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049A -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049A
KR20200097049A KR1020190014303A KR20190014303A KR20200097049A KR 20200097049 A KR20200097049 A KR 20200097049A KR 1020190014303 A KR1020190014303 A KR 1020190014303A KR 20190014303 A KR20190014303 A KR 20190014303A KR 20200097049 A KR20200097049 A KR 2020009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ixing
frame
tension control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기
Original Assignee
백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기 filed Critical 백정기
Priority to KR102019001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049A/ko
Publication of KR2020009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5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수단(6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장력조절 수단(60)은 프레임(10)의 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되고 또한 피동롤러(40)의 축(41)의 양 단부를 컨베이어 벨트(5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와,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를 컨베이어 벨트(50)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00), 및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가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제한함과 더불어 상기의 수평상태로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를 프레임(10)에 각각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Conveyor apparatus with tension control function}
이 발명은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정교하게 조절함과 더불어,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쌓인 부스러기들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장치는 산업현장에서 원료나 기타 완성품을 이송하거나, 가공현장에서 육류 등을 운반하기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다수개의 롤러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컨베이어 벨트에 적당한 장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이 떨어지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의 사이에 마찰력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바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34954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볼트의 조임력 조절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특허등록 제0720310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였다. 또한, 특허등록 제1231218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이용해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조절 장치는 그 정밀도가 떨어져 정교한 장력조절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력조절 장치는 단지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만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를 청소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는 운반되는 제품의 부스러기들이 떨어져 계속적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런 부스러기들을 편리하게 청소하기 위한 구조를 종래의 장력조절 장치는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정교하게 조절함과 더불어,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쌓인 부스러기들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3495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2031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1218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더불어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쌓인 부스러기들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 쪽에 위치하는 피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피동롤러의 축의 양 단부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장력조절부와,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부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부가 상기 프레임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제한함과 더불어 상기 수평상태로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부를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동롤러의 축이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1 장홀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에 밀착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피동롤러의 축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제1 고정블록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고정된 제2 고정블록에 삽입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장력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장력조절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제1 고정블록을 밀착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볼트와 상기 제1 고정블록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제1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끼움홈의 둘레 표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더불어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므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쌓인 부스러기들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력조절 수단을 프레임에 대해 수평상태로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력조절 수단을 프레임에 대해 틸팅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결합 사시도들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는 이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20)와, 모터(20)에 결합되는 구동롤러(30)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롤러(도시안됨)와, 프레임(10)의 타측 쪽에 위치하는 피동롤러(40)와, 구동롤러(30), 회전롤러 및 피동롤러(40)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50), 및 프레임(10)의 타측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동롤러(40)를 지지함과 더불어 피동롤러(40)를 컨베이어 벨트(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컨베이어 벨트(5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컨베이어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10), 모터(20), 구동롤러(30), 회전롤러 및 피동롤러(40)는 일반적인 컨베이어 장치를 구성하는 해당 구성요소들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력조절 수단을 프레임에 대해 수평상태로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력조절 수단을 프레임에 대해 틸팅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결합 사시도들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장력조절 수단(60)은 프레임(10)의 타측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되, 프레임(10)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장력조절 수단(60)은 피동롤러(40)의 축(41)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피동롤러(40)의 축(41)의 양 단부를 컨베이어 벨트(5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컨베이어 벨트(5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력조절 수단(60)은 프레임(10)의 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되고 또한 피동롤러(40)의 축(41)의 양 단부를 컨베이어 벨트(5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와,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를 컨베이어 벨트(50)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00), 및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가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제한함과 더불어 상기의 수평상태로 한 쌍의 장력조절부(100)를 프레임(10)에 각각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력조절부(100)는 프레임(10)의 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힌지부재(11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피동롤러(40)의 축(41)이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1 장홀(121)을 갖는 고정부재(120)와, 고정부재(120)의 외측 표면에 밀착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130)와, 슬라이드부재(130)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피동롤러(40)의 축(41)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40), 및 고정부재(120)에 고정된 제1 고정블록(122)에 나사 결합되고 슬라이드부재(130)에 고정된 제2 고정블록(131)에 끼움 밀착되어 슬라이드부재(130)를 고정부재(1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장력조절 볼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연결부재(200)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으로서, 피동롤러(40)의 축(41)이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1 장홀(121)과, 슬라이드부재(130)를 고정부재(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두 쌍의 결합볼트(132)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제2 장홀(123), 및 장력조절 볼트(150)가 나사 체결되는 제1 고정블록(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장홀(121)은 피동롤러(40)의 축(41)이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제2 장홀(123)은 결합볼트(132)의 헤드가 제2 장홀(123)의 외측 표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고정블록(122)에는 장력조절 볼트(150)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30)는 두 쌍의 결합볼트(132)에 의해 고정부재(120)의 외측 표면에 밀착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장력조절 볼트(150)의 단부가 끼움 밀착되는 제2 고정블록(131)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고정블록(131)은 장력조절 볼트(150)의 단부가 끼움 밀착되는 홈을 일부 깊이까지만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력조절 볼트(150)를 회전시키면, 장력조절 볼트(150)의 단부 부분이 제2 고정블록(131)의 홈에서 공회전하면서 슬라이드부재(130)를 컨베이어 벨트(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슬라이드부재(130)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피동롤러(40)의 축(41)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장력조절 볼트(150)는 고정부재(120)의 제1 고정블록(122)에는 나사 결합되고 슬라이드부재(130)의 제2 고정블록(131)에는 끼움 밀착되어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30)를 고정부재(1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켜 컨베이어 벨트(5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장력조절부(100)는 장력조절 볼트(15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부재(120)의 제1 고정블록(122)을 밀착함으로써, 장력조절 볼트(150)와 제1 고정블록(122)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제1 고정너트(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고정부재(120)를 컨베이어 벨트(50)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300)는 장력조절부(100)가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제한함과 더불어 상기의 수평상태로 장력조절부(100)를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300)는 고정부재(120)의 하부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끼움홈(310)과, 프레임(1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되어 끼움홈(310)에 끼워지는 고정볼트(320), 및 고정볼트(320)에 나사 체결되어 끼움홈(310)의 둘레 표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고정부(300)는 끼움홈(310)의 둘레 표면과 제2 고정너트(3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볼트(320)에 끼워져 끼움홈(310)의 둘레 표면에 밀착되는 와셔(3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끼움홈(310)은 고정볼트(320)에 원활하게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되, 고정볼트(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인 컨베이어 장치에서와 같이 해당 구성요소들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50)의 장력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장력조절 볼트(15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장력조절 볼트(150)와 나사 체결된 고정부재(120)의 제1 고정블록(122)에 대해서는 컨베이어 벨트(50)의 길이방향으로 장력조절 볼트(150)가 점점 이동하고, 장력조절 볼트(150)의 단부부분과 공회전하도록 끼워진 슬라이드부재(130)의 제2 고정블록(131)에 대해서는 장력조절 볼트(150)가 공회전하게 된다. 즉, 장력조절 볼트(150)를 회전시키는 정도의 장력이 제2 고정블록(131)을 통해 슬라이드부재(130)에 전달되어, 슬라이드부재(130)에 고정된 지지부재(140)를 거쳐 피동롤러(40)의 축(41)에 전달된다. 그로 인해, 장력조절 볼트(150)의 회전 정도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50)의 장력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하다가 컨베이어 벨트(50)의 하부에 쌓인 부스러기들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볼트(320)에 나사 체결된 제2 고정너트(330)를 각각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장력조절 수단(60)을 프레임(10)에 대해 전체적으로 상부방향으로 틸팅시킨다. 그러면, 팽팽한 상태의 컨베이어 벨트(50)가 느슨한 상태를 갖게 되고, 하부 쪽의 컨베이어 벨트(50)는 하부방향으로 쳐지게 된다. 그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50)의 하부공간이 외부로 개방됨에 따라 공기나 물을 분사하여 컨베이어 벨트(50)의 하부공간에 쌓인 부스러기들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컨베이어 벨트(50)의 하부공간에 대한 청소가 완료되면, 장력조절 수단(60)을 원위치시킨다. 즉, 고정부(300)의 끼움홈(310)에 고정볼트(320)를 끼우고, 제2 고정너트(330)를 조여 고정부재(120)를 프레임(10)에 고정하여, 장력조절부(100)가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컨베이어 벨트(50)는 다시 팽팽한 상태를 갖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운전하여 원하는 제품을 운반하면 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모터
30 : 구동롤러 40 : 피동롤러
41 : 축 50 : 컨베이어 벨트
60 : 장력조절 수단
100 : 장력조절부 110 : 힌지부재
120 : 고정부재 121 : 제1 장홀
122 : 제1 고정블록 123 : 제2 장홀
130 : 슬라이드부재 131 : 제2 고정블록
132 : 결합볼트 140 : 지지부재
150 : 장력조절 볼트 160 : 제1 고정너트
200 : 연결부재 300 : 고정부
310 : 끼움홈 320 : 고정볼트
330 : 제2 고정너트 340 : 와셔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 쪽에 위치하는 피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피동롤러의 축의 양 단부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장력조절부와,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부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부가 상기 프레임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제한함과 더불어 상기 수평상태로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부를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동롤러의 축이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1 장홀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에 밀착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피동롤러의 축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제1 고정블록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고정된 제2 고정블록에 삽입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장력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장력조절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제1 고정블록을 밀착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볼트와 상기 제1 고정블록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제1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끼움홈의 둘레 표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190014303A 2019-02-07 2019-02-07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KR20200097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03A KR20200097049A (ko) 2019-02-07 2019-02-07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03A KR20200097049A (ko) 2019-02-07 2019-02-07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49A true KR20200097049A (ko) 2020-08-18

Family

ID=7226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303A KR20200097049A (ko) 2019-02-07 2019-02-07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0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705B1 (ko) * 2022-08-04 2023-02-23 한국물류설비제작소 주식회사 싱귤레이터 컨베어
KR102549252B1 (ko) * 2022-07-14 2023-06-28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954A (ko) 1996-11-09 1998-08-05 박병재 차량에어콘의 냉매 과충전 방지장치
KR100720310B1 (ko) 2006-09-19 2007-05-21 서달문 컨베이어 벨트 교환 및 텐션조절 장치
KR101231218B1 (ko) 2011-08-29 2013-02-28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용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954A (ko) 1996-11-09 1998-08-05 박병재 차량에어콘의 냉매 과충전 방지장치
KR100720310B1 (ko) 2006-09-19 2007-05-21 서달문 컨베이어 벨트 교환 및 텐션조절 장치
KR101231218B1 (ko) 2011-08-29 2013-02-28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용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252B1 (ko) * 2022-07-14 2023-06-28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502705B1 (ko) * 2022-08-04 2023-02-23 한국물류설비제작소 주식회사 싱귤레이터 컨베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50061B (zh) 用于绗缝的纺织品切割与输运系统
KR20200097049A (ko)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EP2910501B1 (en) Conveyor belt tracking mechanism and conveyor employing the same
US3993185A (en) Sanitary conveyor
US6820734B1 (en) Conveyor belt cleaner tensioning device
JP5052951B2 (ja) ベルトコンベア及びそのベルト緊張度合い調整装置
KR100961048B1 (ko) 벨트 연마 장치
AU612774B2 (en) Loading roller conveyor with drive via intermediate rollers
KR101651996B1 (ko) 널링 가공기
JP2005179017A (ja) ベルトゆるめ装置
KR200293013Y1 (ko)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US6468140B1 (en) Swinging device for a sanding machine
KR102550443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조절구조
CA2299651C (en) Belt sander with control bar
CN105858191A (zh) 一种自动化板材夹持转移设备
KR10254925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JP2018084243A (ja) 一軸アクチュエータ装置
CA2067830C (en) Automatic mechanical centering device for endless belts moving on rollers
KR100931654B1 (ko) 폭 압연용 에저롤의 쵸크 분해 및 조립 장치
JPH0738252Y2 (ja) ベルトコンベアー
CN219383763U (zh) 一种新型输送机
CN117416698B (zh) 一种输送带用除尘装置
JPH0610221U (ja) 金属検出機用ベルト簡易着脱型コンベヤー
KR101918397B1 (ko) 경사형 컨베이어장치
AU760781B2 (en) Conveyor belt cleaner tensio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