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039B1 - 커브드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커브드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039B1
KR100237039B1 KR1019970032731A KR19970032731A KR100237039B1 KR 100237039 B1 KR100237039 B1 KR 100237039B1 KR 1019970032731 A KR1019970032731 A KR 1019970032731A KR 19970032731 A KR19970032731 A KR 19970032731A KR 100237039 B1 KR100237039 B1 KR 10023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
roller
outer circumferenti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372A (ko
Inventor
타다히로 나카무라
토시노리 호리카와
요오이찌 타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모토 요이치
가부시키가이샤 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모토 요이치, 가부시키가이샤 템스 filed Critical 다카모토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6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for conveying in a circular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용이하고, 반송용 벨트를 세정하기 쉽고, 반송용 벨트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보수관리성이 우수하고, 낮은 원가로 대량 생산성이 뛰어난 커브드 컨베이어(curved conveyor)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주(外周)측이 다각형상인 외주프레임(2), 내주프레임(3), 외주프레임(2)과 내주프레임(3)을 연결한 빔(beam)부(4),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의 일단부에 축지(軸支)된 구동측 테이퍼롤러(5),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의 타단부에 설치된 리프트-업 섹션(7), 리프트-업 섹션(7)에 축지된 종동측 테이퍼롤러(8), 외주프레임(2)에 고정된 L형상의 각부(脚部)(9), 구동측 테이퍼롤러(5)의 상방으로 설치된 구동측 압압롤러(11), 종동측 테이퍼롤러(8)의 하방으로 설치된 종동측 압압롤러(12)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브드 컨베이어
본 발명은, 반송용 벨트 상에 반송물을 올려놓고, 반송물을 커브형상으로 반송하는 커브드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업계의 생산라인 등에 있어서, 생산라인이나 반송물 등에 따른 각종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생산라인의 레이아웃 등의 관계에서 반송물의 반송방향을 바꾸기 위해, 반송물을 커브형상으로 반송하는 커브드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반송물의 반송방향을 바꾸는 커브드 컨베이어로서, 실개평 6-61831호 공보의 바컨베이어, 실개평 7-933호 공보의 커브드 어큐뮬레이션 컨베이어, 실개평 8-179호 공보의 플로어용 체인컨베이어, 특개평 8-104411호 공보의 슬랫 컨베이어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 반송용의 벨트에 반송물을 올려놓고 반송물을 커브형상으로 반송하는 커브드 컨베이어로서 다음의 것이 알려져 있다.
(a)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프리롤러, 프리롤러 상호 간에 부채형으로 장설된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 반송용 벨트의 밖으로 설치된 원호형상의 체인주행부, 반송용 벨트의 외주측에 따라서 체인주행부에 루프형상으로 설치된 체인, 한 단이 반송용 벨트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코일스프링을 가지며, 체인의 회전구동에 수반하여 반송용 벨트를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식의 커브드 컨베이어.
(b) 특개평 6-3403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소정의 각도간격으로 설치된 프리롤러, 프리롤러의 상호간에 장설된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 반송용 벨트의 외주가장자리에 일정 피치간격으로 설치된 돌기, 반송용 벨트의 외주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가는 길과 오는 길 간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가진 풀리, 풀리를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커브드 컨베이어.
(c) 특개평 8-13343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테이퍼롤러, 테이퍼롤러 사이에 프레임에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장설된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의 외주가장자리에 형성한 후(厚)부를 끼우는 반송용 벨트의 외방으로 위치하는 고정부분에 부착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재로 구성된 본체, 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반송용 벨트의 루프 내에 배치된 회전체, 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반송용 벨트의 루프 외에 배치된 회전체를 가진 다수의 벨트지지장치를 구비한 커브드 컨베이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브드 컨베이어는, 다음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a)의 커브드 컨베이어는 부품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작업성에 뒤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반송용 벨트를 다수의 코일스프링으로 체인에 계지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까다롭고, 많은 노력을 요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곤란하기 때문에, 보통 반송용 벨트의 청소는 반송용 벨트를 부착한 상태로 반송용 벨트 상면을 걸레질하는 것으로 한정되고, 식품 등을 반송하는 경우 위생면에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반송벨트를 제거하여 세정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생산성을 저해하여, 보수관리성에 뒤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b)의 커브드 컨베이어는, 반송용 벨트의 외주가장자리에 일정 피치간격으로 설치된 돌기와, 돌기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가진 풀리의 맞물림에 의해 반송용 벨트를 회전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의 이완 등으로 돌기와 풀리의 오목부의 맞물림이 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반송용 벨트의 제거시에 풀리 등도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여 작업성이 뒤떨어짐과 아울러 생산성을 저해하므로, 보통 반송용 벨트를 제거하여 세정할 수 없고, 반송용 벨트의 상면만 닦아내는 청소가 행하여지므로, 식품 등을 반송하는 경우 위생면에서 뒤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c)의 커브드 컨베이어는, 다수의 회전체를 사용하여 반송용 벨트의 외주가장자리를 협지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대량 생산성에 뒤떨어짐과 아울러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또, 반송용 벨트의 외주가장자리가 벨트 지지장치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의 제거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여 작업성에 뒤떨어짐과 아울러, 생산성을 저해하므로, 보통 반송용 벨트를 떼어내서 세정할 수가 없고, 반송용 벨트의 상면만 닦아내는 청소가 행하여지므로 식품 등을 반송하는 경우, 위생면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용이하고, 반송용 벨트를 세정하기 쉽고, 반송용 벨트를 위생적으로 유지하고, 식품 등의 반송도 위생적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보수관리성이 우수하고, 저원가로 대량생산성도 뛰어난 커브드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는, a. 외주프레임, b.상기 외주프레임에 설치된 L형상의 각부, c.상기 외주프레임의 상면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커버부, d.빔부를 개재하여 상기 외부프레임에 연결된 내주프레임, e.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일단부에 축지된 구동측 테이퍼롤러, f.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타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프트-업 섹션, g.상기 리프트-업 섹션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종동측 테이퍼롤러, h.상기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 사이에 장설되고, 상기 반송용 벨트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edge)부 보다 외주측에 형성된 계지부를 가진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L형상의 각부가 외주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주측에 각부가 없으므로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 각부에 장해가 되지 않고,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하기 쉽다. 또, 외주프레임과 내주프레임의 일단부에 설치된 회동이 자유로운 리프트-업 섹션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종동측 테이퍼롤러 간에 장설된 반송용 벨트를 이완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용 벨트가 탈착된다. 또, 종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가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보다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의 측부가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와 당접하여, 반송용 벨트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리프트-업 섹션을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3은, 리프트-업 섹션을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 4는, (a)구동측 테이퍼롤러에 장설(張設)한 반송용 벨트의 주요부의 단면도.
(b)종동측 테이퍼롤러에 장설한 반송용 벨트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5는, 외주측 커버부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6은, 내주측 커버부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7은, 외주측 커버부를 장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리프트-업 섹션의 주요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브드 컨베이어,
(2) ------------------------------- 외주프레임,
(3) ------------------------------- 내주프레임,
(4) ------------------------------------- 빔부,
(4a) ------------------------------------ 빔부,
(5) ------------------------ 구동측 테이퍼롤러,
(5a) ---------------------------------- 당접부,
(6a) ---------------------------------- 구동부,
(6b) ----------------------- 구동전달부 수납부,
(7) --------------------------- 리프트-업 섹션,
(8) ------------------------ 종동측 테이퍼롤러,
(8a) ---------------------------------- 당접부,
(9) ------------------------------------- 각부,
(9a) ---------------------------- 각(脚)부착부,
(10)-------------------------- 압압롤러 고정부,
(11) ------------------------- 구동측 압압롤러,
(11a) --------------------------------- 당접부,
(12) ------------------------- 종동측 압압롤러,
(12a) --------------------------------- 당접부,
(13) ------------------------- 리턴롤러 지지부,
(14) ------------------------- 리턴측 지지롤러,
(15) ----------------------- 외주측 커버부착부,
(16) ----------------------- 내주측 커버부착부,
(17) ------------------------------ 높이조정부,
(18) ----------------------------- 반송용 벨트,
(19) --------------------------- 프레임 감합부,
(20) ------------------------ 리프트-업 브래킷,
(21) ---------------------------------- 연결부,
(22) -------------------------------- 베어링부,
(23) ---------------------------- 브래킷감합부,
(24) ---------------------------- 브래킷고정부,
(25) -------------------------------- 고정볼트,
(26) ------------------------------ 벨트고정판,
(27) ------------------------ 나합(screw-in)부,
(28) ---------------------------- 벨트조정볼트,
(29) ---------------------------------- 고정부,
(30) ---------------------------------- 계지부,
(31) --------------------------- 외주측 커버부,
(31a) ----------------------------------- 상면,
(31b) --------------------------------- 외측부,
(31c) --------------------------------- 내측부,
(32a) --------------------------- 프레임부착부,
(32b) --------------------------- 프레임부착부,
(33a)------------------------- 커버부 고정벨트,
(33b)------------------------- 커버부 고정벨트,
(34) ------------------- 반송면 압압롤러부착부,
(35) ------------------------- 반송면 압압롤러,
(36) --------------------------- 내주측 커버부,
(37) ---------------------------- 프레임부착부,
(38) ------------------------- 커브드 컨베이어,
(39) ------------------------- 베이스 플레이트,
(40) ---------------------------------- 훅크부,
(41) ------------------------- 크로스오버 롤러,
(42) ---------------------------------- 롤러축,
(43) ---------------------------------- 롤러부,
(44) -------------------------- 리프트-업 섹션,
(45) ------------------------ 리프트-업 브래킷,
(46) --------------------------------- 지지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a.외주프레임, b.상기 외주프레임에 설치된 L형상의 각부, c.상기 외주프레임의 상면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커버부, d.빔부를 개재하여 상기 외주프레임에 연결된 내주프레임, e.상기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의 일단부에 축지된 구동측 테이퍼롤러, f.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타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프트-업 섹션, g.상기 리프트-업 섹션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종동측 테이퍼롤러, h.상기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 간에 장설되어, 상기 반송용 벨트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 보다 외주측에 형성된 계지부를 가지는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외주프레임에 설치된 각부가 L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에 각부가 없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 각부가 장해되지 않고, 각부를 제거하지 않고 반송용 벨트의 탈착을 할 수 있다. 또, 외주프레임과 내주프레임의 일단부에 설치된 회동이 자유로운 리프트-업 섹션에 종동측 테이퍼롤러를 축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프트-업 섹션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종동측 테이퍼롤러 간에 장설된 반송용 벨트를 이완시킬 수 있고, 구동측 테이퍼롤러를 외주프레임 등으로부터 때어내지 않고 반송용 벨트의 탈착을 할 수 있다. 또,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가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보다 내주측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계지부의 측부가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와 당접하여, 반송용 벨트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로서는, 반송용 벨트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에 두꺼운 형상 또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와 계지부의 축부가 당접하여,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내주측으로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에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 측부와 당접하는 계지부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의 당접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마찰에 의한 계지부의 마모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외주에지부를 상기 계지부로부터 내주측에 당접하고, 상기 외주프레임의 소정위치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압압롤러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반송용 벨트가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압롤러의 외주에지부와 반송용 벨트에 계지부가 당접하여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압롤러로서는, 베어링 등의 회전체나,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 측부와 당접하는 외주에지부에, 계지부의 측부와 당접하는 R형상 등의 당접부를 형성한 수지롤러 등이 사용된다. 또 압압롤러 대신에 자기(自己)윤활성 수지 등을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로부터 내주측에 당접하여 외주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업 섹션,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트-업 브래킷,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가 축지된 베어링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프레임과 상기 내주프레임의 측부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감합부에 회동이 자유롭고 또한 탈착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절결부나 홈부 등으로 이루어진 브래킷감합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하부에 상기 외주프레임과 내주프레임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브래킷고정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에 상기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벨트조정부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브래킷감합부를 중심으로 리프트-업 브래킷을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 리프트-업 브래킷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반송용 벨트를 이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리프트-업 섹션을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다.
또, 벨트조정부에 의하여 종동측 테이퍼롤러를 이동할 수 있고,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종동측 테이퍼롤러 간에 장설된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브래킷고정부로서는, 리프트-업 브래킷을 브래킷감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절결부나 홈형상 등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리프트-업 브래킷은 볼트에 의한 나착 등으로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에 고정된다.
또, 벨트조정부로서는, 리프트-업 브래킷의 측부에 나합부를 설치하고, 나합부에 볼트를 끼워서 볼트의 단부에서 종동측 테이퍼롤러 및 베어링부를 이동하는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업 섹션이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부를 가진 리프트-업 브래킷,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가 축지된 베어링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측부에 나착되는 고정나사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에 상기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벨트조정부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 지지부를 중심으로 리프트-업 브래킷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반송용 벨트를 이완시킬 수 있고, 반송용 벨트의 탈착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벨트조정부에 의해, 종동측 테이퍼롤러를 이동할 수 있고,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종동측 테이퍼롤러 간에 장설된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벨트조정부로서는, 리프트-업 브래킷의 측부에 나합부를 설치하고, 나합부에 볼트를 나합하여 볼트의 단부에서 종동측 테이퍼롤러 및 베어링부를 이동하는 것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롤러가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커버부를 떼어낼 때에, 커버부와 함께 커버부에 설치된 압압롤러를 반송용 벨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고 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 외주프레임 및 커버부의 소정위치에 압압롤러를 설치함으로써,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가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작용을 가진다.
여기에서, 외주프레임에 설치된 반송용 벨트의 반송면 측의 압압롤러는, 외주프레임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하기 쉽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주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리턴측 지지롤러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비반송면 측의 반송용 벨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송용 벨트가 꾸불꾸불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턴측 지지롤러로서는, 반송용 벨트와 당접하고 있으면 되고, 반송용 벨트에 수평 또는 반송용 벨트에 대하여 경사로 있어도 좋다. 또, 내주측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를 가지고 리턴측 지지롤러를 축지한 경우, 반송용 벨트와 리턴측 지지롤러의 접촉면이 감소되어, 반송용 벨트와 리턴측 지지롤러의 마찰에 의한 반송용 벨트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청구항 7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주프레임의 외주측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각부를 외주프레임에 밀접하게 부착할 수 있고, 틈새가 벌어지지 않으므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구동측 테이퍼롤러나 리프트-업 섹션 등을 부착하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절결부나 홈형상의 프레임부착부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절결부나 홈형상의 프레임부착부를 따라 커버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커버부의 탈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커브드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일단부 및/또는 상기 리프트-업 섹션에 형성된 훅크부, 상기 훅크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롤러축, 상기 롤러축에 감삽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부를 가진 작은 직경의 크로스오버 롤러부 및/또는, 빔부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작은 직경의 크로스오버 롤러를 구비한 것으로, 다른 컨베이어 사이에서 소형 반송물의 수송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그 커브드 컨베이어가 대형인 경우나 반송물의 중량이 큰 경우 등에, 반송용 벨트의 반송면 측이 반송용 벨트의 자체중량이나 반송물의 중량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크로스오버 롤러로서는, 1 내지 복수의 롤러부를 롤러축에 감삽하는 것이 사용된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커브드 컨베이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커브드 컨베이어, (2)는 외주측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커브드 컨베이어(1)의 외주프레임, (3)은 커브드 컨베이어(1)의 내주프레임, (4)는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외주프레임(2)과 내주프레임(3)을 연결한 빔부, (4a)는 외주프레임(2) 및 빔부(4)에 고정된 빔부, (5)는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의 일단부에 축지된 구동측 테이퍼롤러, (6a)는 구동측 테이퍼롤러(5)의 일단부에 벨트나 체인 등의 구동전달부에 접속되고 구동측 테이퍼롤러(5)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6b)는 구동전달부를 수납하는 구동전달부수납부, (7)은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의 타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프트-업 섹션, (8)은 리프트-업 섹션(7)에 회전이 자유롭게 양단부가 축지된 종동측 테이퍼롤러, (9)는 각각 L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프레임(2)의 외주부에 고정된 각부, (9a)는 각부(9)에 설치되고 외주프레임(2)에 끼워져서 빔부(4)에 단부가 고정된 빔부(4a)에 고정된 각부착부, (10)은 외주프레임(2)의 구동측 테이퍼롤러(5)의 상방에 설치된 압압롤러 고정부, (11)은 압압롤러 고정부(10)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반송용 벨트를 압압하는 구동측 압압롤러, (12)는 외주프레임(2)에 축지되고 종동측 테이퍼롤러(8)의 하방에 설치된 종동측 압압롤러, (13)은 외주프레임(2)의 하방에 설치된 리턴롤러 지지부, (14)는 리턴롤러 지지부(13)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턴측 지지롤러, (15)는 외주프레임(2)의 상면에 형성된 외주측 커버부착부, (16)은 내주프레임(3)의 상면에 고정된 내주측 커버부착부, (17)은 각부(9)의 저면에 설치된 높이조정부, (18)은 구동측 테이퍼롤러(5)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8)에 장설된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이다.
다음에, 커브드 컨베이어(1)의 리프트-업 섹션(7)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리프트-업 섹션을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 (19)는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 단부 측의 측벽부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감합부, (20)은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의 프레임감합부(19)에 감합하여 설치된 리프트-업 섹션(7)의 리프트-업 브래킷, (21)은 리프트-업 섹션(7)의 리프트-업 브래킷(20, 20)을 연결한 연결부, (22)는 리프트-업 브래킷(2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종동측 테이퍼롤러(8)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베어링부, (23)은 리프트-업 브래킷(20)의 단부에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감합부(19)에 탈착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브래킷감합부, (24)는 리프트-업 브래킷(20)의 하방에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프레임(2) 또는 내주프레임(3)에 리프트-업 브래킷(20)을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브래킷고정부, (25)는 리프트-업 브래킷(20)을 외주프레임(2) 또는 내주프레임(3)에 고정하는 손잡이가 달린 고정볼트, (26)은 리프트-업 브래킷(20)을 개재하여 베어링부(22)에 고정된 벨트조정판, (27)은 리프트-업 브래킷(20)에 형성된 나합부, (28)은 일단부를 벨트조정판(26)에 당접하여 나합부(27)에 나합된 벨트조정볼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의 커브드 컨베이어의 반송용 벨트의 탈착에 대하여,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리프트-업 섹션을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 4(a)는 구동측 테이퍼롤러에 장설한 전송용벨트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종동측 테이퍼롤러에 장설한 반송용 벨트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29)는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에 형성되고 고정볼트(25)를 나착하여 리프트-업 브래킷(20)을 고정하는 고정부, (30)은 반송용 벨트(18)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두꺼운 형상 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 (5a)는 구동측 테이퍼롤러(5)의 외주에지부에 계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 측부와 당접하는 당접부, (8a)는 종동측 테이퍼롤러(8)의 외주에지부에 계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 측부와 당접하는 당접부, (11a)는 구동측 압압롤러(11)의 외주측에 계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의 측부와 당접하는 당접부, (12a)는 종동측 압압롤러(12)의 외주측에 계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 측면과 당접하는 당접부이다.
그리고, 구동측 테이퍼롤러(5)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8)로서는, 도 4(a), 도 4(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 측부와 당접하는 외주에지부를 계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으로 형성한 당접부(5a, 8a)를 가진 것이나 일반 테이퍼롤러 등이 사용된다.
또, 구동측 압압롤러(11) 및 종동측 압압롤러(12)로서는, 도 4(a), 도 4(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 측부와 당접하는 외주에지부를 계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 R형상 등으로 형성한 당접부(11a, 12a)를 가진 것이나 일반 수지롤러가 사용된다.
반송용 벨트(18)를 커버컨베이어(1)에 장설할 때는, 구동측 압압롤러(11)를 압압롤러 고정부(10)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업 섹션(7)을 프레임감합부(19)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킨 후, 도 4(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를 구동측 테이퍼롤러(5)의 당접부(5a) 외방에 설치함과 아울러, 구동측 압압롤러(11)의 당접부(11a) 외방으로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를 설치하여 구동측 압압롤러(11)를 롤러 고정부(10)에 고정하고, 반송용 벨트(18)를 장착한다.
여기에서, 반송용 벨트(18)의 비반송면 측은, 리턴측 지지롤러(14)의 상면에 설치된다.
다음에 리프트-업 섹션(7)을프레임감합부(19)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브래킷고정부(24)를 고정부(29)에 맞춤과 아울러, 도 4(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를 종동측 테이퍼롤러(8)의 당접부(8a)의 외방에 설치하고, 다시, 종동측 압압롤러(12)의 당접부(12a)의 외방으로 계지부(30)를 설치하고, 손잡이가 달린 고정볼트(25)로 리프트-업 브래킷(20)을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에 고정하여 반송벨트(18)를 장설한다.
또한, 벨트 조정볼트(28)와 나합부(27)의 나합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종동측 테이퍼롤러(8)를 이동시켜 반송용 벨트(18)의 장력을 조정한다.
또, 반송용 벨트(18)의 제거시는, 구동측 압압롤러(11)를 압압롤러 고정부(10)로부터 떼어내고, 다음에 고정볼트(25)를 느슨하게 하고, 리프트-업 섹션(7)을 프레임감합부(19)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키고, 또한, 리프트-업 섹션(7)을 프레임감합부(19)로부터 제거하여 반송용 벨트(18)를 내주프레임(3) 측으로부터 떼어 낸다.
다음에, 커브드 컨베이어(1)의 커버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외주측 커버부의 주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내주측 커버부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 (31)은 외주측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프레임(2)의 상면에 설치되는 외주측 커버부, (31a)는 외주측 커버부(31)의 상면, (31b)는 외주프레임(2)의 형상에 맞추어서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외주측 커버부(31)의 외측부, (31c)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외주측 커버부(31)의 내측부, (32a, 32b)는 상면(31a)의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측 커버부착부(15)(도 1참조)에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프레임부착부, (33a)는 외주측 커버부(31)를 외주프레임(2)의 외주측 커버부착부(15)에 고정하는 손잡이가 달린 외주측의 커버부 고정볼트, (34)는 외주측 커버부(31) 상면(31a)의 이면의 소정위치에 설치·고정된 반송용 압압롤러부착부, (35)는 반송면 압압롤러부착부(34)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반송면 압압롤러, (36)은 부채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프레임(3)의 상면에 설치된 내주측 커버부, (37)은 내주측 커버부(36)의 측면에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 커버부착부(16)(도 1참조)에 손잡이가 달린 내주측의 커버부 고정볼트(33b)에서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프레임부착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외주측 커버부(31) 및 내주측 커버부(36)에 대하여, 다음에 그 탈착동작에 대하여 도 1 및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주측 커버부착부(15)에 커버부 고정볼트(33a)를 나합하고, 외주측 커버부(31)를 종동측 테이퍼롤러(8) 측으로부터 외주프레임(2)의 상면을 한 방향으로부터 접동시켜 프레임부착부(32a, 32b)를 커버부 고정볼트(33a)에 감합하고, 커버부 고정볼트(33a, 33a)를 외주측 커버부착부(15)에 나합하여 외주측 커버부(31)를 고정하고, 외주프레임(2)의 상단과 외주측 커버부착부(15)에서 지지한다. 또, 외주측 커버부(31)의 제거시에는, 커버부 고정볼트(33a, 33a)를 느슨하게 한 후, 외주측 커버부(31)를 외주프레임(2)의 상면에서 접동시켜 종동측 테이퍼롤러(8) 측으로부터 뽑아낸다.
내주측 커버부(36)는, 내주측 커버부착부(16)에 커버부 고정볼트(33b)를 나합하고, 내주측 커버부(36)를 내주프레임(3)의 상방으로부터 장착하여 프레임부착부(37)를 커버부 고정볼트(33b)에 감합하고, 커버부 고정볼트(33b)를 내주측 커버부착부(16)에 나착하여 내주측 커버부(36)를 고정하고, 내주프레임(3)의 상단과 커버부 고정볼트(33b)로 지지한다. 또, 내주측 커버부(36)의 제거시에는, 커버부 고정볼트(33b)를 이완한 후, 내주측 커버부(36)를 상방으로 뽑아낸다.
다음에, 커브드 컨베이어(1)에 외주측 커버부(31)를 장착한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외주측 커버부를 장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외주측 커버부(31)에 설치된 반송면 압압롤러(35)는,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지부가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보다 내주측 또는 계지부(30)의 내주측 측부와 당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반송면 압압롤러(35)로서는, 베어링 등의 회전체나, 반송면 압압롤러(35)의 외주에지부가 반송용 벨트(18)의 계지부(30) 측부와 당접하는 R형상 등의 당접부를 형성한 수지롤러 등이 사용된다.
또, 반송용 벨트(18)의 비반송면은,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턴측 지지롤러(14)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의 커브드 컨베이어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a. 각부가 L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에 각부가 없기 때문에 구동측 압압롤러를 제거하고 리프트-업 섹션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반송용 벨트가 탈착할 수 있다.
b. 반송용 벨트를 장설한 후에도 벨트조정볼트에 의해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c. 외주프레임의 외주측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각부를 평탄한 외주프레임에 밀접하게 고정할 수 있고, 틈새가 없으므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d. 구동측 테이퍼롤러의 당접부와 구동측 압압롤러의 당접부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당접부와 종동측 압압롤러의 당접부가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의 내주측 측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e. 리턴측 지지롤러의 상면에 반송용 벨트의 비반송면을 설치하는 것으로 반송용 벨트의 비반송면이 하방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꾸불꾸불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 외주측 커버부의 소정위치에 반송면 압압롤러를 설치한 것으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의 반송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 외주측 커버부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반송면 압압롤러를 반송용 벨트 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반송용 벨트의 탈착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g. 외주측 커버부 및 내주측 커버부의 프레임부착부가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부 고정볼트를 모두 제거하지 않고, 커버부 고정벨트를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외주측 커버부 또는 내주측 커버부의 탈착을 할 수 있다.
(실시예 2)
아래에,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3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커브드 컨베이어, (39)는 빔부(4)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40)은 구동측 테이퍼롤러(5) 측의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에 설치된 훅크부, (41)은 훅크부(40)에 지지된 크로스오버 롤러, (42)는 훅크부(40)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크로스오버 롤러(41)의 롤러축, (43)은 롤러축(42)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진 복수의 롤러부이다.
여기에서, 크로스오버 롤러(41)로서는, 외주의 직경이 15㎜∼20㎜ 작은 직경의 1 내지 복수의 롤러부(43)를 롤러축(42)에 끼워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 커브드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컨베이어 등의 사이에 있어서, 소형의 반송물을 쉽게 수송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는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의 작용에 더하여, 작은 직경의 크로스오버 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반송물이 소형의 경우에도 반송물을 그 커브드 컨베이어와 연결된 컨베이어 등에 확실히 수송할 수 있다.
또, 빔부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물의 중량이 큰 경우나 그 커브드 컨베이어가 대형인 경우, 반송용 벨트의 반송면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축에 복수의 롤러부를 감삽하는 것으로, 반송용 벨트의 내주측과 외주측에 설치된 반송물의 주(周)속도의 차이를 완화할 수 있고, 반송시에 반송물의 방향성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3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리프트-업 섹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의 리프트-업 섹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44)는 실시예 3에 있어서 리프트-업 섹션, (45)는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된 리프트-업 브래킷, (46)은 외주측 및 내주측의 리프트-업 브래킷(45)에 연결하여, 리프트-업 브래킷(45)을 외주프레임(2) 및 내주프레임(3)에 축지한 지지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3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는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작용에 더하여, 리프트-업 섹션을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만으로, 반송용 벨트의 탈착동작을 할 수 있고, 반송용 벨트 탈착의 작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커브드 컨베이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우수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1) 종동측 테이퍼롤러가 회전이 자유로운 리프트-업 섹션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부가 L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에 각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구동측 압압롤러를 떼어내고 리프트-업 섹션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종래와 같이 각부를 제거하는 공정 없이 내주측으로부터 반송을 벨트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반송용 벨트를 탈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송용 벨트를 세정할 수 있고, 식품 등을 반송하는 경우에도 항상 그 커브드 컨베이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보수관리성에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2)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구동측 압압롤러의 외주에지부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와 종동측 압압롤러의 외주에지부가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의 내주측 측부와 당접하는 것으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의 커브드 컨베이어에 비하여 아주 적은 부품으로 커브드 컨베이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가진다.
(3) 리프트-업 섹션이 회동이 자유롭고 탈착이 자유롭게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업 섹션의 탈착 및 반송용 벨트의 탈착이 용이하므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보수관리의 작업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4) 리프트-업 섹션에 벨트조정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를 장설한 후에도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조립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5) 외주프레임 및 외주측 커버부의 소정위치에 압압롤러를 설치한 것으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반송용 벨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송용 벨트의 계지부가 구동측 테이퍼롤러 및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송면 압압롤러를 외주측 커버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 외주측 커버부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반송면 압압롤러를 반송용 벨트 상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6) 외주프레임에 리턴측 지지롤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반송용 벨트의 비반송면을 지지할 수 있고, 반송용 벨트의 비반송면이 하방으로 처져서 반송용 벨트가 꾸불꾸불해 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7) 외주프레임의 외주측을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각부를 외주프레임과 밀접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그 커브드 컨베이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외주프레임이 성형이나 외주프레임과 빔부, 구동측 테이퍼롤러, 리프트-업 섹션 등의 부착이 용이하므로, 조립작업성이 우수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8) 외주측 커버부 및 내주측 커버부의 프레임부착부를 홈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커버부 고정볼트를 모두 제거하지 않고 커버부 고정벨트를 이완시키는 것만으로 외주측 커버부 또는 내주측 커버부를 탈착할 수 있고, 커버부의 탈착작업성이 우수하며, 또한 반송용 벨트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9)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의 일단부 및/또는 리프트-업 섹션에 탈착이 자유롭게 작은 직경의 크로스오버 롤러를 설치하는 것으로, 그 커브드 컨베이어에 연결된 컨베이어 등으로 소형의 반송물의 수송을 확실히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송용 벨트의 탈착시에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10) 빔부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으로, 반송물의 중량이 큰 경우나 그 커브드 컨베이어가 대형인 경우에, 반송용벨트의 반송면이 휘어져 반송물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a.외주프레임, b.상기 외주프레임에 설치된 L형상의 각부, c.상기 외주프레임의 상면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커버부, d.빔부를 개재하여 상기 외주프레임에 연결된 내주프레임, e.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일단부에 축지된 구동측 테이퍼롤러, f.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타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프트-업 섹션, g.상기 리프트-업 섹션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종동측 테이퍼롤러, h.상기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 간에 장설되고 상기 반송용 벨트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측 테이퍼롤러와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의 외주에지부 보다 외주측에 형성된 계지부를 가지는 루프형상의 반송용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외주에지부를 상기 계지부보다 내주측에 당접하고, 상기 외주프레임의 소정위치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압압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업 섹션,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트-업 브래킷,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가 축지된 베어링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프레임과 상기 내주프레임의 측부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감합부에 회동이 자유롭고 탈착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절결부나 홈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감합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하부에 상기 외주프레임과 상기 내주프레임 측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고정된 브래킷고정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에 상기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벨트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업 섹션,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지지부를 가진 리프트-업 브래킷,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종동측 테이퍼롤러가 축지된 베어링부,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주프레임 및 내주프레임 측부에 나착된 고정나사, 상기 리프트-업 브래킷에 상기 반송용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벨트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롤러가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된 리턴측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프레임의 외주측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절결형상이나 홈형상의 프레임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프레임 및 상기 내주프레임의 일단부 및/또는 상기 리프트-업 섹션에 형성된 훅크부, 상기 훅크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된 롤러축, 상기 롤러축에 감삽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부를 가진 작은 직경의 크로스오버 롤러 및/또는 상기 빔부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컨베이어.
KR1019970032731A 1996-12-21 1997-07-15 커브드 컨베이어 KR100237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4892 1996-12-21
KR96-354892 1996-12-21
JP8354892A JPH10181821A (ja) 1996-12-21 1996-12-21 カーブコンベ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72A KR19980063372A (ko) 1998-10-07
KR100237039B1 true KR100237039B1 (ko) 2000-01-15

Family

ID=1844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731A KR100237039B1 (ko) 1996-12-21 1997-07-15 커브드 컨베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88362A (ko)
EP (1) EP0849192A1 (ko)
JP (1) JPH10181821A (ko)
KR (1) KR100237039B1 (ko)
TW (1) TW3530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54B1 (ko) 2003-04-23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교환및 조정이 용이한 브이 밸트 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22562T2 (de) * 1999-02-26 2006-01-26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Bandfördervorrichtung und Bilderzeugungsgerät
US6523665B2 (en) 2000-12-19 2003-02-25 Rolcon, Inc. Conveyor roller with tapered sleeve assembly
DE20103758U1 (de) * 2001-03-03 2001-07-05 Transnorm System Gmbh Vorrichtung zum Ein- und/oder Ausschleusen von Fördergut
AU2003228461A1 (en) * 2002-04-04 2003-10-27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Article unscrambler with tapered polyurethane rollers
WO2003086909A1 (en) * 2002-04-12 2003-10-23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Curved belt conveyor
US6782996B1 (en) * 2003-02-13 2004-08-31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Axle cartridge for conveyor roller
DE10349049B3 (de) * 2003-10-17 2005-06-09 Interroll Schweiz Ag Gurtbandförderer mit separaten Führungsschuhen
US7306091B2 (en) * 2004-11-05 2007-12-11 Tkf Incorporated Tapered spline roller for curved roller conveyor
US7246697B2 (en) * 2004-11-08 2007-07-24 Dorner Mfg. Corp. Washdown conveyor corner section with removable wear strips
US7398874B2 (en) * 2005-01-07 2008-07-15 Tgw-Ermanco, Inc. Belt-driven accumulator for curved roller segment
EP1846310B1 (de) * 2005-02-10 2010-01-27 Robert Bosch Gmbh Kurvenbandf\rderer
US20080078656A1 (en) * 2006-10-03 2008-04-03 Dematic Corporation Curved belt conveyor with autotracking device
US7775346B1 (en) * 2007-08-07 2010-08-17 Taylor Shirley D Food buffet table system
EP3398884B1 (en) * 2009-07-17 2021-03-03 Vanderlande Industries B.V. Frame for conveyor belts
US8955664B2 (en) 2010-06-28 2015-02-17 Pteris Global Ltd. Belt conveyor system
US8733534B2 (en) * 2010-06-28 2014-05-27 Pteris Global Limited Belt conveyor system
DE102011104190A1 (de) * 2011-06-14 2012-12-20 Interroll-Holding Ag Rollenfördererkurve mit rundem Antriebsriemen
CN102556575A (zh) * 2012-02-23 2012-07-11 科瑞自动化技术(苏州)有限公司 用于精密定位传送移载治具的o型传送带装置
US8763789B2 (en) 2012-03-08 2014-07-01 Tgw Systems, Inc. Drive system for curved roller conveyor segments
GB2516306A (en) * 2013-07-19 2015-01-21 Ammeraal Beltech Modular As Modular conveyor
DE102022102695A1 (de) 2022-02-04 2023-08-10 Interroll Holding Ag Gurtkurv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2195A (en) * 1929-05-15 1931-02-10 Swifton Mfg Company Conveyer
US3044603A (en) * 1958-08-25 1962-07-17 Fry And Company Inc Conveyor-belt turn
US3217861A (en) * 1963-02-14 1965-11-16 Mcinnis Conveyors Ltd Endless belt conveyors
US3951256A (en) * 1971-03-10 1976-04-20 Gurewitz Samuel J Power belt turn conveyor
CH657827A5 (de) * 1982-09-03 1986-09-30 Buehrer Transver Ag Foerderbandkurve.
DE3707558A1 (de) * 1987-03-10 1988-09-29 Harry Herzke Bandfoerderer
EP0312643B1 (en) * 1987-10-23 1994-02-23 Frisco-Findus Ag Conveyors
DE3822824A1 (de) * 1988-07-06 1990-02-01 Transnorm System Gmbh Gurtkurve fuer foerderbandanlagen
US4930621A (en) * 1988-09-16 1990-06-05 Portec, Inc. Attachments for power turns
FR2663309B1 (fr) * 1990-06-15 1994-06-17 Rozier Jean Michel Convoyeur a bande transporteuse a demontage et remontage rapide de la bande.
CH683176A5 (de) * 1991-04-25 1994-01-31 Buehler S A R L Bandförderer.
DE4213035C2 (de) * 1992-04-21 1994-10-20 Axmann Foerdertechnik Kurvengurtförderer
JPH0741230B2 (ja) * 1992-07-08 1995-05-10 栗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管内洗浄装置
JPH0661831A (ja) * 1992-08-06 1994-03-04 Mitsubishi Denki Eng Kk 半導体集積回路
JPH06183534A (ja) * 1992-12-22 1994-07-05 Nippon Seiki Co Ltd ベルトコンベア
JPH06340315A (ja) * 1993-05-31 1994-12-13 Nitta Ind Corp カーブコンベア
JPH08179A (ja) * 1994-06-23 1996-01-09 Meiji Chiyuuingamu Kk 非付着性チューインガムベース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非付着性チューインガム
JPH08104411A (ja) * 1994-10-04 1996-04-23 Toyo Kanetsu Kk スラ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チェーン支持装置
JPH08133438A (ja) * 1994-11-11 1996-05-28 Nitta Ind Corp カーブコンベア
NL9401961A (nl) * 1994-11-23 1996-07-01 We Engineering B V Bandtransporteur en werkwijze voor het wisselen van een transportband.
US5722531A (en) * 1996-02-13 1998-03-03 Mannesmann Dematic Rapistan Corp. Belt turn convey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54B1 (ko) 2003-04-23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교환및 조정이 용이한 브이 밸트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9192A1 (en) 1998-06-24
KR19980063372A (ko) 1998-10-07
TW353058B (en) 1999-02-21
JPH10181821A (ja) 1998-07-07
US5988362A (en) 199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039B1 (ko) 커브드 컨베이어
US6371283B1 (en) Modular sanitary conveyor
CA2696491C (en) Conveyor belt drive sprocket retention system
US6959803B1 (en) Self-tensioning conveyor
US5915527A (en) Belt conveyor
US20090250322A1 (en) Belt conveyor
AU2016252635B2 (en) Infeed and outfeed assemblies for a conveyor
US6523679B1 (en) Conveyor frame with removable wear strips
US10124960B2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US6543609B2 (en) Split sprocket housing for a conveyor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0592566B1 (ko)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US5544740A (en) Conveying apparatus
US20060252591A1 (en) Belt conveyor with external drive
KR20210002467U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JP3656583B2 (ja) 着脱式コンベア装置
US5141096A (en) Device for conveying piece goods
KR100602203B1 (ko) 장력조절 로울러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JP3227114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JP2539002Y2 (ja) 金属検出機用ベルト簡易着脱型コンベヤー
WO2000044651A1 (en) Modular sanitary conveyor
JP2004323208A (ja) 飲食容器搬送装置
US20070248294A1 (en) Bearing Housing for a Conveyor Assembly and Bearing Assembly System
JP7421794B2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4616449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KR200422098Y1 (ko) 라운드 컨베이어용 체인 장력조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