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349A -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349A
KR20100022349A KR1020080080983A KR20080080983A KR20100022349A KR 20100022349 A KR20100022349 A KR 20100022349A KR 1020080080983 A KR1020080080983 A KR 1020080080983A KR 20080080983 A KR20080080983 A KR 20080080983A KR 20100022349 A KR20100022349 A KR 20100022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nsmission
automatic transmission
manual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명종
임춘택
Original Assignee
엄명종
임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명종, 임춘택 filed Critical 엄명종
Priority to KR102008008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2349A/ko
Publication of KR2010002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일측에 마련된 기어변속을 수동으로 변환하는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이루어진 수동변속장치를 자동차의 운전자 전방위치로 이동시켜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간편하게 수동변속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동작동방식(M)에 마련된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는 수동변속장치를 운전대 후면에 마련한 하우징의 양측에 지렛대 방식으로 마련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 도로의 상황에 따라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을 가능케 하여 운전자가 항시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즉, 자동차의 운전대(1) 후면에 마련된 하우징(2)의 양측에 작동레버(20)를 마련하여 케이스(3) 외부로 돌출하게 마련하는 수동변속장치(10)와 상기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자동변속기(A)를 변속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4)와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자동변속기, 수동변속장치, 작동레버, 회동핀, 스위치, 커넥터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Equipment a change of speed passivity of gearbox automatic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일측에 마련된 기어의 변속을 수동으로 변환하는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이루어진 수동작동방식을 운전자의 전방위치인 운전대 후방으로 이동시켜 운전자가 간편하게 기어의 변속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 속도를 조절하고, 주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변속장치를 가지며, 이러한 변속장치는 운전자가 일일이 기어변속봉을 직접 작동시켜 주행속도를 조절하는 수동변속기와 기어변속봉을 주행(D)에 놓을 경우 자동차의 주행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하여 운전조작이 상당히 편리한 자동변속기로 크게 나누어져 있으나, 근래에는 운전자의 편리성으로 인해 자동변속기를 마련한 자동차를 선호하게 되었다.
상기 자동변속기는 그 조작을 위해 기어변속봉을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시킨 형태와 운전대 주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가 있으나, 전자의 경우 기어변속봉을 전, 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조작하고, 후자의 경우 기어변속봉을 상,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작하는 것으로, 한손으로 운전대를 잡은 상태에서 기어변속봉을 잡으려면 시트의 등받이로부터 등을 떼고 일어나서 변속을 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기어변속봉을 회전시킬 때 핸들을 잡은 한손이 흔들릴 우려가 발생하여 안전운행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기어변속봉을 마련한 자동변속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A)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작동방식의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과 상기 주행(D)의 일측에 수동작동방식(M)의 상,하부에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구분되어 상기 자동방식방식의 주행(D)와 수동작동방식(M)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을 주행(D)에 놓고 주행시 도로의 환경에 따라 임계적인 작동상태에 도달하게 되었음이 상응하는 판독의 결과로 명백해질 경우에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에 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매우 저속의 자동차속도인 경우에는 강제저단변속이 자동으로 도입되며, 그리고 높은 엔진회전수를 수반하는, 고속의 자동차속도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강제고단변속이 행해지므로 변속기어에 걸리는 부하로 인해 출력이 원할하 지 않고 또한 자동차의 연비를 낮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도로의 상황에 따라 맞추는 수동작동방식(M)으로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을 이동시켜 수동작동방식(M)의 상,하부에 마련한 고속기어(+), 저속기어(-)에서 도로의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기어변속봉(5)을 상, 하부로 이동시켜 도로 상황에 맞게 변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을 운전자가 운전시 도로의 상황에 따라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하고자 하면 운전자가 자동변속기의 주행(D)에서 수동작동방식(M)으로 이동시켜 상, 하부인 고속기어(+), 저속기어(-)에 맞게 변속하는 것으로, 이때 능숙한 운전자의 경우를 제외하면 운전자의 시야가 전방에서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으로 이동하여 기어변속봉(5)을 잡고 수동작동방식(M)으로 이동시켜 주행환경에 따라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변속하는 것으로 운전자의 운전시 수동작동방식(M)으로 작동시 양손이 운전대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한 위험성과 시야가 전방을 지속적으로 주시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운전시 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시 도로의 상황에 따라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하고자 운전자가 기어변속봉을 잡고 수동작동방식(M)으로 이동시켜 주행환경에 따라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이동시켜 운전자의 시야가 기어변속시 지속적으로 전방주시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운전자가 양손이 운전대를 잡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자동변속기의 수동작동방식(M)에 마련된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는 각각의 지렛대 방식의 작동레버를 자동차의 운전대 후면에 마련된 하우징의 양측에 마련하여 케이스 외부로 돌출하게 마련하여 운전자가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변환시 운전대를 잡고도 간편하게 고속기어(+), 저속기어(-)와 연결된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변속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작동방식인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과 상기 주행(D)의 일측에 수동작동방식(M)의 상, 하부에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구분하여 상기 자동방식방식의 주행(D)와 수동작동방식을 연결하는 통로로 연결하도록 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수동작동방식(M)에 마련된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는 각각의 지렛대 방식의 수동변속장치(10)를 자동차의 운전대(1) 후면에 마 련된 하우징(2)의 외부 양측에 마련하여 케이스(3)의 외부로 작동레버(20)를 돌출하게 마련하는 수동변속장치(10)와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는 제어컴퓨터와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의 수동작동방식(M)에 마련된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는 수동변속장치를 운전대 후면에 마련한 하우징의 양측에 지렛대 방식으로 마련하여 종래에 운전자가 운전 중 도로의 상황에 따라 긴급하게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시 운전자가 항시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운전자의 양손이 운전대를 잡고도 간편하게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로 변속가능케 하여 종래의 운전자가 기어변속봉을 잡고 주행환경에 따라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이동시켜 변속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자동변속기(A)와, 상기 자동변속기(A)의 기어를 변속조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작 단계로 작동되는 기어변속봉(5)과, 상기 기어변속봉(5)의 조작단계의 작동에 따른 입력신호에 자동변속기(A)를 변속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자동변 속기(A)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으로부터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A)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변속기(A)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 고속기어(+), 저속기어(-) 등의 조작단계를 가지는 기어변속봉(5)을 운전석의 일측 또는 운전대(1)의 후면에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작동방식인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과 상기 주행(D)의 일측에 수동작동방식(M)의 상,하부에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구분하여 기어변속봉(5)의 조작단계의 작동에 따른 입력신호에 자동변속기(A)를 변속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A)에 있어서,
자동차의 운전대(1) 후면에 마련된 하우징(2)의 양측에 작동레버(20)를 마련하여 케이스(3) 외부로 돌출하게 마련하는 수동변속장치(10)와 상기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자동변속기(A)를 변속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4)와 연결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의 운전대(1) 후면에 마련된 하우징(2)의 외부에 마련하는 수동변속장치(10)의 실시 예로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외부와 고정하는 몸체(11)를 마련하고 몸체(11) 상부에는 상판(12)을 마련하되, 상기 몸 체(11)와 상판(12)의 사이에는 하부 일측에 누름구(22)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회동핀(21)을 마련하고 케이스(3)의 외부로 연장시켜 돌출형성한 작동레버(20)를 마련하고, 상기 작동레버(20)의 하부에는 스프링(23)을 마련하며 상기 누름구(22)와 밀착하는 스위치(24)를 몸체(11) 내부에 마련하고 상기 스위치(24)와 연결하는 커넥터(25)를 몸체(11) 외주연에 마련하여 제어컴퓨터(4)와 연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대(1) 후면에 마련한 하우징(2)의 외부에 양측으로 본 발명의 수동변속장치(10)를 각각 마련하여 케이스(3)의 양측으로 돌출시켜 운전자가 운전 중 도로의 상황에 따라 자동변속기(A)의 수동작동방식(M)으로 변환하여 도로의 상황에 따라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시 운전자가 수동변속장치(10)의 양측에 마련된 고속기어(+)와 저속기어(-)와 연결한 각각의 작동레버(20)를 작동시키면서 운전자가 항시 전방을 주시하면서 간편하게 수동변속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로 변속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동변속장치(10)의 작동레버(20)를 당기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는 회동핀(21)에 의해 회동하여 일측에 형성한 누름구(22)가 하강하여 상기 누름구(22)와 밀착된 스위치(24)를 작동시키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24)에서 발생된 신호가 스위치(24)와 연결된 커넥터(25)를 통해 제어컴퓨터(4)로 전달하여 제어컴퓨터(4)에 입력된 입력 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자동변속기(A)에 알맞은 변속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컴퓨터(4)에서는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로 인해 입력되는 조작단계의 입력신호에 따라 자동변속기(A)가 기어의 변속작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수동변속장치(10)의 작동레버(20)의 회동핀(21)에 의한 지렛대 작동으로 인해 누름구(22)가 스위치(24)를 눌러 그 신호를 제어컴퓨터(4)로 전송시켜 자동변속기(A)가 변속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운전대(1)의 후면에 수동변속장치(10)를 마련하고 운전자와 보조석의 사이에 자동변속기(A)를 마련하고 상기 자동변속기(A)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 고속기어(+), 저속기어(-) 등의 조작단계를 가지는 기어변속봉(5)을 마련하여 도로의 상황에 따라 수동변속장치(10)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사용할 경우 상기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은 주행(D)의 상태에서 수동작동방식(M)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수동변속장치(10)가 작동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자동변속기(A)의 기어변속봉(5)이 수동작동방식(M)으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수동변속장치(10)의 고속기어(+), 저속기어(-)와 연결된 작동레버(20)를 작동하더라도 상기 누름구(22)의 작동으로 인해 스위치(24)가 작동하더라도 커넥터(25)를 통해 제어컴퓨터(4)로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 호와 물리적인 작동 등의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4,5,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주차 (R) : 후진
(N) : 중립 (D) : 주행
(M) : 수동작동방식 (+) : 고속기어
(-) : 저속기어 A : 자동변속기
1 : 운전대 2 : 하우징
3 : 케이스 4 : 제어컴퓨터
5 : 기어변속봉 10 : 수동변속장치
11 : 몸체 12 : 상판
20 : 작동레버 21 : 회동핀
22 : 누름구 23 : 스프링
24 : 스위치 25 : 커넥터

Claims (2)

  1. 자동작동방식인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과 상기 주행(D)의 일측에 수동작동방식(M)의 상,하부에 고속기어(+), 저속기어(-)로 구분하여 기어변속봉(5)의 조작 단계의 작동에 따른 입력 신호에 자동변속기(A)를 변속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A)에 있어서,
    자동차의 운전대(1) 후면에 마련된 하우징(2)의 양측에 작동레버(20)를 마련하여 케이스(3) 외부로 돌출하게 마련하는 수동변속장치(10)와 상기 수동작동방식(M)의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연결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자동변속기(A)를 변속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4)와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변속장치(10)는 하우징(2)의 외부와 고정하는 몸체(11)를 마련하고 몸체(11) 상부에는 상판(12)을 마련하되, 상기 몸체(11)와 상판(12)의 사이에는 하부 일측에 누름구(22)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회동핀(21)을 마련하고 케이스(3)의 외부로 연장시켜 돌출형성한 작동레버(20)를 마련하고, 상기 작동레버(20)의 하부에는 스프링(23)을 마련하며 상기 누름구(22)와 밀착하는 스위치(24)를 몸체(11) 내부에 마련하고 상기 스위치(24)와 연결하는 커넥터(25)를 몸체(11) 외주연에 마련 하여 제어컴퓨터(4)와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KR1020080080983A 2008-08-19 2008-08-19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KR20100022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983A KR20100022349A (ko) 2008-08-19 2008-08-19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983A KR20100022349A (ko) 2008-08-19 2008-08-19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349A true KR20100022349A (ko) 2010-03-02

Family

ID=4217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983A KR20100022349A (ko) 2008-08-19 2008-08-19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23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4040A1 (fr) * 2011-04-14 2012-10-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e changement de vitesses au volant de dir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US10649475B2 (en) 2016-05-16 2020-05-12 Benit M Co., Ltd. Vapor splitter and method for adjusting vapor split rati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4040A1 (fr) * 2011-04-14 2012-10-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e changement de vitesses au volant de dir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US10649475B2 (en) 2016-05-16 2020-05-12 Benit M Co., Ltd. Vapor splitter and method for adjusting vapor split rati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2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식 변속 레버
JP4747083B2 (ja)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EP2405162A1 (en) Park lock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JPH11141663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ティ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EP1180618B1 (en) Gear selector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N104417362A (zh) 车辆用换档装置
US10436309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automatic transmission
CN1075612C (zh) 汽车用换档装置
CN113513582A (zh) 工程车辆自动变速箱用电控换挡手柄及其控制方法
KR20100022349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JP2004511739A (ja) 自動車のギヤチェンジ機構
US20110264340A1 (e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20070293367A1 (en) Shifting system for a vehicle transmission
CN102472385A (zh) 包括变速器以及用于切换变速器挡位的选择元件的车辆
EP3805614B1 (en) Gear shift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gear shift operation device
CN215596384U (zh) 工程车辆自动变速箱用电控换挡手柄
JPH1098902A (ja) 歩行型管理機の前後進切換機構
CN214331451U (zh) 辅助换档装置
JPH1128945A (ja) 車両用変速切替装置
KR101399182B1 (ko) 전자식 수동변속기
KR20040077154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KR20040059149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KR100387873B1 (ko) 자동변속기의 파킹장치
JPH0523391Y2 (ko)
JPH0718064U (ja) 電動オートチェ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