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142B1 -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 Google Patents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142B1
KR100600142B1 KR1020040078899A KR20040078899A KR100600142B1 KR 100600142 B1 KR100600142 B1 KR 100600142B1 KR 1020040078899 A KR1020040078899 A KR 1020040078899A KR 20040078899 A KR20040078899 A KR 20040078899A KR 100600142 B1 KR100600142 B1 KR 10060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urtain
unit
motor
vehicl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135A (ko
Inventor
손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1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리어커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커튼이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내려가고, 후진 후 차량이 전진 운행을 할 때 상기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후진시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확보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는, 전동기에 송출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리어커튼의 위치를 제어하는 리어커튼 유니트와; 리어커튼의 위치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리어커튼 스위치와; 전원공급장치와 리어커튼 유니트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이 시동상태일 때 리어커튼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스위치와; 변속기의 위치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시프트레버;를 포함하여서, 시동상태에서 변속기가 후진단(R)에 위치하고 리어커튼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는 리어커튼이 오프(OFF)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전동기가 회전하도록 전동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는 차량의 속도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하여서, 변속기가 후진단에 위치하여 리어커튼이 오프 상태가 된 후, 변속기가 주차단(P)이나 후진단 이외의 단에 위치하고 속도센서로부터 받은 속도신호가 소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는 리어커튼이 온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전동기가 회전하도록 전동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Description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AUTO OPEN APPARATUS OF REAR CURTAIN WITH BACKWARD MOVEMENT}
도 1은 리어커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어커튼 작동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예로서 차량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회전자 2, 3: 링크
4: 커튼 5, 6: 커튼 지지부재
M: 모터
본 발명은 전동식 리어커튼에 있어서, 리어커튼이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내려가고, 후진 후 차량이 전진 운행을 할 때 상기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후진시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확보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리어커튼이 걷혀서 태양광 등의 차폐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리어커튼 오프(OFF) 상태, 리어커튼이 처져서 태양광 등의 차폐가 일어나는 상태를 리어커튼 온(ON) 상태라 한다.
종래에는 고급 승용차의 경우, 상품성향상을 목적으로 리어커튼(sunshade)을 장착하여 출시하였다. 도 1은 리어커튼의 사시도이다. 통상 전동식 리어커튼이 사용되는데, 모터(M)가 회전하면 모터(M)에 연결된 회전자(1)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자(1)에 연결된 링크(2, 3)가 연동되어 상부 커튼 지지부재(6)가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된다. 즉, 전동식 리어커튼은 모터(M)의 회전방향에 의해 커튼(4)의 작동방향이 결정된다.
도 2는 종래의 리어커튼 작동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화스위치는, 시동키를 키박스에 꽂고 시동을 걸 때까지 작동되는 4단계의 키 위치에 따라, 정해진 차량의 전기·전자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이다. 점화스위치는 리어커튼의 작동을 위해 차량이 시동상태(엔진이 운동하는 상태)에 있을 때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리어커튼 단순 작동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운전자 또는 후석 탑승자가 필요에 의해, 예를 들면 태양광을 차단하고 싶을 때, 리어커튼 온 스위치를 누르면, 온 신호가 리어커튼 스위치로부터 단순 작동회로로 송출되고, 단순 작동회로에 의해 모터(M)에 전류가 UP 방향으로 흐르게 되 어 모터(M)가 회전함으로써 리어커튼 온 상태가 된다. 반대로 운전자 등이 리어커튼 오프 스위치를 누르면, 오프 신호가 단순 작동회로로 송출되고 단순 작동회로에 의해 모터(M)에 전류가 DOWN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모터(M)가 상기와 반대로 회전함으로써 리어커튼이 오프 상태가 된다. 단순 작동회로의 회로 구성은 통상 차량의 파워 윈도우와 같이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리어커튼은 단순히 스위치 조작으로 온/오프 되기 때문에 외부환경이나 운전방향과는 무관하게 작동하였다. 즉, 운전자가 후진하고자 할 때 리어커튼이 온 상태에 있는 경우, 별도로 운전자가 리어커튼 스위치를 눌러 리어커튼을 오프 상태로 하지 않는 이상 후방시계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안전운전에 방해 요소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후진시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온 상태의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후방 시계를 확보하고, 후진 후 차량 전진 운행시 다시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되도록 하여 운전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동기에 의해 커튼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동식 리어커튼에 있어서, 전동기에 송출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리어커튼의 위치를 제어하는 리어커튼 유니트와; 리어커튼의 위치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리어커튼 스위치와; 전원공급장치와 리어커튼 유니트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이 시동상태일 때 리어커튼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스위치와; 변속기의 위치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시프트레버;를 포함하여서, 시동상태에서 변속기가 후진단(R)에 위치하고 리어커튼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는 리어커튼이 오프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전동기가 회전하도록 전동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는 차량의 속도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하여서, 변속기가 후진단에 위치하여 리어커튼이 오프 상태가 된 후, 변속기가 주차단이나 후진단 이외의 단에 위치하고 속도센서로부터 받은 속도신호가 소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는 리어커튼이 온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전동기가 회전하도록 전동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리어커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리어커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부 커튼 지지부재(5)는 리어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M), 회전자(1), 링크(2, 3)의 작동에 의해 상부 커튼 지지부재(6)가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리어커튼이 작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예로서 차량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공급장치는 리어커튼 유니트의 전원 공급원으 로 점화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점화스위치는 리어커튼 유니트에 연결되며, 차량이 시동상태일 때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리어커튼 유니트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리어커튼 스위치는 조작자의 의도에 따라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할 수 있도록 리어커튼 유니트에 연결되어 있다. 리어커튼 유니트는 리어커튼의 작동 동력원인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UP 방향 또는 DOWN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조작자가 리어커튼 스위치를 눌러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가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되도록 하면, 리어커튼 유니트는, 송출된 신호가 온 신호일 경우에는 UP 방향으로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여 리어커튼을 온 상태가 되도록 하고, 송출된 신호가 오프 신호일 경우에는 DOWN 방향으로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여 리어커튼을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자는 종래와 같이 원하는대로 리어커튼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차량의 변속기, 특히 자동변속기의 변속 위치는 주차단(P), 후진단(R), 중립단(N), 주행단(D), 2단(2), 1단(1)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근래에는 2단(2) 및 1단(1) 대신 주행단(D)에서 단수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 및 (-) 위치가 구비된 자동변속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일편에서는 전진 운행에 있어서 특별한 단수가 없이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기어비가 변동되는 무단변속기(일명 CVT)가 장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변속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세분할 필요는 없으며, 크게 주차단(P), 후진단(D), 중립단(N), 전진 운행을 위한 모든 변속단(D')으로 구분하면 족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는 변속기의 위치신호를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한다. 세분된 변속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크게 구분된 변속 위치의 신호가 송출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3의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시동 상태에서 운전자가 후진 운행을 위해 변속기를 후진단(R)에 위치시키면, 시프트 레버는 후진단 변속 위치신호를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한다. 후진단(R) 위치신호를 입력받은 리어커튼 유니트는 현재 리어커튼의 위치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 판단한다. 리어커튼이 오프 상태이면 후방시계가 이미 확보된 것이므로 별도의 동작은 필요 없지만, 리어커튼이 온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시계 확보를 위해 리어커튼을 내려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리어커튼 유니트는 DOWN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모터(M)를 작동시키고, 그 결과 리어커튼은 오프 상태(열린 상태, 리어 커튼을 걷은 상태)가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에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신호를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속도센서가 더 장착된다. 상기 속도신호는 리어커튼 유니트가 현재 차량이 전진 운행을 계속 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주차나 후진 등을 할 때 한번의 후진만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운전자는 두 번, 세 번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후진 후 변속 위치가 전진 위치(D')에 위치하였다는 것만으로 운전자의 후진 운행이 끝났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므로, 전진 운행을 위한 모든 변속단(D')에 시프트 레버가 위치되고 차량이 전진방향으로 소정 속도 이상의 속도(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시속 20km)를 낸 것이 확인된 후에 후진 운행이 끝났다고 판단하는 것이 운전자의 의도에 더 가깝게 된다. 따라서 리어커튼 유니트는 변속 위치뿐만 아니라 속도위치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후진단(R)이 감지되어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오프된 상태에서 변속 위치가 주차단(P) 또는 후진단(R)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아직 전진 운행할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별 다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주차단은 더 이상 차량을 운행할 것이 아니라는 판단을 하기 충분한 근거이며 후진단은 아직 운전자가 전진 운행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에 충분한 근거이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는 굳이 리어커튼을 올릴 필요가 없다.
시프트 레버가 주차단(P)이나 후진단(R) 이외의 위치에 오게 되면 운전자가 전진 운행을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리어커튼 유니트는 속도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된 속도신호가 시속 20km를 넘는다면 운전자가 앞으로 일정 기간 이상 전진 운행을 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리어커튼 유니트가 UP 방향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모터(M)를 회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후방시계 확보를 위해 내렸던 리어커튼을 다시 올려 클로즈 상태(닫힌 상태, 리어 커튼을 친 상태)로 만들어주게 된다.
상기 작동에 의한다면, 운전자는 리어커튼이 쳐져 있는 상태에서 주차를 위해 후진을 하거나 차량의 진로방향을 바꾸기 위해 후진을 할 때 별도의 조작 없이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차 전진 운행을 할 때 다시 리어커튼을 올려줌으로써 리어커튼이 온 상태인 채로 운행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본래의 의도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는, 운전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운전자의 운전 상황에 따라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

  1. 전동기에 의해 커튼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동식 리어커튼에 설치되는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로서,
    상기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는:
    전동기에 송출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리어커튼의 위치를 제어하는 리어커튼 유니트와;
    리어커튼의 위치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리어커튼 스위치와;
    전원공급장치와 리어커튼 유니트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이 시동상태일 때 리어커튼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스위치와;
    변속기의 위치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시프트레버;
    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는:
    차량의 시동상태에서
    시프트레버가 송출하는 변속기의 위치신호가 후진단(R)이고
    리어커튼 스위치가 송출하는 리어커튼의 위치신호가 온(ON) 상태
    인 경우, 리어커튼이 오프(OFF)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전동기가 회전하도록 전동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는:
    차량의 속도신호를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에 송출하는 속도센서;
    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어커튼 유니트는:
    차량의 시동상태에서 시프트레버가 송출하는 변속기의 위치신호가 후진단(R)이고 리어커튼 스위치가 송출하는 리어커튼의 위치신호가 온(ON) 상태가 되어 리어커튼이 리어커튼 유니트이 리어커튼을 자동으로 오픈되어 리어커튼의 위치신호가 오프(OFF) 상태가 된 후
    시프트레버가 송출하는 변속기의 위치신호가 주차단(P)이나 후진단 이외의 단이고
    속도센서로부터 받은 속도신호가 소정 속도를 초과
    하는 경우, 리어커튼이 온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전동기가 회전하도록 전동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어커튼이 자동으로 클로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커튼 자동오픈장치.
KR1020040078899A 2004-10-05 2004-10-05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KR10060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99A KR100600142B1 (ko) 2004-10-05 2004-10-05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99A KR100600142B1 (ko) 2004-10-05 2004-10-05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135A KR20060030135A (ko) 2006-04-10
KR100600142B1 true KR100600142B1 (ko) 2006-07-13

Family

ID=3714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899A KR100600142B1 (ko) 2004-10-05 2004-10-05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36A (ko)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커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04Y1 (ko) * 2007-12-05 2009-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커튼 및 리어사이드커튼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36A (ko)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커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135A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142B1 (ko) 후진시 리어커튼 자동 오픈장치
GB2441337B (en) An electric selector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US7528500B2 (en) Intelligent wip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EP1758763B1 (en) Information device
KR20130026816A (ko) 버튼식 기어 조작기구
CA2418953A1 (en) Apparatus for enabling truck power take off functionality during auto neutral
FR2802266B1 (f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pour faire fonctionner un vehicule automobile
JP5234309B2 (ja) 変速制御装置
KR100534840B1 (ko) 자동 변속기용 파킹 시스템
KR20040041935A (ko)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KR20210032057A (ko) 차량의 전자식 변속 시스템
KR0174042B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자동 구동장치
KR20000031472A (ko) 스위치 제어형 자동 변속시스템
JP2008174025A (ja) 車両後方照明装置
KR200332677Y1 (ko) 자동차 백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100022349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KR101430872B1 (ko) 수동 변속기 시스템
JP2008190646A (ja) 変速制御装置
KR19990048288A (ko) 차량의 자동 세차 모드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1527A (ko) 전자제어방식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
KR200154154Y1 (ko) 차량용 룸 램프의 전구 위치 조정장치
KR910008913B1 (ko) 차량용 시동 시스팀
KR100187133B1 (ko) 자동차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 장치
KR20030086384A (ko) 차량용 윈도 글래스 자동 폐쇄시스템
FR2826915B1 (fr) Dispositif de commande d&#39;une boite de vitesses pour vehicule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