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220B1 -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220B1
KR100600220B1 KR1019997010067A KR19997010067A KR100600220B1 KR 100600220 B1 KR100600220 B1 KR 100600220B1 KR 1019997010067 A KR1019997010067 A KR 1019997010067A KR 19997010067 A KR19997010067 A KR 19997010067A KR 100600220 B1 KR100600220 B1 KR 10060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vice
hydraulic coupling
annular
elastic member
ax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436A (ko
Inventor
아르압라바
샤세궤구스타브
쏘바주프레데릭
사또네다니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2001002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78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comprising only two co-acting friction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 휠(104)과, 하우징의 반경방향 벽(14) 사이에 개재된 로킹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유압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 휠(104)과 일체인 주변 환형 부분(114)이 후방쪽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부재(122)가 주변 환형 부분(114)의 지지 영역(124, 126) 사이에서 후방으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가 축방향으로 배향된 구동 핀(128) 사이에서 마찰 디스크(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국제출원 공개 제 WO 93/13339 A 호에 개시되고 도시된 형태의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국제출원 공개 제 WO 93/13339 A 호에는,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기에 적합한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벽을 구비하는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도록 허브에 고정되어 있고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된 터빈 휠과,
터빈 휠과 반경방향 벽 사이에 작동식으로 개재되고, 전방에서 후방까지 터빈 휠과 반경방향 벽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로크업 클러치와,
터빈 휠에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부재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고 전방 축방향으로 유지하며,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에 의해 결합하도록 국부적 존(local zones)을 포함하는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주변 환형 부분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함께 회전하도록 케이싱에 결합된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피스톤과,
우선 피스톤과, 이 피스톤과 대향 관계이고 케이싱의 반경방향 벽의 내부 면 사이에서 피스톤에 의해 축방향으로 및 분리가능하게 파지되기에 적합하며, 다음에 각 구동 러그가 2개의 연속적인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사이에 수납되도록 주변 환형 부분내에서 대체로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주변 부분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외부 주변 구동 러그를 구비하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는 형태의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가 개시 및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러그는 현재의 경우에 환형 요소를 거쳐서 마찰 디스크를 통해 횡단 벽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국제출원 공개 제 WO 93/13339 A 호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환형 부분은 우선 환형 튜브 또는 토로이드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코일 스프링이 그 안에 포획되어 유지되며, 다음에 환형 부분은 이와 일체식 내측 연장부를 형성하는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터빈 휠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플레이트 부재는 리벳 연결에 의해 함께 결합된 2개의 부분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중 하나의 부분은 축방향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의 반경방향 내측의 보유를 제공할 정도로 그리고 이들을 통해 구동 러그를 통과시키기 위한 절취부를 포함하는 정도로 특히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 많은 수의 부품이 필요하며, 비용이 많이 들고 조립이 어려우며, 특 히 인접한 스프링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동 러그를 삽입하기가 어렵고, 이들을 터빈 휠에 회전식으로 결합하기 전에 스프링을 구비한 2개의 부분으로 플레이트 부재를 제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변 환형 부분이 후방쪽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되어서 탄성 부재가 맞물림 존 사이에서 후방으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하며, 탄성 부재가 구동 러그 사이에서 환형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특징인 상술한 형태의 유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환형 요소는 횡단 벽과 피스톤 사이에 파지되기에 적합한 마찰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크업 클러치는 주변 환형 부분이 마찰 디스크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감소된 부품수로 구성된다. 상술한 국제출원 공개 제 WO 93/13339 A 호와 비교할 때, 탄성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확대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부품이 제거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가 모든 부품에 의해 후방에서 가려지지 않고, 이들이 마찰 디스크에 의해 지지되는 사실로 인해서 피스톤의 외주연에 매우 근접하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증가로 인해서, 탄성 부재는 보다 강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큰 원주방향 길이의 사전절곡된 스프링의 형태로 탄성 부재의 끼워맞춤에 매우 적당하다.
탄성 부재는 구동 러그와, 따라서 마찰 디스크와 함께 축방향으로 변위되어서, 환형 부분의 주 기능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구성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부분에 의해서 축방향 후방이 아닌, 축방향 전방에 유지되는 탄성 부재를 특히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기능이다. 이러한 모든 것은 탄성 부재의 축방향 이동이 이뤄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환형 부분이 후방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사실에 의해서 이뤄질 수 있으며, 탄성 부재는 케이싱의 반경방향 벽상에서 그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도록 피스톤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형 부분은 표준화될 수 있으며, 구동 러그가 피스톤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의 단일 면의 로크업 클러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모든 경우에 편평하고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마찰 표면을 지지하고, 피스톤과 이와 대면 관계로서 횡단 벽의 내부 면 사이에 파지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 및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소조립체의 제조도 용이하다. 이러한 소조립체는 취급 및 이송이 용이하다.
이러한 소조립체로 인해서, 저장해야 할 부품 수가 감소되어 실수할 가능성, 특히 스프링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실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소조립체는 유압 커플링 장치의 최종 조립체가 위치되는 곳과 떨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최종 조립체는 환형 부분이 후방쪽으로 개방된 사실로 인해서 간단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술한 소조립체의 탄성 부재를 환형 부분내로 삽입하는 것이 쉽게 된다. 따라서, 조립 시간이 감소되고, 2개의 토크 전달 부재, 즉 그 사이에 탄성 부재가 원주방향으로 삽입된 환형 부분과 마찰 디스크를 구비한 토션 댐퍼를 포함하는 로크업 클러치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로크업 클러치가 파지될 때, 진동을 양호하게 흡수하며, 엔진 토크는 토션 댐퍼를 거쳐서 케이싱으로부터 터빈 휠까지 전달된다.
탄성 부재의 체적 및 치수의 증가로 인해서 동심 형태의 탄성 부재를 구성하도록 스프링을 끼워맞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프링은 스프링 및 구동 러그의 원주방향 단부 사이에 개재된 트러스트 컵을 거쳐서 마찰 디스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컵은 구동 러그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외부 스프링을 중심설정하는 반면, 다음에 컵은 외부 스프링내에 장착된 내부 스프링의 받침대로서 작용한다.
물론 구동 러그상에서의 잼밍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단일 스프링을 구비한 컵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부재가 마찰 디스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와 구동 러그 사이의 축방향 운동은 최대 가능한 양으로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마찰 디스크가 상기 부분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축방향 운동이 환형 부분과 탄성 부재 사이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마찰 디스크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케블라(Kevelar) 등과 같은 섬유로 보강된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찰 디스크는 복합 재료로 제조되며, 섬유 보강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는 마찰 디스크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기 피스 톤 및 케이싱 벽과 대면 관계로 그 외부 면상에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마찰 라이너의 제어된 활주 운동이 이뤄질 수 있게 한다.
탄성 부재와 마찰 디스크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의 부재로 인해, 축방향으로 배향된 구동 러그는 물론 경사질 수 있다.
환형 부분은 탄성 부재용 가이드 포켓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변 환형 부분은 탄성 부재의 쉬운 끼워맞춤을 위해 그리고 탄성 부재의 양호한 축방향 안내를 위해서 축방향 후방으로 개방된 축방향 채널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은 기부를 구성하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전방 부분을 통해 결합되어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외측 환형 부분과 내측 환형 부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용의 맞물림 존이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의 주변 환형 부분의 외측 환형 부분과 내측 환형 부분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존이 강하게 되고 실질적인 축방향 길이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배향된 구동 러그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결합 굽힘부에 의해 마찰 디스크의 외주연 에지에 결합되고 축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각 구동 러그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각각은 탄성 부재를 구동 러그에 축방향으로 부착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에 형성된 상보적인 하우징내에 수납되는 중심설정 패드를 구성하며,
마찰 디스크는 이 마찰 디스크의 외주연 에지로부터 대체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후방쪽으로 탄성 부재의 축방향 보유를 위해 탄성 부재와 대면하는, 탄성 부재를 축방향 후방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러그를 포함하며,
유지 러그는 구동 러그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 유지 러그의 자유 단부는 플레이트 부재의 주변 환형 부분의 외측 환형 부분의 후방 에지에 형성된 노치내에 원주방향 간극을 두고 수납되어서, 유압 커플링 장치의 외주연에 배열된 환형 부분에 대해서 마찰 디스크의 일정한 변위를 한정하며, 마찰 디스크는 그 면의 각각상에서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며,
각 탄성 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코일 스프링이며,
각 중심설정 패드는 인접한 스프링의 단부내에 수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가 탄성 부재용의 축방향 유지 기능을 갖고 있어서 탄성 부재가 양호한 조건하에서 작동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분의 내측 환형 부분이 경사져 있고, 예를 들면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어서, 끼워맞춤 및 간극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환형 요소는 그 자체가 피스톤을 구성하며, 구동 러그는 피스톤으로부터 직접 돌출되어 있고 피스톤상에서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모든 구조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하기의 상 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축방향 반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 및 마찰 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하지만,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은 커플링 장치내의 변형된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와 관련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마찰 디스크의 사용 가능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심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인서트 컵(insert cups)을 구비한 구동 러그를 위에서 본 부분 평면도,
도 8은 도 3과 유사하지만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반부 단면도,
도 10은 도 9와 유사하지만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상이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6은 도 1과 유사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의 화살표(17)의 방향에서 본 가이드 부분의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도 16 및 도 17과 유사하지만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8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서로 유추 가능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전방, 후방 또는 리어(rear), 상방 또는 탑(top), 하방 또는 바닥, 수직, 수평 등으로 사용된 용어는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도면에 대해 참고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특히, 자동차 변속기용으로 사용되는 외주연부에서 밀봉 결합하는 두 개의 반부 셸(shell)에 오일이 충만한 밀봉 케이싱(12)을 포함하는 형태의 유압 커플링 장치(10)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반부 셸중 하나는 반경방향 벽(14)이라 불리는 벽을 포함하며, 이 벽은 대체로 일반적인 회전축 X-X에 수직인 평면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커플링 장치(10)는 축대칭이 된다.
반경방향 벽(14)은 일정한 두께의 시트 금속에 의해 하나의 피스(piece)로 일체형으로 프레스 형성되며, 원통형 스커트(skirt) 형상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부(16)에 의해 외측 반경방향 에지를 넘어서서 연장되며, 정면 종단의 자유단(18)은 이러한 반부 셸(12)이 케이싱의 나머지 반부 셸과 결합하도록 설계되며(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임펄스 휠을 구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중앙부에서, 반경방향 벽(14)은 중앙 슬리브부(2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벽(14)은 벽(14)에 고정되는 나선이 형성된 체결 부재(300)에 고정되는 가요성 반경방향 플레이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보조로 구동 샤프트(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결합하여 회전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는 자동차의 크랭크축이다.
슬리브부는 그 내부에 벽(14)이 배치된 중앙 반경방향 평면에 대해서 축방향 전방으로 어긋나 있는 반경방향 벽(14)의 중앙부(22)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된다.
슬리브부(20)의 후방 종단의 환형 자유단(24)은 중심설정 장치를 구성하는 원통형 후방 종단부(또는 원통형 부분)(30)에 의해 케이싱(12) 외측에서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단차진 트러스트 칼라(28)의 소직경의 후방부(26)에 용접된다. 따라서, 칼라(28)는 벽(14)에 고정된다.
트러스트 칼라(28)의 대직경의 전방부(32)는 케이싱(12)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그중 일부가 벽(14)의 중앙부(22)의 전방 내측면(34)에 대향한다.
트러스트 칼라(28)의 전방부(32)는 축방향의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외주면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되는 피스톤(40)의 일부인 내측 부시(38)의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원통형 환형 표면(또는 안내면)(36)을 규정한다.
안내면(36)은 밀봉 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수납하기 위해 배치된 반경방향 홈(또는 챔버)(48)을 구비한다.
트러스트 칼라(28)의 대직경부(32)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후면(44)으로부터 원주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일련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돌기(46)를 구비하고, 돌기(46)는 반경방향 벽(14)의 중앙부(22)의 내측면(34)과 함께 벽(14) 및 피스톤(40)에 의해 축방향으로 규정되는 내측 챔버(48) 및 서로 연통되는 대응하는 수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통로를 규정하며, 챔버(48)가 원통형 부분(30)에 의해 전방에서 축방향으로 폐쇄된 트러스트 칼라(28)의 내측과 연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트러스트 칼라(28)의 소직경의 전방 원통형 부분(또는 후방부)(26)을 통과하여 하나 이상의 채널(50)이 연장되며, 원통형 부분(30)은 종동 샤프트(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내측 스플라인(56)을 구비하는 허브(54)의 본체(또는 슬리브부)(52)내에 중공 원통형 슬리브 형상으로 축방향으로 후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트러스트 칼라(28)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피드 덕트를 통해 형성된 채널(50), 돌기(46) 및 종동 샤프트를 거쳐서 챔버(48)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블라인드 중앙 구멍을 구비한다.
허브(54)는 장치(10)의 기타 요소 특히, 트러스트 칼라(28)와 동축이며,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플레이트(60)에 의해 슬리브부(52)의 후방 단부(58)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부품(또는 플레이트)(62)은 축방향의 결합을 위해 하나의 부품을 구성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트러스트 칼라(28)의 전방부(32)의 전방 반경방향 면(64)에 의해, 그리고 이차적으로 피스톤(40)의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는 부시(38)의 환형의 전방 단부면(66)에 의해 반경방향 플레이트(60) 위에 겹쳐 놓이거나, 다른 경우에는 트러스트 칼라(28)에 겹쳐 놓인다.
따라서, 부품(62)은 금속과 금속의 접촉을 방지하며 마찰계수가 낮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부품(62)은 기본적으로 트러스트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편평한 환형의 링 형상인 플레이트를 구성한다.
플레이트(62)의 편평한 환형 후방면(74)은 부시(38)용 및 칼라(28)의 전방 반경방향 면(64)용 접합면을 구성하며, 플레이트(62)의 내측 원통형 단부에 중심설정하기 위한 리베이트(rebat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겹쳐진 부품(62)은 칼라(28)의 중심과 허브(54)의 중심을 일치시킨다.
또한, 플레이트(62)는 반경방향 플레이트(60)와 피스톤(40)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즉, 피스톤(40)이 비결합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40)의 내측 반경방향부(82)의 환형 전면(80)과, 그와 대향하는 반경방향 플레이트(60)의 환형 면(84) 사이에 축방향 간극이 있다.
반경방향 플레이트(60)의 중앙 주요부는 플레이트(60)의 반경방향 전방면(90)에 형성된 환형 리베이트(88)를 구비하는 반경방향 외측 에지부(86)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플레이트(60)는 에지부(86)의 영역에서 덜 두껍다.
리베이트(88)의 반경방향 기부는 플레이트 부재(94)의 편평하고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반경방향 내측 에지부(92)의 후방의 축방향의 교합면(abutment)을 구성한다.
이러한 반경방향 내측 에지부(92)는 한 세트의 리벳(95)에 의해 반경방향 플레이트(60)의 에지부(86)에 고정된다. 각 리벳은 플레이트(60)의 에지부(86)에 형성된 구멍(96)과 플레이트 부재(94)의 반경방향 내측 에지부(92)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98)을 통과한다. 또한, 각 리벳(95)도 터빈 휠(104)의 환형 내측 링부(102)에 형성된 구멍(100)을 통과한다.
링부(102)는 반경방향 평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 부재(94)의 에지부(92)의 환형 전방면(106)에 인접하여, 리베이트(88)내에 수납된다.
플레이트 부재(94)는 내측 반경방향 에지부(9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 휨부(108) 및 편평한 환형 링 형상의 중앙부(110)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터빈 휠(104)에 대향하는 외형이 이어지고, 그 다음에는 대체로 절두원추형 부분(112)과, 대체로 반부 토로이드(toroid) 형상을 갖춘 주변 환형 부분(114)이 이어진다. 이러한 환형 부분(114)은 대개 피스톤(4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치되고, 베인이 형성된 터빈 휠(104)의 외측 주변에 결합된다.
오목한 환형 부분(114)은 축방향 후방, 즉 반경방향 벽(14)쪽으로 개방된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홈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피스톤(40)에 매우 가깝고 장치(10)의 외주연 및 터빈 휠(104)의 외주연으로 연장된다.
환형 부분(114)의 축방향의 단면이 도시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부는 축방향으로 향하며 본 발명에서는 대체로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반경방향 평면에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전방부(118)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외측부(116)를 포함하며,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내측부(120)에 의해 절두원추형 부분(112)의 외주연 에지에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 휠(104)에 본 실시예에서는 접선 방향으로 매우 가까이 접근하기 위하여, 그리고 터빈 휠(104)의 외주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전체를 차지하기 위하여 전방부(118)는 내측 부분(120)에 연결되는 영역에서 편평하다.
단면에서, 환형 부분(114)은 C 형상의 윤곽을 가지며,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를 수납한다. 탄성 부재는 본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한 세트의 코일 스프링(122) 형상이며, 코일 스프링은 공통의 피치 원상에 작동식으로 개재되고, 코일 스프링의 외경은 부분(116, 120) 사이에 규정된 채널(114)의 수직 깊이보다 약간 작다.
공지된 원리에 따르면, 스프링(122)은 원주방향으로 안내된다.
외측부(116)는 내측부(120)보다 축방향으로 더 길며, 내측부는 대칭축(X-X)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어 스프링(122)이 채널(114)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120)는 스프링(122)의 자유로운 이동을 촉진시킨다.
스프링(122)은 플레이트 부재(94)와 마찰 디스크(152) 사이에서 작동한다. 이를 위해 환형 부분(114)은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 126)의 원주방향의 단부를 구성하는 원주방향의 결합면인 결합 영역을 포함한다.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 126)는 서로 대향하는 관계이고 외측 환형부(116) 및 내측 환형부(120)에서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각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크(152)는 대체로 편평한 환형 링 형상을 갖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디스크(152)는 벽(14)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디스크의 편평한 환형 링 형상을 갖는 본체 또는 중앙부(154)는 서로 대향하는 환형의 편평한 후방면 및 전방면을 구비하며, 이 후방면은 후방 환형 마찰 라이너(160)를 및 전방면은 전방 환형 마찰 라이너(162)를 각기 구비한다.
마찰 디스크(152)의 후방 마찰 라이너(160)는 반경방향 벽(14)의 내측면 내에서 내측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환형 마찰 트랙(170)과 상보적으로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찰 트랙(170)은 반경방향 벽(14)의 중앙부(172)의 내측면내에서 가공되며, 환형 축방향의 프레스 형성된 요소로부터 수직면에서 축방향 전방 즉, 도 1에서 반경방향 벽(14)이 설치되는 수직 중앙면에 대해서 좌측으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전방 마찰 라이너(162)는 축방향 후방으로 향하고 피스톤(40)의 환형 외주연부(178)의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환형 마찰 트랙(176)과 상보적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크(152)는 라이너(160, 162)를 구비하지 않으며, 트랙(170, 176)과 직접 마찰 접촉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40)의 상기 외측 반경방향 주연부(178)는 피스톤(40)이 배치되는 대체로 반경방향 평면에 대하여 축방향 후방으로 편심된다.
피스톤(40)은 실질적으로 피치 원상에 배치된 일련의 탄성 텅(tongue)(180)에 의해서 반경방향 벽(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탄성 텅은 커버 플레이트(12)와 피스톤(40) 사이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동하며, 이때 1997년 12월 8일자 국제출원 공개 제 FR 97/15600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이러한 두 요소의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고 특히,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 디스크(152)는 실질적으로 환형부(116, 120)의 중간 높이에서 환형 부분(114)쪽으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주연의 구동 러그(128)를 포함한다.
구동 러그(128)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직각 접합 밴드(130)를 통과하여 마찰 디스크(152)의 외주연부의 에지(153)에 결합된다.
각 구동 러그(128)는 축방향의 전방 에지(132)의 영역내에 2개의 서로 대향하는 핑거 또는 패드(134)를 구비한다. 스프링(122)을 중심설정하여 지지하는 패드인 각 패드(134)는 측면 에지(136)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한 스프링의 개방 단부(138)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134)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구동 러그(128) 사이의 원주방향의 간격과 각 스프링(122)의 길이는 각 스프링이 서로 대향하며 그 사이에 마찰 디스크(142)가 장치(10)에 끼워맞춰지기 전에 마찰 디스크(142)가 스프링(122)에 사전고정되게 구멍 구조를 형성하도록 유지되는 2개의 패드 또는 핑거(134) 사이에 장착되게 하는 길이이다. 스프링이 마찰 디스크(152)의 주연의 에지(153)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지 러그(140)에 의해서 축방향 후방으로 지지되는 마찰 디스크(152)는 러그(128)의 반경방향 외측의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의 반경방향 내측의 스프링(122)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축방향 전방으로 약간 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연속적인 구동 러그(128) 사이에는 2개의 유지 러그(140)가 있고, 이 유지 러그(140)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2개의 패드(134) 사이에 고정될 때, 각 스프링(122)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서로 연속적이고 대향하는 결합면(124, 126)을 분리하는 거리보다 약간 짧아서, 스프링(122)을 지지하는 마찰 디스크(152)를 구성하는 소조립체가 축방향 전방의 채널 형상의 환형 부분(11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장착 후에는 플레이트 부재(94) 및 환형 부분(114)에 대한 디스크(152)의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 가능성이 남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그리고 기계적인 스톱(stop)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94)에 대한 디스크(152)의 상대적인 각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프링(122)을 유지하고 있는 러그(140)는 대체로 환형 부분(114)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S자 형상으로 휜다.
따라서, 러그(140)의 반경방향 외측 자유단(142)은 환형 외측부(116)의 환형 후방 축방향의 종단 에지(146)에 형성된 노치(144)에 원주방향의 간극을 두고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의 폭이 증대된 단 하나의 유지 러그가 있으며, 이것은 2개의 연속적인 유지 러그(128) 사이에 중심설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0)는 마찰 디스크(152)와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핑 스프링을 전혀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구성 요소를 표준화하기 위해서, 모든 면에서 도 1 및 도 2에 참고로 도시된 것과 동일한 마찰 디스크(152)가 사용되며, 이 디스크(152)는 대체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축방향 후방으로 경사진 러그(148)에 의해서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부분(112)의 주변의 에지(113)를 넘어서는 방식으로 변형되는 주변의 환형부를 구비하는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반작용 러그(148)는 3세트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2개의 러그(140)가 원주방향의 간극이 거의 없이 3개의 연속적인 반작용 러그 사이에 수납된다. 또한, 유지 러그(140)가 반작용 러그(148)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휠의 베인 사이의 케이싱내에 보유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임펄스 휠(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터빈 휠(104)이 구동되며, 자동차에 시동이 걸린 후에 터빈과 임펄스 휠 사이의 미끄럼 운동을 회피하기 위해서, 로크업(lock-up) 클러치는 터빈 휠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 샤프트를 케이싱의 반경방향 벽(14)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샤프트에 강하게 연결시킨다.
따라서, 로크업 클러치는 터빈 휠과 반경방향 벽 사이에서 작동한다. 로크업 클러치는 반경방향 벽(14)에 고정되는 트러스트 칼라(28)상에서 피스톤(40)에 의해 미끄러진다. 클러치의 결합 또는 파지(gripping) 및 분리의 제어는 축방향으로 피스톤(40) 및 반경방향 벽(14)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트러스트 칼라(28)에 의해, 그리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마찰 디스크(152)에 의해 경계가 설정되는 챔버(48)내에 압력을 형성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벽(14)은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 커플링 장치(10)의 적절한 입력 요소를 구성하며, 허브(54)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는 터빈 휠(104)은 상기 장치(10)의 출력 요소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피스톤(40)은 피스톤에 고정되고 장붓구멍을 구성하는 축방향의 홈을 구비하는 환형 링에 의해 반경방향 벽(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장붓구멍에는 장부의 역할을 하는 반경방향 러그가 결합된다. 이러한 러그는 벽(14)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일부이며 후방 마찰 라이너용의 마찰 트랙을 규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는 축방향 러그를 구비하고, 축방향 러그 각각은 피스톤내에 프레스 형성된 2개의 돌기 사이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마찰 라이너(160, 162)는 접착성 결합에 의해 피스톤(40)의 부분(178) 및 반경방향 벽(14)의 중앙부(172)에 각각 고정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디스크(152)는 코팅이 제공될 수도 있는 벽(14)과 코팅이 제공될 수도 있는 피스톤(4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파지되도록 배치된 마찰 디스크이다. 마찰 라이너(160, 162)에도 상술한 국제출원 공개 제 WO 93/13339 A 호에 개시된 방식으로 홈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홈은 라이너(160, 162)가 제어된 방식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모든 경우에, 마찰 디스크(152)는 2개의 마찰 라이너(160, 162) 사이에 개재되지만, 마찰 라이너(160, 16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또는 패드(134)는 스프링(122)과 러그(128)의 원주방향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인서트 컵(234)을 장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컵(234)은 러그(128)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컵(234)은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22)에 의해 둘러싸이는 코일 스프링(222)용의 단부면(236)을 통과하는 접합부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중공의 꼭지 형상을 하며 스프링(122)을 관통하는 원통형 중앙 돌출 요소(2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스프링(122, 222)이 동심형으로 장착되며, 컵(234)은 컵(234)을 지지하기 위하여 컵(234)의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돌출 요소(235)로 침투하는 중앙 패드(134)에 의해 지지되는 러그(128)의 측면 에지(136)를 지지한다.
따라서, 컵(234)은 모자 형상을 취하게 되며, 스프링(122)을 중심설정하고 내측 스프링(222)의 단부의 받침대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피스톤 외주연의 반경방향 외측의 유압 커플링 장치의 외주연에 큰 공간이 사용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스프링(122, 222)의 동심형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로크업 클러치가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라 엔진 토크가 2개의 토크 트랜스미션 부재 즉, 마찰 디스크 및 플레이트 부재(94)를 포함하는 토션 댐퍼를 통하여 벽(14)으로부터 터빈 휠로 전달된다. 플레이트 부재(94)는 마찰 디스크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탄성 부재(122, 222)를 위한 일체형의 주변 환형 안내부를 구비한다.
환형 부분(114)의 내측부(120)는 피스톤(40)에 매우 근접할 수 있으며, 그 외주연은 부분(120)과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의 절두원추형 부분(122) 사이의 접합 영역에 닿지 않도록 모서리를 깎아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22)는 피스톤(40)의 외주연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마찰 디스크(152)에 의해 지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16)는 스프링(122)에 대하여 축방향 후방으 로 돌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2)은 상부(116)에 대하여 축방향 후방으로 약간 돌출한다.
러그(128)는 스프링에 대칭으로 즉, 직경방향으로 결합한다.
러그(128)는 상부(116)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도 8과 도 11 내지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형 부분(114)은 예를 들면, 클리핑(clipping), 롤 시밍(roll seaming), 마찰 용접, 또는 용접 금속의 밴드에 의한 용접에 의해 터빈 휠(104)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밴드는 도 8에 참조부호(200)로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용접은 터빈 휠(104)과, 만곡된 전방 부분(118)과 결합하는 편평한 부분(218) 사이에서 효과적이다. 도 8에 참조부호(201)로 나타난 바와 같이,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94)의 외측 부분을 유지하는 것과 중앙 부분(110)을 터빈 휠(104)에 클리핑 또는 용접에 의해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고정 점(fastening point)(201)은 환형 부분(114)을 직접 고정하도록 보강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환형 부분(114)의 내측부(12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빈 휠의 형상을 근접하여 추적하는 고정 러그(220)를 죔으로써 저지된다. 터빈 휠의 베인을 터빈의 외측 토로이드(toroid)쪽으로 클리핑하기 위한 러그는 참조부호(301)로 나타나 있다. 러그(301)는 고정 러그(220)에서 형성된 구멍(302)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상기 러그(220)와 접촉하기 위해서 변형될 수 있어, 각 고정 러그(220)는 터빈 휠(104)에 클리핑된다. 고정 러그(220)는 환형 부분(114)을 형성하는 동안에 손실되는 재료의 중앙부를 이용함으로써 내측부(120)의 영역내의 2개의 시트(126)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러그(320)는 2개의 시트(126) 사이의 내부 및 환형 부분(114)의 전방부(118)를 구성하는 기부에서 절취된다. 이들 러그(3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04)과 접촉하여 클리핑되기 위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물론, 구조가 변형될 수 있어, 클리핑 러그가 환형부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따라서 클리핑 러그 각각은 터빈 휠의 외측 토로이드의 구멍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그 후 다시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토로이드와 접촉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핑 러그(401)는 휠(104)내의 구멍(402)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휠(104)의 외측 토로이드(403)와 접촉하게 뒤로 휘어지도록 2개의 시트(126) 사이의 전방부(118)로부터 돌출한다. 클리핑 러그는 도 13에 대한 역전 구성으로서, 클리핑에 의해 부분(118)을 고정할 수 있도록 휠(104)의 베인으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94)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환형 부분(114)은 터빈 휠(104)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환형 부분(114)의 내측부는 도 9 및 도 10의 참조부호(3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축방향의 결합 러그(317), 및 내측부(316)의 축(X-X)쪽으로 축방향으로 경사지는 장착 러그(318)는 원주방향의 변형에서 절단해 냄으로써 형성된다.
경사로 인해 러그(316)는 스프링(122)의 장착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115)의 전방부(118)는 환형 오목 형태의 전방부(11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외측 부분(116)을 포함한다. 전방부(118)는 180°이상의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축(X-X)쪽으로 경사지는 내측부(316)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부재(94)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외측부(116)내에 형성된 결합 영역(324)은 스탬핑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재료의 밴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에는 피스톤에 고정된 텅(180)이 타단에서 벽(14)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또는 플레이트(181)에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텅(180)은 1997년 12월 8일자로 국제출원 공개 제 FR 97/1560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리벳에 의해 피스톤(40)에 고정되고, 리벳팅(riveting)에 의해 구성 요소를 지지부에 죄기 위하여 피스톤(40)내에 플러그(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된다.
따라서, 피스톤은 스프링(122)이 플레이트 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122)과 디스크(152)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도 1에서 칼라에 장착될 수 있는 피스톤(40)쪽으로 이러한 방법으로 사전고정되는 텅용의 지지 플레이트(181)의 벽(14)쪽으로 죄는 체결 부재와 대향하는 플러그를 구비한다.
따라서, 칼라(28)가 첫 번째로 고정되고, 이어서 마찰 디스크(152)가 배치되며, 그 다음에 텅(180)을 갖춘 피스톤(40)이 칼라(28) 위에 끼워맞춤되고, 텅은 벽(14)에 고정되며, 플러그가 배치되고, 그 다음에 환형 부분(114)이 스프링(122)에 결합된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2)은 피스톤(40)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152)를 구성하는 소조립체가 형성되며, 그 위에 텅(118)이 고정되는 스프링(122) 및 피스톤(40)이 고정되며, 이후에 소조립체가 최종적으로 벽(14)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10 전체에서, 하측부(120, 316)는 절두원추형 형상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8에서 외측부(116)와 내측부(120)는 이 경우에는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 126)가 재료의 방해 없는 변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튼튼하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 외측부도 재료의 방해 없이 연속적이고 튼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는 외측부(116)로부터 돌출하는 두꺼운 부분에 의해서 대체된다.
예를 들면, 외측부(116)는 자유단의 영역에 벽(14)쪽으로 배향된 축방향으로 배향된 러그를 구비하며, 러그는 나중에 외측부(116)의 내측 주변과 접촉하도록 뒤쪽으로 휜다.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 126)는 용접되거나, 예를 들면 스냅피팅(snap-fitting)과 같은 다른 임의의 방법으로 외측부(116)의 내주연부나 내측부(120)의 외주연부에 각각 부착되는 부분에 의해서 대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국제출원 공개 제 FR 2 709 164 A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형성된 요소(124, 126)는 용접에 의해 환형 부분(114)의 내측에 고정되는 통상적인 부재의 일부일 수 있다.
이 부재는 스냅피팅에 의해서 환형 부분(114)에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4에서, 참조부호(500)로 나타난 것과 같은 부품은 전방부(118)와 접하고 있는 기부와 구동 러그(128)와 평행한 2개의 분기를 구비하며 대체로 U자 형상을 취하고, 관련된 러그(128)의 일측에서 연장된다. 분기는 스프링(122)의 원주방향의 단부와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부(116)는 그 자유단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어서 피스톤(40)으로 배향된 환형 섹터 형태인 비드(600)를 구비한다. 비드(600)는 스프링(122)이 환형 부분(1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122)의 변위를 한정하는 안전한 정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장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으며, 스톱(600)은 러그(128) 및 스프링(122)의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관련 비드(600)와 관련된 경사진 유지 러그(501)와 스프링(122)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접합 부재(500)내에 프레스 형성하기 위한 이러한 비드(600)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내측부(120)는 구멍(602)을 포함하며 그 내부에서 참조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닙은 결합한다. 이들 닙 각각은 부재(500)의 하부 분기의 연장부인 루프 요소(502)의 자유단의 일부이다. 상술한 닙은 부재(5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련된 구멍(602)에 원주방향의 간극 없이 통과한다. 따라서, 부재(500)는 끼워넣기, 스냅피팅 또는 클리핑에 의해서 끼워맞춤된다. 닙이 구멍(602)을 통과할 때, 러그(501)는 비드(600)위를 지나갈 때 수축한 후에 비드(600)에 접하기 위해 펼쳐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116) 및 전방부(118)는 각각 본 실시예에서는 톱니 형태의 러그(503)와 부재(500)의 기부에 프레스 성형되는 경사진 러그(504)를 수납하도록 참조부호(603)와 참조부호(604)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러그(501)는 생략할 수도 있는 횡단 러그(505)에 의해서 교체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500)의 분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6에서 부재(500)의 분지는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연속적인 스프링 사이에 도 11에 도시된 고정 러그(220)를 포함하여 2개의 부재(500)가 존재해야만 한다. 고정 러그(220)는 러그(301)를 포함하며 뒤로 휘어서 원주방향으로 휠(104)과 접촉하며, 도 16에 더 잘 도시되어 있다. 부재(500)는 U자 형상의 부재(500)의 분지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닙(703, 704)과 함께, 부재(500)의 기부로부터 돌출하고 전방부(118)와 접촉하도록 뒤로 휘는 클리핑 러그(701)의 보조로 환형 부분(114)에 클리핑함으로써 끼워맞춤된다.
각 닙(703, 704)은 외측부(116) 및 내측부(120)의 자유단에 각각 노치 형상으로 결합한다. 부재(500)의 기부는 축방향의 치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구동 러그(128)를 위한 중앙 공간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부재(118)의 윈도우(706)에 결합된다.
부재(500)를 환형 부분(114)에 바람직하게 몇 지점에서 용접함으로써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다른 실시예에서, 환형 부분(1114)은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러그(220)의 보조로 클리핑 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부분(111)으로 분할된다. 환형 부분(1114)은 스프링(122)의 원주방향의 단부를 위한 시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횡단방향으로 뒤로 휘는 단부를 갖는 U자형 단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환형 부분(1114)은 축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된 주머니 형태의 부재로 구성된다.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환형 부분(1114)은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서 전방부의 영역에서 휠(104)에 직접 고정된다.
플레이트 부재(94)에 대한 디스크의 상대적인 각 변위의 한정은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러그(128)의 일부의 연장부를 환형 부분(114)의 전방부(118)에 형성된 관련된 윈도우로 결합시킴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연장부는 변위의 단부에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단과 협동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변위의 방향에 따른 원주방향의 간극을 형성하며 관련된 윈도우내로 통과한다. 연장부의 자유단은 터빈 휠과의 모든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도 1에 참조부호(228)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를 깎아낸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2)을 위한 유지 러그(140)는 원주방향의 간극이 정해진 후에 시트(126)의 축방향의 연장부(826)와 함께 상술한 변위를 한정한다.
또한, 연장부는 관련된 러그(140)와 간섭하기 위하여 시트(126)가 직경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게 내측으로 어긋난다. 도 18에서 러그는 간극이 정해진 후에 부재(500)와 함께 변위를 한정한다.
구동 러그(128)도 스커트부(16) 쪽으로 약간 경사지며, 이 경사는 유지 러그(140)보다도 작다. 구동 러그(128)는 모든 경우에 축방향으로 배향되며, 이 경우에 마찰 라이너(160, 162)를 전혀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는 마찰 디스크(152)를 통하여 횡단벽(14)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에서 디스크(152)는 피스톤의 외주연과 대향하며 벽(14)의 표면(170)과 접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러그는 개별적으로 피스톤(40)에 부착되거나 피스톤(40)으로부터 돌출한다. 모든 경우에 러그는 케이싱(12)의 반경방향 벽의 내측면(170)과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요소에 의해 지지된다.

Claims (15)

  1. 자동차용의 유압 커플링 장치(10)로서,
    ①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기에 적합한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벽(14)을 구비하는 케이싱(12)과,
    ② 함께 회전하도록 허브(54)에 고정되어 있고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게 배열된 터빈 휠(104)과,
    ③ 상기 터빈 휠(104)과 상기 반경방향 벽(14) 사이에 작동식으로 개재되어 있고 전방에서 후방까지 상기 터빈 휠과 반경방향 벽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로크업 클러치와,
    ④ 상기 터빈 휠(104)에 회전식으로 고정되어 있고,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부재(122)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고 탄성 부재(122)쪽의 축방향으로 유지하며, 상기 탄성 부재(122)의 원주방향 단부에 의해 맞물리는 존(124, 126)을 포함하며, 터빈 휠(104)에 고정되어 있고 터빈 휠(104)의 외주연부에 끼워맞춰진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주변 환형 부분(114)과,
    ⑤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함께 회전하도록 케이싱에 결합된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피스톤(40)과,
    ⑥ 우선 피스톤과 대면 관계인 케이싱(12)의 반경방향 벽(14)의 내부 면(170)내로 접촉하게 되기에 적합하며, 다음에 각 구동 러그가 2개의 연속적인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부재(122)의 원주방향 단부 사이에 수납되도록 주변 환형 부분(114)내에서 대체로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주변 구동 러그(128)를 그의 외주연부에서 구비하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요소(152)를 포함하는 형태의 자동차용의 유압 커플링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분(114)은 상기 탄성 부재(122)가 후방으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맞물림 존(124, 1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축방향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구동 러그(128) 사이에서 환형 요소(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주변 환형 부분(114)은 축방향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축방향 채널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14)은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외측 환형 부분(116)과 내측 환형 부분(120, 31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한정되어 있고, 상기 부분들은 기부를 구성하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정면 부분(118)을 통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122)의 원주방향 단부를 위한 맞물림 존(124, 126)은 주변 환형 부분(114)의 외측 환형 부분(116)과 내측 환형 부분(120)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환형 부분(120, 316)은 장치의 축방향 대칭축(X-X)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으로 배향된 구동 러그(128)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접합 굽힘부(130)에 의해 환형 요소(152)의 외주연 에지(153)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러그(128)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된 패드(134)를 포함하며, 각 패드는 인접한 탄성 부재(122)의 원주방향 단부(138)에 형성된 상보적인 하우징내에 수납되어 있는 중심설정 패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트러스트 컵(234)이 탄성 부재(122) 및 구동 러그의 원주방향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134)는 컵의 돌출 요소(235)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요소(152)는 탄성 부재(122)에 직면하는 환형 요소의 외주연 에지(153)로부터 대체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탄성 부재(122)쪽의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러그(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러그(140)는 구동 러그(128)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지 러그의 자유 단부(142)는 플레이트 부재(94)의 주변 환형 부분(114)의 외측 환형 부분(116)의 후방 에지에 형성된 노치(144)내에 원주방향 간극을 두고 수납되어서, 플레이트 부재에 대한 환형 요소(152)의 각도 변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각 탄성 부재(122)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심설정 패드(134)는 인접한 스프링의 단부(138)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분(114)은 편평한 환형 링(106)의 형태인 내부 주변 부분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플레이트 부재(94)에 고정되며, 그 내부 반경방향 에지(92)는 터빈 휠(104)과 허브(54)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플레이트 부분(86) 사이에 수납되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94)는 허브(54)의 플레이트 부분(8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요소(152)는 반경방향 벽(14)과 피스톤(40) 사이에 파지되기에 적합한 마찰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KR1019997010067A 1998-03-03 1999-03-03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KR100600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2808A FR2775747B1 (fr) 1998-03-03 1998-03-03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98/02808 1998-03-03
PCT/FR1999/000483 WO1999045294A1 (fr) 1998-03-03 1999-03-03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436A KR20010020436A (ko) 2001-03-15
KR100600220B1 true KR100600220B1 (ko) 2006-07-13

Family

ID=952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067A KR100600220B1 (ko) 1998-03-03 1999-03-03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80482B1 (ko)
JP (1) JP2001525046A (ko)
KR (1) KR100600220B1 (ko)
BR (1) BR9904843A (ko)
CA (1) CA2288220C (ko)
CZ (1) CZ293362B6 (ko)
DE (1) DE19980568T1 (ko)
ES (1) ES2186394T3 (ko)
FR (1) FR2775747B1 (ko)
WO (1) WO1999045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8794A1 (fr) * 1997-09-23 1999-03-26 Valeo Embrayage de verrouillage pour un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FR2783298B1 (fr) * 1998-09-10 2001-02-09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a rainure de refroidissement
FR2793295A1 (fr) * 1999-05-05 2000-11-10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d'encombrement redui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1084B1 (fr) * 1999-11-17 2001-12-07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2265B1 (fr) * 1999-12-10 2002-03-01 Valeo Embrayage de verrouill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6457B1 (fr) 2000-03-17 2002-06-21 Valeo Dispositif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8066B1 (fr) 2000-04-21 2002-07-12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11048B1 (fr) * 2000-06-29 2002-10-25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butee a aiguilles entre le piston et le moyeu de turbine
FR2813651B1 (fr) 2000-09-05 2004-06-11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U2002210545A1 (en) 2000-11-29 2002-06-11 Thyssen Krupp Automotive Ag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DE102008057658A1 (de) * 2007-11-29 2009-06-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wandler mit Verbindungsscheibe für eine Scheibenkupplung und mit Bogenfeder
US9322463B2 (en) * 2014-04-25 2016-04-26 Valeo Embrayages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with centered lock-up clutch friction disc,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1174903B1 (en) * 2019-05-28 2021-11-16 Logan Clutch Corporation Clutch assembly and system
US11525493B2 (en) * 2019-12-19 2022-12-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centered flanges
KR102446911B1 (ko) * 2020-12-14 2022-09-22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크 컨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3338A1 (en) * 1991-12-23 1993-07-08 Ford Motor Company Limited Damper and bypass clutch for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711A (en) * 1981-03-30 1983-11-08 Borg-Warner Corporation Extended travel damper in a lock-up clutch for a torque converter
US4790792A (en) * 1983-12-22 1988-12-13 Eaton Corporation Torsion damping assembly
DE4333562C5 (de) * 1992-10-12 2008-01-1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raftübertragungseinrichtung
DE4433256A1 (de) * 1993-10-29 1995-05-04 Luk Lamellen & Kupplungsbau Drehmomentwandler
WO1999001683A1 (fr) * 1997-06-30 1999-01-14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a embrayage de verrouil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3338A1 (en) * 1991-12-23 1993-07-08 Ford Motor Company Limited Damper and bypass clutch for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75747A1 (fr) 1999-09-10
FR2775747B1 (fr) 2000-07-13
EP0980482A1 (fr) 2000-02-23
ES2186394T3 (es) 2003-05-01
WO1999045294A1 (fr) 1999-09-10
EP0980482B1 (fr) 2002-10-23
KR20010020436A (ko) 2001-03-15
CZ293362B6 (cs) 2004-04-14
CA2288220A1 (fr) 1999-09-10
DE19980568T1 (de) 2000-07-27
BR9904843A (pt) 2000-07-18
JP2001525046A (ja) 2001-12-04
CZ9903908A3 (cs) 2001-11-14
CA2288220C (fr) 200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220B1 (ko) 자동차용 유압 커플링 장치
JP4359393B2 (ja) 自動車用液圧結合装置
US8276723B2 (en) Lock-up clutch for hydrokinetic coupling device including improved connection means
KR100661990B1 (ko)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US7191879B2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KR100829270B1 (ko) 피스톤과 커버를 연결하는 개선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US6280333B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with locking clutch for motor vehicle
JP4954410B2 (ja) 自動車用の流体結合装置
US6712186B1 (en) Compact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5806639A (en) Fluid coupling with a lock-up clutch
JP4026853B2 (ja) 流体力学的結合装置
US5904231A (en) Fluid coupling apparatu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KR100806604B1 (ko) 자동차용 유체 커플링 장치
JP4380804B2 (ja) トーションダンパー
JP4933697B2 (ja) 自動車用の、寸法を縮小した流体力学的結合装置
JP2000515233A (ja) 自動車用油圧継手
JP2000509135A (ja) トーションダンピング装置のためのハブ
JP4101886B2 (ja) ノイズ防止用弾性手段を備える流体結合装置、特に自動車用流体結合装置
JP2003035354A (ja) 自動車の流体連結装置
US20020104727A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a needle thrust bearing between the piston and the turbine hub
KR20020093597A (ko) 유체동역학적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