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545A - 포장백 및 주출구 부재 - Google Patents

포장백 및 주출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545A
KR20100017545A KR1020097025069A KR20097025069A KR20100017545A KR 20100017545 A KR20100017545 A KR 20100017545A KR 1020097025069 A KR1020097025069 A KR 1020097025069A KR 20097025069 A KR20097025069 A KR 20097025069A KR 20100017545 A KR20100017545 A KR 20100017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ilms
opening
auxiliary plate
spo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186B1 (ko
Inventor
야스히로 다케다
겐지 와시다
다카히로 고야마
준이치 하시모토
마쓰타로 오노
야스하루 다카다
도시히코 모리
모리토시 오구니
Original Assignee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백(packaging bag) 및 주출구(注出口)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체(11)에 고착되는 베이스부(14a)와, 베이스부(14a)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통부(筒部)(14b)와,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14d)를 통하여 통부(14b)의 선단을 밀봉하는 밀봉부(14c)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재(14)가, 포장체(11)를 구성하는 2매의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고, 통부(14b) 및 밀봉부(14c)를 수용한 밀봉실(15)이, 개봉 보조선(16)을 따라 2매의 필름을 찢는 것에 의해 개봉되도록 되어 있고, 밀봉부(14c)에는, 적어도 좌우 어느 쪽이 한쪽으로 길게 돌출된 개봉 보조판(14e)이 개봉 보조선(16)의 위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개봉 보조판(14e)과 개봉 보조선(16)과의 사이에는, 2매의 필름의 내면끼리를 실링(sealing)하여 협지를 보강하는 협지 보강 실링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백을 구성하는 필름의 사이에 주출구 부재가 밀폐되어 백의 개봉과 주출구의 개구를 일련의 동작으로서 신속히 행할 수 있는 포장백을 제공할 수 있다.
포장백, 주출구 부재, 밀봉부, 개봉 보조판, 협지 보강 실링부

Description

포장백 및 주출구 부재{PACKAGING BAG AND SPOUT MEMBER}
본 발명은, 필름의 사이에 주출구(注出口; spout) 부재가 밀폐된 포장백(packaging bag) 및 그 포장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주출구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6월 5일자 일본 특허출원 제2007-14918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포장백으로부터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장백의 상부에 주출구 부재가 형성된 주출구 부재를 가지는 포장백이 사용되고 있다. 주출구 부재가 포장백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으면 주출구 부재가 외기(外氣)나 먼지 등에 접촉되어 오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출구 부재를 필름 사이에 밀봉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문헌에 기재된 주출구를 가지는 포장백의 경우,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백을 찢어 주출구를 표출(表出)시키고, 다음에, 주출구의 얇은 두께부를 손가락으로 절단하여 주출구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의 단락 0024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1998-305850호 공보
그러나, 주출구를 개구할 때 주출구 부재에 손가락을 접촉할 필요가 있으면, 백을 개봉할 때 백 표면의 오염이 손가락으로 이행하거나, 또한 반대로 손가락의 오염이 백으로 이행하거나 할 우려가 있으므로, 백 표면의 오염 등에 주의하여 개봉할 필요가 있어, 백의 개봉과 주출구의 개구를 일련의 동작으로서 신속히 행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름의 사이에 주출구 부재가 밀폐되어 백의 개봉과 주출구의 개구를 일련의 동작으로 신속히 행할 수 있는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장체에 고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통부와, 파단(破斷) 가능한 얇은 두께부를 통하여 상기 통부의 선단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재가, 포장체를 구성하는 2매의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출구 부재의 베이스부는, 상기 2매의 필름의 내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이 실링(sealing)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실링부에 의해 상기 2매의 필름에 고착되고, 상기 주출구 부재의 통부 및 밀봉부는, 상기 통부 및 상기 밀봉부의 주위에서 상기 2매의 필름의 내면끼리가 실링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실링부와 상기 제1 실링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밀봉실 내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필름에 협지되는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밀봉실은, 양단을 상기 제2 실링부 내에 가지는 상기 제1 실링부를 따라 개봉 가능하게 하는 개봉 보조선을 따라 상기 2매의 필름을 찢는 것에 의해 개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주출구 부재의 밀봉부에는,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길게 돌출된 개봉 보조판이 상기 개봉 보조선의 위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봉 보조판과 상기 개봉 보조선과의 사이에는, 상기 2매의 필름의 내면끼리를 실링하여 협지를 보강하는 협지 보강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장백에 있어서는, 상기 주출구 부재의 밀봉부에, 좌우 양측으로 길게 돌출된 개봉 보조판이 상기 개봉 보조선의 위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봉 보조판과 상기 개봉 보조선과의 사이에는, 상기 협지 보강 실링부가 상기 주출구 부재의 좌우 각각에 형성되고, 좌우의 상기 협지 보강 실링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개봉 보조판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짧아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백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실을 상기 제1 실링부를 따라 일부 개봉한 후, 상기 주출구 부재의 상기 밀봉부를 상기 2매의 필름에 협지시킨 상태로 상기 개봉 보조판을 비틀어 상기 얇은 두께부를 파단하여 상기 통부를 개봉하고, 이어서, 상기 밀봉부를 상기 2매의 필름에 협지한 상기 2매의 필름의 나머지 부분을 찢어 포장백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체에 고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통부와,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를 통하여 상기 통부의 선단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재로서, 상기 밀봉부가 경사 아래쪽으로 팽출(膨出)된 판형의 개봉 보조판을 가지는 주출구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개봉 보조판은 상기 통부를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개봉 보조판은 상기 통부에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통부는 그 외면에 튜브를 거는 환형의 철조(凸條)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백에 의하면, 필름의 사이에 밀폐된 주출구 부재를 개봉할 때, 주출구 부재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 또한, 개봉 후, 필름 중 주출구 부재를 협지하는 부분을 제거할 때, 개봉 보조판이 협지 보강 실링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 주출구 부재의 밀봉부가 탈락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출구 부재에 의하면, 주출구 부재가 필름의 사이에 밀폐되었을 때라도, 주출구 부재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백의 일형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포장백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포장백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백의 다른 형태예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포장백의 또 다른 형태예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포장백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 다.
도 9는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포장백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 협지 보강 실링부끼리의 간격
d2: 개봉 보조판의 좌우 방향의 폭
10: 포장백(주출구 부재를 가지는 포장백)
11,21: 포장체
11a, 21a: 한쪽 에지 실링부
11b, 21b: 다른 쪽의 에지 실링부
12: 보디부 필름(2매의 필름)
13, 23: 수납실
14, 24: 주출구 부재
14a, 24a: 베이스부
14b, 24b: 통부
14c, 24c: 밀봉부
14d, 24d: 얇은 두께부
14e, 24e: 개봉 보조판
14h: 환형의 철조
15, 25: 밀봉실
15a, 25a: 제1 실링부
15b, 25b: 제2 실링부
16, 26: 개봉 보조선
17, 27, 27A: 협지 보강 실링부
18: 보강 접속편
이하, 최선의 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백의 일형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의 (a)는 정면도, 도 1의 (b)는 중앙 종단면도, 도 2는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개봉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예의 포장백(10)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11)의 내부에 주출구 부재(14)를 밀봉한 것이다. 이 예의 경우, 포장체(11)는, 서로 평면 형상이 동일한 2개의 보디부 필름(12, 12)으로 구성된 편평한 백이다. 이 포장체(11)의 양측 에지부에는, 측에지 실링부(11a, 11b)가 형성되어 있고, 포장체(11)의 하부는 실링되지 않고 충전구(11c)가 개구되어 있다. 이 충전구(11c)는, 수납실(13)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보디부 필름(12, 12)끼리를 실링하여 바닥 실링부(11d)(도 5 참조)를 형성함으로써,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포장체(11)의 하부에 바닥부 필름을 형성하여 스탠딩 파우치(standing pouch)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측에지 실링부(11a, 11b)의 포장체(11)의 외측 에지부에 1 ~ 2mm의 실링되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면, 포장체(11)의 측에지부가 유연하게 되어, 내용물을 인출할 때 맨손으로 취급해도 손가락 등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포장체(11)를 구성하는 필름으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2축 연신(延伸) 폴리프로필렌, 2축 연신 폴리아미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베이스재 필름으로 하고, 이들 베이스재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直鎖形)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실란트층으로서 적층한 적층체가 사용된다.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압출(押出) 라미네이트법, 공압출법(共押出法)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스재 필름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에는 접착 강도의 향상을 위해, 접착제나 앵커(anker)제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백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베이스재 필름을 복수 개 적층해도 된다. 또는, 기체나 자외선이나 수증기 등의 장벽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 금속 증착층, 세라믹 등의 무기질 증착층,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등을 적층해도 된다.
포장체(11)의 수평 방향에 대한 용이 인열성(引裂性) 즉 용이 찢음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올레핀이나 나일론 등의 1축 연신 필름을 사용하거나, 6나일론과 MXD6와 같은 방향족 나일론을 혼합한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용이 인열성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거나 하면, 임의의 위치에서 직선형으로 찢을 수가 있어 용이 인열성을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방향에 대한 용이 인열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한 베이스재 필름에 미싱눈을 형성한 후, 실란트층이나 다른 층을 적층한, 레이저 광선 등으로 하프컷(half-cut)의 홈을 보디부 필름의 표면에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포장체(11)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높이 100 ~ 500mm 정도, 폭은 70 ~ 300mm 정도, 내용물의 충전량으로서 100 ~ 5000g 정도로 예시할 수 있다.
주출구 부재(14)는, 포장체(11)에 고착되는 베이스부(14a)와, 상기 베이스부(14a)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통부(14b)와, 적어도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14d)를 통하여 통부(14b)의 선단을 밀봉하는 밀봉부(14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출구 부재(14)는, 2개의 보디부 필름(12, 1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 베이스부(14a)는, 보디부 필름(12)의 내면과 베이스부(14a)의 외면이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실링부(15a)에 의해 보디부 필름(12)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 부재(14)의 통부(14b) 및 밀봉부(14c)의 주위에는, 보디부 필름(12)의 내면끼리가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실링부(15b)가 형성되고, 통부(14b) 및 밀봉부(14c)는, 이 제2 실링부(15b)와 제1 실링부(15a)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밀봉실(15) 내에 수용되어 있다. 포장체(11)에 있어서, 제1 실링부(15a)보다 아래쪽의 부분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실(13)으로 되어 있고, 밀봉실(15)은, 제1 실링부(15a)에 의해 수납실(13)로 구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 부재(14)의 밀봉부(14c)에는, 좌우 양측으로 길게 돌출된 한쌍의 개봉 보조판(14e, 14e)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 태예에 있어서는, 개봉 보조판(14e)은, 밀봉부(14c)의 통부(14b) 선단을 밀봉하는 부분으로부터 경사 아래쪽으로 팽출된 판형의 부재로 되어 있고, 개봉 보조판(14e)은, 통부(14b)의 선단측으로부터 베이스부(14a) 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봉 보조판(14e)이 통부(14b)를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우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동일하게 개봉할 수 있어 개봉의 방향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14b)에 대하여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18a)를 통하여 개봉 보조판(14e, 14e)과 접속되는 보강 접속편(18)을 형성하면, 의도하지 않는 개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봉 보조판(14e)을 밀봉부(14c) 중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길게 돌출된 것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후술하는 협지 보강 실링부(17)는, 개봉 보조판(14e)을 형성한 측이면, 통부(14b)의 좌우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면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 부재(14)의 내부에는, 수납실(13)과 통하는 주출공(14f)이 형성되지만, 상기 주출공(14f)은, 수납실(13)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유통할 때는 밀봉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주출구 부재(14)의 통부(14b)의 선단은, 밀봉부(14c)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밀봉부(14c)는, 주출구 부재(14)의 통부(14b) 선단의 주위 방향으로 얇은 두께부(14d)를 형성하여, 얇은 두께부(14d)의 파단에 의해 주출공(14f)의 개구(149)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 다. 이 경우, 밀봉부(14c)는, 얇은 두께부(14d)보다 위쪽 부분이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 부재(14)의 개봉 상태에서는, 개봉 보조판(14e)과 함께 제거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접속편(18)을 형성한 경우에는, 보강 접속편(18)과 통부(14b)와의 접속이 얇은 두께부(18a)에 의해 이루어져 있고, 주출구 부재(14)를 개봉할 때, 이 얇은 두께부(18a)를 파단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14c)는, 개봉 보조판(14e) 및 보강 접속편(18)과 함께 제거된다.
주출공(14f)의 통부 선단에 있어서의 내경은 내용물의 점도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되고, 그 내경이 3mm ~ 5mm의 범위 내이면, 내용물의 점도가 100 ~ 10000mPa·s인 경우에 매우 적합하고, 500 ~ 5000mPa·s인 경우에 보다 바람직하다.
통부(14b)의 외면에 환형의 철조(凸條)(14h)를 형성하면, 통부(14b)에 튜브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튜브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주출구 부재(14)의 베이스부(14a)는, 본 형태예에 있어서는 제1 실링부(15a)를 따라 좌우로 펼쳐진 형상(이른바 보트형)을 하고 있고, 보디부 필름(12)의 내면에 대한 실링이 용이하며, 확실하게 되어 있다.
주출구 부재(14)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 부재(14)가 폴리올레핀 등의 장벽성이 부족한 재질을 사용하여 성형한 것인 경우라도, 필 름(12)의 장벽성 포장재와 조합함으로써 포장백 전체의 장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디부 필름(12)은, 밀봉실(15)이 되는 부분에 개봉 보조선(16)을 가진다. 개봉 보조선(16)은, 미싱눈 등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밀봉실(15)의 내부가 외기와 통하지 않도록, 하프컷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개봉 보조선(16)을 따라 보디부 필름(12, 12)을 찢는 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체(11) 중 주출구 부재(14)를 덮는 부분(이하, 「주출구 부재 피복부」라고 한다. 상세하게는 개봉 보조선(16)보다 위쪽의 부분)(15A)이 제거되어, 밀봉실(15)이 개봉된다. 개봉 보조판(14e, 14e)은, 개봉 보조선(16)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개봉 시, 주출구 부재(14)의 밀봉부(14c)가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와 함께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개봉 보조선(16)의 양단(16a)의 위치는, 모두 제2 실링부(15b) 내에 있다. 본 형태예에 있어서는, 개봉 보조선(16)의 연장선 상에 노치(16b)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6b)는, 예를 들면, 2개의 보디부 필름(12, 1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펀칭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개봉 보조선(16)의 각각의 단부(16a)는, 노치(16b)로부터 찢었을 때 생기는 인열선이 개봉 보조선(16)과 이어지도록 V자형으로 되어 있다. 노치(16b)는,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I 노치이지만, V 노치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노치는 개봉 보조선과 연속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형태예와 같이, 노치가 개봉 보조선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포장백의 수송 중 등에 노치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의도하지 않게 개봉 보조선까지 파손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봉 보조판(14e)과 개봉 보조선(16)과의 사이에는, 2개의 보디부 필름(12, 12)의 내면끼리가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협지 보강 실링부(17, 17)가, 주출구 부재(14)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협지 보강 실링부(17, 17)는, 밀봉실(15)의 내부에 있어서의 개봉 보조판(14e) 주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것이며, 개봉 후(도 5 참조)에,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를 포장체(11)로부터 분리했을 때, 밀봉부(14c)가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봉 보조판(14e)의 걸림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협지 보강 실링부(17, 17)끼리의 간격 d1은, 개봉 보조판(14e, 14e)의 좌우 방향의 폭 d2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형태예의 포장백(10)을 개봉할 때는, 밀봉실(15)의 일단 측으로부터 개봉 보조선(16)의 일부를 찢어, 밀봉실(15)을 제1 실링부(15a)를 따라 일부 개봉한 후, 주출구 부재(14)의 밀봉부(14c)를 2매의 필름(12, 12)에 협지시킨 상태로 개봉 보조판(14e)을 비틀어 통부(14b) 선단의 얇은 두께부(14d)를 파단하여 통부(14b)를 개봉하고, 이어서, 밀봉부(14c)를 2매의 필름에 협지한 개봉 보조선(16)을 따라 2매의 필름(12, 12)의 나머지 부분을 찢어,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를, 포장체(11)의 나머지 부분인 포장백 본체(수납실(13) 측의 부분)로부터 분리한다. 이로써, 개봉 보조선(16)을 개봉하는 동시에, 주출구 부재(14)의 통부(14b)를 개봉할 수 있다. 개봉 시에는, 예를 들면, 한 손을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에 대고 반대측의 손을, 제1 실링부(15a)를 잡으면서, 포장체(11)의 수납실(13) 측에 닿도록 하여 포장백(10)을 지지할 수 있다.
개봉 후, 개봉 보조판(14e)이 협지 보강 실링부(17)에 걸리는 것에 의해, 주출구 부재(14)의 밀봉부(14c)가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백의 개봉과 주출구의 개구를 일련의 동작으로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출구 부재(14)에 접촉되지 않고, 포장체(11)의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 위로부터 개봉 보조판(14e)을 잡고 밀봉부(14c)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 또한, 밀봉부(14c)와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먼지가 날리지 않아, 폐기가 용이하다.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의 크기는, 개봉 보조선(16)을 따라 필름(12)을 찢을 때, 필름(12)의 위로부터 개봉 보조판(14e)을, 예를 들면, 손바닥 중에 유지했을 때 손가락끝이 개봉 보조선(16)의 단부(16a)에 닿는 것이 가능한 정도(예를 들면, 수cm 내지 수십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11)의 수납실(13)의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 부재 피복부(15A)의 폭(도 1의 좌우 방향의 치수)이 수납실(13)의 폭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개봉 후에는, 예를 들면, 내용물이 경관(經管) 경장(經腸) 영양제나 경관 경장 유동식(流動食)인 경우에는, 주출구 부재(14)의 통부(14b)는, 도 5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14c)를 제거한 상태에서 주출구로 되고, 상기 주출구에 튜브 등(도시 대략)을 접속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주출할 수 있다. 또한, 통부(14b)의 외면에 튜브를 거는 환형의 철조(14h)를 구비함으로써, 주출 시에 튜브가 빠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물품의 경우에는, 튜브 등의 접속 없이, 주출구 선단의 개구(14g)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주출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에 본 발명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개봉 보조판(14e) 및 협지 보강 실링부(17)는 라운딩한 형상으로 하였으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 보조판(24e) 및 협지 보강 실링부(27)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협지 보강 실링부(17, 27)는 제2 실링부(15b, 25b)와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지 보강 실링부(27A)가 제2 실링부(25b)로부터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약품, 일용품, 산업용 자재 등의 각종 물품의 수납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피하는 것이 요구되는 내용물의 수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포장체를 구성하는 2매의 필름과, 상기 2매의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주출구(注出口) 부재를 구비하는 포장백(packaging bag)으로서,
    상기 주출구 부재는, 상기 포장체에 고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통부(筒部)와, 파단(破斷) 가능한 얇은 두께부를 통하여 상기 통부의 선단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2매의 필름의 내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이 실링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실링부(sealing portion)에 의해 상기 2매의 필름에 고착되고,
    상기 통부 및 상기 밀봉부는, 상기 통부 및 상기 밀봉부의 주위에서 상기 2매의 필름의 내면끼리가 실링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실링부와 상기 제1 실링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밀봉실 내에, 상기 2매의 필름에 협지되는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밀봉실은, 양단을 상기 제2 실링부 내에 가지는 상기 제1 실링부를 따라 개봉 가능하게 하는 개봉 보조선을 따라 상기 2매의 필름을 찢는 것에 의해 개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밀봉부에는,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길게 돌출된 개봉 보조판이 상기 개봉 보조선의 위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봉 보조판과 상기 개봉 보조선과의 사이에는, 상기 2매의 필름의 내면끼리를 실링하여 협지를 보강하는 협지 보강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에, 좌우 양측으로 길게 돌출된 개봉 보조판이 상기 개봉 보조선의 위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봉 보조판과 상기 개봉 보조선과의 사이에는, 상기 협지 보강 실링부가 상기 주출구 부재의 좌우 각각에 형성되고, 좌우의 상기 협지 보강 실링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개봉 보조판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짧은, 포장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실을 상기 제1 실링부를 따라 일부 개봉한 후, 상기 밀봉부를 상기 2매의 필름에 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봉 보조판을 비틀어 상기 얇은 두께부를 파단하여 상기 통부를 개봉하고, 이어서, 상기 밀봉부를 상기 2매의 필름에 협지한 상기 2매의 필름의 나머지 부분을 찢어 상기 주출구 부재를 덮는 주출구 부재 피복부와 함께 상기 밀봉부를 포장백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포장백.
  4. 포장체에 고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통부와,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를 통하여 상기 통부의 선단을 밀봉하는 밀봉부와, 개봉 보조판을 포함하는 주출구 부재로서,
    상기 개봉 보조판은 상기 밀봉부가 경사 아래쪽으로 팽출(膨出)되어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보조판은 상기 통부를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주출구 부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보조판은 상기 통부에 파단 가능한 얇은 두께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주출구 부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그 외면에 튜브를 거는 환형의 철조(凸條)를 가지는, 주출구 부재.
KR1020097025069A 2007-06-05 2008-06-04 포장백 KR101451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49188 2007-06-05
JP2007149188A JP5183974B2 (ja) 2007-06-05 2007-06-05 包装袋
PCT/JP2008/060282 WO2008149896A1 (ja) 2007-06-05 2008-06-04 包装袋および注出口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545A true KR20100017545A (ko) 2010-02-16
KR101451186B1 KR101451186B1 (ko) 2014-10-15

Family

ID=4009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069A KR101451186B1 (ko) 2007-06-05 2008-06-04 포장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7496B2 (ko)
EP (1) EP2154080B1 (ko)
JP (1) JP5183974B2 (ko)
KR (1) KR101451186B1 (ko)
CN (1) CN101687573B (ko)
WO (1) WO20081498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183A (ko) 2017-11-27 2019-06-05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0548B2 (ja) * 2009-09-04 2014-06-11 株式会社細川洋行 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容器
FR2981337B1 (fr) * 2011-10-18 2015-01-02 Valois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ES2527656T3 (es) * 2012-02-29 2015-01-2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nvase tipo bolsa apilable
DE102012006305A1 (de) 2012-03-21 2013-09-26 Christof Rummel Genußmittel
JP6490396B2 (ja) * 2014-10-30 2019-03-27 旭化成パックス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袋体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9227A (en) * 1962-12-07 1965-06-15 American Home Prod Fluid dispenser
US4248227A (en) * 1979-05-14 1981-02-03 Bristol-Myers Company Fluid unit dispensing device
US4454979A (en) * 1980-09-05 1984-06-19 Toyo Seikan Kaisha Ltd. Laminated packing bag with spout formed from handle portion
US4797309A (en) * 1987-12-14 1989-01-10 Johnson & Johnson Orthopaedics, Inc. Foil pouch
DE9017419U1 (de) * 1990-12-24 1991-03-14 Imer, Rodney Haydn, Dipl.-Ing., 4000 Düsseldorf Konturenbeutel zur Aufnahme flüssiger oder pastöser Stoffe
ATE142590T1 (de) * 1991-05-16 1996-09-15 Cellpack Ag Beutel
US5238157A (en) * 1991-05-24 1993-08-24 Aliseo Gentile Squeezeable container and integral cap formed from a laminated flat blank
JP2572364Y2 (ja) * 1992-03-27 1998-05-20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プラスチック容器
EP0673213A1 (en) * 1992-12-18 1995-09-27 R.P. Scherer Corporation Fragrance sample container
US5957584A (en) * 1996-02-20 1999-09-28 Lakey; Michael D. Flexible tamper-evident package with integral fitment
JP3935555B2 (ja) 1997-05-02 2007-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具付き包装袋
US5918783A (en) * 1997-06-26 1999-07-06 Courtaulds Packaging, Inc. Thermoplastic squeeze tube with self-sealing dispensing orifice
JPH1143155A (ja) * 1997-07-23 1999-02-16 Hosokawa Yoko Co Ltd 液体容器
JPH11263354A (ja) * 1998-03-13 1999-09-28 Fuji Seal Inc 包装袋
JPH11263355A (ja) * 1998-03-17 1999-09-28 Fujimori Kogyo Kk 薬液用包装袋
US5937617A (en) * 1998-05-01 1999-08-17 Innoflex Incorporated Pouch with pre-inserted straw
US6050451A (en) * 1998-11-19 2000-04-18 Aptargroup, Inc.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a valve-containing fitment for mounting to a container and a package with a dispensing structure
JP3061374U (ja) * 1999-02-10 1999-09-17 日本製薬株式会社 合成樹脂製成型容器
FR2794433B1 (fr) * 1999-06-02 2005-08-19 Acp Sa Sachet plat, scelle
AU2001260660A1 (en) * 2000-06-02 2001-12-17 Flexo Manufacturing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JP2003535773A (ja) * 2000-06-07 2003-12-02 ロックタイト (アール アンド ディー) リミテッド 再使用可能な切離しキャップを有するノズル組立体、ノズル組立体を有する容器、およびその包装
CN101327668A (zh) * 2002-11-22 2008-12-24 东洋制罐株式会社 具有可自闭合注口的包装袋的制造方法
US6991140B2 (en) * 2003-06-02 2006-01-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c. Fitment for a flexible pouch with child-safety properties
US20090097779A1 (en) * 2007-09-25 2009-04-16 Dedra Machelle Branch Multi-opening, leak-proof pa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183A (ko) 2017-11-27 2019-06-05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302941A (ja) 2008-12-18
JP5183974B2 (ja) 2013-04-17
EP2154080B1 (en) 2012-08-29
CN101687573B (zh) 2011-08-24
EP2154080A4 (en) 2011-04-06
WO2008149896A1 (ja) 2008-12-11
US8657496B2 (en) 2014-02-25
US20100086243A1 (en) 2010-04-08
CN101687573A (zh) 2010-03-31
EP2154080A1 (en) 2010-02-17
KR101451186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6815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KR101110521B1 (ko)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EP2336042A2 (en) Spout member and packaging bag utilizing same
JP5423486B2 (ja) 三角錐形包装袋
JP2007537938A (ja) 開封性に優れた自立型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7545A (ko) 포장백 및 주출구 부재
JP6137097B2 (ja) 包装容器の解体方法
JP2006199337A (ja) ガセット包装袋
JP3622465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パウチ
JP4449964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KR100596300B1 (ko) 유연성 용기, 그 형성방법, 유연성 용기의 개봉 가이드,유연성 용기에의 액체 봉입방법 및 액체
JP7166749B2 (ja) 包装袋
JP3196439U (ja) 液状物充填包装体用梱包構造
JP2009132444A (ja) 包装容器
JP2016108004A (ja) 包装体
JP5160472B2 (ja) 包装袋
JP4079123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パウチ
JP5175382B2 (ja) 液体注出ノズル
JP6930159B2 (ja) 易注出袋体及び包装体
JP2021095160A (ja) ピロー包装袋
JP6712158B2 (ja) パウ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6766B2 (ja) 袋体
JP2008308206A (ja) 注出口部材付き包装袋
JP2018193108A (ja)
KR200307698Y1 (ko) 친환경적 소재의 적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의토출구 개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