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300B1 -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 - Google Patents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300B1
KR100596300B1 KR1020047004756A KR20047004756A KR100596300B1 KR 100596300 B1 KR100596300 B1 KR 100596300B1 KR 1020047004756 A KR1020047004756 A KR 1020047004756A KR 20047004756 A KR20047004756 A KR 20047004756A KR 100596300 B1 KR100596300 B1 KR 10059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opening
reinforcement
flexible container
t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736A (ko
Inventor
나카노요시마사
구로스다다아키
이노우에신이치
핫토리에츠코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4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 B65D75/48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containing liquids, semiliquids, or pastes, e.g. cushion-shap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개봉의 용이화와 함께 개봉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개구 형상의 획일화를 실현한 유연성 용기, 그 형성 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 방법, 및 액체를 제공한다.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 그 형성 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 방법 및 액체로서, 유연성 소재(3)로 형성된 수용부(2)를 밀봉하는 밀봉부[중앙 밀봉부(4), 상단 밀봉부(6), 하단 밀봉부(8)]와, 이 밀봉부에 형성된 절취부(12, 14)와, 수용부에 설치되어서 절취부로부터 찢어져서 개봉되는 수용부의 인열에 의한 개봉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16)를 구비함으로써, 개봉의 용이화와 함께 개봉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개구 형상의 획일화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FLEXIBLE CONTAINER, METHOD OF FORMING THE CONTAINER, UNSEALING GUIDE OF FLEXIBLE CONTAINER, METHOD OF FILLING LIQUID INTO CONTAINER, AND LIQUID}
본 발명은 액체 등의 운반, 보관 또는 상품화 등에 이용되는 용기 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연성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 및 그 형성 방법, 개봉시의 보조 부재로서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운반, 보관 또는 상품화 등의 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 방법, 및 유연성 용기에 봉입된 액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 등의 음료수, 그 밖의 액체의 상품화, 그 운반 및 보관 등에는, 페트병(PET bottle)이라고 하는 합성수지 용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 합성수지 용기는 경량으로서 안전성은 높지만, 강성이 높고, 내용물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일정 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취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용기에 대하여, 합성수지 필름으로 자루 형상으로 형성된 유연성 용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 유연성 용기로는, 그 내용물의 유동성에 따라 외관 형상이 변화되어, 상자 등에 대한 수용성 효율이 높고, 사용 후의 유연성 용기 자체로는 그 체적이 작고, 게다가, 임의로 접어 구부리거나, 중첩할 수 있기 때문에, 페트병과 같이 부피가 크게 되지는 않는다. 또한, 유연성 소재는 그 재질에 의해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으므로, 환경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가 들어있는 유연성 용기(200)에서는 유연성 소재로 수용부(2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202)는 그 상하부의 밀봉부(204, 206)를 열압착해서 밀봉되어 있다. 이 유연성 용기(200)에는 인열성(引裂性: 찢는 성질)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밀봉부(204)에는 수용부(202)의 모서리 쪽의 2곳에 절취부(cuts)(208, 210)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204)로부터 수용부(202)로의 개봉을 위한 인열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212)가 수용부(202)에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유연성 용기(200)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절취부(208)의 좌우 쪽을 뜯어서 절취부(208)가 열리도록 화살표(212) 방향으로 인열력((引裂力)을 가하면, 밀봉부(204) 및 수용부(202)의 일부가 찢겨져서 물이 들어 있는 수용부(202)로부터 파열되어, 수용부(202)를 개구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성 용기(200)를 보강 용기로서의 스탠드(214)에 넣은 후, 마찬가지로, 절취부(208)의 좌우 쪽을 잡고 화살표(212)방향으로 찢으면, 수용부(202)를 개구할 수가 있다. 이러한 스탠드(214)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도 15 에서, 한쪽 손으로 절취부(208)가 열리도록 밀봉부(204)에 힘을 가해서 개구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인열성이 좋은 유연성 소재를 이용해서 유연성 용기(200)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개봉이 용이한 반면, 인열 방향에 따라서는 개봉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이 한결같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A), 도 16(B) 또는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부(208)로부터 개봉되어 찢겨진 파열편(breakage piece)(216)의 형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개구부(218)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되어, 밀봉부(204)를 중심으로 개구부(218)의 형상이 비대칭형이나 삐뚤어진 모양으로 되어버린다. 이러한 개구부(218)로부터 내용물(內容物)인 물을 따르려고 하면, 그 개구부(218)의 형상에 의해 물의 유출 방향이 변화되어서 컵 등에 물을 붓는데 실패하는 등, 취급이 어렵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02)가 연약하므로, 개구부(218)를 클립(220)에 의해 용이하게 밀봉해서 물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클립(220)을 떼어서 밀봉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립(220)으로 밀봉한 유연성 용기(200)를 냉장고에 보관하면, 합성수지 시트 등의 유연성 소재에서는, 클립(220)을 떼어내어도, 그 밀봉 압력이 가해지고 있었던 개구부(218)는 냉장에 의해 경화(硬化)하는 동시에, 밀착 상태로 유지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사용시에, 개구부(218)의 정형(整形)에 시간이 걸리거나, 밀착 상태로 기울여서 물을 유출시키려고 하면, 물의 유출이 방해되거나, 유출 방향의 조작이 어렵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클립(220)으로 개구부(218)를 밀봉할 경우, 개구부(218)의 개구 면적이나 개구 폭이 임의의 인열력에 의해 변화되어 버리면, 정해진 클립(220)으로 개구부(218)를 밀봉할 수 없게 되는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개봉의 용이화와 동시에 개봉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개구 형상의 획일화를 실현한 유연성 용기, 그 형성 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 방법 및 액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는,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로서, 유연성 소재로 형성된 수용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이 밀봉부에 형성된 절취부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절취부로부터 찢겨서 개봉되는 상기 수용부의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연성 용기에서의 상기 절취부를, 상기 수용부의 개구 면적이 선택 가능한 다른 2곳 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연성 용기에서의 상기 개봉 가이드는, 개봉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閉鎖) 도구를 이용해서 폐쇄시키는 동시에, 그 폐쇄가 해제된 때에는 상기 개구부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은,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으로서, 액체 등의 수용물(收用物)을 넣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유연성 소재에, 상기 수용부의 개봉시에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를 접착하는 처리와, 상기 개봉 가이드가 접착된 부분을 접어 넣어서 상기 유연성 소재에 밀봉부를 설정하고, 수용부를 형성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는, 밀봉부에 형성된 절취부로부터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로서, 상기 절취부에 의해 찢어지는 수용부의 인열(引裂: 찢어짐)이 파급(波及)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에 가해지는 인열력의 작용 방향을 안내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에 따라 찢어지는 수용부의 인열이 파급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에 가해지는 인열력의 작용 방향을 안내하는 슬릿(slit)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에 의해 찢어지는 수용부의 인열이 파급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에 생기는 인열 루트(route)를 소정 범위로 안내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에 걸쳐서 찢어지는 상기 수용부의 인열 루트를 집합시켜서 상기 수용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밀봉부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슬릿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 또는 상기 슬릿은, 상기 밀봉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으로 대칭 위치 또는 비대칭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액체 봉입방법은,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로의 액체 봉입 방법으로서, 유연성 소재에 수용부의 개봉시의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를 접착하는 처리와, 상기 개봉 가이드가 접착된 부분을 접어 넣어서 밀봉부를 설정하고, 액체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처리와, 상기 수용부에 일정량의 액체를 충전하는 처리와, 상기 액체의 충전 후, 상기 수용부를 밀봉부에서 밀봉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액체는 상기 유연성 용기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 용기의 밀봉부에 형성된 절취부로부터 찢어지는 수용부의 인열 방향은 개봉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므로, 개봉 가이드에 의해 개봉의 용이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개봉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개구부의 형상은 개봉 가이드에 의해 획일화되어, 거의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개봉 가이드에 의해 수용부의 개구부가 보강되어, 그 개구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밀봉 도구로 밀봉되어, 냉장(冷藏) 되었을 경우라도 밀봉이 해제되었을 때 개구부가 열린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 그 형성 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 방법, 및 액체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 또는 이점이 있다.
a. 밀봉부에 형성된 절취부로부터 유연성 용기의 일부를 찢어서 수용부에 개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개봉 가이드에 의해 인열 방향, 파열 방향을 안내해서 파열시킬 수 있고, 개구부의 형상을 소정 형상으로 규제해서 개구 형상의 획일화가 실현되고, 그 개구 형상의 불일치나 개봉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b. 개구 부분을 개봉 가이드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밀봉 도구에 의한 밀봉이나 냉장에 의한 밀착 상태로부터 개구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고,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다.
c. 개봉이 용이하고 개구 형상을 획일화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d. 개봉이 용이하고 개구 형상을 획일화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에 액체 등의 수용물을 봉입할 수 있고, 물이나 음료수 등의 액체의 상품화를 도모할 수 있다.
e. 개봉이 용이하고 개구 형상을 균일화할 수 있고 유연성 용기를 단위(單位)로 하여 상품화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 물이나 음료수 등의 액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 및 유연성 용기에 봉입된 액체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액체의 봉입 전의 유연성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나타낸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부분의 IV-IV선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 또는 액체 봉입 방법의 실시형태로서, 개봉 가이드의 형태, 유연성 소재에 대한 개봉 가이드의 점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 또는 액체 봉입 방법의 실시형태로서, 중앙(center) 밀봉부의 형성처리, 상단(top) 밀봉부의 형성처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개봉 가이드의 인열 안내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개봉 가이드의 인열 안내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개봉 가이드의 인열 안내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유연성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종래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에 따라서 형성된 여러 가지 개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종래의 유연성 용기의 개봉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클립에 의한 밀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은 물이 봉입된 유연성 용기, 도 2는 물이 봉입되기 전의 유연성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연성 용기는 수용물(收用物)로서 음료수, 액체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2)를 구비하고 있고, 합성수지 필름 등의 시트 형상의 유연성 소재(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수용부(2)를 세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단으로서 중앙 밀봉부(4)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중앙 밀봉부(4)와 직교방향으로, 수용부(2)의 상부 및 하부 쪽을 밀봉하는 상단(top) 밀봉부(6) 및 하단(bottom) 밀봉부(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용부(2)는 이들 3개의 밀봉부(4, 6, 8)로서 밀봉된 밀봉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그 내부에 물(10)이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하단 밀봉부(8)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인 물(10)이 들어가기 전의 수용부(2)를 나타내고 있고, 수용부(2)는 물(10)이 들어간 후, 바닥 밀봉부(8)의 형성에 의해 밀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소재(3)는 수용물인 물(10)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소재, 물 등의 수용물에 대해 악취가 부착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적당하게 인열 응력(應力)을 받아서 개봉될 수 있는 소재로서, 나일론(nylon), 에틸렌비닐알콜수지(ethylene-vinylalcohol res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적층 필름, 나일론, 산화 알미늄으로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alate) 및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단 밀봉부(6)에는 한쪽의 모서리 쪽에 복수의 절취부(cuts)(12, 1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각 절취부(12, 14)로부터 개봉될 때,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의 일부의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16)가 수용부(2)의 앞뒤 쪽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다. 각 절취부(12, 14)는 수용부(2)가 개봉될 때의 개구형으로 대응한 것이며, 절취부 12는 큰 개구를, 절취부 14는 작은 개구를 형성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연성 용기에 봉입된 물은 유체물이면서 고체 상품과 마찬가지로 유연성 용기를 단위로 하여 상품화되어,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절취부(12, 1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봉되어 사용되므로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개봉 가이드(16)는 수용부(2)를 형성하고 있는 유연성 소재(3)와 동등한 두께로 강성의 높은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개봉 가이드(16)를 투명 또는 수용부(2)와 동일한 색으로 구성하면, 수용부(2)와의 일체화가 가능하다. 개봉 가이드(16)가 적층된 유연성 소재(3)는 그 적층 부분이 개봉 가이드(16)에 의해 강화되기 때문에, 그 소재로서는 유연성 소재(3)보다 얇은 것을 사용해도 좋고, 동일 또는 두꺼운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 개봉 가이드(16)를 상단 밀봉부(6)로 절단한 수용부(2)의 일부와 함께 전개해서 나타내면,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된다. 이 개봉 가이드(16)는, 절취부(12, 14)로부터의 수용부(2)를 찢을 때의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임과 동시에, 수용부(2)의 개구 부분의 보강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2)의 능선(18)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의 제1 보강부(20) 및 제2 보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20)에는, 능선(18)에 걸쳐서 직선 형상의 수평 가장자리부(24)와,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원형상의 바깥쪽 가장자리부(26, 28)를 구비하고, 또한, 상단 밀봉부(6)와의 일체화를 위해, 좌우로 삼각형상의 한 쌍의 돌출부(30, 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돌출부(30, 32)의 원형 형상의 선단부는 상단 밀봉부(6)에 중첩되어서 열압착되어, 상단 밀봉부(6)와 일체화되어 있다.
각 돌출부(30, 32)의 대향 측에는, 인열 응력을 능선(18) 쪽으로 놓아주고 안내하는 제1 경사 가장자리부(34, 3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경사 가장자리부(34, 36)는 수평 가장자리부(24)에 대하여 예각 형상으로, 예를 들면, 거의 45도의 경사 각도를 가진 경사 가장자리로 형성되어, 그 경사 길이는 각 돌출부(30, 32)의 선단(apex)에서 능선(18)까지의 거리의 1/2 정도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 경사 가장자리부(34, 36)의 간격 내에는 보강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부(22)의 좌우로는 수직 가장자리부(38, 40)와 함께 돌출부(42, 44)가 형성되고, 각 돌출부(42, 44)의 사이에는 능선(18)을 사이에 두고 V자형의 오목부를 이루는 제2 경사 가장자리부(45, 46), 그 중심 쪽으로 만곡(彎曲) 가장자리를 이루는 종단(終端) 오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 가장자리부(45, 46)의 종단부(終端部)인 각 돌출부(42, 44)의 높이는, 보강부(20) 쪽의 돌출부(30, 32)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이들 돌출부(42, 44)는 상단 밀봉부(6)의 형성시에 열압착되어서 상단 밀봉부(6)에 중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부 20과 보강부 22의 사이에는, 경사 가장자리부(34, 36)를 연장하고 짧은 제1 슬릿(48, 50)이 능선(18)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각 슬릿(48, 50)의 아래쪽에는, 경사 가장자리부(34, 36)의 근방으로부터 능선(18)을 향해서 직선 형상으로 제2 슬릿(52, 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 52 쪽에는 슬릿 52와 간격을 두고 직선 형상으로 제3 슬릿(56)이, 마찬가지로 슬릿 54 쪽에는 슬릿 54와 간격을 두고 직선 형상으로 다른 쪽의 제3 슬릿(58)이 능선(18)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슬릿 52와 슬릿 56, 슬릿 54와 슬릿 58은, 각각의 사이에 능선(18) 방향으로 약간 좁아지도록 간격이 형성되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능선(18) 쪽의 단부는 수평 가장자리부(24)로부터 동일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즉, 각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수평 가장자리부(24)와 평행하다. 이들 슬릿(52, 54, 56, 58)의 각 단부 쪽에는 슬릿(56, 58) 사이의 능선(18) 위에 수직부(60)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수직부(60)와 직교하는 수평부(62)를 구비한 역 T자 형상의 제4 슬릿으로서 중앙 슬릿(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봉 가이드(16)를, 예를 들어, 도 3의 IV-IV선에서 절단하고, 그 절단 단면은, 예를 들어, 도 4(A)에 나타낸 단면 형태가 되고, 도 4(B)는 그 확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개봉 가이드(16)는 수용부(2)를 구성하는 유연성 소재(3) 위에 고착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접착제(66)를 이용해서 밀착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개봉 가이드(16)가 접착된 수용부(2)는, 보강부(20, 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강됨과 더불어, 각 보강부(20, 22)에 형성된 각 슬릿(48∼58) 및 중앙 슬릿(64)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개봉 가이드(16)로부터 수용부(2)의 유연성 소재(3)가 노출되고, 비(非)보강 부분(68)을 구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개봉 가이드(16)는 강성의 높은 합성수지 시트를 다이 슬리팅 가공(die slitting process)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슬릿(48, 50, 52, 54, 56, 58), 경사 가장자리부(34, 36, 45, 46), 수직 가장자리부(38, 40), 돌출부(30, 32, 42, 44) 등의 각 가장자리부는, 유연성 소재(3)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장자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개봉 가이드(16)의 두께(a)는 유연성 소재(3)의 두께(b)와 같은 정도의 두께로 설정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성 소재(3)의 두께(b)를 50∼100㎛로 하면, 개봉 가이드(16)의 두께(a)는 50∼100㎛ 정도이다.
다음으로, 이 개봉 가이드(16)를 구비하는 유연성 용기의 형성방법 및 유연성 용기로의 액체 봉입 방법을 설명한다.
개봉 가이드(16)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는 띠 형상의 대지(臺紙)(70) 위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이면(裏面) 쪽에는 유연성 소재(3)에 접착시키는 접착제(66)가 도포(塗布)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봉 가이드(16)의 형성 방법은, 띠 형상의 대지(70)에 이면 쪽으로 접착제(66)를 부착한 합성수지시트를 점착시킨 후, 다이 슬리팅 가공에 의해 개봉 가이드(16)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각 개봉 가이드(16) 이외의 합성수지 시트를 제거해도 좋다.
대지(70) 위의 각 개봉 가이드(16)는 도시하지 않은 로봇 암(arm) 쪽에서 흡인해서 대지(70)로부터 박리시켜서 유지하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 형상의 유연성 소재(3)가 있는 소정 위치에 점착시킨다. 유연성 소재(3)에 대한 개봉 가이드(16)의 위치는, 중앙 밀봉부(4) 및 상단 밀봉부(6)의 형성 위치로부터 높은 정밀도로 설정되어 있다.
개봉 가이드(16)가 점착된 유연성 소재(3)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밀봉부(4)에서 밀봉처리를 실시하고, 원통형의 수용부(2)는 단일의 유연성 소재(3)로 형성된다. 중앙 밀봉부(4)의 폭(W)과 그 가장자리부(72)는, 개봉 가이드(16)의 중심이 수용부(2)의 능선(18)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개봉 가이드(16)를 부착할 수 있는 수용부(2)는,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밀봉부(4)의 가장자리부(72)를 수용부(2)의 중심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개봉 가이드(16)의 중심선을 능선(18)으로 하여, 중앙 밀봉부(4)를 일방향으로 접어 구부려서 수용부(2) 위에 중첩시키고, 수용부(2)의 상부 쪽으로 상단 밀봉부(6)를 형성해서 밀봉처리를 실행한다. 즉, 수용부(2)를 구성하는 유연성 소재(3)의 안쪽이, 예를 들면, 열압착 가능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도시하지 않는 밀봉처리기를 이용해서 열압착에 의해 용이하게 압착 처리할 수가 있고, 그 압착 처리는 온도, 가압력 및 시간에 의해 높은 정밀도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밀봉부(6)의 개봉 가이드(16) 쪽에는, 그 경사 가장자리부 34 및 36 쪽의 소정 위치에 절취부 12가, 경사 가장자리부 45 및 46 쪽의 소정 위치에 절취부 14가 상단 밀봉부(6)와 직교 방향으로 도려내어져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2)의 능선(18) 상으로 개봉 가이드(16)의 경사 가장자리부(45, 46)의 종단(終端) 오목부(47)가 겹쳐져 있지만, 개봉 가이드(16)의 경사 가장자리부(45, 46)에 의해 구부러진 종단 오목부(47)가 형성되어 완만한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개봉 가이드(16)의 경사 가장자리부(45, 46)는 수용부(2)의 능선(18)에 적응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그 가장자리부가 극단적인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아서, 취급상, 방해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중앙 밀봉부(4)와 상단 밀봉부(6)의 2곳에서 닫혀 있는 수용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 밀봉부(8)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열려있는 유연성 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이 유연성 용기의 개구부 쪽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도시하지 않는 충전 수단에 의해, 수용부(2)에 소정량의 물(10)을 넣은 후, 하단 밀봉부(8)로써 밀봉하고, 액체 봉입 및 그 봉함(封緘)처리를 완료한다.
이렇게 개봉 가이드(16)가 설치된 유연성 용기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와 마찬가지의 개봉 처리에 의해, 절취부 12 또는 절취부 14로부터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를 찢음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해서 내용물인 물(10)을 따를 수 있다.
개봉할 때의 개봉 가이드(16)의 작용을 설명한다. 절취부(12)에 인열력이 가해지면, 예를 들어, 도 7(A)의 파선 L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열(breakage)이 생기고, 유연성 용기의 일부인 파열편(breakage piece)(74)이 제거되어, 수용부(2)에 개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의 양면에 인열 응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이 응력에 의해 생기는 파열은 경사 가장자리부(34, 36)에서 저지된 후, 슬릿(48, 50) 쪽으로 안내되어 유도된 후, 슬릿(52, 54)으로 파급되어 중앙 슬릿(64)으로 옮겨져서, 좌우 대칭형의 파열편(74)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결과, 수용부(2)에 형성된 개구는 파열편(74)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능선(18)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의 이상적인 개구 형태가 된다.
이 경우, 개봉 가이드(16)는 강성의 높은 합성수지 시트에 다이 슬리팅 가공 등을 하여 형성되고, 각 슬릿(48, 50, 52, 54, 56, 58), 경사 가장자리부(34, 36, 45, 46), 수직 가장자리부(38, 40), 돌출부(42, 44) 등의 각 가장자리부는, 예를 들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성 소재(3)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장자리부를 구성하고 있고, 유연성 소재(3)는 개봉 가이드(16)로 보강되어 있으므로, 수용부(2)에 가해진 인열력이 개봉 가이드(16)의 가장자리 쪽에서 차단됨과 더불어, 경사 가장자리부(34, 36)의 경사방향으로 안내되어, 그 찢어진 부분이 슬릿 52와 56 사이, 슬릿 54와 58 사이로 몰아넣어져서, 능선(18) 쪽의 역 T자형의 중앙 슬릿(64)에서 파열되어, 수용부(2)를 개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취부(12)에 가해지는 인열력에 의해, 예를 들어, 도 7(B)의 파선 L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열이 생기고, 유연성 용기의 일부인 파열편(74)이 제거되어, 수용부(2)에 개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의 양면 쪽(11)에 균등하게 인열 응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그 응력에 의해 생긴 파열은 경사 가장자리부(34, 36)에서 저지된 후, 슬릿(48, 50) 쪽으로 안내되어 유도된 후, 슬릿(56, 58)으로 파급되어 중앙 슬릿(64)으로 옮겨져서, 좌우 대칭형의 파열편(74)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결과, 수용부(2)에 형성된 개구는 파열편(74)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능선(18)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의 이상적인 개구 형태가 된다.
또한, 절취부(12)에 가해지는 인열력에 의해, 예를 들어, 도 8(A)의 파선 L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열이 생기고, 유연성 용기의 일부인 파열편(74)이 제거되어, 수용부(2)에 개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는,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의 양면 쪽에 균등하게 인열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있다.
즉, 이러한 응력에 의해 생기는 파열은 경사 가장자리부(34, 36)에서 저지되어서 슬릿(48, 50) 쪽으로 안내되어 유도되지만, 응력이 균등하지 않기 때문에, 그 한쪽(도면 중 좌측)이 슬릿 56으로 파급되어 중앙 슬릿(64)으로 옮겨지고, 그 다른 쪽(도면 중 우측)이 슬릿 54로 파급되어 중앙 슬릿(64)으로 옮겨지고 있다. 그 결과, 좌우 비대칭형의 파열편(74)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파열편(74)의 형상 변화는, 슬릿 52 및 56의 간격폭 내와, 슬릿 54 및 58의 간격폭 내로 안내되기 때문에, 매우 작아서, 파열편(74)이 좌우 대칭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2)에 형성된 개구는 파열편(74)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능선(18)을 중심으로 거의 좌우 대칭형의 개구 형태가 된다.
또한, 절취부(12)에 가해지는 인열력에 의해, 예를 들어, 도 8(B)의 파선 L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열이 생기고, 유연성 용기의 일부인 파열편(74)이 제거되어, 수용부(2)에 개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도,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의 양면 쪽에 균등하게 인열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있다. 즉, 이러한 응력에 의해 생긴 파열은 경사 가장자리부(34, 36)에서 저지되어서 슬릿(48, 50) 쪽으로 안내되어 유도되지만, 응력이 균등하지 않기 때문에, 그 한쪽(도면 중 좌측)이 슬릿 52로 파급되어 중앙 슬릿(64)으로 옮겨지고, 그 다른 쪽(도면 중 우측)이 슬릿 58로 파급되어 중앙 슬릿(64)으로 옮겨지고 있다. 그 결과, 좌우 비대칭형의 파열편(74)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파열편(74)의 형상 변화는, 슬릿 52 및 56의 간격폭 내와, 슬릿 54 및 58의 간격폭 내로 규제되기 때문에, 매우 작게 되어, 파열편(74)은 좌우 대칭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2)에 형성된 개구는 파열편(74)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능선(18)을 중심으로 거의 좌우 대칭형의 개구 형태가 된다.
또한, 절취부(14)에서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를 찢을 경우에는, 도 9에 표시한 파선 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가장자리부(45, 46)에 따라 파열이 생기고, 유연성 용기의 일부인 파열편(76)이 제거되어, 수용부(2)에 개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 좁은 폭으로 파열이 생기기 때문에, 그 파열은 상단 밀봉부(6)로부터 경사 가장자리부(45, 46)에 의해 저지됨과 더불어, 능선(18) 쪽으로 경사 가장자리부(45, 46)에 의해 안내되어 종단 오목부(47)에 집합되고, 파열편(76)이 상단 밀봉부(6) 및 수용부(2)로부터 제거되어, 좌우 대칭형의 개구부가 수용부(2)에 형성된다.
이렇게, 각 절취부(12, 14)에 가해지는 인열력으로 개봉 처리를 실행했을 경우, 파열 방향 또는 인열 방향이 개봉 가이드(16)에 의해 안내되어 능선(18) 쪽으로 유도되어, 절취부 12 쪽으로부터의 인열에서도, 또한, 절취부 14 쪽으로부터의 인열에서도,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형 또는 거의 좌우 대칭형의 개구부를 수용부(2)에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개봉의 실패가 없고, 어떤 응력을 가해도 균일한 개구부를 수용부(2)에 형성할 수 있고, 수용물(收用物)인 물(10)을 따르기가 쉬워진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용부(2)의 개구부로 되어 있는 개봉 가이드(16)의 부분을 폐쇄 도구(closing member),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220)을 이용해서 끼우면, 그 개구부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이러한 클립(220)을 이용해서 밀봉한 것을 냉장고에서 냉각시켜도, 그 클립(220)을 풀면, 그 개구부는 개봉 가이드(16)의 복귀력으로 개구부의 밀착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있었던, 개구부의 밀착 해제를 위해 개구부를 열어야 하는 수고나, 밀착 상태로 인해 물을 따라 넣는 것이 실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개봉 가이드(16)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했지만, 개봉 가이드(16)를 구성하는 소재가 수용부(2)를 구성하는 유연성 소재(3)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개봉 가이드(16)의 한쪽의 돌출부(30, 42)가 상단 밀봉부(6)에 열압착되는 것을 피하고, 상단 밀봉부(6)의 열압착의 부하를 경감해도 좋다. 즉, 이 개봉 가이드(16)에서는, 돌출부 30의 높이는 돌출부 32보다 낮게, 돌출부 42의 높이는 돌출부 44보다 낮게 형성됨과 더불어, 경사 가장자리부 34의 경사 각도가 경사 가장자리부 36보다 완만하게 형성되고, 경사 가장자리부 45의 경사 각도도 경사 가장자리부 46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돌출부(30, 42)를 상단 밀봉부(6)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고, 상단 밀봉부(6)의 열압착을 돌출부(32, 44)에만 함으로써, 상단 밀봉부(6)의 열압착을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개봉 가이드(16)의 구성 소재에 두꺼운 것을 사용했을 경우, 이러한 상단 밀봉부(6)로부터 개봉 가이드(16)의 일부를 떼어놓음으로써, 상단 밀봉부(6)의 열압착성을 높이고, 신뢰성의 높은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봉 가이드(16)에 의해 균일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개봉 가이드(16)를 구성하는 소재가 수용부(2)를 구성하는 유연성 소재(3)보다 얇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와 같이, 경사 가장자리부(45, 46)를 수평 가장자리부(77)에 형성하고, 이 수평 가장자리부(77)를 사이에 두고 돌출부(42, 44)를 형성하고, 이들 돌출부(42, 44)를 상단 밀봉부(6)에 끼워도 좋다. 이렇게 구성해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봉 가이드(16)에 의해 균일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개봉 가이드(16)는,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제4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개봉 가이드(16)에서는, 수용부(2)의 능선(18)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의 보강부(20)가 형성되어, 능선(18)에 걸쳐서 직선 형태의 수평 가장자리부(24)와,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원형 형태의 바깥쪽 가장자리부(26, 28)를 구비하고, 또한, 상단 밀봉부(6)와의 일체화를 위해, 좌우로 삼각형상의 한 쌍의 돌출부(30, 32)가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30, 32) 사이에 U자형의 경사 가장자리부(34, 3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의 개봉 가이드(16)에서 보강부(22)를 제외하고, 경사 가장자리부(34, 36)만으로 한 것이다. 각 경사 가장자리부(34, 36)의 경사각도는 도 3에 나타낸 경사 가장자리부(34, 36)와 동등한 것으로서, 중앙 슬릿(64)을 대신하여 만곡 가장자리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봉 가이드(16)도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낸 형태 및 처리에 의해 유연성 용기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개봉 가이드(16)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절취부(12, 14)로부터 인열력이 상단 밀봉부(6)에 가해졌을 경우, 그 파열을 경사 가장자리부(34, 36) 쪽에서 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만곡 가장자리부(80)로 안내하여 파열편(74)을 형성할 수 있고, 수용부(2)에는 좌우 대칭형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개구부를 개봉 가이드(16)에 의해 보강할 수 있고, 냉장에 의한 밀착 밀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연성 용기의 수용물을 물(10)로서 설명했지만, 유연성 용기의 수용물로는 각종의 액체, 움직이는 물체 또는 고형물과 같은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액체로는 순수한 물(純水)과 같은 공업용수, 의료용수, 음료수, 과즙, 야채 주스 등이 포함되고, 움직이는 물체로는 마요네즈와 같은 식품, 고형물로는 얼음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서, 유연성 용기의 수용물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물(1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유연성 소재(3)로서는 나일론(nylon), 에틸렌비닐알콜수지(ethylene-vinylalcohol res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적층 필름, 나일론, 산화 알미늄으로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alate) 및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을 예시했지만, 다른 단일 합성수지 필름이나 중합 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개봉 가이드(16)는, 예시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개봉 가이드(16)의 접착(bonding) 방법으로서 접착제(66)를 이용했지만, 열압착 등의 고착(fixing) 방법을 이용해도 좋고, 또한, 개봉 가이드(16)를 실크 인쇄나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해도 동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 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거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근거하고, 당업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 및 그 개봉 가이드는, 밀봉부에 형성된 절취부로부터 유연성 용기의 일부를 찢어서 수용부에 개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개봉 가이드에 의해 인열 방향, 파열 방향을 안내해서 파열시킬 수 있고, 개구부의 형상을 소정 형상으로 규제해서 개구 형상의 획일화가 실현되고, 그 개구 형상의 불일치나 개봉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용함과 동시에, 물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 및 그 개봉 가이드는, 개구 부분을 개봉 가이드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밀봉 도구에 의한 밀봉이나 냉장에 의한 밀착 상태로부터 개구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고, 내용물의 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유용함과 동시에, 물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은, 개봉이 용이하여 개구 형상을 획일화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를 쉽게 형성할 수 있고,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용기로의 액체 봉입 방법은, 개봉이 용이하여 개구 형상을 획일화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에 액체 등의 수용물을 봉입할 수 있고, 물이나 음료수 등의 액체의 상품화를 도모할 수 있고,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용기로의 액체 봉입 방법과 물(水)은, 개봉이 용이하여 개구 형상을 균일화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를 단위(單位)로 하여 상품화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의 용이화를 도모한 물이나 음료수 등의 액체를 제공할 수 있고, 유용하다.

Claims (13)

  1.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에 있어서,
    유연성 소재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고, 찢어서 상기 수용부를 개봉할 수 있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에 형성된 단일 또는 복수의 절취부와,
    상기 수용부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절취부로부터 찢겨서 개봉되는 상기 수용부의 인열(引裂)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가이드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능선을 걸쳐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보강하는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절취부로부터 생긴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 가장자리부와,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의 상기 수용부의 인열의 진행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의 일부를 파열시켜 상기 수용부에 개봉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에 의해 보강하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절취부로부터 생긴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 가장자리부와,
    상기 능선에 걸쳐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에 연속적으로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봉 가이드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종단 오목부(凹部)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에 의해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 및 상기 종단 오목부에서 상기 개봉 가이드를 파열시켜 상기 수용부에 개봉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개봉 가이드에 의해 보강하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에 걸쳐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릿 측으로부터 파급된 상기 인열을 상기 능선에 도달시켜, 상기 수용부의 일부와 함께 상기 개봉 가이드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중앙 슬릿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
  4.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으로서,
    액체 등의 수용물을 넣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유연성 소재에, 상기 수용부의 개봉시의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를 접착하는 처리와,
    상기 개봉 가이드가 접착된 부분을 접어 넣어서 상기 유연성 소재에 밀봉부를 설정하고, 수용부를 형성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가이드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유연성 소재와 동등한 두께의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능선에 걸쳐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보강하는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절취부로부터 생긴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 가장자리부와,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의 상기 수용부의 인열의 진행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2 슬릿과,
    상기 능선에 걸쳐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릿 측으로부터 파급된 상기 인열을 상기 능선에 도달시켜, 상기 수용부의 일부와 함께 상기 개봉 가이드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중앙 슬릿을 포함하는 유연성 용기의 형성 방법.
  5. 유연성 소재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에 이용되는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유연성 소재와 동등한 두께의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능선에 걸쳐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보강하는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절취부로부터 생긴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 가장자리부와,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의 상기 수용부의 인열의 진행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2 슬릿과,
    상기 능선에 걸쳐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릿 측으로부터 파급된 상기 인열을 상기 능선에 도달시켜, 상기 수용부의 일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중앙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의 일부를 파열시켜 상기 수용부에 개봉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에 의해 보강하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릿은 상기 절취부에 의해 찢어지는 상기 수용부의 인열이 파급되는 것을 저지함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 부가되는 인열력의 작용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에 의해 찢어지는 상기 수용부의 인열이 파급되는 것을 저지함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 생기는 인열 루트(route)를 소정 범위로 안내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 상기 제1 및 제2 슬릿은, 상기 밀봉부에 걸쳐서 찢어지는 상기 수용부의 인열 루트를 집합시켜서 상기 수용부에 개구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밀봉부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슬릿은, 상기 밀봉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으로 대칭 위치 또는 비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
  10. 찢어서 개봉할 수 있는 유연성 용기의 액체 봉입 방법에 있어서,
    유연성 소재에 수용부의 개봉시의 인열 방향을 안내하는 개봉 가이드를 접착하는 처리와,
    상기 개봉 가이드가 접착된 부분을 접어 넣어서 밀봉부를 설정하고, 액체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처리와,
    상기 수용부에 일정량의 액체를 충전하는 처리와,
    상기 액체의 충전 후, 상기 수용부를 밀봉부에서 밀봉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가이드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유연성 소재와 동등한 두께의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능선에 걸쳐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보강하는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절취부로부터 생긴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 가장자리부와,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방향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의 상기 수용부의 인열의 진행을 상기 능선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용부의 인열 범위를 규제하는 제2 슬릿과,
    상기 능선에 걸쳐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릿 측으로부터 파급된 상기 인열을 상기 능선에 도달시켜, 상기 수용부의 일부와 함께 상기 개봉 가이드의 일부를 파열시키는 중앙 슬릿을 포함하는, 유연성 용기의 액체 봉입 방법.
  11. 제1항에 기재된 유연성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
  12. 제2항에 기재된 유연성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가이드의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유연성 소재와 동등한 두께의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인 유연성 용기.
KR1020047004756A 2002-03-15 2003-03-11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 KR100596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72900 2002-03-15
JP2002072900 2002-03-15
PCT/JP2003/002854 WO2003078262A1 (fr) 2002-03-15 2003-03-11 Recipient souple, son procede de fabrication, guide d'ouverture du recipient souple, procede de remplissage du recipient avec un liquide et liquide util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736A KR20040081736A (ko) 2004-09-22
KR100596300B1 true KR100596300B1 (ko) 2006-06-30

Family

ID=2803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756A KR100596300B1 (ko) 2002-03-15 2003-03-11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31716B2 (ko)
EP (1) EP1486427B1 (ko)
JP (1) JP4363187B2 (ko)
KR (1) KR100596300B1 (ko)
CN (1) CN1703352B (ko)
AU (1) AU2003211898A1 (ko)
DE (1) DE60334532D1 (ko)
TW (1) TWI272219B (ko)
WO (1) WO2003078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844B2 (ja) * 2006-03-20 2013-01-23 株式会社細川洋行 ファスナ付き包装袋
ATE498558T1 (de) * 2008-01-10 2011-03-15 Daumar Talleres Plastiknetztasche
GB0922093D0 (en) * 2009-12-18 2010-02-03 Mars Inc Boil-in-bag pouch
IT1397923B1 (it) * 2010-02-11 2013-02-04 Goglio Spa Confezione flessibile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liquidi.
JP6103598B2 (ja) * 2010-11-11 2017-03-29 エコリーン アクチエボラグEcolean AB 再封止可能な開封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開封装置を含む包装材料
US8834023B1 (en) * 2011-08-18 2014-09-16 Vito J. Laera Bag opening device
US20150151882A1 (en) * 2012-07-07 2015-06-04 Alan Joseph Green Fluid container and a valve for a fluid container
JP5945855B2 (ja) * 2014-06-04 2016-07-05 株式会社悠心 包装袋
RU2680432C2 (ru) * 2014-06-19 2019-02-21 Тетра Лаваль Холдингз Энд Файнэнс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имею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USD896633S1 (en) 2019-01-29 2020-09-22 Golden State Foods Corp. Container
USD896634S1 (en) 2019-01-29 2020-09-22 Golden State Foods Corp.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2999A (en) * 1972-03-09 1975-05-13 Lester R Wellman Opener/re-closer for sealed containers
US3815810A (en) * 1972-07-07 1974-06-11 L Wellman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for bag containers
US4027819A (en) * 1976-03-29 1977-06-07 Herrera Gutierrez Jesus Closure device for bags or similar containers
US4834245A (en) * 1988-08-05 1989-05-30 Kabushiki Kaisha Hosokawa Yoko Pouch having tearing zone for taking out content packed therein
GB8907368D0 (en) 1989-03-31 1989-05-17 Trebor Limited Pack assembly with tear-off strip
US5613779A (en) * 1994-11-30 1997-03-25 Kabushiki Kaisha Hosokawa Yoko Pouch
US5914142A (en) * 1996-04-23 1999-06-22 Kraft Jacobs Suchard Ag Easy opening boil-in-a-bag pouch
GB2335910B (en) * 1998-04-01 2002-07-03 Masterfoods S A Nv Boil-in-bag sachet
JPH11321893A (ja) 1998-05-18 1999-11-24 Kao Corp
DE19924428A1 (de) 1999-05-28 2000-12-07 4P Verpackungen Ronsberg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pa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6427B1 (en) 2010-10-13
AU2003211898A1 (en) 2003-09-29
EP1486427A1 (en) 2004-12-15
US7331716B2 (en) 2008-02-19
TW200304890A (en) 2003-10-16
KR20040081736A (ko) 2004-09-22
CN1703352A (zh) 2005-11-30
JP4363187B2 (ja) 2009-11-11
JPWO2003078262A1 (ja) 2005-07-14
WO2003078262A1 (fr) 2003-09-25
EP1486427A4 (en) 2009-06-10
US20040258333A1 (en) 2004-12-23
DE60334532D1 (de) 2010-11-25
TWI272219B (en) 2007-02-01
CN1703352B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151B1 (ko) 분배용기용 비대칭 응력집중장치
US5378065A (en) Container
KR101110521B1 (ko)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JP4996815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KR100293485B1 (ko) 밀봉용기및포장체용응력집중부구멍형성수단
KR100596300B1 (ko)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
CA2191295C (en) Easily laterally opened type paper container
US20100150481A1 (en) Package for consumer products
KR20100017545A (ko) 포장백 및 주출구 부재
WO2016006369A1 (ja) 包装袋
JP2007269362A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3900A (ko) 액상물 충전용 복합 팩
JP4365173B2 (ja) 包装構造体
JP2008105693A (ja) 包装用箱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構造体
JP5090512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2000072155A (ja) 四面体状の小袋包装体
JP6384962B2 (ja) 液状物包装用複合型容器および該複合型容器における包装体の収納保持方法
JPH07206010A (ja) 易引裂性包装袋
KR200307698Y1 (ko) 친환경적 소재의 적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의토출구 개봉구조
JP6951759B2 (ja) 液状物充填用複合パック
JP2006321517A (ja) 包装袋
JP2001139070A (ja) 絞り出し具および絞り出し具付きパウチ
GB2332900A (en) Easy-tearing packages
JP2002326641A (ja) パウチ
JPH11292094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