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150B1 - 음악 게임 장치, 그것에 관련된 전자 음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게임 장치, 그것에 관련된 전자 음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150B1
KR100597150B1 KR1020030095392A KR20030095392A KR100597150B1 KR 100597150 B1 KR100597150 B1 KR 100597150B1 KR 1020030095392 A KR1020030095392 A KR 1020030095392A KR 20030095392 A KR20030095392 A KR 20030095392A KR 100597150 B1 KR100597150 B1 KR 100597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e
music
performance
electronic mu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750A (ko
Inventor
이께야다다히꼬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involving timing of operations, e.g. performing an action within a time sl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5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graphically or textually suggesting an action, e.g. by displaying an arrow indicating a turn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5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63F2300/30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for providing a graphical or textual hint to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characterized by a local network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6Transmission via wireless network, e.g. pager or G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7Data transfer via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63F2300/6081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generating an output signal, e.g. under timing constraints, for spatial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1Score compu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 A63F2300/638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peration or a time limi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41Remote key fingering indicator, i.e. fingering shown on a display separate from the instrument itself or substantially disjoint from the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35Musical aspects of games or videogames; Musical instrument-shaped game input interfaces
    • G10H2220/141Games on or about music, i.e. based on musical knowledge, e.g. musical multimedia quizz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71Seri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y one of RS-232 standards for serial binary single-ended data and control signals between a DTE and a D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11MIDI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15Firewire, i.e. transmission according to IEEE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음악 게임 장치는, 공급된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게임 화면을 표시기에 표시시킨다. 이 소정의 게임 화면은,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공급된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키보드와 같은 연주 조작자 s를 구비한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 정보를, 이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실제로 조작해야하는 타이밍에 선행하여, 송신한다. 전자 음악 장치에서는, 수신한 가이드 정보가 조작되어야 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도록 가이드 표시를 행한다. 또한, 게임 실행 시에,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연주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게임 장치로부터 음악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게임 실행 시에 연주 조작자의 조작 정보가 음원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도록 게임 장치로부터 음악 장치를 제어한다.
연주, 노트, 악곡, 게임, 전자 음악

Description

음악 게임 장치, 그것에 관련된 전자 음악 장치 및 그 방법{MUSIC GAME APPARATUS AND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게임 장치 및 전자 음악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하드 구성 블록도.
도 2는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음악 게임 장치와 전자 음악 장치 사이에서 행해지는 MIDI 메시지의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메인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게임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제1 사전 판독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제2 사전 판독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수신·반송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현재 판독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ROM
3 : RAM
4 : 검출 회로
4A : 조작자
5 : 표시 회로
5A : 디스플레이
6 : 음원 회로
6A : 사운드 시스템
7 : 외부 기억 장치
8 : MIDI 인터페이스
9 : 통신 인터페이스
9A : 서버 컴퓨터
10 : 전자 음악 장치
10A : 연주 조작자
10B : 가이드부
1D :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
X : 통신 네트워크
M1 : 트랜스포즈/옥타브 전환부
PC : 음악 게임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음악 장치의 교습용으로서 혹은 게임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음악 게임 장치, 상기 음악 게임 장치가 실행하는 음악 게임에 연동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전자 음악 장치 및 이들의 장치에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곡의 진행에 맞추어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를 캐릭터 등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연주자에 대해 전자 음악 장치(예를 들면 전자 키보드 악기)측에서의 연주 조작자(操作子)의 조작을 재촉하는 음악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3058051호 공보 등). 이러한 음악 게임 장치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음악 게임 장치는 연주자가 어느 건반을 치면 되는지 금방 알 수 있도록 표시 화면상에 건반 등의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표시함과 함께, 곡의 멜로디 등의 음표를 「사과」 등의 캐릭터 화상으로 표시하고, 이것이 곡의 진행에 맞추어 표시 화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표시한다. 미리 정해져 있는 표시 화면의 소정 위치에 떨어진 「사과」가 다다르는 타이밍을 예측하여, 상기 음악 게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 음악 장치측의 연주 조작자(예를 들면 키보드)를 연주자가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에 응하여 표시 화면상에서 떨어지는 「사과」의 이미지 화상을 향하여 「화살」의 이미지를 발사하는 표시가 행해진다. 그리고, 연주자가 타이밍에 맞게 친 경우에는 발사된 「화살」의 이미지가 「사과」의 이미지에 명중하는 표시를 행하여 득점을 가산하는 한편, 연주자가 쳐야하는 타이밍을 벗어난 경우에는 발사된 「화살」이 「사과」에 명중되지 않은 표시를 행하여 득점을 가산하지 않는 음악 게임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연주자는 음악 게임을 즐기면서 원하는 곡에 관한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에서의 연주 조작자의 조작 방법을 습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곡의 진행에 맞추어 연주자가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이미지를 「사과」 등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지시하여 표시해 가는 것이지만, 연주자가 쳐야할 타이밍에 맞게 전자 음악 장치의 실제의 연주 조작자(키보드)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연주 조작자(키보드)로부터 일시적으로 눈을 떼고 표시 화면을 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것은 특별히 연주 조작자(키보드)를 봐야만 조작할 수 있는 초보자에게는 매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기능이 있는 전자 음악 장치, 예를 들면 조작해야 할 건반(연주 조작자)을 건반 LED 등의 가이드부의 점등에 의해 알리는 전자 악기(전자 음악 장치)를 이 음악 게임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음악 게임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가 건반 LED의 점등에 의해 지시되므로, 초보자라도 한눈에 어떤 키를 조작해야할지 알기 쉬워진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음악 게임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와, 전자 음악 장치로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연주 조작자인 전자 악기와 음원이 각각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연주 조작자와 음원이 일체로 되어 있는 가이드 기능이 있는 전자 음악 장치를 상기의 전자 악기로서 적용한 경우, 종래에는 여러 불편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노트 온/오프 등의 노트 정보와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하여 발생된 노트 정보의 양방이 모두 음원으로 공급되므로, 발음된 음이 상기 어떤 노트 정보에 기초한 것인지 판별하기 어려우므로, 즉 오류 조작한 경우에 잘못된 조작을 한 것인지 알기 어려워지므로 곤란하다. 또한, 연주용 키보드와 부속되는 연주 가이드용 LED(이하 「건반 LED」의 가이드부를 연주 타이밍에 맞게 점등하여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이 가이드부의 점등을 확인하고나서 연주 조작자를 조작하면 타이밍이 너무 늦는다. 즉, 반드시 타이밍에 어긋나는 조작을 행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노트 정보에도 가이드부가 반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연주 가이드 대상 이외의 반주파트 등의 노트 정보에도 가이드부가 반응하여, 음악 게임에 필요한 연주 조작자와는 무관한 연주 조작자가 가이드되어 매우 혼란스럽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음악 장치측에서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를 알기 쉽게 가이드함과 함께, 연주 조작자와 음원이 일체형인 전자 음악 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상기한 여러 문제점이 없는 음악 게임 장치, 상기 음악 게임 장치가 실행하는 음악 게임에 연동한 동작을 행하는 가이드 기능이 있는 전자 음악 장치, 및 이들에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음악 게임 장치는, 전자 음악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음악 게임 장치로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연주 조작자와 연주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음악 게임 장치는, 표시기와, 악곡 정보를 공급하는 악곡 정보 공급 수단과, 공급된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게임 화면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게임 실행 수단 - 소정의 게임 화면은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표시함 - 과, 상기 공급된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해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에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실제로 조작해야하는 타이밍에 선행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관점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전자 음악 장치는, 음악 게임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전자 음악 장치로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소정의 음악 게임의 실행시에,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정의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며,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연주 조작자와, 상기 연주 조작자 중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연주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상기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도록, 이 연주 가이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게임 장치는 연주 조작자를 조작해야하는 타이밍에 앞서 상기한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지시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전자 음악 장치에서는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수신한 가이드 정 보에 기초하여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가이드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하면, 연주 조작자를 조작해야하는 타이밍보다도 전에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를 연주자가 파악할 수 있어, 초보자도 알기 쉬운 가이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대응하는 음악 게임 장치는, 전자 음악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음악 게임 장치로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연주 조작자와 음원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음악 게임을 실행하는 수단 - 상기 음악 게임은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이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재촉함 - 과,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한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음원 수단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관점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전자 음악 장치는, 음악 게임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전자 음악 장치로서, 연주 조작자와,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한 연주 조작 정보가 제공되며, 이 제공된 연주 조작 정보에 응한 악음을 발생시키는 음원 수단과,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금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 상기 금지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한 상기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음원 수단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전자 음악 장치에서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한 연주 조작 정보가 음원 수단에 제공되어 연주 조작에 응한 악음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대신에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악음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 악음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에 응하여, 음원 수단에 의해 악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악음 발생 지시 정보(노트 정보)와 전자 음악 장치의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하여 발생된 노트 정보(연주 조작 정보)가 중복되어 전자 음악 장치의 음원 수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대응하는 음악 게임 장치는, 전자 음악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음악 게임 장치로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연주 조작자와 연주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음악 게임을 실행하는 수단 - 상기 음악 게임은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이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재촉함 - 과,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에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관점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전자 음악 장치는 음악 게임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전자 음악 장치로서, 연주 조작자와, 상기 연주 조작자 중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연주 가이드 수단과,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제공된,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조작되어야 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도록, 이 연주 가이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전자 음악 장치의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예를 들면 전자 음악 장치의 연주 가이드 수단이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예를 들면 음원 수단으로 악음 발생시키기 위해 전송되어지는 노트 정보 등)에 반응하여, 불필요한 가이드 표시를 행하여 사용자를 혼란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발명으로서 구성하고, 실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방법의 발명으로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 또는 DSP 등의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로서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용 로직을 하드웨어에서 조합한 전용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발명자들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의 기재 내용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게임 장치, 전자 음악 장치 중 어느 1개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서, PC의 부호로 나타낸 부분은 음악 게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다. 전자 음악 장치(10)는, 음악 게임 장치 PC와 마찬가지의 하드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상세도는 생략하고, 대표적으로 음악 게임 장치 PC의 상세도만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도시된 음악 게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예는 퍼스널 컴퓨터(PC)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거기에서 음악 게임 실행시의 전자 음악 장치(10)의 가이드부(10B)에 대한 동작 제어나 전자 음악 장치(10)에서의 발음 제어를 위한 각종 처리는 컴퓨터가 음악 게임을 실현하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후술하는 메인 처리나 게임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물론, 이들의 처리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형태에 한하지 않고, DSP(디지털·시그널·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형태에 의해서도 실시 가능하며, 또한 이 종류의 프로그램의 형태뿐 아니라, 디스크리트 회로 또는 집적 회로 혹은 대규모 집적 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용 하드웨어 장치의 형태로 실시해도 된 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게임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PC)에 한하지 않고, 게임 전용기, 휴대 전화나 PDA 등의 휴대 단말기나 가라오케 장치 혹은 그 밖의 멀티미디어 기기 등, 임의의 제품 응용 형태를 취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음악 게임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CPU : 1), 리드온리 메모리(ROM : 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 3)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CPU(1)는, 이 음악 게임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CPU(1)에 대하여,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1D를 통하여 ROM(2), RAM(3), 검출 회로(4), 표시 회로(5), 음원 회로(6), 외부 기억 장치(7), MIDI 인터페이스(I/F : 8) 및 통신 인터페이스(I/F : 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1)에는 타이머 인터럽트 처리에서의 인터럽트 시간이나 각종 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1A)가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1A)는 클럭 펄스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클럭 펄스를 CPU(1)에 대하여 처리 타이밍 명령으로서 제공하거나, 혹은 CPU(1)에 대하여 인터럽트 명령으로서 제공한다. CPU(1)는 이들 명령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OM(2)는, CPU(1)에 의해 실행 혹은 참조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것이다. RAM(3)은 CPU(1)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워킹 메모리로서, 혹은 현재 실행 중인 제어 프로그램이나 그것에 관련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등으로서 사용된다. RAM(3)의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이 각각의 기능에 할당되고, 레지스터나 플래그, 테이블, 메모리 등으로서 이용된다. 조작자(4A)는, 예를 들면 수치 데이터 입 력용의 텐키(ten-key)나 문자 데이터 입력용의 키보드, 디스플레이(5A)에 표시되는 소정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마우스, 혹은 특수 스위치 등이며, 조작자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검출 회로(4)는, 조작자(4A)의 각 조작자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고,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스위치 정보를 버스1D를 통하여 CPU(1)에 출력한다. 표시 회로(5)는 이미 설명된 종래와 마찬가지의 음악 게임 화면을,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LCD)이나 CRT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5A)에 표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음악 게임 대상의 곡에 관한 각종 정보나 CPU(1)의 제어 상태 등을 표시한다.
음원 회로(6)는 복수의 채널에서 악음 신호의 동시발생이 가능하고, 버스1D를 경유하여 제공된 악곡 데이터나 MIDI 규격의 연주 정보(MIDI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소정의 악음 신호(예를 들면, BGM 혹은 명중음 등의 효과음)를 발생시킨다. 음원 회로(6)로부터 발생된 악음 신호는, 증폭기나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6A)을 통하여 발음된다. 이 음원 회로(6)와 사운드 시스템(6A)의 구성에는 종래의 어떠한 구성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음원 회로(6)는 FM, PCM, 물리 모델, 포먼트(formant) 합성 등의 각종 악음 합성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해도 되며, 또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되고, CPU(1)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구성해도 된다. 외부 기억 장치(7)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 등)나 CPU(1)가 실행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예를 들면 메인 처리나 게임 처리 등) 등을 기억한다. 이 외부 기억 장치(7)(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그것을 RAM(3)에 판독하는 것에 의해, ROM(2)에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 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CPU(1)에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어 프로그램의 추가나 버전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외부 기억 장치(7)는 하드디스크(HD)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렉시블 디스크(FD), 컴팩트 디스크(CD-ROM·CD-RAM), 광자기 디스크(M0) 혹은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착탈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하는 기억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반도체 메모리 등이어도 된다.
MIDI 인터페이스(I/F : 8)는 외부에 접속된 전자 음악 장치(10)로부터 MIDI 데이터를 상기한 음악 게임 장치에 입력하거나, 혹은 상기한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MIDI 데이터를 전자 음악 장치(10)에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또, MIDI 인터페이스(8)는 전용의 MID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RS-232C, USB(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IEEE1394(아이트리플이1394) 등의 범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MIDI 인터페이스(8)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MIDI 메시지 이외의 데이터도 동시에 송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I/F : 9)는 예를 들면 LAN이나 인터넷, 전화 회선 등의 유선 혹은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 X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통신 네트워크 X를 통해 서버 컴퓨터(9A)와 접속되어, 상기한 서버 컴퓨터(9A)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음악 게임 장치측에 취해 넣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즉, 외부 기억 장치(7) 등에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서버 컴퓨터(9A)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9)는 유선 혹은 무선 중 어느 하나에 한하지 않고 양쪽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한 음악 게임 장치와 MIDI 인터페이스(8)를 통해 접속되는 전자 음악 장치(10)는 연주자에 의한 조작에 응하여 MIDI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기기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전자 음악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PC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갖고, 그 외에, 건반형, 현악기형, 관악기형, 타악기형, 신체 장착형 등의 연주 조작자(10A)를 구비하는 (혹은 조작 형태로 이루어진) 기기이다. 즉, 연주 조작자(10A)는 악음의 음고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구비한, 예를 들면 건반 등과 같은 것으로, 각 키에 대응하여 키 스위치를 갖고 있으며, 이 연주 조작자(10A)(건반 등)는 악음 연주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음악 게임 대상으로 하는 곡을 선택하는 입력 수단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음악 장치(10)는 연주자에게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10A)를 알리기 위한 건반 LED 등의 가이드부(10B)를 각 건반에 대응하도록 하여 구비하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의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MIDI 메시지)에 따라 해당하는 건반 LED의 점등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악 게임 장치 PC(혹은 전자 음악 장치(10))에서, 조작자(4A)나 디스플레이(5A) 혹은 음원 회로(6) 등을 하나의 장치 본체에 내장한 것에 한하지 않고, 각각이 따로따로 구성되어, MIDI 인터페이스나 각종 네트워크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각 장치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물론 된다.
여기서,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음악 게임 장치 PC와 전자 음악 장치(10)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어에 대하여, 개요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2는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음악 게임 장치 PC와 전자 음악 장치(10)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MIDI 메 시지의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주 조작자(10A)의 가이드 제어 및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기초한 발음 처리 등의 각 제어는 각각에 대응하여 정의된 소정의 MIDI 메시지에 응하여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멜로디라인에 기초하여 음악 게임을 행하는 경우, 즉 멜로디를 구성하는 음표에 대응하는 소정의 캐릭터의 이미지가 곡의 진행에 맞추어 표시 화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표시되는 음악 게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음악 게임 장치 PC와 전자 음악 장치(10) 사이에서 교환되는 MIDI 메시지는 도시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MIDI 메시지 이외의 데이터를 교환해도 물론 된다. 또, 도 2의 ①∼⑤까지의 숫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순서를 편의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음악 게임 장치 PC에서는 지정된 사용자가 원하는 곡에 관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것과 대응하는 음악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음악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5A)에 표시함과 함께, 전자 음악 장치(10)에 대하여 반주에 관한 노트 온/오프 메시지(노트 정보)만을 전송한다(①). 그러면, 전자 음악 장치(10)에서는 이 노트 온/오프 메시지에 기초하여 반주의 발음 처리를 그 음원 회로(16)에 의해 실행하여 사운드 시스템(16A)을 통하여 발음한다. 이에 의해, 오리지널 악곡 데이터 그대로의 음계에서의 반주의 자동 연주를 수반한 음악 게임의 실행이 개시된다. 음악 게임이 개시되면, 음악 게임 장치 PC는 멜로디에 수반하여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가이드 정보)를 전자 음악 장치(10)에 대하여 전송한다(②). 전자 음악 장치(10)에서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에 따라 해당하는 건반 LED(10B)를 점등/소등 제어한다. 즉, 멜로디의 음표를 연주하기 위해 조작하도록 한 연주 조작자를 가이드 표시하는 것을 실행한다. 이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는 예를 들면 MIDI 메시지에서의 시스템 전용(exclusive) 메시지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이다. 연주자가 연주 조작자(10A)를 조작하면,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한 기기인 경우에는 조작된 연주 조작자의 건반에 대응한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발생시켜 음악 게임 장치 PC로 전송한다(③). 그리고,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한 기기인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연주자에 의한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응하여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여 발생되는 노트 온/오프 데이터를 트랜스포즈/옥타브 전환부 M1을 통하여 음악 게임 장치 PC로 전송한다(④).
또,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응하여 발생되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와 노트 온/오프 데이터는 조작된 연주 키의 키명 또는 노트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에서는 양자 공통이지만, 데이터 형식이 서로 다르다. 즉, 노트 온/오프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범용되는 데이터 형식, 예를 들면 MIDI 노트 온/오프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는 음악 게임 장치 PC에 고유한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자 음악 장치(10)가 접속된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하고 있는 기종의 경우에는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응하여, 노트 온/오프 데이터뿐 아니라,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③)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대응하지 않는 기종의 경우에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③)를 발생시킬 수 없으며, 노트 온/오프 데이터만이 발생된다. 또, 전송 형태로서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 드도 MIDI 규격으로 전송된다. 즉, MIDI 규격의 전용 메시지의 형태로,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는 전송된다.
또한,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한 기기인 경우에는 미리 음악 게임 장치 PC로부터 전자 음악 장치(10)에 대하여 로컬 오프 설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주 조작자(10A)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이 조작에 응하여 발생되는 노트 온/오프 데이터를 음원 회로(16)에 대하여 전송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하지 않는 기기인 경우에는,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응하여 발생되는 노트(note) 온/오프 데이터가 음원 회로(16)에 대하여 전송된다. 단, 여기서 음원 회로(16)에 대하여 송신되는 노트 온/오프 데이터는 악기의 트랜스포즈나 옥타브 정보 등이 가미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조작된 연주 조작자(10A)에 대응한 노트(음고) 그 자체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기기인 경우에는, 조작된 연주 조작자(10A)에 대응한 노트와는 상이한 노트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즉, 가이드에 기초하여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을 연주자가 행함에도 불구하고, 발음되는 음이 상이한 것이 발생한다.
음악 게임 장치 PC에서는 취득한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③)에 응하여, 대응하는 노트 온/오프 메시지를 전자 음악 장치(10)로 전송한다(⑤). 이 경우의 대응하는 노트 온/오프 메시지는 악기의 트랜스포즈나 옥타브 정보 등이 가미된 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 조작된 연주 조작자(10A)에 대응한 노트(음고) 그 자체를 갖는 데이터이다. 그 때문에, 전자 음악 장치(10)에서 이 노트 온/오프에 기초하 여 발음 제어되는 음은, 조작된 연주 조작자(10A)에 대응한 노트를 갖는다.
또한, 음악 게임 장치 PC에서는,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하고 있는 기기인 경우에는 수취한 건반 LED 온/오프(③)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 중 멜로디에서 다음에 발음해야하는 노트로 진행하여 음악 게임을 계속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한 전자 음악 장치(10)가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건반 LED 온/오프(③)를 음악 게임 장치 PC에 대하여 발하지 않기 때문에, 음악 게임 장치 PC에서는 노트 온/오프 데이터(④)에 기초하여 다음 노트로 진행하여 음악 게임을 계속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악 게임 장치 PC 및 전자 음악 장치(10)에서는, 상호 MIDI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악 게임을 진행시켜간다. 음악 게임의 실행시에는 실제의 연주 타이밍 전에 다음에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10A)의 가이드부(10B)를 미리 동작시킨다. 또한, 음악 게임 장치 PC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노트 정보와 전자 음악 장치(10)로부터 발생된 노트 정보가 중복되어 음원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음악 게임 장치 PC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노트 정보에 가이드부(10B)가 반응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각종 처리는 음악 게임 PC 및 전자 음악 장치(10) 각각의 CPU(1)가 음악 게임 처리를 실현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따라서, 이 「음악 게임 처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음악 게임 처리를 포함하는 메인 처리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메인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상기한 처리의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음악 게임 장치(이하, 게임 장치라고 함)는, 전자 음악 장치(이하, 전자 악기라고 함)에 대하여 ID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1). 이 ID 요청을 수신한 전자 악기는, 상기한 전자 악기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식별자인 기기 ID 등을 게임 장치로 반송한다(단계 S11). 또, 전자 악기에 의해서는 ID 요청을 해석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당연히 기기 ID도 반송되지 않는다. 게임 장치에서는 수신한 ID에 기초하여 접속이 끝난 전자 악기가 상기한 게임 장치의 기능에 대응한 기능을 갖춘 특정 기종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 S2). 특정 기종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2의 YES), 로컬 오프 커맨드 및 게임 모드 커맨드를 송신한다(단계 S3 및 단계 S4). 로컬 오프 커맨드를 수신한 전자 악기는 로컬 오프로 설정함으로써(단계 S12),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응하여 발생하는 노트 온/오프 데이터를 음원 회로(16)로 직접 전송하지 않도록 기기 설정한다. 즉, 음악 게임의 실행에 앞서, 전자 악기에 대해 연주 조작자(10A)로부터 발생한 노트 온/오프 데이터를 그 음원 회로(16)로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로컬 오프)를 송신함으로써,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노트 온/오프 메시지(⑤)와 전자 악기의 연주 조작자(10A)로부터 발생된 노트 온/오프 데이터가 중복되어 그 음원 회로(16)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임 모드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한 전자 악기를 게임 모드로 설정하고, 수신한 게임 모드 커맨드를 게임 장치에 대하여 그대로 반송한다. 게임 모드로 설정된 전자 악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로 실행되는 음악 게임에 대응한 특정 기종의 기기로서, 음악 게임 실행시에 연주 조작자(10A)의 조작에 응하 여 노트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것뿐 아니라,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발생시키도록 기기 설정한다. 게임 장치는 게임 모드 커맨드를 수신하면(단계 S5의 YES), 전자 악기가 음악 게임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키 LED 모드 오프 커맨드를 송신한다(단계 6S). 전자 악기는 이 키 LED 모드 오프 커맨드를 수신하면, 키 LED 모드를 오프로 설정한다(단계 S14). 즉, 음악 게임의 실행에 앞서, 음악 게임에 대응한 전자 악기에 대해서만 노트 온/오프에 의해 연주 조작자의 가이드부(건반 LED)가 동작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키 LED 모드 오프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음악 게임에 대응한 전자 악기에서는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멜로디 및 반주를 포함하는 모든 악곡 데이터 중 노트 온/오프에 가이드부가 반응하지 않도록 기기 설정한다.
또, 키 LED 모드란, 전자 악기의 건반 LED(도 2의 10B)가 이 전자 악기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노트 온/오프 메시지에 의해 점등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전자 악기는 초기 상태에서 키 LED 모드 온으로 초기 설정된다. 게임 장치로부터 전자 악기로 제공되는 음원 발음용의 노트 온/오프 메시지는 키 LED 모드가 온이면, 건반 LED를 점등/소등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전자 악기가 게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도 2의 ②)에 의해 건반 LED가 점등/소등 제어되므로, 키 LED 모드가 온 상태에서는 곤란하다. 따라서, 키 LED 모드를 오프 상태로 하여, 게임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노트 온/오프 메시지에 의해서는 건반 LED를 점등/소등 제어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단계 S7 및 단계 S15에서는, 전자 악기 및 게임 장치에서 각각 게임 처리를 개시한다.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게임 처리에서는 MIDI 메시지 등의 각종 정보의 송수신이 행해지며, 전자 악기에서는 수신한 MIDI 메시지에 응하여 건반 LED의 점등 제어, 음원에 의한 발음 제어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게임 장치에서는, 게임 화면의 묘화(description), 음악 게임의 채점, 건반 LED의 점등 제어나 음원에 의한 발음 제어를 위한 MIDI 메시지 작성·송신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게임 처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다(도 4 참조). 게임 장치에서 음악 게임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8의 YES), 로컬 온 커맨드, 게임 모드 커맨드, 키 LED 모드 온 커맨드를 송신한다(단계 S9). 전자 악기에서는 수신한 커맨드 종류에 응하여, 로컬 온, 게임 모드 오프, 키 LED 모드 온의 설정을 실행한다(단계 S16). 즉, 초기 상태의 설정으로 전자 악기의 기기 설정을 복귀한다.
이어서, 상술한 「메인 처리」에서 실행되는 「게임 처리」(도 3의 단계 S7 및 단계 S15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게임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음악 게임 장치에서는 음악 게임을 행하는 대상으로 하는 곡을 선택한다(단계 S21). 즉, 사용자에 의한 곡 선택에 기초하여 외부 기억 장치 등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곡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계 S22에서는, 게임 개시가 지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게임 개시가 지정된 경우에는(단계 S21의 YES), 현재 타이밍을 갱신하여(단계 S23), 스크롤 묘화(단계 S24)를 실행함과 함께 제1 사전 판독 처리(단계 S25)를 실행한다. 이 제1 사전 판독 처리의 제1 실시예를 예시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한 제1 사전 판독 처리에서는, 제1 소정의 타이밍 전의 게임 대상 트랙의 판독을 행하고(단계 S51), 판독한 노트 데이터에 기초한 캐릭터(캐릭터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함)를 게임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52). 즉, 스크롤 묘화 및 제1 사전 판독 처리는 새로운 음악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로서, 음악 게임을 실행하는 스피드(예를 들면 곡의 재생 템포 등)에 맞추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음악 게임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 스크롤 묘화에서는 제1 사전 판독 처리에서 소정의 타이밍마다 생성된 복수의 게임 화면 중에서 가장 시간적으로 오래된 게임 화면(예를 들면 화면 최하단의 화면)만을 삭제하고, 남은 모든 화면을 화면 하방으로 이동시킨 화면을 생성한다. 거기에, 새롭게 제1 사전 판독 처리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음악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일부의 게임 화면을 화면 최상단에 표시함으로써, 화면 상부로부터 하부로 스크롤된 상태에서의 음악 게임 화면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26에서는 제2 사전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제2 사전 판독 처리는 연주 조작자의 가이드를 행하기 위한 처리이다(자세한 내용은 후술함). 이 제2 사전 판독 처리를 종료하면, 게임 장치는 전자 악기에 대하여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MIDI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 사전 판독 처리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사전 판독 처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61에서는, 이 전자 악기가 게임 모드 대응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다. 게임 모드 대응 기종인 경우에는(단계 S61의 YES), 제2 소정의 타이밍 전, 예를 들면 4분 음표 길이 혹은 8분 음표 길이 등의 시간 타이밍 전의 게임 대상 트랙을 판독하고(단계 S62), 판독한 게임 대상 트랙(예를 들면 멜로디)에 포함되는 노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전자 악기에 대해 송신한다(단계 S63). 즉, 게임 장치는 전자 악기에 대해, 이 전자 악기에 구비된 연주 조작자(10A)의 가이드부(10B)(건반 LED)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이드 정보(건반 LED 온/오프)를, 이 연주 조작자를 조작해야하는 타이밍에 앞서 송신한다(도 2의 ② 참조). 이에 의해, 연주 조작자(10A)를 실제로 조작해야하는 타이밍보다도 전에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10A)가 무엇인지 연주자가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초보자도 알기 쉬운 가이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전자 악기에서는 게임 장치로부터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41의 YES), 이 커맨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건반 LED의 점등 제어를 행한다(단계 S42). 단계 S43에서는 건반(연주 조작자)의 온/오프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건반의 온/오프를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43의 YES), 게임 장치에 대하여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단계 S44)와 노트 온/오프 데이터(단계 S45)를 송신한다(도 2의 ③ 참조). 단, 게임 장치에 대하여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은 전자 악기가 게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3의 단계 S13 참조)로서, 상기한 전자 악기가 게임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음악 게임에 비대응 기종인 경우에는 게임 장치에 대하여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는다. 게임 장치에서는 수신·반송 처리(단계 S27) 및 현재 판독 처리(단계 S28)를 각각 실행한다. 수신·반송 처리 및 현재 판독 처리의 제1 실시예를 각각 도 7과 도 8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반송 처리에서는 전자 악기로부터 노트 데이터(게임 모드 비대응의 경우) 또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게임 모드 대응의 경우)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1). 노트 데이터 또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71의 YES), 상기 노트 온/오프 또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에 대응한 노트 온/오프를 전자 악기에 대하여 반송한다(단계 S72). 여기서 전자 악기에 대하여 반송하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에 대응한 노트 온/오프 메시지는 트랜스포즈(transpose) 등을 반영하지 않는 데이터이다(도 2의 ⑤ 참조).
또, 전자 악기가 게임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 기종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주 조작자(10A)의 연주 조작에 응하여, 전자 악기로부터 게임 장치에 대하여,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도 2의 ③)와, 노트 온/오프 데이터(도 2의 ④) 모두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단계 S72에서는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에 대응하여노트 온/오프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한편, 전자 악기가 게임 장치에 대응하지 않는 기종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주 조작자(10A)의 연주 조작에 응하여, 전자 악기로부터 게임 장치에 대하여, 노트 온/오프 데이터(도 2의 ④)만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단계 S72에서는 전자 악기로부터 취득한 노트 온/오프 데이터(도 2의 ④)를 그대로 노트 온/오프 메시지로서 송출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판독 처리에서는 현재 타이밍의 모든 트랙의 판독을 행한다(단계 S81). 그리고, 판독한 반주 트랙의 노트 데이터를 전자 악기에 대하여 송신한다(단계 S82). 이 송신된 노트 데이터는 전자 악기의 음원으로 전송되어 반주를 발음하기 위한 데이터이다(도 2의 ① 참조).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전자 악기에서는 게임 장치로부터 노트 온/오프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6의 YES). 노트 온/오프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46의 YES), 발음 제어를 실행하여(단계 S47) 상기한 처리를 종료한다. 즉, 수신한 노트 온/오프를 음원으로 전송하여, 이 노트 온/오프에 기초하여 트랜스포즈 등을 반영하지 않는 음고(게임 모드 대응의 경우만)에 의한 발음 처리를 행한다. 한편, 게임 장치에서는 채점 처리를 행한다(단계 S29). 이 채점 처리에서는, 판독한 게임 대상 트랙의 노트 이벤트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그것과 전자 악기가 음악 게임 대응 기종인 경우에는 수신한 건반 LED 온/오프 커맨드(③)와, 한편 비대응 기종인 경우에는 노트 온/오프 데이터(④)를 음고 및 타이밍에 대해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응한 득점의 가산을 행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음악 게임 대상의 곡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곡이 종료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30의 NO), 단계 S23의 처리로 되돌아가 상기 단계 S22∼단계 S29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곡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30의 YES), 총합 채점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어떠한 효과음 등을 게임 장치측에서 발음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제시한 후(단계 S31), 상기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 도 4에 도시한 「게임 처리」에서, 단계 S31의 채점 결과에 대응하여, 다른 악곡의 음악 게임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고득점이 얻어진 경우 등), 혹은 동일한 악곡의 음악 게임을 재차 실행하거나 불일치 부분만을 연습시켜도(저득점인 경우 등) 된다. 즉, 본 발명을 음악 연습 장치로서 구체화해도 된다.
또, 게임 대상 트랙은 멜로디 트랙에 한하지 않는다. 전자 악기가 타악기형의 경우에는 드럼 트랙 등이어도 되며, 베이스나 코드의 배킹(backing) 트랙을 게임 대상으로 해도 된다.
또, 음표에 대응한 캐릭터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화면에 한하지 않고, 아래로부터 위, 좌측으로부터 우측, 우측으로부터 좌측 등으로 이동하는 화면이어도 된다. 즉, 게임 화면에서, 변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 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의 표시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 악곡 데이터의 포맷은, 노트 이벤트의 발생 시각을 1개 전의 이벤트로부터의 시간으로 나타낸 「이벤트+상대 시간」, 노트 이벤트의 발생 시각을 곡이나 소절 내에서의 절대 시간으로 나타낸 「이벤트+절대 시간」, 음표의 음고와 음표 길이 혹은 쉼표와 쉼표 길이로 연주 데이터를 나타낸 「음고(쉼표)+음표 길이」, 연주의 최소 분해능마다 메모리의 영역을 확보하고, 노트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각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에 연주 이벤트를 기억시킨 「베타 방식」 등 어떠한 형식이어도 된다.
또, 악곡 데이터의 처리 방법(음악 게임 화면의 갱신 방법)은 설정된 템포에 응하여 처리 주기를 변경하는 방법, 처리 주기는 일정하고, 악곡 데이터 중 타이밍 데이터의 값을 설정된 템포에 응하여 변경하는 방법, 처리 주기는 일정하고, 1회의 처리에서 악곡 데이터 중 타이밍 데이터의 계수의 방법을 템포에 응하여 변경하는 방법 등,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노트 온/오프 메시지에 기초한 발음은, 전자 악기의 예로 행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게임 장치의 예로 행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음악 장치에 구비된 연주 조작자의 가이드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이 연주 조작자를 조작해야하는 타이밍에 앞서 송신하도록 했기 때문에, 연주 조작자를 조작해야하는 타이밍보다도 전에 조작해야하는 연주 조작자를 연주자가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악 게임의 실행에 앞서,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연주 조작자로부터 발생한 노트 온/오프를 음원으로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했기 때문에,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노트 온/오프와 전자 음악 장치의 연주 조작자로부터 발생된 노트 온/오프가 중복되어 음원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악 게임의 실행에 앞서, 음악 게임에 대응한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노트 온/오프에 의해 연주 조작자의 가이드부가 동작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서는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노트 온/오프에 가이드부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1)

  1. 연주 조작자와 연주 가이드 수단과 음원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음악 장치와,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음악 게임 장치로 구성되는 음악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표시기와,
    악곡 정보를 공급하는 악곡 정보 공급 수단과,
    공급된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게임 화면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게임 실행 수단으로서, 소정의 게임 화면은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실행 수단과,
    상기 공급된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에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실제로 조작해야하는 타이밍에 선행하여 송신되는 수단과,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해, 상기 공급된 악곡 정보에 관련하는 노트 정보를 상기 가이드 정보와는 별도의 정보로서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전자 음악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 조작자로 연주된 조작자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노트 정보를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서는,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으로 연주 가이드를 행하고, 또한 수신한 상기 노트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수단으로 악음을 생성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정보는 복수의 파트의 연주 정보로 구성되고, 그 중 특정 파트의 연주 정보가 상기 가이드 정보로서 송신되는 음악 게임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은, 상기 연주 조작자 중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 대해 지시하고,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가이드 정보 및 상기 노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 대해 지시하도록,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을 제어하는 가이드 제어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한 상기 노트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수단으로 악음을 발생시키는 발음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을 동작시키는 모드와, 상기 수신한 노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을 동작시키는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음악 게임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상기 음악 게임 장치에 대하여, 상기 연주 조작자로 연주된 조작자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의 상기 게임 실행 수단은,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재촉하며,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상기 게임 실행 수단에 의한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음원 수단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상기 게임 실행 수단에 의한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악음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상기 음원 수단에서는, 상기 송신된 악음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악음을 생성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서는, 통상은,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음원 수단에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연주 조작 정보에 따른 악음을 상기 음원 수단으로 생성하며,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금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금지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음원 수단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악음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원 수단은, 상기 수신된 악음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악음을 발생시키는 음악 게임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의 상기 게임 실행 수단은,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재촉하며,
    상기 음악 게임 장치는, 상기 게임 실행 수단에 의한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는, 상기 게임 실행 수단에 의한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이드 정보와,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을 제어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은, 초기 설정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따라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음악 게임 장치의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하여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이 금지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응한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음악 게임 시스템.
  16.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로서,
    연주 조작자와 연주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음악 장치와,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음악 게임 장치로 구성되는 음악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음악 게임 장치가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음악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음악 게임은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재촉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에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특정 연주 조작자를 실제로 조작해야 하는 타이밍에 선행하여 송신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악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급된 악곡 정보에 관련하는 노트 정보를, 상기 가이드 정보와는 별도의 정보로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음악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 조작자로 연주된 조작자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노트 정보를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17.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로서,
    연주 조작자와 연주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음악 장치와,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음악 게임 장치로 구성되는 음악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음악 장치가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음악 게임 장치가 실행하는 음악 게임은, 소정의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주되어야 하는 연주 조작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재촉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상기 악곡의 진행에 수반하여, 조작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지시하는 가이드를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상기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도록,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상기 악곡에 관련하는 노트 정보를, 상기 가이드 정보와는 별도의 정보로서 수신하고, 수신한 노트 정보에 따라 악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음악 게임 장치에 대하여, 상기 연주 조작자로 연주된 조작자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노트 정보를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한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음원 수단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금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금지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응한 상기 연주 조작 정보가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음원 수단에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악 장치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음악 게임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음악 게임 장치로부터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자 음악 장치의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금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정보 이외의 노트 정보에 응하여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수신한 상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조작되어야하는 특정한 연주 조작자를 사용자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상기 연주 가이드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KR1020030095392A 2002-12-27 2003-12-23 음악 게임 장치, 그것에 관련된 전자 음악 장치 및 그 방법 KR100597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81271 2002-12-27
JP2002381271A JP4085810B2 (ja) 2002-12-27 2002-12-27 音楽ゲーム装置、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750A KR20040060750A (ko) 2004-07-06
KR100597150B1 true KR100597150B1 (ko) 2006-07-05

Family

ID=3246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392A KR100597150B1 (ko) 2002-12-27 2003-12-23 음악 게임 장치, 그것에 관련된 전자 음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47301A1 (ko)
EP (1) EP1433507B1 (ko)
JP (1) JP4085810B2 (ko)
KR (1) KR100597150B1 (ko)
CN (2) CN2880187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67B1 (ko) 2007-12-25 2012-03-02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451B2 (ja) 2004-08-30 2010-01-1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及び該電子楽器に接続される音源装置
US7549645B1 (en) * 2005-02-07 2009-06-23 Wong Michael K Multi-player audio game and game console
US7997582B2 (en) * 2005-02-07 2011-08-16 Wong Michael K Multi-player audio game playable on internet
US8249276B2 (en) 2005-09-15 2012-08-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ler device
JP4327874B2 (ja) * 2007-12-17 2009-09-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のゲーム管理方法
EP2233969B1 (en) 2009-03-24 2013-05-15 Stanley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49535B2 (ja) * 2011-05-27 2013-11-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ントローラデバイス
US8383923B2 (en) * 2011-06-03 2013-02-26 L. Leonard Hacker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game playing and training
JP6384705B2 (ja) * 2013-08-27 2018-09-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演奏システム、支援装置、演奏装置、演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96413B2 (ja) * 2013-08-27 2018-03-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演奏システム、支援装置、演奏装置、支援方法、演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558596A (en) * 2017-01-09 2018-07-1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User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210319773A1 (en) * 2018-09-04 2021-10-14 Michael Lachower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mposition of music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7822A (en) * 1994-03-17 1997-06-10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MIDI signal transmitter/receiver operating in transmitter and receiver modes for radio signals between MIDI instrument devices
JP2734983B2 (ja) * 1994-04-15 1998-04-0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3058051B2 (ja) * 1995-04-27 2000-07-04 ヤマハ株式会社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H09198043A (ja) * 1996-01-19 1997-07-3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
US5739457A (en) * 1996-09-26 1998-04-14 Devecka; John R.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US6011210A (en) * 1997-01-06 2000-01-04 Yamaha Corporation Musical performance guiding device and method for musical instruments
JP4543475B2 (ja) * 1999-04-13 2010-09-15 ヤマハ株式会社 演奏練習装置および運指練習装置
JP3351780B2 (ja) * 2000-07-10 2002-12-03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機および記録媒体
JP4094236B2 (ja) * 2001-02-07 2008-06-04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支援装置、演奏支援方法及び同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現させる演奏支援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67B1 (ko) 2007-12-25 2012-03-02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6997C (zh) 2006-05-24
CN2880187Y (zh) 2007-03-21
US20040147301A1 (en) 2004-07-29
EP1433507A3 (en) 2004-09-29
JP2004212582A (ja) 2004-07-29
CN1511607A (zh) 2004-07-14
JP4085810B2 (ja) 2008-05-14
EP1433507B1 (en) 2011-08-24
EP1433507A2 (en) 2004-06-30
KR20040060750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273A (en) Performance instructing apparatus
JP5169328B2 (ja) 演奏処理装置及び演奏処理プログラム
KR100597150B1 (ko) 음악 게임 장치, 그것에 관련된 전자 음악 장치 및 그 방법
US7799985B2 (e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2091290A (ja) 演奏表示装置および演奏表示方法
JP2007256754A (ja) 電子楽器システム
US6180865B1 (en) Melody performance train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s which contain a melody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JP2006276434A (ja) 演奏ガイド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178472B2 (ja) 演奏指示装置
US7247781B2 (en) Interactive music appl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programs therefor
JP3551014B2 (ja) 演奏練習装置、演奏練習方法及び記録媒体
JP4561664B2 (ja) 電子楽器システム
EP1975920B1 (en) Musical performanc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2000221967A (ja) 電子楽器等における設定制御装置
JP2005091846A (ja) 楽譜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48365B2 (ja) 楽譜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33154B2 (ja) 電子楽器
JP4613488B2 (ja) 楽譜表示装置及び楽譜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3707136B2 (ja) カラオケ制御装置
JP2001195061A (ja) 同期制御方法および同期制御装置
JPH02705B2 (ko)
JP5157125B2 (ja) 楽音発生装置
JP4407558B2 (ja) カラオケ装置
JPH1097181A (ja) 演奏操作指示装置
JP2003308071A (ja) 自動演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