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935A -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935A
KR20040041935A KR1020020070045A KR20020070045A KR20040041935A KR 20040041935 A KR20040041935 A KR 20040041935A KR 1020020070045 A KR1020020070045 A KR 1020020070045A KR 20020070045 A KR20020070045 A KR 20020070045A KR 20040041935 A KR20040041935 A KR 2004004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
state
car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935A/ko
Publication of KR2004004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9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8Forced shifts into neutral for safety reasons, e.g. in case of transmission failure or emergency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세차기로 차량 진입시 스위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사이드미러, 파워윈도우, 라디오수신용 안테나를 동작시켜 차량을 세차 가능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 카오디오제어장치(130)를 구비한 동시에, 자동변속기(210)를 제어 가능한 TCU(220)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대시패널에 마련되어 '온'과 '오프'로 동작하는 스위치(300)와; 상기 스위치(300), TCU(220),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 카오디오제어장치(13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300)가 '온'상태일 때, 상기 TCU(220)를 통하여 자동변속기(210)를 중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 카오디오제어장치(1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어, 대시패널에 마련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 가능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상황시에는 브레이크 및 액셀러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세차모드가 해제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Converting system of wash mod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세차기로 차량 진입시 스위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사이드미러, 파워윈도우, 라디오수신용 안테나를 동작시켜 차량을 세차 가능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대시패널에 마련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 가능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상황시에는 브레이크 및 액셀러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세차모드가 해제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다수의 중소형 차량은 자동세차기를 이용하여 세차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세차기는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세차동작이 이루어지나, 국내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자동세차기는 저면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차량의 전륜을 가이드레일에 위치시키면 자동세차기가 차량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세차기는 좌우 및 프론트로부터 움직이는 워싱 브러쉬가 움직이면서 차체의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동세차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자동세차기로 차량을 진입시키기 이전에, 운전자가 윈도우글라스를 닫아 세척수의 실내 침입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라디오 동작 시 펼쳐지는 안테나의 손상을 막기 위해, 라디오를 오프 시켜야 되며, 추가적으로, 자동세차기 내에서 차량의 사이드미러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미러를 접동시키고, 기어를 중립 상태로 전환시켜야 한다.
현재 생산중인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윈도우글라스의 폐쇄, 라디오 오프, 사이드미러 접동과 같은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되는 세차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운전자가 위의 세차모드로의 동작을 수동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편의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세차 대기 시간의 지연으로 이어진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자동세차기에 진입하기 위한 일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가 개발중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9-48288호에 의하여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24)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자동변속기(24)의 드라이빙 기어의 선택, 주차모드 및 세차 모드를 설정하는 변속기레버(12)와; 상기 변속기레버(12)가 세차모드의 위치로 놓여짐을 검출하는 레버위치검출기(14)와; 클로즈 제어 신호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업/다운하는 파워윈도우구동부(18)와;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카오디오의 전원을 차단하는 카오디오제어부(20)와; 상기 세차모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윈도우 클로즈 제어신호 및 카오디오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니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R, N, D, 1, 2'의 변속모드를 갖는 상기 변속기레버(12)에 'W'모드 즉, 세차모드가 추가로 설정되어 있어, 운전자가 차량을 자동세차기로 진입시키고자 할 때, 상기 변속기레버(12)를 세차모드인 'W'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레버위치검출기(14)가 변속기레버(12)의 설정위치를 검출하여 위치검출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유니트(16)는 상기 레버위치검출기(14)로부터 발생된 위치검출신호를 검출하여 세차모드(W)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적인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게 되며, 세차모드(W)인 경우에는 파워윈도우구동부(18)와 카오디오제어부(20)의 동작을 스캔하여 윈도우글라스의 개폐상태 및 카오디오의 동작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윈도우글라스의 개폐상태 및 카오디오의 동작상태에 따라, 파워윈도우구동부(18)가 윈도우글라스를 밀폐시키거나, 카오디오제어부(20)가 카오디오의 라디오모드를 오프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위치검출기(14)의 출력에 접속된 TCU(Transmission Control Unit)(26)는 세차모드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변속기(24)가 'W'모드에 있더라도 중립모드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유니트(16)에 시동정지신호에 의해 엔진의 점화코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엔진의 시동을 오프 시키는 엔진점화제어기(22)를 추가로 연결하여, 상기한 일련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유니트(16)가 엔진점화제어기(22)를 통하여 엔진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자동변속기(24)가 마련된 차량에 변속기레버(12)의 시프팅을 확장하여 세차모드(W)를 설정하고, 변속기레버(12)의 전환에 따라 세차모드(W)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윈도우글라스를 폐쇄시키고, 카오디오의 안테나를 하향조절 할 뿐 아니라, 변속기어를 중립으로 전환시킨 후, 시동을 정지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세차기 진입시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세차모드로 전환시 시동이 정지되면서, 차실 내부의 에어컨, 히터, 조명장치, 오디오 등의 각종 편의장치를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표준화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구조변경이 요구되어 많은 초기 투자비용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 주행 중 운전자의 실수로 세차모드로 전환되면, 시동이 꺼지면서 차량의 모든 동작이 멈추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세차모드를 종료하고자 할 때에는 자동변속기를 변속시킨 후, 재시동을 해야 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시패널에 마련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 가능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상황시에는 브레이크 및 액셀러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세차모드가 해제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이드미러구동장치, 파워윈도우구동장치, 카오디오제어장치를 구비한 동시에, 자동변속기를 제어 가능한 TCU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대시패널에 마련되어 '온'과 '오프'로 동작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TCU, 사이드미러구동장치, 파워윈도우구동장치, 카오디오제어장치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일 때, 상기 TCU를 통하여 자동변속기를 중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사이드미러구동장치, 파워윈도우구동장치, 카오디오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이드미러구동장치120 : 파워윈도우구동장치
130 : 카오디오제어장치210 : 자동변속기
220 : TCU300 : 스위치
400 : 제어부500 : 차속센서
600 : 브레이크감지센서700 : 액셀러레이터감지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 카오디오제어장치(130)를 구비한 동시에, 자동변속기(210)를 제어 가능한 TCU(220)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대시패널에 마련되어 '온'과 '오프'로 동작하는 스위치(300)와; 상기 스위치(300), TCU(220),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카오디오제어장치(13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300)가 '온'상태일 때, 상기 TCU(220)를 통하여 자동변속기(210)를 중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 카오디오제어장치(1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R, N, D, 1, 2'의 변속모드를 갖는 일반적인 자동변속기(210)를 구비한 차량에 적용되며, 차량의 대시패널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3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300)는 '온'과 '오프'로 동작하여 '온'상태에서는 세차모드의 동작이 수행되며, '오프'상태에서는 정상적인 차량의 주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우선, 운전자가 차량을 자동세차기에 진입시키고자 하여 세차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스위치(300)를 운전자가 '온'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30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400)는 우선 윈도우글라스의 개폐상태, 카오디오의 라디오 동작여부, 사이드미러의 접동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각종 장치의 상태를 확인한 상기 제어부(400)는 윈도우글라스의 개폐상태, 카오디오의 동작상태 및 사이드미러의 접동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400)는 윈도우글라스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윈도우글라스가 개방된 상태일 때에는,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를 통하여 윈도우글라스를 밀폐시키게 되며, 카오디오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라디오모드일 때에는, 카오디오제어장치(130)를 통하여 라디오를 오프 시키게 되고, 사이드미러의 접동상태를 판단하여 사이드미러가 펼쳐진 상태일 때에는,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를 통하여 사이드미러를 접동 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400)는 자동변속기(210)를 제어 가능하도록 접속된 TCU(Transmission Control Unit)(220)를 통하여, 상기 자동변속기(210)를 중립모드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변속레버를 중립으로 이동시켜 변속시키는 것은 아니며, 단지 TCU(220)를 통하여 자동변속기(210)만을 중립으로 전환시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과 반대로 차량이 자동세차기로부터 나왔을 때,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300)를 '오프'시키면, 상기 제어부(400)가 TCU(220)를 통하여 상기 자동변속기(210)를 중립 이전의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400)는 파워윈도우구동장치(120), 카오디오제어장치(130), 사이드미러구동장치(110)를 제어하여 윈도우글라스, 카오디오, 사이드미러를 각각 자동세차기 진입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운전자가 대시패널에 마련된 스위치(300)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자동세차기에 진입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세차모드의 전환시에도 시동이 오프 되지 않기 때문에, 탑승객은 차실 내부의 에어컨, 히터, 조명장치, 오디오 등의 각종 편의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속센서(500)가 추가로 연결되어 차량 주행 중 상기 스위치(300)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300)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위치(300)가 운전자에 의하여 '온'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0)가 차속센서(500)에서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를 판단하여, 차속이 '0'이 아닌,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300)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며, 차속이 '0'인 경우에는 상기한 일련의 세차모드로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 운전자의 실수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300)가 '온'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0)가 차량이 주행 중임을 판단하여 상기 스위치(300)를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 주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감지센서(600) 및 액셀러레이터감지센서(700)가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300)가 '온'상태일 때, 브레이크가 작동한 후, 액셀러레이터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300)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을 자동세차기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위급사태가 발생하거나, 차량이 자동세차기로부터 나왔을 때,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았다가 액셀러레이터페달을 밟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가 브레이크감지센서(600) 및 액셀러레이터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300)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는 자동변속기(210)가 마련된 차량의 대시패널에 세차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300)를 마련하여,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300)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차량이 세차모드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윈도우글라스를 폐쇄시키며, 카오디오의 안테나를 하향조절하고, 사이드미러를 접동 시킬 뿐 아니라, TCU(220)가 일시적으로 자동변속기를 중립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세차기 진입시 운전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차모드로 전환시 시동이 정지되지 않아 차실 내부의 각종 편의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차가 종료된 후 별도로 시동을 온 시킬 필요가 없으며, 차량 주행 중 운전자의 실수로 스위치가 '온'되어도 '오프'로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세차가 완료된 후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와 액셀러레이터를 동작시키는 것만으로도 차량이 일반적인 주행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차량의 상품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대시패널에 마련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 가능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상황시에는 브레이크 및 액셀러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세차모드가 해제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사이드미러구동장치, 파워윈도우구동장치, 카오디오제어장치를 구비한 동시에, 자동변속기를 제어 가능한 TCU가 마련된 차량에 있어서,
    대시패널에 마련되어 '온'과 '오프'로 동작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TCU, 사이드미러구동장치, 파워윈도우구동장치, 카오디오제어장치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일 때, 상기 TCU를 통하여 자동변속기를 중립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사이드미러구동장치, 파워윈도우구동장치, 카오디오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차속센서가 추가로 연결되어 차량 주행 중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브레이크감지센서 및 액셀러레이터감지센서가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일 때, 브레이크가 작동한 후, 액셀러레이터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KR1020020070045A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KR20040041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45A KR20040041935A (ko)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45A KR20040041935A (ko)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935A true KR20040041935A (ko) 2004-05-20

Family

ID=3733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045A KR20040041935A (ko)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93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2548B2 (en) 2009-12-04 2014-03-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US9650019B2 (en) 2015-02-2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ar wash mode
KR20200012174A (ko) * 2018-07-26 2020-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기어단 제어방법
CN113002456A (zh) * 2021-03-29 2021-06-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洗车控制方法及系统
CN114179738A (zh) * 2021-12-17 2022-03-15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应用于洗车场景下的车辆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288A (ko) * 1997-12-09 1999-07-05 홍종만 차량의 자동 세차 모드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0190779A (ja) * 1998-12-25 2000-07-11 Fujitsu Ten Ltd 洗車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288A (ko) * 1997-12-09 1999-07-05 홍종만 차량의 자동 세차 모드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0190779A (ja) * 1998-12-25 2000-07-11 Fujitsu Ten Ltd 洗車用制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2548B2 (en) 2009-12-04 2014-03-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US9309966B2 (en) 2009-12-04 2016-04-1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US9650019B2 (en) 2015-02-2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ar wash mode
KR20200012174A (ko) * 2018-07-26 2020-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기어단 제어방법
CN113002456A (zh) * 2021-03-29 2021-06-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洗车控制方法及系统
CN114179738A (zh) * 2021-12-17 2022-03-15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应用于洗车场景下的车辆控制方法及系统
WO2023109321A1 (zh) * 2021-12-17 2023-06-22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应用于洗车场景下的车辆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0981A (en) Windshield wiper system activated lighting
JP3851423B2 (ja) ワイパ制御方法
CN103470747B (zh) 在具有至少一个驱动马达的汽车中的方法
KR20040041935A (ko)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US20220019095A1 (en) Vehicle dimmer control system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9980079402A (ko) 자동차 경고등 회로
JP2008280790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開閉システム
US6353300B1 (en) Open roof operating method and open roof operation control system
JP2002002370A (ja) へッドランプ制御装置
KR19990048288A (ko) 차량의 자동 세차 모드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397864Y1 (ko) 차량의 주변 조명장치
KR100756831B1 (ko) 자동차의 와이퍼 구동 회로 및 방법
KR20050098983A (ko) 자동차 오토라이트 시스템
KR20120058249A (ko) 방향지시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자동점멸방법
KR100887485B1 (ko)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장치
KR19990021361U (ko) 차량의 윈도우 클로우징장치
KR100471805B1 (ko) 차량의야광장치
KR200394363Y1 (ko) 리어커튼을 이용한 자동차용 비상 경고 장치
KR200154178Y1 (ko) 후진기어 작동시 라이트 전원 차단장치
JP4032820B2 (ja) サンルーフ作動制御装置
KR19980013193U (ko) 자동차의 자동 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17308A (ko) 자동차의 시동오프시 도어글래스 폐쇄장치
KR100193440B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구동 제어 방법
KR19990041290A (ko) 차측 시계확보용 등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