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893B1 -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893B1
KR100601893B1 KR1020040003046A KR20040003046A KR100601893B1 KR 100601893 B1 KR100601893 B1 KR 100601893B1 KR 1020040003046 A KR1020040003046 A KR 1020040003046A KR 20040003046 A KR20040003046 A KR 20040003046A KR 100601893 B1 KR100601893 B1 KR 10060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mode
warm
tim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541A (ko
Inventor
김정국
채석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893B1/ko
Priority to US10/870,147 priority patent/US7120372B2/en
Publication of KR2005007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진입 후 경과된 시간 즉,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을 산출하고, 절전모드의 해제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 및 절전모드 경과시간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웜업모드에 따라 웜업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을 판단한 후,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에 따라 웜업동작을 달리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웜업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카운터, 온도감지센서, 커버오픈센서, 용지감지센서, 절전모드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Image forming device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도 1은 종래의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호스트 20 : 프린터 인터페이스
25 : 시스템 제어부 30 : 제어부
33 : 카운터 35 : 메모리
40 : 커버오픈센서 50 : 용지감지센서
60 : 구동부 70 : 정착부
80 : 현상부 100 :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전모드 상태에서 절전모드가 해제될 경우 웜업시간을 단축하여 결과적으로 인쇄시간을 단축하고, 불필요한 모터의 구동 및 정착부의 가열을 방지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되는 원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인쇄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인쇄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프린터나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절전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절전모드 요청이 있거나 대기상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 상태에 있게 된다(S10).
이러한 절전모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 해제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
절전모드 해제요청이 있는 경우는 호스트로부터 인쇄명령을 받거나 절전모드의 해제와 관련된 센서들이 동작하는 경우이다. 절전모드의 해제와 관련된 센서로는 커버 오픈 센서, 카세트 유무 감지 센서, 카세트의 용지 감지 센서, 수동 급지의 용지 감지 센서 등이다.
이와 같이 절전모드 해제요청이 있게 되면, 이에 응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절 전모드가 해제된다.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웜업 동작을 실행하고,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12). 물론 인쇄 명령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대기모드 진입과 동시에 인쇄모드로 변경된다.
상술한 종래의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 진입후 인쇄명령이 있거나, 커버 오픈 센서, 용지 감지 센서 등의 동작으로 인해 절전모드를 해제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면 항상 웜업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항상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상황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시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모드에 진입함과 동시에 다시 인쇄명령을 내리더라도 웜업 동작을 수행한 후 인쇄를 하기 때문에 웜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소정의 시간 동안 인쇄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웜업이 수행되는 동안, 정착롤러가 가열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웜업 수행시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감광드럼, 전사롤러, 현상롤러, 대전롤러 등 대부분의 롤러가 구동하게 되어 롤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전모드가 해제되어 웜업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웜업 시간을 단축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드전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하게 웜업 동작이 길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롤러의 수명단축현상을 줄이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드전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진입 후 경과된 시간 즉,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을 산출하고, 절전모드의 해제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 및 절전모드 경과시간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웜업모드에 따라 웜업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전모드는 인쇄명령, 용지감지센서 동작 및 커버오픈센서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웜업모드는 인쇄명령 및 용지감지센서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1웜업모드와 커버오픈센서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2웜업모드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웜업모드는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 미만이면,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만 가열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웜업모드는 소정 제2시간(T2)이 소정 제1시간(T1)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과 소정 제2시간(T2) 사이에 위치하면,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를 가열하고, 정착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웜업모드는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3시간(T3) 미만이면, 현상부 모터 구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동안만 웜업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진입 후 경과된 시간, 즉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을 산출하는 카운터,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을 분석하여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 및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 설정하며, 설정된 웜업모드에 따라 웜업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전모드는 인쇄명령, 용지감지센서 동작 및 커버오픈센서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웜업모드는 인쇄명령 및 용지감지센서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1웜업모드와 커버오픈센서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2웜업모드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웜업모드는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 미만이면,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만 가열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웜업모드는 소정 제2시간(T2)이 소정 제1시간(T1)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과 소정 제2시간(T2) 사이에 위치하면,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를 가열하고, 정착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웜업모드는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3시간(T3) 미만이면, 현상부 모터 구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동안만 웜업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시스템 제어부(25), 제어부(30), 카운터(33), 메모리(35), 커버오픈센서(40), 용지감지 센서(50), 구동부(60), 정착부(70) 및 현상부(80) 및 를 포함한다.
커버오픈센서(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커버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한다. 용지감지센서(50)는 카세트 유무 센서, 카세트 용지 감지 센서, 수동 급지 감지 센서, 옵션 카세트 유무 센서, 옵션 카세트 용지 감지 센서 등 사용자가 용지를 세팅할 경우 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한다.
구동부(60)는 모터를 동작시켜 기어에 물린 각 롤러들을 구동한다. 현상부(80)는 감광드럼, 대전롤러, 현상롤러, 전사롤러 등으로 구성되며,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정착부(70)는 히트롤러, 압력롤러로 구성되며 용지 위의 토너를 용지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스템 제어부(25)는 호스트(10)로부터 프린터 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인쇄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30)는 카운터(33)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며, 카운 터(33)의 증가는 절전모드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지속된다. 절전모드에 진입하는 순간분터 절전모드가 해제될 때 까지 카운터(33)에 의해 기억된 시간을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라 정의 한다. 카운터(33)에 의해 기억된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은 메모리(35)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운터(33)는 제어부(30) 내에 위치하나, 반드시 제어부(30) 내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카운터(33)의 종류는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며, 카운터(33)는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전모드 상태에서 인쇄명령이 내려지면 제어부(30)는 카운터(33)에 의해 기억된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하여 구동부(60), 현상부(80), 정착부(70)를 제어하면서 웜업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일정한 주기로 소정 센서들의 변화를 감지한다. 소정 센서들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을 기준으로 웜업모드를 달리하여 구동부(60), 현상부(80), 정착부(70)를 제어하면서 웜업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모드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흐름도를 참조하면, 호스트(10)로부터 절전모드 요청이 있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110).
카운터(33)는 절전모드 상태 진입시 부터 절전모드가 해제될 때 까지의 시간, 즉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을 카운트하여 그 값을 메모리(35)에 저장한다(S120).
제어부(30)는 시스템 제어부(25)를 통하여 절전모드 해제명령이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0).
절전모드 해제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30)는 카운터(33)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절전모드 해제명령의 원인을 분석한다(S140).
절전모드 해제명령이 있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 종류이다.
첫 번째는 호스트(10)로부터 인쇄명령이 있거나, 용지감지센서(50)가 동작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현상부(80)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감광드럼이 크리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착부(70) 제어를 위주로 웜업 동작이 수행된다.
두 번째는 커버오픈센서(40)가 동작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커버를 열어 용지 걸림을 제거해야 하거나 현상기 교환 등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에 변화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면서 웜업동작이 수행된다.
절전모드 해제명령의 원인이 위의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판명되면, 제어부(30)는 절전모드의 해제원인 및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 설정한 후, 설정된 웜업모드에 따라 웜업동작을 수행한다(S150).
웜업모드는 절전모드의 해제원인에 따라 2종류로 구분된다. 제1웜업모드는 호스트(10)로부터의 인쇄명령 또는 용지감지센서(50)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이다. 제2웜업모드는 커버오픈센서(40)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이다.
아래의 표는 호스트(10)로부터의 인쇄명령 또는 용지감지센서(50)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인 제1웜업모드의 설명에 제공되는 표이다.
인쇄 명령 또는 용지감지센서
제어방법 Ts < T1 T1 ≤ Ts < T2 T2 < Ts
정착부 제어
정착모터 구동 ×
현상부모터 구동 (감광드럼 크리닝) × ×
총 웝업시간 Ta Tb Tt
여기서, T1, T2는 소정의 시간으로 화상형성장치 자체의 외장이나 인쇄시스템 등에 따라 가변되는 값이다.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의 시간 T1 보다 작은 경우, 즉 Ts<T1 이면 제어부(30)는 웜업동작시 단순히 정착부(80)만을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소정의 시간 T1은 1분 미만의 수십 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웜업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정착부(70) 가열에 걸리는 시간(Ta)으로 종전보다 크게 단축된다. 또한, 이 경우 정착부(70)의 모터와 현상부(80)의 모터 등이 구동하지 않아 각 롤러들의 수명도 연장된다.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의 시간 T1 보다 크고 소정의 시간 T2 보다는 작은 경우, 즉 T1 ≤ Ts < T2 이면 제어부(30)는 정착부(70)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것 외에 정착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정착부(70)의 모터와 현상부(80)의 모터가 분리형인 경우 제어부(30)는 정착부(70)의 모터만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정착부(70)의 모터와 현상부(80)의 모터가 일체형인 경우 제어부(30)는 현상부(80)의 모터도 함께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정착성 확보에 필요한 시간에 따라 총 웜업 시간이 결정되도록 제어한다. 소정 의 시간 T2는 10분 미만으로 수 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의 시간 T2 보다 크다면 제어부(30)는 종래와 같이 웜업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0)는 정착부(70)가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정착부(70)의 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현상부(80)의 모터도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도록 한다.
아래의 표 2는 커버오픈센서(40)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인 제2웜업모드의 설명에 제공되는 표이다.
커버 오픈 센서
제어방법 Ts<T3 T3≤Ts
정착부 제어
정착모터 구동
현상부모터 구동 (감광드럼 크리닝)
총 웜업시간 Tc Tt
한편, 커버오픈센서(40)의 동작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는 항상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며,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는데 적어도 Tc의 시간이 소요된다. 제어부(30)는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이 소정의 시간 T3 보다 작은 경우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Tc) 동안만 웜업동작을 수행한다.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이 소정의 시간 T3 이상일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웜업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웜업모드와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에 따라 웜업동작을 달리 수행한 후, 대기모드로 진입한다(S160). 그 이후의 동작과정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을 판단한 후,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에 따라 웜업동작을 달리한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시간 동안 정착롤러를 가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웜업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진입 후 경과된 시간 즉,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을 산출하고, 절전모드의 해제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 및 상기 절전모드 경과시간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웜업모드에 따라 웜업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인쇄명령, 용지감지센서 동작 및 커버오픈센서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업모드는,
    상기 인쇄명령 및 상기 용지감지센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1웜업모드와 상기 커버오픈센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2웜업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업모드는,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 미만이면, 상기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만 가열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소정 제2시간(T2)이 소정 제1시간(T1)보다 큰 경우,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과 소정 제2시간(T2)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를 가열하고, 정착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웜업모드는,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3시간(T3) 미만이면, 현상부 모터 구동을 위해 필요한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는 시간(Tc) 동안만 웜업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7.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진입 후 경과된 시간, 즉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Ts)을 산출하는 카운터;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을 분석하여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 원인 및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 시간에 따라 웜업모드를 달리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웜업모드에 따라 웜업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인쇄명령, 용지감지센서 동작 및 커버오픈센서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웜업모드는,
    상기 인쇄명령 및 상기 용지감지센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1웜업모드와 상기 커버오픈센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설정되는 제2웜업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업모드는,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 미만이면, 상기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만 가열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소정 제2시간(T2)이 소정 제1시간(T1)보다 큰 경우,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1시간(T1)과 소정 제2시간(T2)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웜업동작 수행시 정착부를 가열하고, 정착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웜업모드는,
    상기 절전모드 진입 경과시간(Ts)이 소정 제3시간(T3) 미만이면, 현상부 모터 구동을 위해 필요한 감광드럼이 크리닝되는 시간(Tc) 동안만 웜업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03046A 2004-01-15 2004-01-15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KR10060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046A KR100601893B1 (ko) 2004-01-15 2004-01-15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US10/870,147 US7120372B2 (en) 2004-01-15 2004-06-18 Image-forming apparatus and power-saving mod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046A KR100601893B1 (ko) 2004-01-15 2004-01-15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541A KR20050075541A (ko) 2005-07-21
KR100601893B1 true KR100601893B1 (ko) 2006-07-19

Family

ID=3474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046A KR100601893B1 (ko) 2004-01-15 2004-01-15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20372B2 (ko)
KR (1) KR100601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162A (ja) * 2002-10-01 2004-04-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234784A (ja) * 2004-02-18 2005-09-02 Sharp Corp ジョブ処理装置
JP4233517B2 (ja) * 2004-12-08 2009-03-0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78789B2 (ja) * 2005-12-28 2011-09-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29681B2 (ja) * 2006-05-25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0818008A (en) * 2006-10-04 2008-04-16 Via Tech Inc Auto wake-up module and player equipment and method for waking-up automatically
JP4443595B2 (ja) * 2007-08-30 2010-03-3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8001404B2 (en) * 2008-03-04 2011-08-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mote wakeup web service for imaging device
US8942933B2 (en) * 2008-09-17 2015-01-27 Ricoh Company, Ltd. Power consumption calculation apparatus, power consumption calculation method, and state transition data generation method
JP2011056847A (ja) * 2009-09-11 2011-03-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8023842B2 (en) * 2010-01-26 2011-09-20 Ricoh Compan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rinting device power consumption based on usage data
US8731423B2 (en) * 2011-01-19 2014-05-2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fixing device
JP5340363B2 (ja) * 2011-10-19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12383B2 (ja) * 2013-08-21 2018-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99178B2 (ja) * 2013-09-27 2016-04-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230036440A (ko) * 2021-09-07 2023-03-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정착기의 온도에 기초한 정착기 가열 제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359A (ja) * 1984-07-10 1986-01-30 Sharp Corp 節電モ−ド自動解除機能を備えた複写機
JP3380905B2 (ja) 1995-09-11 2003-02-24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ページプリンタの待機方式
KR0164383B1 (ko) 1995-10-20 1999-03-20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웜업 제어방법
KR970076112A (ko) * 1996-05-21 1997-12-10 김광호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장치의 단계적 전원절약방법
JP2000001022A (ja) 1998-06-12 2000-01-07 Ricoh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
US6390585B1 (en) 1998-07-21 2002-05-21 Hewlett-Packard Company Selectively warming a printhead for optimized performance
US6321046B1 (en) * 1999-12-28 2001-11-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duction heating fixing device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fixing device
JP2002304088A (ja) * 2001-04-09 2002-10-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01730B2 (en) * 2002-07-30 2004-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58067A1 (en) 2005-07-21
KR20050075541A (ko) 2005-07-21
US7120372B2 (en) 200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9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전모드 제어방법
US80824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20085A (ja) デバイス内の電力消費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0130621B1 (ko) 전자사진 현상 방식 프린터의 절전 프린팅 방법
JP3849233B2 (ja) 印刷システム
US88430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humidifica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humidification heater
JP562586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制御方法
KR100644608B1 (ko) 전기/전자 기기의 절전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US71137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655814B2 (ja) 画像形成装置
JP4943788B2 (ja) 画像形成装置
US10788774B2 (en) Fixing device that controls rotation speed of press roller, according to temperature of fixing element at start of job, type of recording sheet, ambient temperature, and elapsed time after start of paper fee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6406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3060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省電力設定方法
JP2004145086A (ja) 画像形成装置
KR100193820B1 (ko) 절전모드시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US20230080629A1 (en) Image-forming apparatus
JP495850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1187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523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450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587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H04353887A (ja) プリンタ装置
JP20211400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30739A (ja) 画像形成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