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84B1 -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84B1
KR101407784B1 KR1020140009480A KR20140009480A KR101407784B1 KR 101407784 B1 KR101407784 B1 KR 101407784B1 KR 1020140009480 A KR1020140009480 A KR 1020140009480A KR 20140009480 A KR20140009480 A KR 20140009480A KR 101407784 B1 KR101407784 B1 KR 101407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all screw
support
ten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철
최병석
Original Assignee
(주)새한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새한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14000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물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ension of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tension)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관리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장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속주조설비는 래들(ladle)에 담겨진 쇳물을 턴디쉬(turn dish)에서 받아 슬래브(slab) 주편(鑄片)으로 연속 생산하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주편은 다수의 롤러(roller)가 설치된 주편 이송장치(컨베이어) 위에서 이송된다. 통상 상기 롤러는 2개가 한 쌍이 되어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후판은 4단 가역실 압연기에 의해 제조되는 비교적 두꺼운 열간압연강판을 의미하며, 보통 그 두께가 6mm 이상인 것이다.
이러한, 후판의 제조공정은 슬래브를 가열로를 통과시켜 가열하는 가열공정, 가열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브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디스케일 공정, 슬래브를 적합한 두께로 압연하는 조압연 공정, 고객이 요구하는 두께로 압연하는 사상압연 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특정 두께로 압연된 후판은 열간교정기, 감마레이고지를 거친 후 쿨링베드(COOLING BED)에서 냉각된 후, 고객이 요구하는 크기로 절단되어 출하된다.
이와 같은, 후판 제조공정에서는 고 중량체인 후판을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후판을 다양한 형태의 체인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조절을 위하여 장력조절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체인 컨베이어용 장력조절장치는 체인의 장력조절을 위한 작업이 어려워 장력 조절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는 체인이 파손되면 이를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3111호(등록일:1997.11.06)에는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에서 "본 고안은 부품 또는 제품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의 롤러와 롤러 사이에 동력을 전달토록 된 체인의 텐션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탄성부재를 내장하여 그 탄송부재의 가압력으로 항상 일정한 체인텐션이 유지되도록한 체인 텐션 자동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인 텐션 스프로켓을 지지하는 가둥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이스 빔의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활주 가능토록 되고, 상기 체인 텐션 스프로켓은 고정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됨으로써 체인에서 체인텐션 스프로켓이 이탈되지 않으며, 탄성 부재로서 일정한 체인텐션이 유지된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066호(등록일:2012.04.27)에는 "연속강판의 처짐방지 장치"에서, "건조로나 가열로를 통과하는 연속강판의 진행중단시 강판이 처지는 것을 방지시키고, 강판의 통판도 원활하게 하는 연속강판의 처짐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연속강판 처짐방지 장치는,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된 제 1 구동수단의 상부에 연결되어 선회 및 상하 운동토록 구성된 제 1,2 작동축과, 상기 제 1 작동축과 직각 연결된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작동축상에 배치된 제 2 구동수단으로서 이동하면서 연결단이 외부 돌출되는 작동피스톤을 갖춘 제 1 가이드롤 및, 상기 제 2 작동축과 직각 연결된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작동피스톤의 연결단이 체결 수용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제 2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진행 중단된 강판을 받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로, 가열로 또는 연속강판의 진행중단시 처지기 쉬운 장소에 설치되어 연속강판의 진행이 중단된 경우, 강판이 패스라인에서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신속하게 받치면서, 강판의 연속 통판도 원활하게 하는 한편, 정상적으로 강판이 진행될 때에는 패스라인에서 이탈되어 전체적으로 강판의 연속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라고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특허 문헌에 기술된 발명들도,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시간이 상당히 길어서 작업 효율이나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가 많았으며, 나아가, 체인의 파손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지 못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이 많은 단점도 안고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13111호(고안의 명칭 :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2. 대한민국 특허 제1143066호(발명의 명칭 : 연속강판의 처짐방지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지지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지지부가 지지하는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을 볼 스크류 방식 등을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장력 조절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의 파손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는, 고정물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가 지지하는 상기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는, 상기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란, 사용자가 회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전후 또는 좌우 직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원격에서 회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전후, 좌우 직진 운동을 하도록 지시(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외부의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에 의해 이동하는 지지축 부재; 상기 지지축 부재와 결합되는 풀리부재; 및 상기 풀리부재에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는, 상기 풀리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축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풀리부재를 지지하는 풀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작동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제1 볼 스크루; 상기 제1 볼 스크루와 이격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제2 볼 스크루; 및 상기 제1 볼 스크루와 상기 제2 볼 스크루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볼 스크루와 상기 제2 볼 스크루를 연결하는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1 볼 스크루와 연결되는 제1 스프로킷; 상기 제2 볼 스크루와 연결되는 제2 스프로킷; 및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작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작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볼 너트; 및 상기 볼 너트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를 결합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는,
첫째,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지지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지지부가 지지하는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종래 발명과 달리 컨베이어 지지부의 풀리부재 간격을 작동부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 지지부의 장력 조절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작업성, 경제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절단된 컨베이어 지지부의 연결부재 길이에 맞게 풀리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르ㅣ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간격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간격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100)는 고정물(도시생략)에 결합되는 프레임(110)과, 이송물을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지지부(120) 및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지지부(120)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물이라 함은, 지상이나 건물, 공장 등에 고정되어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나 시설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나아가 이동하는 물체(항공기나 항공모함 등)에 고정되어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나 시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100)는 컨베이어 지지부(120)가 모터 등과 같은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인 체인스포로킷과 연결되며,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장력이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에 의해 조절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하며,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란,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전후 또는 좌우 직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원격에서 회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전후, 좌우 직진 운동을 하도록 지시(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향후 컨베이어의 장력을 센싱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장력값이 센싱될 때까지 피드백(feedback)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다.
또한,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외부의 장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하에서는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프레임(110)은 상기 고정물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사이트 플레이트(113) 및 이 사이드 플레이트(113)에 결합되는 전방 플레이트(115)를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고정물에 고정되며, 사이드 플레이트(113)를 보다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전면에 사이드 플레이트(113)가 안착되는 안착홈(11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이드 플레이트(113)에는 컨베이어 지지부(12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느 구멍(113a)이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13)는 이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일단이 안착홈(111a)에 삽입되고 타단에 전방 플레이트(115)가 결합된다.
이러한, 사이드 플레이트(113)는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이동 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113a)이 300mm ~ 310m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장력조절장치의 각종 기구부나 각 파트의 설계에 따라 설계자에 따라 그 수치를 조절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양 단부가 가이드 구멍(113a)에 이격되게 삽입되는 지지축 부재(121)와, 이 지지축 부재(121)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풀리부재(123) 및 이 풀리부재(123)와 상기 체인스포로킷을 연결하도록 풀리부재(123)에 체결되는 연결부재(125)를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풀리부재(12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축 부재(121)에 결합되어 풀리부재(123)를 지지하는 풀리 지지부재(12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지지축 부재(121)가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와 연결되어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구멍(113a)에서 이동하고, 이 지지축 부재(121)의 이동에 따라 풀리부재(12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5)의 장력이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지지축 부재(121)가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와 연결되어 가이드 구멍(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풀리부재(123)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풀리부재(12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5)의 장력이 조절된다.
지지축 부재(121)는 양단부가 사이드 플레이트(113)의 외측으로 노출하도록 가이드 구멍(113a)에 삽입되고, 중앙부에 풀리부재(123)가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축 부재(121)는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113)에서 이동하면서 풀리부재(123)와 상기 체인스포로킷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지지축 부재(121)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와 연결된다. 이때, 지지축 부재(121)는 가이드 구멍(113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안정되게 이동하도록 일단부에 지지 플랜지(121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이탈방지 캡(121b)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풀리부재(123)로 체인 스프로킷을 사용하고, 연결부재(125)로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부재(125)로 체인을 사용하면 연결부재(125)의 절단시 지지축 부재(121)를 베이스 플레이트(111)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풀리 지지부재(127)는 풀리부재(123)와 사이드 플레이트(113)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축 부재(121)에 결합되어 풀리부재(123)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지지축 부재(121)와 연결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지지축 부재(121)를 가이드 구멍(113a)을 따라 이동시켜 연결부재(125)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131) 및 이 작동부(131)의 회전에 의해 지지축 부재(121)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도록 작동부(131)와 지지축 부재(121)를 연결하는 이동부재(133)를 포함한다.
작동부(131)는 이동부재(133)를 통해 지지축 부재(121)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볼 스크루(135)와, 이동부재(133)를 통해 지지축 부재(121)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볼 스크루(137)와,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가 함께 회전하도록 제1 볼 스크루(135)와 제2 볼 스크루(137)를 연결하는 연동부(139)로 이루어진다.
또한, 작동부(131)는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가 베어링을 통해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가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볼 스크루(135) 또는 제2 볼 스크루(137)에 핸들(135a)이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부(131)는 제1 볼 스크루(135)가 회전되면 연동부(139)의 연동에 의해 제2 볼 스크루(137)가 제1 볼 스크루(135)와 함께 회전하고,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의 회전을 통해 이동부재(133)가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지지축 부재(121)를 이동시킨다.
연동부(139)는 제1 볼 스크루(135)에 고정되는 제1 스프로킷(139a)와, 제2 볼 스크루(137)에 고정되는 제2 스프로킷(139b)와, 제1 스포로킷(139a)와 제2 스프로킷(139b)를 연결하는 체인(139c) 및 이 체인(139c)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전방 플레이트(115)에 결합되어 체인(139c)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139d)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부(139)로 체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1 볼 스크루(135)의 회전력을 제2 볼 스크루(137)로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타이밍 벨트나 기어 연동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부재(133)는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가 회전하면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에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가 각각 삽입되는 볼 너트(133a)와, 이 볼 너트(133a)와 지지축 부재(121)를 결합하는 이동 블록(133b)을 포함한다. 이때, 이동 블록(133b)은 지지축 부재(12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이동 블록(133b)은 볼 너트(133a) 및 지지축 부재(121)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멍(133b')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사이트 플레이트(113)의 측면에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34)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100)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체인 스프로킷과 풀리부재(123)의 간격을 이격 또는 근접시켜 연결부재(125)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작동부(131)의 핸들(135a)을 파지하여 제1 볼 스크루(135)를 회전시키면, 제1 볼 스크루(135)가 회전됨과 동시에 그 회전력이 연동부(139)를 통해 제2 볼 스크루(137)로 전달되어 제1 볼 스크루(135)와 제2 볼 스크루(137)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볼 너트(133a) 및 이동블록(133b)을 통해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에 연결된 지지축 부재(121)가 이동블록(133b)과 함께 제1 볼 스크루(135) 및 제2 볼 스크루(137)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이 이격 또는 근접된다.
그리고, 지지축 부재(121)의 이격 또는 근접을 통해 풀리부재(12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5)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25)가 파손되거나 끊어지면, 작동부(131)의 회전을 통해 지지축 부재(121)를 상호 근접시킨 후, 연결부재(125)를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의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 또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프레임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3 : 사이드 플레이트 115 : 전방 플레이트
120 : 컨베이어 지지부 121 : 지지축 부재
123 : 풀리부재 125 : 연결부재
127 : 풀리 지지부재 130 :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
131 : 작동부 133 : 이동부재
134 : 커버부재

Claims (11)

  1. 제철소에서 4단 가역실 압연기가 제조하는 그 두께가 6mm 이상이고 고 중량체인 열간압연강판인 후판을 이송하는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조절장치로서,
    제철소 공장의 고정물에 결합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판을 이송하는 체인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부(120); 및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를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고정물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서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13);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방 플레이트(115)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3)를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3)가 안착되는 안착홈(111a)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3)는, 이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일단이 상기 안착홈(111a)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플레이트(115)와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3)에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113a)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단부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3)의 외측으로 노출하도록 상기 가이드 구멍(113a)에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멍(113a)을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축 부재(121);
    상기 지지축 부재(121)와 베어링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부재(123);
    상기 풀리부재(123)에 체결되는 연결부재(125); 및
    상기 풀리부재(123)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풀리부재(123)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축 부재(121)에 결합되어 상기 풀리부재(123)를 지지하는 풀리 지지부재(127)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는, 상기 풀리부재(123)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12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 부재(121)가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구멍(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풀리부재(123)의 위치를 이동하게 하고,
    상기 지지축 부재(121)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축 부재(121)가 상기 가이드 구멍(113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안정되게 이동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지지 플랜지(121a)가 형성되고, 상기 타단부에 이탈방지 캡(121b)이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131); 및
    상기 작동부(131)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를 연결하며, 상기 작동부(131)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재(133);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의 지지축 부재(121)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 부재(121)를 상기 가이드 구멍(113a)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125)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작동부(131)는,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33)와 결합되는 제1 볼 스크루(135);
    상기 제1 볼 스크루(135)와 이격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33)와 결합되는 제2 볼 스크루(137); 및
    상기 제1 볼 스크루(135)와 상기 제2 볼 스크루(137)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볼 스크루(135)와 상기 제2 볼 스크루(137)를 연결하는 연동부(139);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139)는,
    상기 제1 볼 스크루(135)와 연결되는 제1 스프로킷(139a);
    상기 제2 볼 스크루(137)와 연결되는 제2 스프로킷(139b);
    상기 제1 스프로킷(139a)과 상기 제2 스프로킷(139b)을 연결하는 체인(139c); 및
    상기 체인(139c)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방 플레이트(115)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39c)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139d)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133)는,
    상기 제1 볼 스크루(135) 및 상기 제2 볼 스크루(137)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볼 스크루(135) 및 상기 제2 볼 스크루(137)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볼 스크루(135) 및 상기 제 2 볼 스크루(137)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너트(133a); 및
    상기 한 쌍의 볼 너트(133a)와 상기 지지축 부재(121)의 양단부 각각을 결합하는 한 쌍의 이동 블록(133b);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블록(133b)에는, 상기 볼 너트(133a) 및 상기 지지축 부재(121)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멍(133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제1 볼 스크루(135) 및 상기 제2 볼 스크루(137)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13)의 측면에 상기 제1 볼 스크루(135) 및 상기 제2 볼 스크루(137)를 각각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부(1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지지부(120)가 지지하는 상기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고,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장력을 센싱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장력값이 센싱될 때까지 피드백(feedback)을 가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 컨베이어용 장력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09480A 2014-01-27 2014-01-27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KR101407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80A KR101407784B1 (ko) 2014-01-27 2014-01-27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80A KR101407784B1 (ko) 2014-01-27 2014-01-27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784B1 true KR101407784B1 (ko) 2014-06-17

Family

ID=5113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480A KR101407784B1 (ko) 2014-01-27 2014-01-27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7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2964A (zh) * 2017-09-19 2017-12-15 湖州华宇工业滤布有限公司 一种修布机的布匹传送装置
KR102052845B1 (ko) 2019-02-01 2019-12-05 정덕진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투웨이 컨베이어시스템
KR102074609B1 (ko) 2019-02-01 2020-02-06 정덕진 투웨이 컨베이어시스템의 장력조절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111Y1 (ko) * 1994-06-21 1998-04-14 김만제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KR200218388Y1 (ko) 1995-08-02 2001-04-02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의 밀폐형 장력유지장치
JP2002068451A (ja) * 2000-08-30 2002-03-08 Pacific Grain Terminal Ltd 粉粒状物搬送コンベアの残留防止板とチェーンプーリの移動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111Y1 (ko) * 1994-06-21 1998-04-14 김만제 체인텐션 자동조정장치
KR200218388Y1 (ko) 1995-08-02 2001-04-02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의 밀폐형 장력유지장치
JP2002068451A (ja) * 2000-08-30 2002-03-08 Pacific Grain Terminal Ltd 粉粒状物搬送コンベアの残留防止板とチェーンプーリの移動調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2964A (zh) * 2017-09-19 2017-12-15 湖州华宇工业滤布有限公司 一种修布机的布匹传送装置
KR102052845B1 (ko) 2019-02-01 2019-12-05 정덕진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투웨이 컨베이어시스템
KR102074609B1 (ko) 2019-02-01 2020-02-06 정덕진 투웨이 컨베이어시스템의 장력조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784B1 (ko) 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CN104150266B (zh) 宽幅铝带双轴卷取纵向分切机
MX2009013155A (es) Prensa de rodillos con lamina retractil de guia para material de molienda.
KR100803025B1 (ko) 갭 조절수단이 구비된 압연기
KR20130127586A (ko) 롤포밍 형강제품 연속생산 규격의 길이 자동절단이송프레스장치
CN109399147A (zh) 对中机构和对中输送机
RU2667269C2 (ru) Эджер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CN209206301U (zh) 一种用于滑轨冲压的镀锌板的输送装置
RU24186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удаленности съемных резцов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CN208086600U (zh) 一种钢管运输装置
KR101834499B1 (ko) 롤 포밍 제품 절단장치
CN105881160A (zh) 木质板件不规则凹凸表面加工装置
CN209476987U (zh) 一种剪板机检测校平送料机构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210647893U (zh) 一种全自动调型悬臂式不换辊方矩管成型机组
CN210823949U (zh) 一种可调节式门窗加工支架
CN219188144U (zh) 一种可调节钢坯传输装置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CN219928874U (zh) 一种便于调节的五金管件传输装置
CN104624733B (zh) 覆铜钢棒等曲率无划伤矫直装置
KR101506569B1 (ko) 핸드 포밍 롤러 기구
KR20130002190A (ko)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CN218555156U (zh) 一种可调式的冷轧机机架
CN220077676U (zh) 一种钢材输送限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