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252B1 - 벨트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252B1
KR102549252B1 KR1020220087032A KR20220087032A KR102549252B1 KR 102549252 B1 KR102549252 B1 KR 102549252B1 KR 1020220087032 A KR1020220087032 A KR 1020220087032A KR 20220087032 A KR20220087032 A KR 20220087032A KR 102549252 B1 KR102549252 B1 KR 10254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ide plate
belt conveyor
longitudi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홍승기
Original Assignee
김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주 filed Critical 김봉주
Priority to KR102022008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베이스 프레임,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상기 길이방향 지지프레임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 로울러 설치용 제1 고정판 및 피동 로울러 설치용 제2 고정판,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측판 및 한 쌍의 제2 측판, 한 쌍의 상기 제1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로울러 및 한 쌍의 상기 제2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동 로울러, 상기 구동 로울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 상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 및 상기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과 상기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그것들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폭방향 지지판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프레임구조가 간단하며, 벨트와 프레임 사이에 이물질이 덜 끼이고, 청소가 용이한 프레임구조를 가지며, 벨트와 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줄이고 벨트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제품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 장치{Belt Conveyor Apparatus}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구조가 간단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물건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프레임에 구동 로울러와 피동 로울러가 설치되고, 구동 로울러와 피동 로울러 사이에 이송벨트가 장착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서 구동 로울러와 피동 로울러 사이에 걸쳐진 벨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짐방지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처짐방지수단은 벨트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터에 과부하를 주지 않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터에 대한 과부하뿐만 아니라 벨트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편심이 발생하거나 사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청소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등록 제10-102845호(2011. 04. 01. 등록)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개시한다. 이 특허의 명세서는 구동 롤러와 피동 롤러 사이의 메인 프레임에 이송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회전이 원활하도록 중간 롤러가 구비된다고 언급하면서, 회전시 이송벨트가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 및 이송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장치를 개시한다고 언급한다.
특허등록 제10-1368279호(2014. 02. 21. 등록)는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이 특허발명은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사행방지장치를 제안한다. 한편, 이 특허의 명세서는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라고 언급한다. 즉,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서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롤러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임을 확인한다. 이러한 사실은 특허등록 제10-1424424호(2014. 07. 23. 등록) 및 특허등록 제10-2318191호(2021. 10. 21. 등록)의 명세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06728호(2000. 10. 04. 등록)는 내부청소를 위한 개폐구조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은 측면이 폐쇄된 벨트 컨베이어장치에서, 측면에 출입구 및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열어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한편, 특허등록 제10-2144962호(2020. 08. 10. 등록)는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시켜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이송컨베이어벨트 아래에 놓이는 복수개의 환봉과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수직판이 서로 협력하여 구형농산물을 이송하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구성을 가진다.
특허등록 제10-0329633호(2002. 03. 11. 등록)는 컨베이어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2372006호(2022. 03. 03. 등록)는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들에서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롤러를 배치하는데, 이로 인하여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점은 피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측면에 출입구와 도어를 설치하는데, 이것 또한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구조가 간단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와 프레임 사이에 이물질이 덜 끼이고, 청소가 용이한 프레임구조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와 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줄이고 벨트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제품 이송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방법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벨트장력조절구조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동 로울러보다 직경이 작은 에지 로울러를 사용함으로써 에지 로울러와 벨트 간의 연결부분에서 유격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제품 이송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의 말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상기 길이방향 지지프레임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 로울러 설치용 제1 고정판 및 피동 로울러 설치용 제2 고정판,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측판 및 한 쌍의 제2 측판, 한 쌍의 상기 제1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로울러 및 한 쌍의 상기 제2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동 로울러, 상기 구동 로울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 상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 및 상기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과 상기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그것들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폭방향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사선방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동 로울러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피동 로울러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측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연장 측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연장 측판은 힌지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동 로울러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피동 로울러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측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연장 측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장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은 장력조절용 측판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며,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에는 장력조절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구조는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에 형성된 장공, 상기 제2 측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장공 밖으로 노출된 돌기부, 및 장력조절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도구는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에 결합하고 중공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중공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외표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나사부재,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머리부에 형성된 상기 홈에 상기 제2 측판의 상기 돌기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나사부재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재가 밀려 상기 제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측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구조는 상기 구동 로울러와 상기 피동 로울러 사이에 끼워지는 벨트의 장력이 증가되도록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삽입부의 말단부에는 환형 홈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홈에는 고무로 된 오링(O-Ring)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중공은 그것의 말단부에서 직경이 상기 오링의 외경보다 작고, 말단부 안쪽에서 직경이 상기 오링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중공에 끼워질 때 상기 오링 부분이 끼워질 때에는 억지끼움의 의하여 끼워지고, 그 후에는 상기 나사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부재를 따라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진할 때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오링 부분이 상기 나사부재에 걸려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나사부재를 따라 함께 제1 방향으로 후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사부재의 말단부에는 도구에 의하여 나사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머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판에는 에지 로울러가 상기 피동 로울러보다 제2 방향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지 로울러의 직경은 상기 피동 로울러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로울러의 직경은 상기 구동 로울러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지 로울러는 상기 피동 로울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벨트를 장착하면, 상기 피동 로울러는 하부에서만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상기 에지 로울러와 상기 피동 로울러 사이에서 상기 벨트는 경사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장 측판과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은 힌지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프레임구조가 간단하며, 벨트와 프레임 사이에 이물질이 덜 끼이고, 청소가 용이한 프레임구조를 가지며, 벨트와 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줄이고 벨트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제품 이송이 가능하게 하고, 간단한 구조와 방법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피동 로울러보다 직경이 작은 에지 로울러를 사용함으로써 에지 로울러와 벨트 간의 연결부분에서 유격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제품 이송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동일한, 실제로 제작된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트가 설치되지 않은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동일한, 실제로 제작된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고정판 그리고 폭방향 지지판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도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장력조절도구에 대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난 장력조절구조 부분에 대한 확대 사진이다.
도 11은 도 6에 나타난 장력조절구조 부분에 대한 확대 사진이다.
도 12은 도 6에 나타난 장력조절도구를 별도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2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차이점은 에지 로울러(730)의 채용 여부 및 그에 따른 약간의 구조적 차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과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에 각각 결합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130 및 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130 및 140)의 말단들은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에 각각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 각각은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들(130 및 140)의 간격보다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구동 로울러(710)에서 피동 로울러(720)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라 함은 수평한 면에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 각각의 양 말단부에는 아래로 수직하게 짧게 연장된 수직 베이스 프레임(112 및 122)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베이스 프레임(112 및 122) 각각에는 아래 방향으로 고정구(150)가 마련되어 있다. 즉, 4개의 고정구(150)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구(150)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가 작업을 할 때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수직 베이스 프레임(112 및 122)에 인접한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 아래에는, 특히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들(130 및 140)과 만나는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 부분의 아래에는 4개의 이동용 바퀴(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용 바퀴(160)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를 사용할 때에는 고정구(150)의 길이를 아래로 길게 되도록 조정하여 이동용 바퀴(160)가 지면에 닿지 않게 하는 한편 고정구(150)가 지면에 닿게 하고, 반대로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구(150)의 길이를 짧게 조정하여 고정구(150)는 지면에 닿지 않는 한편 이동용 바퀴(160)가 지면에 닿게 한다.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120),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들(130 및 140) 및 수직 베이스 프레임(112 및 122)은 예를 들어, 스텐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프레임의 부분들도 마찬가지로 스텐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파이프는 예를 들어 40 x 40 mm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파이프는 중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각 파이프의 두께는 내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210 및 220)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높이방향이라 함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210 및 220)은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130 및 140)과 만나는 제1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부분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210 및 220)은 예를 들어,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파이프는 예를 들어 40 x 80 mm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높이방향 프레임(210 및 220)이 이 규격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10) 및 제1 또는 제2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130 또는 140) 상에 걸쳐서 형성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가 더욱 견고한 프레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각 파이프는 중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각 파이프의 두께는 내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높이방향 프레임(210)은 제2 높이방향 프레임(22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높이방향 프레임(220)보다 높은 제1 높이방향 프레임(210)의 위치에는 모터(74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75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높이방향 프레임(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사선방향 프레임(230)이 제1 높이방향 프레임(210)과 제1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130) 또는 제2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20)에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높이방향 프레임(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2 사선방향 프레임(240)이 제2 높이방향 프레임(220)과 제2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140) 또는 제2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12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선방향 프레임(230 및 240)의 경사각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사선방향 프레임(230 및 240)은 예를 들어, 40 x 40 mm 규격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제1 및 제2 사선방향 프레임(230 및 240)을 사용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작업자의 이러한 접근 용이성은 청소작업뿐만 아니라 이송용 벨트를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서,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310 및 320)이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210 및 220)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310 및 320)은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210 및 220) 각각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310 및 320)은 제1 및 제2 사선방향 프레임(230 및 240)의 상부에서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310 및 320)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형 파이프의 외경은 예를 들어 40mm일 수 있다.
하나의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이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310 및 320)의 말단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은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310 및 320)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다.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은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들(110 및 120) 한가운데 위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형 파이프의 외경은 예를 들어 60mm일 수 있다.
제1 고정판(510) 및 제2 고정판(520)이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의 양 말단에 용접에 의하여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하여 각각 결합한다. 이때, 제1 고정판(510)은 구동 로울러(71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고정판(520)은 피동 로울러(72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고정판(510) 및 제2 고정판(520)의 치수는 구동 로울러(710)의 직경 및 폭 그리고 벨트(30)의 폭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고정판(510) 및 제2 고정판(520)은 그것의 한 면의 중앙부분이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의 말단면과 결합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판(510) 및 제2 고정판(520)의 형상이 도 7에 (a)와 (b)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구동 로울러(710) 및 구동 로울러(710)를 제1 고정판(510)에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 측판(5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측판(530)은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과 결합하는 제1 고정판(510)의 면의 반대면에서, 제1 고정판(510)의 양 말단부에 각각 수직하게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판(530)은 제1 고정판(510)과의 결합을 위하여 제1 고정판(510)과 접촉하는 절곡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판(530)의 절곡부분에는 나사관통공이 형성되고 그러한 나사관통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 측판(530)의 절곡부분이 제1 고정판(5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측판(530)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1 고정판(510)에 결합하는 대신에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1 고정판(5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하여 제1 고정판(510)과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 로울러(710)는 모터(740)에 연결된다. 모터(740)는 작업자에 의하여 작동되어 구동 로울러(7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판(530)에는 구동 로울러(7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제1 측판(530)에 구동 로울러(7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해서는, 베어링 시스템이 제1 측판(530)에 설치되고 구동 로울러(710)가 베어링 시스템에 결합되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피동 로울러(720) 및 피동 로울러(720)를 제2 고정판(520)에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2 측판(540)을 포함한다. 제2 측판(540)에는 피동 로울러(7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 고정판(520), 제2 측판(540) 및 피동 로울러(720)의 결합구조는 제1 고정판(510), 제1 측판(530) 및 구동 로울러(710)의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벨트(30)의 장착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측판(540)을 제2 고정판(5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연장 측판(522)이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과 결합하는 제2 고정판(520)의 면의 반대면에서, 제2 고정판(520)의 양 말단부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된다. 제2 고정판(520)과 연장 측판(522)의 결합은 용접에 의할 수도 있고, 상기에서 언급한 다른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연장 측판(522)과 제2 측판(540)은 힌지결합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측판(522)과 제2 측판(540) 각각에 하나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그러한 체결공들에 볼트를 끼운 후 반대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힌지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강한 힘을 작용시키면 고정된 연장 측판(522)에 대하여 제2 측판(540)이 회동할 수 있는 한편, 약한 힘이 작용하는 동안에는 제2 측판(540)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연장 측판(522)과 제2 측판(540) 간의 마찰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범위는 예를 들어, 수평에서 수직까지 90도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제2 고정판(52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측판(522)은 피동 로울러(720)와 결합하는 제2 측판(540)과 직접 결합할 수도 있으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 장력조절구조를 도입하기 위하여 연장 측판(522)과 제2 측판(540) 사이에 장력조절용 측판(550)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 측판(522)과 제2 측판(540)은 장력조절용 측판(550)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한 쌍의 장력조절용 측판(550)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벨트(30)의 장착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장 측판(522)과 장력조절용 측판(550)은 힌지결합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력조절용 측판(550) 각각에는 장력조절구조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 장력조절구조가 도입될 때, 연장 측판(522)은 장력조절용 고정 프레임에 해당하고, 제2 측판(540)은 장력조절용 이동 프레임에 해당한다. 장력조절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장력조절용 측판(550)에는 장공(55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판(540)에는 돌기부(54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542)는 제2 측판(540)으로부터 연장되어 장력조절용 측판(550)의 장공(552) 밖으로 노출된다. 또한 장력조절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장력조절용 측판(550) 각각에 장력조절도구(600)가 설치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도구(600)는 고정부재(610), 나사부재(620) 및 결합부재(630)를 포함한다. 나사부재(62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측에서는 고정부재(610)와 나사결합하고, 타측에서는 결합부재(630)와 결합한다.
고정부재(610)는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력조절용 측판(550)에 결합한다. 장력조절용 측판(550)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부재(610)에는 2개의 나사체결공(616)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장력조절용 측판(550)에도 나사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나사체결공들에는 볼트가 관통하고, 볼트는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고정부재(610)는 장력조절용 측판(55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610)에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6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612) 내부에는 나사부(614)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612)의 단면 형상은 원형임은 당연하다. 고정부재(610)에 형성되는 중공(612)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관통되지 않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사부재(620)는 외형적으로 머리부(628)와 나사부(622)로 구분될 수 있다. 나사부(622)는 나사부재(62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고정부재(610)의 중공(612)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614)와 나사결합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외표면에 형성된다. 나사부(622)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머리부(628)는 스패너와 같은 도구에 의하여 나사부재(6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나사부(622)의 한 부분의 둘레에, 특히 나사부재(620)의 한 말단부에 형성된다. 나사부재(620)의 한 말단으로부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중공은 나사부재(62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약간 작은 소구경 중공(624)과 소구경 중공(624)에 연이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약간 큰 대구경 중공(626)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구경 중공(624)의 단면 형상은 당연히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재(630)는 머리부(632)와 삽입부(634)로 구분된다. 머리부(632)에는 제2 방향으로 개방된 홈(63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방향이라 함은 구동 로울러(710)에서 피동 로울러(720)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머리부(632)는 단면 및 측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634)는 머리부(632)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이라 함은 제2 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삽입부(634)의 단면 형상은 당연히 원형이고, 삽입부(634)와 결합하는 머리부(632) 부분의 면적은 삽입부(634) 단면의 면적보다 큰 것도 당연하다.
삽입부(634)의 말단부에는 환형 홈(미도시)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환형 홈에는 고무로 된 오링(O-Ring)(638)이 끼워져 있다. 오링(638)은 삽입부(634)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될 정도의 외경을 가진다.
삽입부(634)의 직경은 나사부재(620)의 소구경 중공(624)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서 삽입부(634)는 나사부재(620)의 소구경 중공(624)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634)에 장착된 오링(638)의 외경은 나사부재(620)의 소구경 중공(624)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그래서, 삽입부(634)를 나사부재(620)의 소구경 중공(624)에 끼울 때에는 힘을 강하게 작용시켜 오링(638)이 소구경 중공(624) 내에서 수축되게 억지끼움하여야 삽입부(634)가 나사부재(620)에 끼워진다. 반면에, 삽입부(634)에 장착된 오링(638)의 외경은 나사부재(620)의 대구경 중공(626)의 내경보다 약간 작거나 충분히 작다. 그래서, 삽입부(634)의 오링(638)이 나사부재(620)의 소구경 중공(624)에서는 억지끼움에 의하여 통과된 후 대구경 중공(626)에 위치하게 되면, 나사부재(620)가 회전하더라도 결합부재(630)는 나사부재(620)를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나사부재(620)가 고정부재(610)의 중공(612)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고, 결합부재(630)의 삽입부(634)가 나사부재(620)의 중공(624 및 626)에 삽입되며, 결합부재(630)의 머리부(632)에 형성된 홈(636)에 제2 측판(540)의 돌기부(542)가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부재(620)를 회전시켜 제2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나사부재(620)에 의하여 결합부재(630)가 밀려 제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결합부재(630)에 의하여 제2 측판(540)이 제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구조는 구동 로울러(710)와 피동 로울러(720) 사이에 끼워지는 벨트(30)의 장력이 증가되도록 조절한다. 한편, 나사부재(620)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진하면 결합부재(630)의 오링(638) 부분은 소구경 중공(624)과 대구경 중공(626) 경계에 형성되는 턱에 걸리게 되고, 그래서 결합부재(630)는 나사부재(620)를 따라 회전함이 없이 나사부재(620)를 따라 함께 제1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상기에서 설명한 장력조절도구(600)를 사용하는 장력조절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방법에 의하여 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20)는 에지 로울러(730)를 채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 피동 로울러(720)의 직경은 구동 로울러(7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는 에지 로울러(730)를 채용한다. 에지 로울러(730)를 채용하는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측판(540)에는 에지 로울러(730)가 피동 로울러(720)보다 제2 방향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에지 로울러(730)의 직경은 피동 로울러(7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피동 로울러(720)의 직경은 구동 로울러(7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에지 로울러(730)의 직경은 24mm이고, 피동 로울러(720)의 직경은 45mm일 수 있다. 에지 로울러(730)의 직경은 이보다 작게 예를 들어 10mm 이하로 설정될 수도 있다. 구동 로울러(710)의 직경은 80mm로 설정할 수 있다. 에지 로울러(730)는 피동 로울러(7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벨트 컨베이어 장치(10)에 벨트(30)를 장착하면, 구동 로울러(710)와 에지 로울러(730) 사이에서 벨트(30)가 수평을 이루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피동 로울러(720)는 하부에서만 벨트(30)와 접촉하고, 에지 로울러(730)와 피동 로울러(720) 사이에서 벨트(30)는 경사를 이루게 된다. 구동 로울러(710)와 피동 로울러(720) 사이에서 벨트(30)는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는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벨트(30)가 에지 로울러(730)와 피동 로울러(720)에 대하여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하게 하고, 또한 피동 로울러(720)보다 직경이 작은 에지 로울러(730)를 사용함으로써 에지 로울러(730)와 벨트(30) 간의 연결부분에서 유격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제품 이송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구동 로울러(710)와 피동 로울러(720) 사이에 걸쳐진 벨트(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로울러를 채용하는 대신에,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 및 하나 이상의 폭방향 지지판(90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제1 고정판(510)과 제2 고정판(520) 상에 그것들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결합한다.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직경이 매우 작고 길이가 긴 환형 막대 형상으로 된 것이다.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예를 들어 8mm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의 갯수는 제1 실시예에서 8개이고, 제2 실시예에서 6개이다.
이것들 중 가운데 2개는 다른 것들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벨트(30) 내면 가운데에 환형으로 설치된 이탈방지용 돌출부(미도시)가 그것들 사이에 유지되게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가운데 배치된 2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 간의 간격은 벨트(30) 내면에 설치된 이탈방지용 돌출부의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10-1028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동 로울러(710) 및 피동 로울러(720) 또는 구동 로울러(710), 피동 로울러(720) 및 에지 로울러(730)에는 안착홈(712, 722 및 732)이 그것들의 중앙 표면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 벨트(30)를 장착하여 운전하면, 벨트(30)의 이탈방지용 돌출부가 안착홈(712, 722 및 732) 및 가운데 배치된 2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유지되어 벨트(30)가 편심되거나 사행되는 것이 방지된다.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이 제1 고정판(510)과 제2 고정판(52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기 위하여,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510)과 제2 고정판(520)의 상측면으로부터 반원 형상의 지지봉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 안착홈의 직경은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mm일 수 있다.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제1 고정판(510)과 제2 고정판(520)의 상측면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하나 이상의 폭방향 지지판(9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3개의 폭방향 지지판(900)이 사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폭방향 지지판(900)은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과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되어 그것들과 결합한다. 폭방향 지지판(900)은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폭방향 지지판(900)은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상측면으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 형상의 지지봉 안착홈을 가진다. 폭방향 지지판(900)의 지지봉 안착홈의 직경도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mm일 수 있다.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폭방향 지지판(900)의 상측면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폭방향 지지판(900)은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하측면으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반원 형상의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안착홈을 가진다. 폭방향 지지판(900)의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안착홈의 직경은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길이방향 지지프레임(400)은 폭방향 지지판(900)의 하측면에서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에서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구동 로울러(710)와 피동 로울러(72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벨트(3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은 직경이 작은 환형 막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을 따라 거의 한 직선 부분에서만 벨트(3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벨트(30)와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80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줄이고, 벨트(30)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제품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및 20)는 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벨트(30)와 프레임 사이에 이물질이 떨 끼이는 프레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청소가 용이한 프레임구조를 가진다. 좀 더 말하면, 벨트(3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양 측면으로부터 벨트(30)의 내부를 접근할 수 있어 벨트(3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청소가 가능하고, 벨트(30)의 해체가 용이하므로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구조 자체가 청소를 용이하게 해준다.
10,20: 벨트 컨베이어 장치 30: 벨트
100: 베이스 프레임 110,120: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
112,122: 수직 베이스 프레임 130,140: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
150: 고정구 160: 바퀴
210,220: 높이방향 프레임 230,240: 사선방향 프레임
310,320: 폭방향 프레임 400: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510,520: 고정판 522: 연장 측판
530,540: 측판 542: 돌기부
550: 장력조절용 측판 552: 장공
600: 장력조절도구 610: 고정부재
612: 중공 614: 나사부
616: 나사체결공 620: 나사부재
622: 나사부 624,626: 중공
628: 머리부 630: 결합부재
632: 머리부 634: 삽입부
636: 홈 638: 오링
710,720,730: 로울러 712,722,732: 안착홈
740: 모터 750: 콘트롤박스
800: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 900: 폭방향 지지판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의 말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폭방향 프레임의 간격보다 길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상기 길이방향 지지프레임의 양 말단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하는 구동 로울러 설치용 제1 고정판 및 피동 로울러 설치용 제2 고정판,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측판 및 한 쌍의 제2 측판, 한 쌍의 상기 제1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로울러 및 한 쌍의 상기 제2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동 로울러, 상기 구동 로울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 상에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 및 상기 길이방향 벨트 지지봉과 상기 길이방향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그것들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폭방향 지지판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높이방향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사선방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길이방향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 베이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로울러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피동 로울러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측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연장 측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연장 측판은 힌지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로울러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피동 로울러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측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연장 측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장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은 장력조절용 측판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며,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에는 장력조절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구조는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에 형성된 장공, 상기 제2 측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장공 밖으로 노출된 돌기부, 및 장력조절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도구는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에 결합하고 중공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중공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부가 길이방향으로 외표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나사부재,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머리부에 형성된 상기 홈에 상기 제2 측판의 상기 돌기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나사부재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재가 밀려 상기 제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측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구조는 상기 구동 로울러와 상기 피동 로울러 사이에 끼워지는 벨트의 장력이 증가되도록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삽입부의 말단부에는 환형 홈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홈에는 고무로 된 오링(O-Ring)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중공은 그것의 말단부에서 직경이 상기 오링의 외경보다 작고, 말단부 안쪽에서 직경이 상기 오링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중공에 끼워질 때 상기 오링 부분이 끼워질 때에는 억지끼움의 의하여 끼워지고, 그 후에는 상기 나사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부재를 따라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나사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진할 때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오링 부분이 상기 나사부재에 걸려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나사부재를 따라 함께 제1 방향으로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의 말단부에는 도구에 의하여 나사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에는 에지 로울러가 상기 피동 로울러보다 제2 방향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지 로울러의 직경은 상기 피동 로울러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로울러의 직경은 상기 구동 로울러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지 로울러는 상기 피동 로울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벨트를 장착하면, 상기 피동 로울러는 하부에서만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상기 에지 로울러와 상기 피동 로울러 사이에서 상기 벨트는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측판과 상기 장력조절용 측판은 힌지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0220087032A 2022-07-14 2022-07-14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54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32A KR102549252B1 (ko) 2022-07-14 2022-07-14 벨트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32A KR102549252B1 (ko) 2022-07-14 2022-07-14 벨트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252B1 true KR102549252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32A KR102549252B1 (ko) 2022-07-14 2022-07-14 벨트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2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44A (ja) * 1995-05-31 1996-12-10 Temusu:Kk ベルトコンベア
US6427831B1 (en) * 1999-11-19 2002-08-06 Frank B. Norton Convertible conveyor bed and method
KR100592566B1 (ko) * 2003-10-21 2006-06-26 지성한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KR20200097049A (ko) * 2019-02-07 2020-08-18 백정기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KR102372006B1 (ko) * 2021-07-02 2022-03-08 이해용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44A (ja) * 1995-05-31 1996-12-10 Temusu:Kk ベルトコンベア
US6427831B1 (en) * 1999-11-19 2002-08-06 Frank B. Norton Convertible conveyor bed and method
KR100592566B1 (ko) * 2003-10-21 2006-06-26 지성한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KR20200097049A (ko) * 2019-02-07 2020-08-18 백정기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KR102372006B1 (ko) * 2021-07-02 2022-03-08 이해용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6298C2 (ru) Откидная стенка
US7398874B2 (en) Belt-driven accumulator for curved roller segment
US7997405B2 (en) Sanitary conveyor
US8967373B2 (en) Conveyor
US6371283B1 (en) Modular sanitary conveyor
US10759610B1 (en) Bulk material conveyor
JPH04354713A (ja) コンベヤ構造
US7347319B2 (en) Tilting roller
KR101785584B1 (ko) 누드 컨베이어
KR10254925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550443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조절구조
US7380653B2 (en) Shrink packaging articles using successive rollers with rotational axes at decreasing heights
US7350340B2 (en) Accommodating greater height variance of articles in shrink packaging machine
KR200488539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US6584664B2 (en) Sliding door repair apparatus kit and method
EP0652168A1 (en) Return pipe conveyer
KR20200097049A (ko)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US6913431B2 (en) Container unloading apparatus
CN111689133B (zh) 用于减震环的传输排料设备
MXPA05001557A (es) Uso de bupropion para tratar el sindrome de las piernas inquietas.
US20100038517A1 (en) Adjustable caster of indoor cook stove
KR101007557B1 (ko) 운전중 정비가 가능한 컨베이어
CN220461246U (zh) 一种便于调节辊缝的辊筛
JP2006111420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CN219688592U (zh) 一种物料分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