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013Y1 -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013Y1
KR200293013Y1 KR2020020022749U KR20020022749U KR200293013Y1 KR 200293013 Y1 KR200293013 Y1 KR 200293013Y1 KR 2020020022749 U KR2020020022749 U KR 2020020022749U KR 20020022749 U KR20020022749 U KR 20020022749U KR 200293013 Y1 KR200293013 Y1 KR 200293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belt conveyor
frame
cir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왕
김유진
심선종
심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산업
심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산업, 심재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산업
Priority to KR2020020022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013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벨트를 가압하여 벨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벨트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선단과 후단에 헤드드럼과 테일드럼이 설치되고, 헤드드럼과 테일드럼에는 순환되는 벨트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장력을 조절하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벨트가 상부면과 접촉되어 순환되며, 순환되는 벨트의 사행(蛇行)을 방지하도록 벨트 양측면을 지지하는 플랜지가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 사이로 순환되는 벨트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벨트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작업자가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필요없이 작업에만 매진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의 장력조정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ng of relaxation of belt conveyer }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벨트를 자동으로 가압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벨트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무한궤도 모양으로 형성된 고무재 벨트의 순환에 의하여 일정거리까지 물건을 이송하는데 사용되거나, 제품의 조립 등을 하기 위하여 작업대로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10)의 후단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벨트컨베이어(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벨트컨베이어(10)는 양측으로 설치된 프레임(6)과, 프레임(6)의 선단과 후단에 설치된 헤드드럼(2) 및 테일드럼(4)과, 헤드드럼(2)과 테일드럼(4)에 설치되는 벨트(1)와, 프레임(6)을 지지하는 포스트(14)로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6)의 상부에는 벨트(1)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벨트(1)의 순환을 돕는 벨트케리어(7)가 헤드드럼(2)과 테일드럼(4)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며, 프레임(6)의 하부에는 벨트(1)의 처짐을 방지하는 아이들러(8)가 설치된다.
물론, 벨트(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케리어(7)의 상부면과, 아이들러(8)의 상부면을 경유하여 설치되며, 헤드드럼(2)은 체인(13)이나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일측에 설치된 감속모터(12)와 연결된다.
그리고, 프레임(6)의 후단에는 벨트(1)가 회전하면서 사행(蛇行)되어 프레임(6)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롤러(9)가 브레킷(9a)에 의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사이드롤러(9)의 후방인 프레임(6)의 후단 단부에는 테일드럼(4)을 전·후로 이동하여 벨트(1)의 장력을 조절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는 프레임(6)의 후단에 설치되는 'ㄷ'자형의 가이드프레임(22)과, 가이드프레임(22)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이드프레임(22)을 따라 왕복하며, 테일드럼(4)의 양단에 형성된 중심축(4a)이 고정설치되는 왕복플레이트(24)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프레임(22)의 후단을 관통하여 왕복플레이트(24)의 후단에 장착되는 리드스크류(26)와, 가이드프레임(22)의 후단으로 돌출된 리드스크류(26)에 체결되는 너트(2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10)는 감속모터(12)의 구동에 의하여 체인(13)이 헤드드럼(2)을 회전시키게되고, 헤드드럼(2)의 회전에 의하여 벨트(1)도 순환되며, 벨트(1)의 순환에 의하여 테일드럼(4)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벨트(1)는 벨트케리어(7)와 아이들러(8)에 의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이 처지지 않고 원활하게 순환되며, 순환에 의하여 벨트(1)가 사행될 경우에는 사이드롤러(9)가 순환되는 벨트(1)의 측면을 지지해주므로 벨트(1)는 프레임(6)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계속 회전된다.
물론, 벨트(1)는 장기간 사용하면, 계속되는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찰열과, 운반되는 운반물의 하중에 의하여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헤드드럼(2) 및 테일드럼(4)과의 밀착력이 감소되어 미끄럼이 발생하여 순환이 되지않게 된다.
특히, 운반되는 운반물이 모래나 석재, 흙, 금속 등의 비중이 큰 것일 경우에는 벨트(1)가 더욱 빨리 늘어날 뿐만 아니라 많이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벨트(1)가 늘어날 경우에는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의 너트(28)를 조이게 되면, 리드스크류(26)는 가이드프레임(22)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더욱돌출되고, 이로 인하여 왕복플레이트(24)도 가이드프레임(22)의 내부를 따라 후진하면서 테일드럼(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헤드드럼(2)과 테일드럼(4)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므로 벨트(1)는 이완되지 않고 다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와 달리 왕복플레이트(24')가 가이드프레임(22')의 상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는 프레임(6)의 후단에 장착는 가이드프레임(22')과, 가이드프레임(22')의 상단에 설치되고, 테일드럼(4)의 양단에 형성된 중심축(4a)이 고정설치된 왕복플레이트(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왕복플레이트(24')의 후단에 장착되는 리드스크류(26') 및 리드스크류(26')에 체결되는 너트(28')와, 가이드프레임(22')의 상단 끝부분에 장착되어 리드스크류(26')가 관통되는 고정고리(22a)로 구성되며, 너트(28')는 고정고리(22a)를 관통하여 돌출된 리드스크류(26')에 체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 역시 너트(28')를 조이면 리드스크류(26')가 후퇴하게 되어 왕복플레이트(24')를 후진시키게 되고, 왕복플레이트(24')의 후진에 의하여 테일드럼(4) 역시 후진하게 되므로 벨트(1)는 다시 팽팽하게 되며, 가이드프레임(22')은 왕복플레이트(24')의 후진시 왕복플레이트(24')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레일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 20')는 벨트(1)가 늘어질 경우 벨트(1)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일일 너트(28, 28')를 조여서 테일드럼(4)을 후진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컨베이어(10)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공간부족으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 20')를 조정하기가 불가능한 문제도 있었다.
특히, 작동중인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20, 20')를 조정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나 옷이 구동중인 테일드럼(4)과 벨트(1)로 딸려들어가작업자가 부상당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리드스크류(26, 26')가 부식되거나 이물질이 융착될 경우에는 너트(28, 28')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가 늘어질 경우 벨트를 가압하여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텐션부재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벨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프레임의 하부로 순환되는 벨트의 양측을 가이드하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와 리턴롤러를 갖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 이완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텐션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벨트 2: 헤드드럼
4: 테일드럼 6: 프레임
10: 벨트컨베이어 40: 가이드롤러
50: 텐션장치 52: 실린더
54: 로드 56: 리턴롤러
57: 탄성부재 58: 크로스바
60: 각도조절장치 62: 턴버클
100: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는, 프레임의 선단과 후단에 헤드드럼과 테일드럼이 설치되고, 헤드드럼과 테일드럼에는 순환되는 벨트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장력을 조절하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벨트가 상부면과 접촉되어 순환되며, 순환되는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벨트 양측면을 지지하는 플랜지가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 사이로 순환되는 벨트를하부쪽으로 가압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텐션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는(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과, 프레임(6)의 선단과 후단에 설치된 헤드드럼(2) 및 테일드럼(4)과, 헤드드럼(2)과 테일드럼(4)에 설치되는 벨트(1)와, 프레임(6)을 지지하는 포스트(14)로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10)의 프레임(6) 하부에 설치된다.
이렇게, 프레임(6)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에 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부면으로 벨트(1)가 접촉되어 순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40)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40)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부재(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롤러(4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이드롤러(40)는 양측 단부 중앙에 형성된 중심축(40a)이 프레임(6) 하단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베어링(미도시)을 갖는 행거(6a)에 삽입되어 프레임(6)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행거(6a)의 이격으로 인하여 가이드롤러(40)도 일정간격 이격되며, 가이드롤러(40)의 플랜지(42) 사이로는 벨트(1)가 삽입되는데, 가이드롤러(40)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순환되도록 가이드롤러(40)의 상부로 삽입된다.
한편, 이격된 가이드롤러(40)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부재(50)에 대하여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텐션부재(5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단이 프레임(6)에 힌지(52b)고정되고, 플랜지(52a)가 하단에 형성된 한쌍의 실린더(52)와, 한쌍의 실린더(52) 내부에 상단 일부가 삽입되고, 중간 부분에 원판형의 칼라(54a)를 가지며 하단에 베어링(미도시)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징(54b)이 부착된 한쌍의 로드(54)로 구성된다.
이때, 로드(54)의 상단 외주면으로는 압축코일스프링(57a)과 같은 탄성부재(57)가 삽입되며, 삽입된 탄성부재(57)는 로드(54)의 칼라(54a)에 의하여 하부가 단속되고, 실린더(52)의 플랜지(52a)에 의하여 상부가 단속되어 로드(54)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탄성부재(57)는 압축코일스프링만(57a)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자체탄성력이 있는 고무재의 슬리브 등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실린더(52)의 일측에는 힌지(52b)에 의하여 회동되는 실린더(52)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재(60)가 프레임(6)과 연결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각도조절부재(60)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왼나사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오른나사로 이루어진 턴버클(62)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텐션부재(50)는 양측 단부에 사이드플랜지(56b)가 형성되고, 양단 중앙에 형성된 중심축(56a)이 로드(54)의 하단에 형성된 베어링하우징(54b)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턴롤러(56)로 구성된다.
이때, 리턴롤러(56)의 하부면에는 가이드롤러(40)로 부터 유입된 벨트(1)가 밀착되어 순환되는데, 벨트(1)는 리턴롤러(56)의 하부면과 밀착될 뿐만 아니라 사이드플랜지(56b)의 사이로 삽입되어 순환된다.
여기서, 가이드롤러(40)와 텐션부재(50)의 리턴롤러(56)를 경유하는 벨트(1)에 대하여 설명하면, 벨트(1)는 이격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40)의 상부면과 가이드롤러(40) 사이에 설치된 리턴롤러(56)의 하부면을 경유하면서 역삼각형으로 굴절되어 순환된다.
한편, 한쌍의 실린더(52) 사이와 한쌍의 로드(54) 사이에는 크로스바(58)가 설치되며, 크로스바(58)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각각의 실린더(52)와 로드(54)는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감속모터(12)의 구동으로 벨트컨베이어(10)의 헤드드럼(2)이 구동되어 벨트(1)가 순환되며, 순환되는 벨트(1)는 가이드롤러(40)의 상부면과 텐션부재(50)의 리턴롤러(56) 하부면을 경유하여 순환된다.
이때, 가이드롤러(40)의 플랜지(42)와 리턴롤러(56)의 사이드플랜지(56b)는 순환되는 벨트(1)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벨트(1)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텐션부재(50)는 가이드롤러(40)의 사이에서 벨트(1)를 하부쪽으로 가압하여 벨트(1)가 팽팽해 지도록 하여 벨트(1)의 장력을 유지하여준다.
물론, 텐션부재(50)는 실린더(52)의 플랜지(52a)와 칼라(54a)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7)의 탄성력으로 로드(54)가 실린더(52)에서 신장되도록 하여 리턴롤러(56)가 벨트(1)를 가압하도록 하므로 벨트(1)는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된다.
즉, 탄성부재(57)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리턴롤러(56)는 벨트(1)를 가압하게 되므로 벨트(1)는 자동으로 장력이 유지되며, 이로 인하여 벨트(1)는 이완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벨트(1)의 이완상태에 비하여 텐션부재(50)의 길이가 길을 경우에는 텐션부재(50)의 각도조절장치(60)인 턴버클(62)을 조절하여 텐션부재(50)가 수직이 아닌 경사상태로 만들어 텐션부재(50)의 수직 길이를 감소 시켜 보정한다.
다시 말하면, 턴버클(62)을 조정하면 실린더(52)가 프레임(6) 쪽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지면서 회동되어 텐션부재(50)는 경사를 이루게는데, 실린더(52)가 회동될 경우 실린더(52)와 로드(54)에 설치된 크로스바(58)에 의하여 한쌍의 실린더(52)와 로드(54)는 함께 회동된다.
물론, 한쌍의 로드(54)는 이와 같이 턴버클(62)을 조절할 경우에만 크로스바(58)에 의하여 함께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57)의 탄성력에 따라 로드(54)가 실린더(52)에서 수축 및 신장될 때에도 함께 작동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는 텐션부재(50)의 로드(54)가 탄성부재(57)에 의하여 자동으로 신축되므로 벨트(1)가 항상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벨트(1)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롤러(40)와 텐션부재(50)의 리턴롤러(56)에 형성된 플랜지(42)와 사이드플랜지(56b)가 순환되는 벨트(1)의 양측면을 지지하므로 벨트(1)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항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는,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된 벨트가 장시간 순환되어 늘어져도 텐션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장력이 조절되므로 벨트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장력이 조절되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벨트의 장력을 확인하여 조절할 필요없이 작업에만 매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컨베이어를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여도 벨트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지속적인 벨트의 순환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벨트가 순환되면서 자동으로 장력이 조절되므로 벨트가 순환되는 도중에 작업자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순환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다가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프레임(6)의 선단과 후단에 헤드드럼(2)과 테일드럼(4)이 설치되고, 헤드드럼(2)과 테일드럼(4)에는 순환되는 벨트(1)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1) 장력을 조절하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고, 벨트(1)가 상부면과 접촉되어 순환되며, 순환되는 벨트(1)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벨트(1) 양측면을 지지하는 플랜지(42)가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40)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40)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40) 사이로 순환되는 벨트(1)를 하부쪽으로 가압하여 벨트(1)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부재(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50)는 하단에 플랜지(52a)를 가지며 상단이 상기 프레임(6) 양측에 힌지(52b)장착되어 회동되는 한쌍의 실린더(52);
    한쌍의 실린더(52) 내부에 삽입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되고, 중간 부분에 칼라(54a)를 가지며, 하단에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징(54b)이 부착된 한쌍의 로드(54);
    상기 로드(54)에 부착된 베어링하우징(54b)에 양단의 중심축(56a)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사이드플랜지(56b)를 가지며, 상기 벨트(1)가 하부면에 접촉되어 순환되는 리턴롤러(56) 및;
    로드(54)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로드(54)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과 하단이 실린더(52)의 플랜지(52a)와 로드(54)의 칼라(54a)에 단속되는 탄성부재(5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52)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6)과 연결되어 실린더(52)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실린더(52)와 로드(54) 사이에는 크로스바(58)가 각각 설치되어 서로 이격된 실린더(52)와 로드(54)는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KR2020020022749U 2002-07-30 2002-07-30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KR200293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49U KR200293013Y1 (ko) 2002-07-30 2002-07-30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49U KR200293013Y1 (ko) 2002-07-30 2002-07-30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013Y1 true KR200293013Y1 (ko) 2002-10-25

Family

ID=7307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49U KR200293013Y1 (ko) 2002-07-30 2002-07-30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01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43B1 (ko) * 2007-03-15 2008-04-21 서석호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롤링 방지장치
KR101010616B1 (ko) 2003-08-22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자동조정장치
KR101566927B1 (ko) 2010-02-18 2015-11-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KR20190018310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포스코 세그먼트 롤러, 벨트 컨베이어 및 벨트 컨베이어 해체 방법
CN112777243A (zh) * 2021-01-08 2021-05-11 广东磊蒙智能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自主张紧皮带轮
CN115159024A (zh) * 2022-06-28 2022-10-11 宝阳装备科技(淮安)有限公司 智能可控式物料运输系统及装置
KR102522872B1 (ko) * 2022-09-20 2023-04-17 김윤호 정렬 배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16B1 (ko) 2003-08-22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자동조정장치
KR100823843B1 (ko) * 2007-03-15 2008-04-21 서석호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롤링 방지장치
KR101566927B1 (ko) 2010-02-18 2015-11-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KR20190018310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포스코 세그먼트 롤러, 벨트 컨베이어 및 벨트 컨베이어 해체 방법
CN112777243A (zh) * 2021-01-08 2021-05-11 广东磊蒙智能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自主张紧皮带轮
CN115159024A (zh) * 2022-06-28 2022-10-11 宝阳装备科技(淮安)有限公司 智能可控式物料运输系统及装置
CN115159024B (zh) * 2022-06-28 2023-12-19 宝阳装备科技(淮安)有限公司 智能可控式物料运输装置
KR102522872B1 (ko) * 2022-09-20 2023-04-17 김윤호 정렬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9302A (en) Modular conveyor units and spiral conveyors constructed therefrom
KR200293013Y1 (ko) 벨트컨베이어 이완방지장치
US20080011587A1 (en) Side-flexing Conveyor Module With Detachable Roller Assembly
US201901527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conveyor
US5967296A (en) Transfer conveyor
ES2191997T3 (es) Dispositivo para la elaboracion de articulos laminares flexibles.
CN210504294U (zh) 链子输送机
CA2317862A1 (en) Portable conveyor belt scale
CN104670814A (zh) 一种铝型材集成输送装置
CN106956897B (zh) 一种多节悬臂式伸缩机
JPH11189319A (ja) 可倒式キャリアローラースタンド
SU13282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между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 установленными конвейерами
CN203652597U (zh) 一种铝型材集成输送装置
JPH03270Y2 (ko)
US5458229A (en) Belt centering roller and magnetic separator incorporating the same
CN212686662U (zh) 一种自动调节式皮带输送机
KR20090010132U (ko) 컨베이어
SU1047792A1 (ru) Качающийс конвейер
CN213770187U (zh) 一种工业用方便拆装的柔性带张紧机构
DE69100276T2 (de) Parallele Stangenförderer.
RU2720964C2 (ru) Стационар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US5636575A (en) Conveyor speed retarder
CN210175732U (zh) 一种摩擦带滚筒输送机
KR0113111Y1 (ko)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KR970061731A (ko) 소형벨트컨베이어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