)의 대향면에는 마찰패드(11)가 밀접되게 설치되어 원고(3) 분리시 마찰력을 제공한다. ADF롤러(9)를 통해 낱장 분리된 원고(3)는 이송롤러(13,15)들을 통해 화상독취유닛(17)측으로 이송된다.
화상독취유닛(17)측으로 이송된 원고(3)는 그 일면이 독취된 후 이송롤러(19)를 통해 배지롤러(21)측으로 이송되고, 배지롤러(21)를 통하여 본체(23)의 외부로 배지되어 단면 화상 독취 과정을 마친다.
다음, 양면 화상 독취를 할 때에는 상술한 동작에 의해 일면이 스캔된 후 배지되는 원고(3)가 본체(23)의 배지구(23a)를 빠져나가기 전에 원고(3)의 후단을 선위치로 하여 이송방향이 반전된 후 원고반전로(25)로 이송된다. 이때, 원고반전로(25) 부근에는 경로전환장치(26)가 설치되어 원고반전로(25) 및 원고이송로(7)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원고반전로(25)로 유입된 원고(3)는 계속 이송되어 반전롤러(27)를 통과한 후 이송롤러(15)의 위치에서 U턴됨으로써 원고(3)의 표면이 반전된다. 그후, 화상독취유닛(17)은 원고(3) 표면의 화상을 독취하여 양면 화상 독취 과정을 마친다.
한편, 이와 같이 양면 화상 독취를 실시 하였을 경우 본체(23)의 외측으로 배출된 원고(3)의 상면은 단면 화상 독취를 실시한 원고(3)의 상면과 반대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그 배출면을 맞추기 위하여 원고(3)는 또다시 원고반전로(25) 를 통하여 역이송된 후 이송롤러(15)를 통해 U턴되어 배지된다.
따라서, 원고(3)를 양면 화상 독취할 경우에는 원고(3)는 원고반전로(25)의 시작점(S1)과 종점(E1)구간(B)내에 해당하는 원고이송로(7a)를 3회에 걸쳐 순환한다.
종래의 양면 화상 독취 장치(1)는 화상 독취 속도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선 진행하는 원고("첫 번째 원고"로 칭함)의 후단이 레지스트센서(29)를 벗어난 시점에서 후속 진행하는 원고("두 번째 원고"로 칭함)가 픽업되어 이송롤러(13)에 물려 진행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이룬다. 그후, 첫 번째 원고가 양면 화상 독취 과정이 끝나면 이송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원고 급지 방식을 따를 경우 첫 번째 원고의 후단 및 두 번째 원고의 선단이 원고반전로(25)의 경로전환점(S1) 부근에서 부딪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양면 화상 독취 장치(1)는 원고반전로(25)의 경로전환점(S1)과 종점(E1) 구간(B)내에 해당하는 원고이송로(7a)의 길이를 최대 사이즈를 갖는 원고의 길이(예컨대, Leagal Size(356㎜)이상으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예컨대, A4 사이즈(297㎜)의 원고를 양면 화상 독취할 경우 A4 사이즈의 원고가 Leagal Size의 원고보다 58㎜정도 짧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면 화상 독취 동작에 따라 원고(3)는 구간(B)를 3회에 걸쳐 순환할 경우 불필요한 이송길이가 약 174㎜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공개공개특허공보(특개평9-307701호, 공개일 평성 9년(1997년)11 월 28일, 발명의 명칭 : 화상독취장치)에 개시된 제 2반송부 DF2도 역시 최대 사이즈를 갖는 원고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어서 불필요한 반송길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원고반전로를 원고 길이에 따라 다르게 구비하고, 원고 길이에 따라 해당하는 원고반전로를 통하여 반전되도록하여 화상 독취 속도를 향상시키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술한 양면 화상 독취 장치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제 1관점(Aspect)을 따르면, 원고급지대로부터 급지된 원고가 화상독취유닛을 경유하여 화상 독취과정을 마친 후 배지롤러를 통해 본체의 외측으로 배지되는 경로를 이루는 원고이송로와; 상기 배지롤러를 통해 배지되는 원고의 후단을 선위치로 하여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원고반전유닛과; 상기 원고이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원고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원고반전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원고반전로는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2경로전환점이 연결되고,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상류측에 상기 제1,2경로전환점을 통 해 반송된 원고를 한 곳에서 반출하는 종점이 연결된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고반전유닛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며 상기 원고반전로의 경로전환점 후측에 설치된 정·역회전롤러로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정·역회전롤러는 상기 배지롤러로 대신할 수 있다.
상기 화상독취유닛과 근접한 위치에 있는 원고반전로의 경로전환점 전단에는 이송되는 원고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원고반전유닛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반전센서가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고반전로 경로전환점 부근에는 원고의 이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장치가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로전환장치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원고반전로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원고이송로를 통해 원고가 이송될 때에는 원고의 이송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원고이송로를 개방하도록 된 게이트바로 한다. 또는, 상기 경로전환장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동작되어 원고반전로 및 원고이송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된 게이트바로 할 수 있다.
상기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는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어 정지상태에 있는 원고를 감지하도록 된 것이나, 원고이송로상에 설치되어 이송상태의 원고를 감지하도록 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을 따르면, 원고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원고의 일면을 화 상독취유닛을 통해 독취 하는 단계와;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독취유닛을 통해 일면이 화상 독취된 후 배지되는 원고의 후단측을 선위치로 하여 원고반전유닛에 의해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고, 상기 반전된 원고를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응하는 원고반전로를 취하여 화상독취유닛의 선단측으로 반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면이 반전된 상기 원고의 타면을 독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원고를 반송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원고반전로의 상류측으로 이송되는 원고의 선단을 감지하고; 상기 원고의 선단이 감지된 시점을 기초로 상기 원고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반전유닛의 동작 시점을 다르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고의 길이 감지는 원고급지대에서 서로 다른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 및 상기 원고의 길이차가 발생되는 구간에서 상기 원고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되, 상기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 및 상기 원고의 길이차가 발생되는 구간에서 동시에 감지되면 원고의 길이가 긴 종류의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에서만 원고가 감지되면 원고가 짧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고의 길이 감지는 상기 원고이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원고의 선단 및 후단이 감지되는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양면 화상 독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상류측" 또는 "하류측"로 표현된 부분들은 원고(101)의 이송 방향에 의거하여 표기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면화상독취장치(100)는 크게 원고(101)를 반송하는 반송부(110)와, 반송된 원고(101)의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부(200)로 나누어진다.
반송부(110)는 반송부본체(111)와, 화상 독취될 원고(101)를 적재하는 원고급지대(113)와, 원고급지대(113)에 적재된 원고(101)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15)와, 픽업된 원고(101)를 후술될 화상독취유닛(210)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117: 117a ~ 117d)들, 및 화상독취유닛(210)을 통해 독취 과정을 마친 원고(101)를 배지하는 배지롤러(119)를 포함한다.
여기서, 픽업롤러(115), 이송롤러(117)들 및 배지롤러(119)는 반송부본체(111)의 가로 길이를 축소시키기 위하여 원고이송로(121)가 대략 “⊂”자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급지구(111a) 및 배지구(111b)의 위치가 대략 수직 배치된다.
이송롤러(117)들은 픽업롤러(115)로부터 픽업된 원고(101)를 낱장 분리하는 ADF(117a : Automatic Document Feeder)롤러(117a)와,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된 후 회전됨으로써 ADF롤러(117a)를 통해 이송되는 원고(101)에 컬(Curl)을 만들어 원고(101)의 스큐(Skew)를 보정하는 레지스트롤러(117b)와, 화상독취유닛(21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고(101)를 U턴시키는 스캔롤러(117c)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ADF 롤러(117)와 대향하는 측에는 원고 분리시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키 는 마찰패드(118)가 구성된다.
또한, 레지스트롤러(117b)의 상류측에는 원고(101)를 감지하여 레지스트롤러(117b)의 회전 동작이 실시되는 시점을 결정하게 하는 레지스트센서(123)가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스캔롤러(117c)의 하류측에는 이송되는 원고(101)를 감지하여 화상독취유닛(210)의 동작시점을 결정하게 하는 스캔센서(125)가 구성된다.
다음은 양면 화상 독취 동작을 실시할 경우 원고(101)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독취유닛(210)의 하류측 원고이송로(121)상에 그 제1,2경로전환점(S2,S3)이 연결되고 화상독취유닛(210)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원고이송로(121)상에 그 종점(E2)이 연결된 제1,2원고반전로(127a,127b)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1,2원고반전로(127a,127b)는 원고(101)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제1,2원고반전로(127a,127b)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그 제1,2원고반전로(127a,127b)의 제1,2경로전환점(S2,S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제 1,2경로전환점(S2,S3)으로부터 원고(101)가 소정거리 이동된 후 합류되고, 종점(E2)이 한 점을 이룬것이 도시된다.
한편, 종점(E2)은 화상독취유닛(210)의 상류측에 위치시키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캔롤러(117c)의 상류측으로 위치시켜 제1,2원고반전로(127a,127b)를 통해 이송된 원고(101)가 스캔롤러(117c)에 의해 유턴되어 반전된 후 화상독취유닛(210)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제1,2원고반전로(127a, 127b)를 통해 원고(101)의 이송방향을 역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원고반전유닛(130)이 구성된다.
원고반전유닛(130)은 화상독취유닛(210)을 통해 독취과정을 마치고 이송되는 원고(101)의 후단측을 선위치로하여 원고 이송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131)와, 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는 정·역회전롤러(133)이다. 이때 정역회전롤러(133)를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으나, 배지롤러(119)로 대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터(131)의 동력은 도시되지 않은 기어열에 의해 배지롤러(119)로 전달된다.
또한, 제1원고반전로(127a)의 제2경로전환점(S2) 전측에는 이송되는 원고(101)의 선단을 감지하여 원고반전유닛(130)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반전센서(141)가 추가로 구성된다.
이때, 원고반전유닛(130)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원고 길이에 대한 정보가 선행 획득되어져야만 하고, 따라서, 원고(101)의 길이를 감지하는 원고센서(150)가 구성된다.
원고센서(150)는 원고(101)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고급지대(113)에 설치된 제 1,2원고센서(151,152)로 한다. 원고(101)가 이송되는 원고이송로(121)상에 설치된 제 3원고센서(153)로 할 수도 있다.
원고급지대(113)에서 원고(101)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고급지대(113)의 대략 중앙부에 제 1원고센서(151)를 설치하고, 원고급지대(113)의 후단측으로하여 원고(101)의 길이차를 발생시키는 구간(D)에 제 2원고센서 (152)를 설치한다.
구간(D)이라 함은 원고(101)의 선단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원고(101)의 후단측의 위치는 원고(101)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짧은 원고(101)가 적재된 경우 원고급지대(113)의 후단으로부터 원고(101)의 후단과의 갭이 발생되는데 이것을 구간(D)라 한다.
제1,2원고센서(151,152)는 예를 들면, 적재되는 원고(101)의 누름상태를 감지하거나, 발광기 및 수광기로 구성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수광상태를 체크하는 것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 1,2원고센서(151,152)가 동시에 감지되면 원고(101)의 길이가 긴 것 예컨대, Leagal Size판단하고, 제 1원고센서(151)에서만 감지되면 원고(101)의 길이가 짧은 것 예컨대, A4 사이즈의 원고로 판단한다.
한편, 원고이송로(121)상에서 설치된 제 3원고센서(153)인 경우 원고(101)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체크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그 일예로 원고(101)가 이송되면서 온/오프 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원고(101)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 3원고센서(153)는 상술한 레지스트센서(123) 또는 스캔센서(125)로 대신할 수 있다.
다음, 제1,2원고반전로(127a,127b)의 각 제 1,2경로전환점(S2,S3) 부근에는 원고 이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장치(160)가 구성된다. 경로전환장치(160)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고반전로(127a,127b)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원고이송로 (121)를 통해 원고(101)가 이송될 때에는 원고(101)의 이송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회전되어 원고이송로(121)를 개방하도록 된 게이트바(161)로 한다.
이때, 게이트바(161)를 솔레노이드(16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동작시켜 제1,2원고반전로(127a,127b) 및 원고이송로(1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이송되는 제1,2원고반전로(127a,127b)상에는 반전롤러(154)를 추가로 설치하여 원고 반송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화상독취부(200)의 구성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상독취부(200)는 독취부 본체(201)의 상부에 투명재인 유리판(203)이 설치되고, 그 유리판(203)의 하부 소정위치에 원고(101)의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유닛(210)이 설치되고, 상기 화상독취유닛(210)과 대향하는 유리판(203)의 상측에는 원고(101)를 화상독취유닛(210)측으로 눌러주는 화이트바(205)가 설치된다.
화상독취유닛(210)은 일 예로 화이트바(205)에 의하여 유리판(203)의 상면에 밀착된 원고(101)측으로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광발생기(211)와, 상기 광발생기(211)로부터 조사된 광이 독취 위치(P)에 부딪혀 반사되는 화상광을 수광하여 아날로그 정보로 입력되고 증폭 과정을 거쳐, A-D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센서(213)로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화상독취장치(100)에 의해 화상 독취가 이루어 지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화상 독취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먼저, 단면 화상 독취 동작(S10)에 의해, 픽업롤러(115)가 회전하여 원고급지대(113)에 적재된 원고(101)를 픽업한다. 픽업롤러(115)를 통하여 픽업된 원고(101)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롤러(117a) 및 마찰패드(118)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낱장씩 분리된다. 이후, 원고(101)는 레지스트롤러(117b)를 통해 계속 이송되어 스캔롤러(117c)의 위치에서 유턴되고, 화상독취유닛(210) 및 화이트바(205)의 사이로 이송된다. 이송된 원고(101)는 그 일면이 독취된 후 배지롤러(119)를 통하여 본체(23)의 외부로 배지되어 일면 화상 독취 과정을 마친다. 이때, 경로전환장치(160)인 게이트바(161)는 이송되는 원고(101)가 상방향으로 치는 힘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게이트바(161)는 솔레노이드(162)에 의해 전기적으로 동작되어 그 회전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경로를 전환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면 독취 동작(S10)을 실시하는 동안 원고(101)의 길이에 대한 정보가 획득(S30)된다. 여기서, 원고(101)의 길이를 감지하는 구체적 동작에 대해서는 앞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다음, 양면 독취 동작을 행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일면 독취 과정(S10)이 진행된 후 배지롤러(119)를 통해 배지되는 원고(101)를 해당하는 길이에 따라 그 반전경로를 다르게 지정하여 화상독취유닛(210)측으로 반송(S50)한다.
그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동작에 의해 일면이 화상 독취 된 후 이송되는 원고(101)의 선단을 반전센서(141)가 감지한다. 그러면, 반전센서 (141)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13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배지롤러(119)를 배지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그 소정시간은 원고감지기(150)를 통하여 획득된 원고(101)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결정한다. 즉, 원고(101)의 길이가 짧은 경우 배지롤러(119)는 원고(101)의 후단이 제 1경로전환점(S2)에 위치하면 동작되고, 원고(101)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원고(101)의 후단이 제 2경로전환점(S3)에 위치하면 동작되어 원고(101)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른 경로로 반송된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원고반전로(127a) 또는 제 2원고반전로(127b)를 통해 반송된 원고(101)는 다시 스캔롤러(117c)의 위치에서 유턴되어 원고(101)의 타면이 화상독취유닛(210)을 향하도록 반전되고, 계속하여 화이트바(205) 및 화상독취유닛(21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원고(101)의 타면이 화상독취(S70)된다.
이어서, 배지구(111b)를 통해 배지되는 원고(101)의 적재 방향을 맞추기 위하여 제1,2원고반전로(127a,127b)를 통해 또다시 반송된 후 스캔롤러(117c)를 통해 유턴되고, 화상독취유닛(210) 및 화이트바(205)의 사이를 통과하여 배지롤러(119)를 통해 배지구(111b)로 배지(S90)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독취 방법을 따르면, 원고의 양면을 화상 독취할 경우 그 반전되는 경로를 원고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원고가 불필요하게 반송되는 길이를 줄임으로써, 화상 독취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원고급지대로부터 급지된 원고가 화상독취유닛을 경유하여 화상 독취과정을 마친 후 배지롤러를 통해 본체의 외측으로 배지되는 경로를 이루는 원고이송로;
    상기 배지롤러를 통해 배지되는 원고의 후단을 선위치로 하여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원고반전유닛;
    상기 원고이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원고의 길이에 대응하며, 상기 원고반전유닛을 통해 상기 원고의 후단을 선 위치로 하여 상기 이송방향이 반전된 상기 원고를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상류측으로 재이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원고반전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반전로는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2경로전환점이 연결되고,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상류측에 상기 제1,2경로전환점을 통해 반송된 원고를 한 곳에서 반출하는 종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반전유닛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며 상기 원고반전로의 제 2경로전환점 하류측에 설치된 정·역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회전롤러는 상기 배지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전환점 상류측에는 이송되는 상기 원고의 선단을 감지하여 원고 길이에 따른 상기 원고반전유닛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반전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경로전환점 부근에는 상기 원고의 이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장치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원고반전로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원고이송로를 통해 원고가 이송될 때에는 원고의 이송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원고이송로를 개방하는 게이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장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동작되어 원고반전로 및 원고이송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게이트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는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원고센서와;
    상기 원고의 길이차가 발생되는 상기 원고급지대의 후단측에 설치된 제 2원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는 상기 원고이송로상에 설치되어 그 온/오프 시간에 의해 상기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 3원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장치.
  11. 원고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원고의 일면을 화상독취유닛을 통해 독취 하는 단계;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화상독취유닛을 통해 일면이 화상 독취된 후 배지되는 원고의 후단측을 선위치로 하여 원고반전유닛에 의해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고, 상기 반전된 원고를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응하는 원고반전로를 취하여 화상독취유닛의 상류측으로 반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면이 반전된 상기 원고의 타면을 독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를 반송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원고반전로의 취함은 상기 원고반전로의 상류측으로 이송되는 원고의 선단을 감지하고, 상기 원고 의 선단이 감지된 시점을 기초로 상기 원고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반전유닛의 동작 시점을 다르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고의 길이 감지는 원고급지대에서 서로 다른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 및 상기 원고의 길이차가 발생되는 구간에서 상기 원고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되, 상기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 및 상기 원고의 길이차가 발생되는 구간에서 동시에 감지되면 원고의 길이가 긴 종류의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원고가 공통으로 적재되는 위치에서만 원고가 감지되면 원고가 짧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고의 길이 감지는 상기 원고이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원고의 선단 및 후단이 감지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화상 독취 방법.
KR1020040078728A 2004-10-04 2004-10-04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KR10060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28A KR100602268B1 (ko) 2004-10-04 2004-10-04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US11/236,625 US20060072949A1 (en) 2004-10-04 2005-09-28 Duplex-image rea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28A KR100602268B1 (ko) 2004-10-04 2004-10-04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873A KR20060029873A (ko) 2006-04-07
KR100602268B1 true KR100602268B1 (ko) 2006-07-19

Family

ID=3612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28A KR100602268B1 (ko) 2004-10-04 2004-10-04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72949A1 (ko)
KR (1) KR100602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12B1 (ko) * 2007-05-02 2014-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지부를 개선한 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20120091651A1 (en) * 2010-10-14 2012-04-1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Auto-document feeder and document feed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143A (ja) * 1995-10-20 1997-05-02 Fuji Xerox Co Ltd 両面画像読み取り装置
JPH09307701A (ja) * 1996-05-16 1997-11-28 Minolta Co Ltd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523A (ja) * 1998-09-16 2000-03-31 Konica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
US6434359B2 (en) * 2000-06-06 2002-08-1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apparatus having a bifurcating guide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143A (ja) * 1995-10-20 1997-05-02 Fuji Xerox Co Ltd 両面画像読み取り装置
JPH09307701A (ja) * 1996-05-16 1997-11-28 Minolta Co Ltd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2949A1 (en) 2006-04-06
KR20060029873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6703B2 (ja)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9253984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JP2009067596A (ja) 画像読取装置、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KR100602268B1 (ko) 양면 화상 독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면 화상 독취 방법
JP337289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7051011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1042578A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4282438A (ja) 画像読取装置
KR100611127B1 (ko) 화상독취장치
JP2001031284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3812499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2137846A (ja) 両面画像読取装置
JP3682522B2 (ja) 画像読取装置
JP3935294B2 (ja) 原稿供給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JP2005289565A (ja) 原稿読取装置
JP2011173716A (ja) 原稿搬送装置
JP4164736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6261847A (ja) 原稿読取装置
JP2005194016A (ja) 画像形成装置
JP3363088B2 (ja) 原稿読取り装置
JP3891162B2 (ja) 原稿搬送装置
JP5563540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3714277B2 (ja) 画像読取装置
WO2011024544A1 (ja)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JPH09166896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