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111Y1 -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111Y1
KR0113111Y1 KR2019940014522U KR19940014522U KR0113111Y1 KR 0113111 Y1 KR0113111 Y1 KR 0113111Y1 KR 2019940014522 U KR2019940014522 U KR 2019940014522U KR 19940014522 U KR19940014522 U KR 19940014522U KR 0113111 Y1 KR0113111 Y1 KR 0113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ase plate
tension
movable bas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645U (ko
Inventor
오상명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14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111Y1/ko
Publication of KR960001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 또는 제품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의 롤러와 롤러 사이에 동력을 전달토록 된 체인의 텐션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탄성부제를 내장하여 그 탄송부재의 가압력으로 항상 일정한 체인텐션이 유지되도록한 체인 텐션 자동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인 텐션 스프로켓(210)을 지지하는 가둥베이스 플레이트(10)는 베이스 빔(110)의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에서 활주 가능토록 되고, 상기 체인 텐션 스프로켓(210)은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장착된 탄성부재(30)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됨으로써 체인에서 체인텐션 스프로켓(210)이 이탈되지 않으며, 탄성 부재(30)로서 일정한 체인텐션이 유지된다.

Description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제1도는 체인 텐션조정장치를 채용하는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체인 조정장치를 도시하며, (a)도는 정면도이고, (b)도는(a)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인텐션 자동 조정장치를 도시하며 (a)도는 정면도이고, (b)도는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 20 : 고정베이스 플레이트
30 : 탄성부재 40 : 탄성부재 수용부재
50 : 브라켓(bracket)
본 고안은 부품 또는 제품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의 롤러와 롤러 사이에 동력을 전달토록 된 체인의 텐션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탄성부재를 내장하여 그 탄성부재의 가압력으로 항상 일정한 체인텐션이 유지되도록 한 체인 텐션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을 조립하여 생산하거나 조립이 완료된 제품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 빔(110)상부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된 다수개의 롤러(120)는 체인 스프로켓(130)을 장착하며 상기 체인 스프로켓(130)에 체인(140)이 연결되어 모터(150)로서 구동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체인(140)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핀 링크 홀, 부시내경 및 핀외경 마모등이 발생하고, 상기 마모에 의해 각 체인 요소간의 길이(1)이 증가하며, 따라서 롤러(120)를 연결하는 체인(140)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여 체인(140)이탈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체인(140)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대응하기 위한 장치가 체인 텐션 조정장치(200)로서, 종래의 체인 텐션 조정장치가 제2도에 도시된다. 종래의 체인 텐션 조정장치(200)는 베이스 빔(110)에 장착된 체인 텐션 스프로켓(210)으로 체인(140)의 텐션을 조정토록 한 것으로, 상기 텐션 스프로켓(210)은 베어링(211)을 매개로 축(212)에 장착하고, 상기 축(212)은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의 상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는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장공(231)에 보울트부재(241)로서 장착된다.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가 상하로 활주시, 그 활주에 의해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232)가 고정베이스 플레이트(230)에 고정되며, 상기 기동 베이스 플레이트(240)는 그 하단부가 절곡되어 그 절곡부(242)에는 관통공(242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242a)은 그 하부의 보울트부재(250)와 연결된다. 상기 보울트부재(250)는 고정베이스 플레이트(230)의 하측부에 나사 결합되고, 그 단부는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보울트부재(250)의 상하이동을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에 전달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종래의 체인텐션 조정장치(200)에 있어서는, 텐션 스프로켓(210)이 체인(140)의 하측에 맞물려 회전토록 되고, 상기 체인(140)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우선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를 고정토록 된 보울트부재(241)를 풀어 느슨하게 한 후,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보울트부재(25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40)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체인(140)에 적절한 텐션이 가해졌다로 판단되면 보울트부재(250)의 회전을 멈추고, 상기 보울트부재(241)이 조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체인 텐션 조정장치(200)는 각 체인(140) 마다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140)의 텐션을 조정하는 경우에 그 각각의 체인 텐션 조정장치(200)를 일일이 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만아니라, 수동에 의한 체인텐션 조정으로 각각의 체인마다 서로 텐션이 다르기 때문에 체인 이탈 등의 사고를 전혀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체인의 텐션을 탄성부재로서 항상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으로서, 체인이 늘어나는 길이에 대응하여 체인 텐션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자동조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체인 텐션 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체인에 결합된 체인 텐션 스프로켓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있는 가동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이스 빔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인과 수직방향으로 이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는 체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반성반발력을 제공받아 체인텐션 스프로켓이 체인을 밀어 그 체인에 적정한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는 체인 텐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돌기를 길이방향에 연속하여 형성하여 그 돌기가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에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길이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홈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고정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탄성부재수용부재에 수용되어 일단이 가동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재의 너투부재에 나사체결된 조정보울트부재의 원판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가동베이스 플레이트의 체인텐션스프로켓에 체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을 특징으로하는 체인텐션 자동 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인텐션 다공조절장치를 채용한 롤러 테이블을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정면도이고, (b)도는 (a)도의 측면도이다. 도면상의 (110)으로 도시된 것은 롤러 테이블의 베이스 빔이고, 상기 베이스 빔(110)에 브라켓(111)을 매개로 하여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일측면에 내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더 커지도록 된 요홈(21)을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상기 요홈(21)이 끝나는 하부측에 스토퍼(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베이스 플레이트(20)의 요홈(21)에 수용되는 돌기(11)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갖추어 그 요홈(21)을 따라 길이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하며, 따라서 돌기(11)를 형성한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는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에서 활주가능하게 된 것이고,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일측면의 상측단부에 수평방향의 축(212)을 고정하며, 상기 축(212)에는 체인텐션 스프로켓(210)이 베어링(211)을 매개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고정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브라켓(5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 탄성부재수용부재(40)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41)와 상부 수용부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수용부재(41)와 상부 수용부재(42)는 나사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40)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되며, 상부 밀폐벽(42')의 중앙부에 형성된 보울트 부재 관통공(42a)으로 관통된 조정 보울트 부재(60)는 상기 수용부재(40)의 상부 밀폐벽(42')상부면에 용접등으로 고정된 너트부재(5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며, 상기 조정 보울트 부재(50)의 하단면에는 원판(52)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조정 보울트부재(60)의 원판(52) 하단면과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 돌출부(12) 상단면과의 사이에는 탄성부재 (30)가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12)의 직경은 하부 수용부재(41)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미설명부호(23)은 그리스(grease)주입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빔(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본 장치의 체인 텐션스프로켓(210)은 그 하부측으로 체인(140)이 맞물리고 상기 체인(140)이 장시간의 사용으로 길아가 늘어나는 경우, 상기 체인(140)에 맞물려 회전되는 체인 텐션 스프로켓(210)을 지지하고 있는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는, 그 상부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 및,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요홈(21)에 수용되어 활주가능토록 된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기(11)에 의하여, 늘어난 체인(140)의 길이에 대응되는 변위만큼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체인(140)의 길이가 늘어난다 해도 체인텐션 스프로켓(210)은 늘어난 체인(140)에 장력을 가해주기 때문에 체인(140)의 장력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을 하부측으로 밀어 체인 장력을 조정토록 하였으나, 탄성부재(30)를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측에 장착하면 체인을 상부측으로 밀어 체인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안내, 지지토록 하는 가이드(232)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갖는 것이지만 제거해도 무방하며, 탄성부재 수용부재(40)의 상부측에 설치된 조정 보울트 부재(60)는 체인에 초기텐션을 주기 위한 것이며, 또한 체인이 과도하게 늘어났을 경우 체인텐션의 재조정을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인텐션 자동 조정장치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으로 체인 텐션 스프로켓과 맞물려 있는 체인에 항상 거의 일정한 텐션이 가해지며, 따라서 체인의 늘어남에 의한 체인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갑작스런 부하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가 돌기와 요홈에 의해 결합되어 가동베이스 플레이트의 미끄럼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부재를 수용한 별도의 탄성부재 수용 부재가 장치의 외부측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탄성력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도 가진다.

Claims (1)

  1. 체인(140)에 결합된 체인 텐션 스프로켓(210)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있는 가동베이스 플레이트(10)는 베이스 빔 (110)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체인(140)과 수직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체인(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탄성부재(30)에 의하여 반성 반발력을 제공받아 체인텐션 스프로켓(210)이 체인(140)을 밀어 그 체인(140)에 적정한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는 체인 텐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 하는 돌기(11)를 길이 방향에 연속하여 형성하여 그 돌기(11)가 상기 고정베이스 플레이트(20)에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길이 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홈(21)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30)는 브라켓(50)을 매개로 상기 고정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된 탄성부재 수용부재(40)에 수용되어 일단이 가동베이스 플레이트(1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재(40)의 너트부재(51)에 나사 체결된 조정보울트 부재(60)의 원판(52)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가동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체인텐션 스프로켓(210)에 체인(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션 자동 조정장치.
KR2019940014522U 1994-06-21 1994-06-21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KR0113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22U KR0113111Y1 (ko) 1994-06-21 1994-06-21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22U KR0113111Y1 (ko) 1994-06-21 1994-06-21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645U KR960001645U (ko) 1996-01-19
KR0113111Y1 true KR0113111Y1 (ko) 1998-04-14

Family

ID=1938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522U KR0113111Y1 (ko) 1994-06-21 1994-06-21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1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30A (ko) * 2000-04-24 2001-11-08 한재준 이송용 파이프라인의 체인 컨베이어 장력조절구조
KR101407784B1 (ko) * 2014-01-27 2014-06-17 (주)새한이앤에스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30A (ko) * 2000-04-24 2001-11-08 한재준 이송용 파이프라인의 체인 컨베이어 장력조절구조
KR101407784B1 (ko) * 2014-01-27 2014-06-17 (주)새한이앤에스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645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1060A (en) Adjusting means for a lamp structure
US5531858A (en) Shrinkable label inserting machine
US4308946A (en) Convertible conveyor
EP0551412A1 (en) TRANSMISSION FOR BICYCLE.
US3753488A (en) Safety device for a slack take-up weight of a belt conveyor
KR0113111Y1 (ko)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US8186504B2 (en) Curved belt conveyor
KR100342129B1 (ko) 구동장치
US3060760A (en) Chain tensioning device
KR940019460A (ko) 박스블랭크(box blank)를 처리하는 기계에서 박스블랭크를 정렬하는 장치
KR100602203B1 (ko) 장력조절 로울러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US3978977A (en) Apparatus for independent adjustment of the tension of conveyor chains
US4212502A (en) Bearing take-up frame
KR0125436Y1 (ko)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US4446784A (en) Resilient chain strap wrapping and tensioning device
US4179957A (en) Apparatus for damping noise in bar-feeding devices of screw-cutting machines
KR10182820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CN212424557U (zh) 摆轮分拣设备
US3442559A (en) Take-up bearing support
EP0478853B1 (en) Conveying apparatus
US3065646A (en) Conveyor belt take-up mechanism
JP2001106323A (ja) 搬送装置
US5143207A (en) Tension controlling and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an endless conveyor
CN211917866U (zh) 食品包装袋预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