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963B1 - 변상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상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963B1
KR100597963B1 KR1020050119193A KR20050119193A KR100597963B1 KR 100597963 B1 KR100597963 B1 KR 100597963B1 KR 1020050119193 A KR1020050119193 A KR 1020050119193A KR 20050119193 A KR20050119193 A KR 20050119193A KR 100597963 B1 KR100597963 B1 KR 10059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mpensation
setting
cros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장
마사오 시마모토
카즈오 고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유겐가이샤 지테크
카부시끼가이샤 토우세쯔 도보꾸 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유겐가이샤 지테크, 카부시끼가이샤 토우세쯔 도보꾸 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Priority to KR102005011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는 변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상기 구간별로 설정 입력하기 위한 단면 설정부와; 상기 각 구간별로 설정된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각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별 전개도를 작성하고, 상기 구간별 전개도를 통합하여 통합 전개도를 작성하는 전개도 작성부와; 상기 전개도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와 상기 통합 전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생성부와;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와 상기 통합 전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구조물의 변상개소를 설정 입력하기 위한 변상개소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터널 등의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고, 나아가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상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CHANGING SH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상관리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레이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이 정보처리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처리장치 10 : 시스템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40 : 사용자 입렵구
50 : 변형관리시스템 51 : 제어부
52 : 단면 설정부 53 : 변상개소 설정부
54 : 전개도 작성부 55 : 데이터 저장부
56 : 화면 생성부
본 발명은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기 위한 변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기 위한 변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등의 구조물에 발생하는 크랙 등의 변상은 구조물 자체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구조물의 폭락 사고 등의 재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바,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변상을 조사하고 이를 유지 및 보수하는 작업은 구조물의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자의 시각에 의존하여 점검하고, 구조물의 변상 위치를 관리자가 직접 도면 상에 스케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관리자의 시각에 의존하는 구조물의 변상 관리 방법은 구조물의 변상을 조사하는데 해당 구조물의 도면을 직접 지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구조물에 대한 별도의 도면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구조물을 직접 측량하여 도면을 작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관리자의 시각에 의존하는 구조물의 변상 관리 방법은 구조물의 변상의 종류, 예컨대, 크랙, 들뜸, 골재분리, 철근노출 등이나 관련 데이터를 도면에 직접 기입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할 수 있다면 구조물의 변상의 유지 및 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할 것이다. 또한,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면 하나의 구조물을 관리하는데 더욱 효율적일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터널 등의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고, 나아가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변상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는 변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상기 구간별로 설정 입력하기 위한 단면 설정부와; 상기 각 구간별로 설정된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각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별 전개도를 작성하고, 상기 구간별 전개도를 통합하여 통합 전개도를 작성하는 전개도 작성부와; 상기 전개도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와 상기 통합 전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생성부와;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와 상기 통합 전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구조물의 변상개소를 설정 입력하기 위한 변상개소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구간별도 동일한 단면 형상을 연속적으로 가지는 터널, 박스 암거, 다면체, 및 관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개도를 자동 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면 설정부는 상기 각 구간의 시작되는 개시거리 및 상기 각 구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구간거리를 입력받고;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상기 입력된 개시거리 및 구간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별 전개도를 통합하여 상기 통합 전개도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변상개소가 입력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 및/또는 상기 통합 전개도를 삼차원 입체도로 변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변상개소 설정부는 변상의 종류에 대응하는 변상종별 레이어와, 상기 변상종별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페이지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변상개소 설정부에 의해 생성된 복수 시점의 변상종별 레이어 및 페이지 레이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각 변상종별 레이어 및 상기 각 페이지 레이어를 선택 가능한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상기 아이콘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상기 각 변상종별 레이어 및 상기 각 페이지 레이어에 대응하는 변상 개소의 화면상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은 단면 설정부(52), 변상개소 설정부(53), 전개도 작성부(54), 화면 생성부(56), 데이터 저장부(55)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55)는 변상관리시스템(50)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 화면에 대한 GUI 데이터가 저장되는 GUI 데이터 저장부(55a)와, 변상관리시스템(50)에 의한 변상 관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5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55)의 GUI 데이터 저장부(55a)에는 후술할 각 설정화면들의 기본 프레임, 아이콘, 기타 GUI를 형성하기 위한 GUI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55b)의 레이어(Layer)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55b)는 3 계층의 레이어 구조를 갖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 계층에는 구조물의 전개도 데이터 및 단면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도면 레이어와, 기본도면 레이어에 대한 소정 개수의 페이지 레이어가 설정된다. 그리고, 페이지 레이어에는 제2 계층으로서 변상종별 레이어가 설정되고, 변상종별 레이어 내에는 제3 계층의 변상개소 레이어가 설정된다. 그리고, 각 변상 개소 레이어에는 변상 개소의 형상을 특정하는 도형 데이터(Polyline, Polygon), 깊이, 폭 등의 관련 데이터, 후술할 사진 파일과 링크되는 링크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단면 설정부(52)는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설정 입력받는다. 여기서, 단면 설정부(52)에 의한 구조물의 단면 형상의 설정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개도 작성부(54)는 단면 설정부(52)를 통해 설정 입력되는 구조물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구조물의 전개도를 작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개도 작성부(54)는 개별 전개도 작성부(54a)와 전개도 통합부(54b)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전개도 작성부(54a)는 단면 설정부(52)에 설정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속적이면서도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에 대한 전개도를 작성한다. 그리고, 개별 전개도 작성부(54a)는 작성된 전개도에 대한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전개도 통합부(54b)는 개별 전개도 작성부(54a)에 의해 작성된 전개도를 소정의 절차에 따라 하나의 구조물에 대한 전개도로 통합한다 . 이에 따라,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도 22 참조)의 전개도를 작성함에 있어서, 개별 전개도 작성부(54a)에 의해 각 구간별 전개도가 작성되고, 소정의 절차에 따라 전개도 통합부(54b)가 이를 통합하여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의 전체의 전개도가 작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전개도 작성부(54a) 및 전개도 통합부(54b)의 전개도 작성 및 통합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변상개소 설정부(5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개도 작성부(54)에 의해 작성된 전개도 상에 변상 개소를 입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변상개소 설정부(53)는 작성된 전개도 상에 변상 개소의 형상에 대응하는 도형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변상 개소를 설정할 수 있다.
화면 생성부(56)는 단면 설정부(52), 전개도 작성부(54), 또는 변상개소 설정부(53)가 단면 형상의 설정, 전개도의 작성, 또는 변상 개소의 설정을 위한 화면 의 출력을 요청하는 경우, GUI 데이터 저장부(55a)로부터 해당 GUI 데이터를 독출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한다.
제어부(51)는 변상관리시스템(50)의 각 구성요소들 간을 연계하고,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는 등, 변상관리시스템(5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지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스템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1)에 인스톨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정보처리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0), 및 사용자 입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부(10)는 정보처리장치(1)의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처리장치인 CPU, 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어댑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시스템부(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상에 이미지로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olor Ray Tube) 방식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키신호를 시스템부(10)로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40)는 키보드(41), 마우스(42), 펜 마우스(43)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0)에는 시스템부(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예컨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인스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이 인스톨되어 저장되며, 후술할 변상관리시스템(50)의 데이터 저장부(55)가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을 정보처리장치(1) 상에서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표시되는 메인화면(400)이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40)를 통해 제어부(51)로 변상관리시스템(50)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51)는 화면 생성부(56)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4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도 4는 메인화면(400)에 기 설정된 구조물의 전개도가 표시된 것을 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화면(400)에는 다수의 메뉴, 예컨대, File, 편집, 레이어, 삽입, 밀도계산, JH, 표시, 툴바, 설정, 도움말 등이 선택 가능한 메뉴바와(401), 표준적인 명령의 입력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는 표준툴바(402), 작도를 위한 명령의 입력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는 작도명령툴바(403), 포인터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가 표시되는 좌표툴바(404), 도형의 선종류, 색, 또는 모양 등을 설정하기 위한 묘화설정툴바(405), 구조물의 전개도가 표시되고 변상 위치에 도형의 입력이 가능한 작도영역(406), 전술한 데이터 베이스(55b)의 구성을 트리 형태로 표시하는 트리영역(407), 변상 종별마다 설정된 도형의 선종류, 색, 모양 등을 표시하는 범례영역(408)이 마련된다.
한편, 도 5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 설정부(5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설정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구조물의 단면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화면(500)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는 구조물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버튼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는 터널 변상 전개도, 박스 암거(Box Culvert), 관(원주), 벽면 등 평면, 심볼 작성, 단면 좌표 지정 등의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서 터널 변상 전개도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터널형상 설정화면(6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터널형상 설정화면(600)에는 터널 형상 중 표준형, 표준편자형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이 마련된다. 도 6은 터널형상 설정화면(600)에서 표준형을 선택한 경우의 설정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해당 화면에는 표준형의 터널 형상을 설정하기 위한 터널의 반경, 각도, 폭, 높이, 하부폭, 개시거리, 구간거리 등의 입력창이 마련된다.
그리고, 도 7은 터널형상 설정화면 중 표준편자형이 선택된 경우의 설정화면(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표준편자형에 대한 설정화면(700)에는 표준편자형의 터널형성을 설정하기 위한 반경, 각도, 개시각도, 종료각도, 개시거리, 및 도면거리 등의 입력창이 마련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서 박스 암거가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박스 암거용 설정화면(800,9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은 닫힌 암거용 설정화면(800)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폭, 하폭, 우측하부 높이, 우측하부폭, 좌측하부높이, 좌측하부폭, 좌측상부높이, 좌측상부폭, 우측상부높이, 우측상부폭, 개기거리, 구간 거리 등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마련된다. 또한, 도 9는 열린 암거용 설정화면(900)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폭, 하폭, 높이, 우측하부높이, 우측하부폭, 좌측하부높이, 좌측하부폭, 개시 거리, 구간 거리 등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마련된다.
그리고, 도 10은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서 관(원주)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관(원주)용 설정화면(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원주)용 설정화면(100)에는 반경, Barrel 높이, 개시 거리, 구간 거리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마련된다. 또한, 관(원주)용 설정화면(100)에는 관(원주)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도 10의 '하수관 Type', Barrel Type', '하부개방', '상부개방')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서 벽면 등 평면이 선택된 경우,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면 형상 이외의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 예컨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설정입력하기 위한 설정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단면설정용 초기화면(500)에서 단면좌표지정이 선택된 경우,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면 형상과는 유사하나 좌우가 비대칭인 단면 형상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전형적인 구조물의 형상, 예컨대, 터널, 박스 암거, 관(원주) 등의 구조물 이외에도 다양한 단면형상, 예컨대 다면체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단면 형상의 설정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조물의 단면 형상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설정화면(110)이 표시된다. 여기서, 구역설정화면(110)을 통해 터널 등의 구조물의 시공 이음부 등에 대응한 구역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구역설정이 종료되면 구조물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개도 작성부(54)에 의해 해당 전개도가 작성된다. 그리고, 전개도 작성부(54)에 의해 작성된 전개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400)의 작도영역(406)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은 동일 단면 형상을 연속적으로 가지는 터널, 박스 암거, 또는 관(원주) 등의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는 데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단면 형상의 설정에 의해 전개도를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도면이 없는 구조물을 조사하는 경우에도 현장 조사 전에 해당 구조물의 치수 등에 대한 정보에 의해 그 전개도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2는 범례설정화면(12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례설정화면(120)은 변상의 조사일, 변상의 종별에 따른 명칭, 변상 종별 각각에 대한 도형의 설정(선종류, 색, 모양 등), 변상의 종별 각각의 층(layer) 작성, 설정한 범례의 편집 조작, 보존 조작, 층 작성 조작 등의 설정을 위한 선택창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선 종류, 색, 모양 등에 의해 입력 도형의 변상 종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조사 현장의 상황에 따른 범례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메인화면(400)의 트리영역(407)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트리영역(407)에는 전술한 전개도 작성부(54)의 전개도 작성에 따라 기본도면 레이어 및 페이지 레이어가 설정된다. 그리고, 페이지 레이어에는 전술한 범례설정화면(120)에서의 레이어 작성 조작에 따라 변상종별 레이어가 설정되고, 변상종별 레이어내에는 후술할 변상 도형 입력에 따른 변상개소 레이어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변상종별 레이어를 지정한 후에 변상개소를 도형 입력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변상 도형과 변상 종별 및 관련된 추가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상 개소 데이터를 변상 종별마다 정렬 및 저장이 가능하여 검색, 수정, 삭제, 집계 등의 처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트리영역(407)에는 소정의 조작, 예컨대, 메뉴 바 또는 마우스(42)의 우측 버튼 클릭 등에 의해 페이지 레이어를 추가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작성된 페이지 레이어 내에 전술한 범례 설정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상 모양 종별 레이어를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현장을 조사할 때마다 페이지 레이어를 작성함으로써 변상 위치의 시간적 변화를 관리하거나, 미보수된 변상개소 데이터와 보수완료된 변상개소 데이터를 페이지 레이어에 구분해 보수상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레이어는 소정의 조작, 예컨대 마우스(42)의 우측 버튼의 클릭을 통한 메뉴의 조작에 따라 명칭의 변경 및 삭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트리영역(407)에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작도영역(406)에서의 변상 위치 도형의 표시 및 비표시를 변상종별 레이어 단위 또는 페이지 레이어 단위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상 모양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변상 종별마다 또는 변상 일별 등의 표시 및 출력, 집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트리영역(407)에는 각 변상종별 레이어 및 페이지 레이어에는 표시선 택 아이콘(407a)이 마련된다. 그리고, 마우스(42) 등의 조작에 따라 페이지 레이어 및 변상종별 레이어의 표시선택 아이콘(407a)을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작도영역(406)에 표시된 해당 변상 도형이 표시되거나 작도영역(406)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상종별 도는 페이지 단위로 작도영역(406)에 변상 모양이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아 시계열적인 변상 개소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나의 구조물에 대해 조사 시점에 따라 생성된 별로의 레이어들에 소정의 오브젝트를 배치하고, 해당 오브젝트에 의해 하나의 구조물에 대한 복수의 레이어들이 묶이게 된다. 이에 따라, 변상개소의 시계역절인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변상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추적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4는 도 4의 작도영역(406)을 확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작도영역(406)에 변상 위치 도형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하는 변상 종별 레이어를 선택하고, 작도명령툴에 마련된 작도명령 중 선택하여 구조물 현장에서의 변상 위치에 대응하는 전개도 상의 위치에 변상 위치 도형을 작도함으로써, 전개도 상의 변상위치에 도형이 작도된다.
여기서, 전술한 사용자 입력부(40), 예컨대, 펜 마우스(43)나 마우스(42) 등으로 작도 가능한 도형으로는 Polyline, Polygon, 원, 타원, 직사각형, 정삼각형, 자유선, 닫은 자유선, 화살표 등이 가능하고, 키보드(41)의 조작을 통해 텍스트나 수치의 입력에 의한 직사각형의 작도가 가능하다.
도 15는 기본 설정 페이지 화면(150)으로, 작도영역(406)에 변상 위치 도형 을 지정하고, 소정의 조작, 예컨대, 마우스(42)의 우측 버튼의 클릭을 통한 메뉴의 조작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기본 설정 페이지 화면(150)에는 기본 설정 페이지 이외에, 관련 데이터 입력 페이지 및 사진 화상 페이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설정 페이지 화면(150)에는 변상 위치 도형의 선폭, 선색, 선종류, 면색, 패턴, 조사 일, 범례(변상 종별), 거리, 면적 등이 표시되고, 그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관련 데이터 입력 페이지(16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의 깊이, 크랙의 폭, 기타 코멘트 등의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세한 변상 관리가 가능하면서도, 변상 위치 도형과 관련 데이터 간의 불일치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화상 페이지(170)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명 입력창에 입력된 사진 파일을 변상 위치 도형과 링크시켜, 해당 사진이 사진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개도 상에 작도된 변상 위치 도형과 사진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도 18은 데이터 표시화면(18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표시화면(180)은 구조물의 현장 명칭과 소재지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마련되고, 각 변상 위치에 대한 개별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길이 및 면적 데이터에 대해 집계한 합계값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 영역에는 조사 일, 범례(변상 종별), 시점 거리, 종점 거리, 연장(길이), 면적, 종방향, 횡방향, 크랙의 깊이, 크랙의 폭 등이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된 각 데이터는 표준적인 입출력 파일 형식, 예컨대, CSV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임의의 표 계산 소프트 웨어를 사용하여 재편집 및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전개도를 3차원으로 표시한 삼차원표시화면(19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삼차원표시화면은 메뉴바(401)의 조작 또는 표준툴바(402)의 조작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삼차원표시화면(19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상 위치 도형이 입력된 전개도를 삼차원의 입체도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삼차원 표시영역, 해당 표시영역에서의 입체도를 드래그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입체도 회전 조작영역, 삼차원 표시영역의 눈금 간격 변경이 가능한 눈금 간격 입력창, 표시 위치의 점프 선의 지정이 가능한 추가 거리 입력창, 배경색이나 묘화색을 설정하는 색설정 영역, 입체도의 표시위치나 표시 각도를 변경 조작하는 조작 버튼 군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삼차원 표시 영역에서는 마우스(42)의 우측 버튼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메뉴 조작을 통해, 입체도의 클립보드로의 복사, 입체도의 BMP 파일 형식으로의 저장, 입체도의 JPEG 파일 형식으로의 저장, 입체도의 인쇄 등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단면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개도를 삼차원 입체도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CAD 소프트웨어 등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과 같이 기 공지된 알고리즘의 사용이 가능한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인쇄 뷰 화면(2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쇄 뷰 화면(200)은 메뉴바(401)의 조작에 의해 표시 가능하다. 여기서, 인쇄 뷰 화면(200)은 인쇄 상태를 표시하는 뷰 표시영역과, 각종 인쇄의 설정을 위한 인쇄설정영역으로 구성 된다. 여기서, 인쇄설정영역에는 프린터 변경 버튼, 눈금간격 설정창, 스케일 설정창, 인쇄범위 설정창, 도형이동 조작버튼, 인쇄실행 조작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1은 변상 분포 그래프 화면(2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변상 분포 그래프 화면(210)은 메뉴바(401)의 조작 또는 표준툴바(402)의 조작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변상 분포 그래프 화면(210)은 구조물의 변상 분포를 구역 구간 단위로 집계해 그래프 표시하는 변상분포 표시영역, 변상 종별별로 그래프의 표시색과 변상의 총수를 표시하는 범례 표시영역과, 변상 분포 그래프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그래프 설정 조작영역, 인쇄 버튼 등의 조작 버튼이 마련되는 조작버튼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 설정 조작영역에는 검색하는 크랙의 길이 조건을 설정하는 크랙길이 설정창, 분포 구역을 터널 구역으로 할 것인지, 일정 구간 단위로 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버튼, 일정구간에서 단락짓는 경우의 구간 분할 수를 설정하는 구간분할 수 설정창 등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변상분포를 구역 구간 단위로 집계해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인쇄하여 구조물의 변상 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조사 후의 그래프 작성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은 정보처리장치(1)를 사용하여 터널 등의 구조물의 변상 조사를 지원함에 있어서 일정 화면에서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단면 형상에 의해 구조물의 전개도가 자동 으로 작성됨으로써, 도면이 없는 구조물에 대해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전개도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해당 화면 상에서 변상 위치를 순차적으로 도형 형태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구조물의 변상 관리가 행해지는 부, 구조물의 변상 관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다양한 단면 형상, 예컨대, 터널, 박스 암거, 관 등의 전개도가 자동으로 생성됨으로써,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을 이용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단면 형상의 설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단면 형상 중 터널 변상 전개도를 선택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첫번째 단면 형상에 대한 설정입력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터널형상 설정화면에서 변경, 각도, 폭, 높이, 하부폭과 같은 터널의 단면 형상을 설정입력하고, 개시거리를 0으로 하고, 구간거리를 첫번째 단면 형상을 갖는 구간의 실제 구간거리, 예컨대, 20을 입력한다. 이후의 단면 설정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첫번째 단면 형상은 소정의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그런 다음, 두번째 단면 형상에 대한 설정입력을 위해, 새로운 단면 형상의 설정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 중, 도 6에 도시된 터널형상 설정화면 상에서, 두번째 단면 형상에 대한 데이터, 즉, 변경, 각도, 폭, 높이, 하부폭 등을 설정입력하고, 개시거리를 첫번째 단면 형상의 구간이 종료되는 위치, 즉, 20으로 입력하고, 구간거리를 두번째 단면 형상을 갖는 구간의 실제 구간거리, 예컨대, 10을 입 력한다. 이에 따라, 첫번째 단면 형상은 소정의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그런 다음, 세번째 및 네번째 단면 형상에 대한 설정입력을 상기와 같은 방법, 즉, 세번째 단면 형상의 개시거리는 두번째 단면 형상의 구간이 종료되는 위치로, 네번째 단면 형상의 개시거리는 세번째 단면 형상의 구간이 종료되는 위치로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각 구간별로 단면 형상의 설정입력이 종료되면, 메뉴바(401)의 조작을 통해 각 구간에 대해 저장된 파일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첫번째 단면 형상에 대한 파일을 선택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런 다음, 화면상에 첫번째 단면 형상에 대한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바(401)를 조작을 통해 '단면추가'를 선택한다. 이 때, 단면추가가 선택된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의 선택을 위한 파일선택창(240)이 표시되고, 파일선택창(240)을 통해 두번째, 세번째 또는 네번째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파일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파일 선택창(240)을 통해 두번째, 세번째 또는 네번째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파일을 순차적으로 열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간별도 단면 형상이 통합된 구조물의 전개도가 표시된다.
그리고, 통합된 전개도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변상개소 도형을 입력하는 등의 절차를 거침으로써,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의 전개도 작성 및 변상개소의 설정입력이 완료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은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을 구간별로 전개도를 작성하여 통합한 후, 변상개소를 설정입력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각 구간별로 전개도 작성 및 변상개소의 설정입력을 완료한 후에 해당 전개도를 통합함으로써,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물의 전개도 작성 및 변상개소의 설정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개도의 작성 및 변상개소의 설정입력을 사용자가 전술한 설정화면에 마련된 입력창에 사용자 입력부(40)의 조작을 통해 설정입력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변상관리시스템(50)은 전개도 및/또는 변상개소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소정 포맷의 데이터 파일을 통해 자동으로 일괄적으로 전개도 및 변상개소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메인화면(400)의 메뉴바(401)에 마련된 '데이터읽기'(미도시) 등의 메뉴를 선택하여 일정 디렉토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읽어와 전개도 및/또는 변상개소를 자동으로 설정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터널 등의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고, 나아가 구간별로 상이한 단 면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변상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6)

  1. 구간별로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물의 변상을 관리하는 변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상기 구간별로 설정 입력하기 위한 단면 설정부와;
    상기 각 구간별로 설정된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각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별 전개도를 작성하고, 상기 구간별 전개도를 통합하여 통합 전개도를 작성하는 전개도 작성부와;
    상기 전개도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와 상기 통합 전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생성부와;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와 상기 통합 전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구조물의 변상개소를 설정 입력하기 위한 변상개소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구간별도 동일한 단면 형상을 연속적으로 가지는 터널, 박스 암거, 다면체, 및 관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개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설정부는 상기 각 구간의 시작되는 개시거리 및 상기 각 구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구간거리를 입력받고;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상기 입력된 개시거리 및 구간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별 전개도를 통합하여 상기 통합 전개도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변상개소가 입력된 상기 구간별 전개도 및/또는 상기 통합 전개도를 삼차원 입체도로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상개소 설정부는 변상의 종류에 대응하는 변상종별 레이어와, 상기 변상종별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페이지 레이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변상개소 설정부에 의해 생성된 복수 시점의 변상종별 레이어 및 페이지 레이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각 변상종별 레이어 및 상기 각 페이지 레이어를 선택 가능한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전개도 작성부는 상기 아이콘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상기 각 변상종별 레이어 및 상기 각 페이지 레이어에 대응하는 변상 개소의 화면상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상관리시스템.
KR1020050119193A 2005-12-08 2005-12-08 변상관리시스템 KR10059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93A KR100597963B1 (ko) 2005-12-08 2005-12-08 변상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93A KR100597963B1 (ko) 2005-12-08 2005-12-08 변상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7963B1 true KR100597963B1 (ko) 2006-07-06

Family

ID=3718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93A KR100597963B1 (ko) 2005-12-08 2005-12-08 변상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541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엠텍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각도 자동 조절이 되는 조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87A (ja) 1997-04-24 1998-11-13 Shiyouhei Fudosan Kk 建築物保守管理支援システムと建築物保守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9990049430A (ko) * 1997-12-12 1999-07-05 구자홍 도면 자동 검도 시스템
KR20020021548A (ko) * 2000-09-15 2002-03-21 윤광섭 인터넷을 이용한 구조물의 원격 계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KR20020026748A (ko) * 2000-10-02 2002-04-12 오정현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물관리 및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87A (ja) 1997-04-24 1998-11-13 Shiyouhei Fudosan Kk 建築物保守管理支援システムと建築物保守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9990049430A (ko) * 1997-12-12 1999-07-05 구자홍 도면 자동 검도 시스템
KR20020021548A (ko) * 2000-09-15 2002-03-21 윤광섭 인터넷을 이용한 구조물의 원격 계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KR20020026748A (ko) * 2000-10-02 2002-04-12 오정현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물관리 및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49430
102002002674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541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엠텍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각도 자동 조절이 되는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3017A (ja) 構造物変状調査支援システム
JP7463315B2 (ja) 設備管理方法、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233565A (ja) 設計支援プログラム
US7523396B2 (en) Surface construction audit trail and manipulation
US7561990B2 (en) Interactiv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surfaces design
KR100597963B1 (ko) 변상관리시스템
KR101251549B1 (ko) 캐드 정보와 속성 정보가 연동된 구조물의 구조 해석 장치
JPH06251007A (ja) 表データ入力装置
JPH04105164A (ja) 文章管理装置
TW201428623A (zh) 企劃資料製作裝置
KR20130082869A (ko) 비아이엠 정보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기반의 건설 공사 관리 장치
JP2819899B2 (ja) 図面管理装置
JP4374008B2 (ja) 汎用解析システム
JP2008217153A (ja) リフォーム費用計算システム
JP6772420B2 (ja) 配管設計支援システム
JP7456987B2 (ja) 掘削モデル作成装置、および掘削モデル作成プログラム
JP2001325312A (ja) 管網解析装置
JP2003173138A (ja) 道路ネットワーク生成装置および方法
JP4540386B2 (ja) 設計業務支援システム
JP3201906B2 (ja) 図面関連情報の検索記入方法および装置
JP2938718B2 (ja) 流体供給施設管理図面の作成装置
KR20060061017A (ko) 플랜트에서 배관 도면 생성 및 관리 방법
CN115270251A (zh) 基于bim的纵筋原位标注的动态关联方法、系统及介质
JP6087756B2 (ja) 作図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H0554088A (ja) 図面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