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566B1 -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566B1
KR100592566B1 KR1020030073559A KR20030073559A KR100592566B1 KR 100592566 B1 KR100592566 B1 KR 100592566B1 KR 1020030073559 A KR1020030073559 A KR 1020030073559A KR 20030073559 A KR20030073559 A KR 20030073559A KR 100592566 B1 KR100592566 B1 KR 10059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roller
belt
roller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299A (ko
Inventor
지성한
Original Assignee
지성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한 filed Critical 지성한
Priority to KR102003007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5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대(4)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2)(2a)의 구멍(32)(32a)에 돌기(13)(13a)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베어링(17)(17a)이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1)(11a)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로울러(9)와 동력전달을 위하여 상기 구동로울러(9)의 일측 축봉(16)과 모터(18)의 축봉에 결합된 체인기어(19)(20)에 체인(21)을 연결하여 구성된 구동부(7)와; 프레임(2)(2a)의 구멍(32)(32a)에 돌기(14)(14a)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장력조절 볼트(29)(29a)가 삽입되는 볼트구멍(33)(33a)과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12a) 사이에 나사구멍(28)(28a)을 갖는 축봉(26)(26a)이 결합된 피동로울러(10)로 구성된 피동부(8)와; 상기 구동부(7)의 구동로울러(9)와 피동부(8)의 피동로울러(10) 사이에 연결된 벨트(3)로 구성된 벨트컨베이어(1)에 있어서; 상기 피동로울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2a)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브라켓(12)(12a)에 피동로울러 착탈홈(31)(31a)과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을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축봉(26)(26a)을 갖는 피동로울러(10)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피동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양끝에 삽입ㆍ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피동로울러 착탈홈과 장력조절 가이드 홈을 "ㄱ"자 형태로 일체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마모 및 파손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구 동부는 구성하는 구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고, 피동부를 구성하는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피동로울러를 분리함으로써 벨트를 교체할 수 있는 등 다대한 효과가 있다.
벨트컨베이어, 벨트, 구동로울러,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 피동로울러 착탈홈, 장력조절 가이드홈

Description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A belt conveyer replacing a belt easily}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벨트컨베이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벨트컨베이어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벨트컨베이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용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
도 5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구동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피동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벨트컨베이어 2. 2a : 프레임
3 : 벨트 4 : 지지대
7 : 구동부 8 : 피동부
9 : 구동로울러 10: 피동로울러
11. 11a. 12. 12a : 지지브라켓 13. 13a. 14. 14a : 돌기
18 : 모터 19. 20 : 체인기어
21 : 체인 28. 28a : 나사구멍
29. 29a : 장력조절 볼트 30. 30a : 장력조절 가이드홈
31. 31a : 피동로울러 착탈홈 32. 32a : 구멍
33. 33a : 볼트구멍 34 : 축봉 지지홈
36 : 보조로울러
본 발명은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물품을 손쉽고 빠르게 상ㆍ하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교체가 필요한 경우 양측 프레임의 구멍에 억지끼움된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을 분해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벨트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프레임의 일측에는 모터와 체인 및 체인기어로 동력전달을 받는 구동로울러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피동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로울러와 피동로울러 사이에 벨트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러나 벨트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벨트는 무거운 물품을 운송하는 특성상 장기간 사용시 파손되므로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벨트를 지지하는 피동로울러는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베어링을 사용하게 되고, 상기 베어링 역시 그 특성상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벨트컨베이어는 대한민국 특허 제0210437호(등록일:1999. 4. 26) 등록특허공보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벨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피동로울러(장력조절구)를 상기 벨트의 내측으로 먼저 끼운 다음 피동로울러의 양측에 형성된 축을 브라켓에 형성된 홈(가이드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브라 켓을 양측 프레임에 억지끼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동로울러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어링이 파손되거나 벨트가 파손되어 이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양측 프레임에 억지끼움된 브라켓을 강제적으로 빼내어여야만 피동로울러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번거럽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브라켓을 프레임으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망치 등으로 두드리게 되면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프레임 및 브라켓이 손상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종래의 벨트컨베이어는 벨트의 교체시 구동로울러와 피동로울러를 지지하는 브라켓 4개를 프레임으로부터 전부 분해하여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벨트를 교체하는 작업이 벨트컨베이어를 새롭게 제작하는 것과 동일한 시간과 인력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각종 물품을 상ㆍ하역하는데 사용되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및 피동로울러가 마모되거나 파손될 경우 구동로울러와 상기 구동로울러의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고, 피동로울러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끝에 삽입ㆍ고정된 지지브라켓을 분해하지 않고도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교체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구성을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피동로울러를 프레임의 양측에 삽입ㆍ고정되는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피동로울러 착탈홈과 장력조절 가이드홈을 "ㄱ"자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를 구성하는 구동부와 피동부를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으로 피동로울러의 착탈과 벨트의 장력조절을 위한 피동로울러 착탈홈과 장력조절 가이드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구동부와 피동부 개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1) 전체 구성을 살펴보면, 4개의 수직기둥(5)(5a)(5b)(5c)과 받침대(6)(6a)(6b)(6c)로 구성된 지지대(4)와 상기 지지대(4)를 구성하는 수직기둥(5)(5a)(5b)(5c)의 상단부에 고정된 프레임(2)(2a) 및 상기 프레임(2)(2a)의 양끝에 구동부(7)와 피동부(8)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7)와 피동부(8) 사이에 설치되어 물품을 이송하는 벨트(3)로 크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5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1) 구동부(7)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돌기(13)와 베어링 삽입구멍(15) 및 축구멍(38)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1)의 베어링 삽입구멍(15)에 베어링(17)을 삽입한 다음 구동로울러(9)의 일측 축봉(16)이 축구멍(38)으로 돌출되게 결합하고, 상기 구동로울러(9)의 타측 축봉(16a)은 돌기(13a)가 형성되고 베어링 삽입구멍(15a)에 베어링(17a)이 삽입된지지브라켓(11a)에 결합한 다음 상기 구동로울러(9)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1)(11a)의 돌기(13)(13a)를 지지대(4)의 상부에 고정된 프레임(2)(2a)의 구멍(32)(32a)에 삽입ㆍ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로울러(9)가 벨트(3)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술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11)(11a)를 이용하여 구동로울러(9)를 설치한 다음 프레임(2)의 측면에는 모터베이스(22)를 결합하고, 또 다른 프레임(2a)의 측면에는 플레이트(25)를 결합한 다음 상기 모터베이스(22)의 안쪽에 취부된 모터(18)의 축봉과 구동로울러(9)의 돌출된 축봉(16)에 각각 체인기어(19)(20)를 결합하여 체인(21)으로 연결함으로써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다음 체인커버(23)와 모터커버(24)로 덮어 벨트컨베이어(1) 구동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 및 도 6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1) 피동부(8)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각각의 피동로울러 착탈홈(31)(31a)과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이 서로 연결되게 "ㄱ"자 형태로 구성되고 볼트구멍(33)(33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12a)을 프레임(2)(2a)에 고정하되 상기 지지브라켓(12)(12a)에 형성된 돌기(14)(14a)를 프레임(2)(2a)의 구멍(32)(32a)에 끼워 고정되게 하였으며, 베어링(27)(27a)이 결합된 피동로울러(10)의 축봉(26)(26a)은 양측면 일부를 절삭 가공하여 평면부가 되게 한 다음 나사구멍(28)(28a)을 형성함으로써 장력조절 볼트(29)(29a)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2)(12a)를 프레임(2)(2a)의 양끝에 고정한 상 태에서 일측이 구동로울러(9)에 감싸여지고 상기 양 프레임(2)(2a) 사이에 놓인 벨트(3)를 당긴 상태에서 피동로울러(10)를 벨트(3)의 안쪽으로 끼워 양 축봉(26)(26a)을 지지브라켓(12)(12a)의 피동로울러 착탈홈(31)(31a)으로 밀어 넣어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으로 재껴 준 다음 볼트구멍(33)(33a)에 장력조절 볼트(29)(29a)를 끼워 피동로울러(10)의 축봉(26)(26a)에 형성된 나사구멍(28)(28a)과 체결하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2)(12a)에 삽입되어 축봉(26)(26a)에 형성된 나사구멍(28)(28a)과 체결된 장력조절 볼트(29)(29a)를 정ㆍ역 방향으로 돌려주면 피동로울러(10)가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상에서 위치 이동하므로 벨트(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1)는 모터(18)에 전원을 인가하면 체인기어(19)가 회전하면서 체인(21)으로 연결된 체인기어(20)에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체인기어(20)가 결합된 구동로울러(9)가 베어링(17)(17a)이 삽입된 지지브라켓(11)(11a)에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구동로울러(9)와 피동로울러(10) 사이에 결합된 벨트(3)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벨트(3) 및 피동로울러(1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베어링(27)(27a)은 그 특성상 장기간 사용으로 마모나 파손이 초래된다.
벨트(3) 및 피동로울러(10)의 베어링(27)(27a)이 마모되거나 파손된 경우 프레임(2)(2a)의 양측에 삽입ㆍ고정된 지지브라켓(12)(12a)의 볼트구멍(33)(33a)에 삽입되어 피동로울러(10)의 양 축봉(26)(26a)에 형성된 나사구멍(28)(28a)에 체결 된 장력조절 볼트(29)(29a)를 푼 다음 상기 피동로울러(10)를 잡고 당기면 축봉(26)(26a)이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을 따라 빠지다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연결된 피동로울러 착탈홈(31)(31a)에 이르러 밑으로 떨어져 분리되므로 상기 프레임(2)(2a)의 양끝에 삽입ㆍ고정된 지지브라켓(12)(12a)을 분해하지 않고도 피동로울러(10)를 분리ㆍ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벨트(3)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피동로울러(10)의 분리만으로는 벨트(3)를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구동부(7)를 구성하는 구동로울러(9)와 프레임(2)(2a)에 삽입ㆍ고정된 지지브라켓(11)(11a)을 분해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피동로울러(10)를 잡고 있는 지지브라켓(12)(12a)을 프레임(2)(2a)으로부터 분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교체작업이 한층 더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2대의 벨트컨베이어(1)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양측의 벨트(3)가 최대한 가까이 붙을 수 있도록 피동로울러(10)가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2)(12a)에 경사부(37)를 형성하고, 상단부 끝에 축봉 지지홈(34)을 구성하여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에 지지되는 반원형의 축봉(35)을 갖는 보조로울러(36)를 결합 구성한 것이고, 상기 보조로울러(36)의 축봉(36)을 반원형으로 구성한 것은 축봉 지지홈(34)에 삽입하였을 때 축봉(35)이 고정되게 하여 베어링이 결합된 보조로울러(36)만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피동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양끝에 삽입ㆍ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피동로울러 착탈홈과 장력조절 가이드 홈을 " ㄱ"자 형태로 일체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마모 및 파손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구동부는 구성하는 구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고, 피동부를 구성하는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피동로울러를 분리함으로써 벨트를 교체할 수 있는 등 다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지대(4)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2)(2a)의 구멍(32)(32a)에 돌기(13)(13a)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베어링(17)(17a)이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1)(11a)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로울러(9)와 동력전달을 위하여 상기 구동로울러(9)의 일측 축봉(16)과 모터(18)의 축봉에 결합된 체인기어(19)(20)에 체인(21)을 연결하여 구성된 구동부(7)와; 프레임(2)(2a)의 구멍(32)(32a)에 돌기(14)(14a)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장력조절 볼트(29)(29a)가 삽입되는 볼트구멍(33)(33a)과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12a) 사이에 나사구멍(28)(28a)을 갖는 축봉(26)(26a)이 결합된 피동로울러(10)로 구성된 피동부(8)와; 상기 구동부(7)의 구동로울러(9)와 피동부(8)의 피동로울러(10) 사이에 연결된 벨트(3)로 구성된 벨트컨베이어(1)에 있어서;
    상기 피동로울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2a)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브라켓(12)(12a)에 피동로울러 착탈홈(31)(31a)과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을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축봉(26)(26a)을 갖는 피동로울러(10)를 착탈할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동로울러(10)가 결합되는 피동로울러 착탈홈(31)(31a)과 장력조절 가이드홈(30)(30a)이 구성된 각각의 지지브라켓(12)(12a)에 경사부(37)와 축봉 지지홈(34)을 형성하여 반원형 축봉(35)을 갖는 보조로울러(36) 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KR1020030073559A 2003-10-21 2003-10-21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KR10059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559A KR100592566B1 (ko) 2003-10-21 2003-10-21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559A KR100592566B1 (ko) 2003-10-21 2003-10-21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99A KR20050038299A (ko) 2005-04-27
KR100592566B1 true KR100592566B1 (ko) 2006-06-26

Family

ID=3724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559A KR100592566B1 (ko) 2003-10-21 2003-10-21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5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491A (ko) 2014-06-12 2015-12-22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
KR20190081775A (ko) 2017-12-29 2019-07-09 최현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KR102549252B1 (ko) * 2022-07-14 2023-06-28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63B1 (ko) * 2008-02-15 2008-05-23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컨베어벨트 그루빙 머시인
CN102407988A (zh) * 2011-11-22 2012-04-11 芜湖瑞创叉车有限公司 叉车焊接车间流水线支架
CN104528318A (zh) * 2014-11-28 2015-04-22 柳州振业焊接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送料装置
CN106966106A (zh) * 2017-04-20 2017-07-2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皮带更换辅助装置及其更换方法
CN108891861A (zh) * 2018-06-12 2018-11-27 宁波博技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张紧装置
KR102068487B1 (ko) * 2018-07-06 2020-01-21 수퍼빈 주식회사 폐기물 이송 장치
EP3855137A1 (de) 2020-01-24 2021-07-28 Mettler-Toledo Garvens GmbH Transportbandeinheit mit konfigurationsänderungsmechanismus
DE102020000460A1 (de) 2020-01-24 2021-07-29 Mettler-Toledo Garvens Gmbh Vorrichtung zur schwenkbaren Abstützung einer Umlenkrolle einer Bandtransportvorrichtung sowie Bandtransport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2399131B1 (ko) * 2021-02-10 2022-05-18 주식회사 케디엠 분리 이동구조를 갖는 블랭킹 제품 고속 적재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491A (ko) 2014-06-12 2015-12-22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
KR20190081775A (ko) 2017-12-29 2019-07-09 최현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KR102549252B1 (ko) * 2022-07-14 2023-06-28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99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566B1 (ko)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US8042682B2 (en) Conveyor belt drive sprocket retention system
KR100237039B1 (ko) 커브드 컨베이어
US20080296129A1 (en) Link conveyor
WO2006107389A1 (en) Conveyor belt drive roller
KR101961200B1 (ko) 드럼교체가 용이한 벨트 컨베어장치
CN201770271U (zh) 履带式输送装置
US20170166402A1 (en) Micro-transfer conveyor
US4193493A (en) Roller conveyor
KR100602203B1 (ko) 장력조절 로울러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US7073659B1 (en) Low back pressure module with L-shaped intermediate support
US5056653A (en) Roller conveyor
KR101366789B1 (ko) 터닝 체인 컨베이어
JP2019210100A (ja) 隙間閉塞部材、ローラコンベヤ、及びローラコンベヤの製造方法
JP5162906B2 (ja) コンベヤ装置
JP2007084246A (ja) ローラコンベヤ
KR200376409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압출형상의 지주 프레임을 갖는 파렛트 이송 컨베이어 장치
JP4856888B2 (ja) カーブコンベア
KR20090004624U (ko) 곡선 컨베이어
KR20100002527U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 장력 유지장치
KR20060061118A (ko) 벨트 컨베이어
KR200395981Y1 (ko) 콘베이어장치
JP6150272B2 (ja) コンベア装置、並びに、ローラの取り付け方法
JPS63185709A (ja) 丸ベルト駆動コ−ナロ−ラコンベヤ
KR200225927Y1 (ko) 자동 중량 선별기의 벨트컨베이어의 구동로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