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39Y1 -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39Y1
KR200488539Y1 KR2020170006295U KR20170006295U KR200488539Y1 KR 200488539 Y1 KR200488539 Y1 KR 200488539Y1 KR 2020170006295 U KR2020170006295 U KR 2020170006295U KR 20170006295 U KR20170006295 U KR 20170006295U KR 200488539 Y1 KR200488539 Y1 KR 200488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r
slider
cente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기업
Priority to KR2020170006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배치되어 상부문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홈(111)이 형성된 레일프레임(110); 프론트도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21)와, 나사공(12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2)이 각각 장착된 프론트바(120); 센터도어(2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31)와, 회전링(133)이 연결된 풀리(132)가 각각 장착된 센터바(130); 리어도어(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41)와, 나사공(14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42)이 각각 장착된 리어바(140); 상기 나사공(12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120)의 두 지지브라켓(12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브라켓(12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되는 제1슬라이더(150); 및 상기 나사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61)에 의해 상기 리어바(140)의 두 지지브라켓(142) 중 상기 제1슬라이더(150)와 반대쪽의 지지브라켓(14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되는 제2슬라이더(160);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INTER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중으로 문틀에 배치되는 프론트도어, 센터도어 및 리어도어를 상호 연동하여 개폐시킬 수 있으며 각 도어의 개폐방향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는 문틀의 상부에 수평배치되고 하부에 레일홈(11)이 형성된 레일프레임(10)과, 상기 문틀에 3중으로 직립배치된 프론트도어(30c), 센터도어(30b) 및 리어도어(30a)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며 각 레일홈(11)에 지지되어 레일프레임(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각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바(20)로 구성되었다.
또한, 센터도어(30b)에 장착된 개폐바(20)에는 양측에 풀리가 이격배치되고 상기 풀리에는 회전링(23)이 순환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프론트도어(30c)에 장착된 개폐바(20)의 좌단과 리어도어(30a)에 장착된 개폐바(20)의 우단에는 상기 회전링(23)에 고정장착되어 프론트도어(30c)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회전링(23)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센터도어(30b)를 연동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더(21)가 각각 장착되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도어(30a)의 개폐바(20a)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프론트도어(30c)를 우측으로 가압하면 상단에 장착된 개폐바(20)의 슬라이더(21)가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회전링(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터도어(30b)의 개폐바(2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프론트도어(30c)와 센터도어(30b)가 연동하여 함께 개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도어를 좌측으로 개폐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서는 전방도어(30c)를 문틀에 고정시키면 동일한 동작원리에 의해 리어도어(30a)와 센터도어(30b)를 함께 연동하여 좌측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나 개방된 도어를 닫고자 할 때 센터도어(30b)의 후방으로 겹쳐져 은폐된 리어도어(30a)의 실내측 손잡이를 가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각 슬라이더(21)가 개폐바(2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슬라이더(21)가 프론트도어(30c)에 장착된 개폐바(20)의 우단과 리어도어(30a)에 장착된 개폐바(20)의 좌단에 각각 장착된 좌측 개폐용 연동장치를 사용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좌측 개폐용 연동장치와 우측 개폐용 연장장치를 함께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개폐방향을 변경할 때마다 도어에 장착된 연동장치를 철거하고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는 연동장치를 재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교체작업은 일반인이 작업하기에 난이도가 높고 교체공정이 번거로워 전문작업자에 의한 추가적인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4982호(2017.10.12), 병렬식 속도조절댐퍼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브라켓과 회전링 사이에 연결되어 전방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센터도어로 전달하는 각 슬라이더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각 도어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나사체결 방식으로 지지브라켓에 슬라이더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반인도 쉽게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수평배치되어 상부문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홈(111)이 형성된 레일프레임(110); 프론트도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21)와, 나사공(12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2)이 각각 장착된 프론트바(120); 센터도어(2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31)와, 회전링(133)이 연결된 풀리(132)가 각각 장착된 센터바(130); 리어도어(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41)와, 나사공(14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42)이 각각 장착된 리어바(140); 상기 나사공(12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120)의 두 지지브라켓(12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브라켓(12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되는 제1슬라이더(150); 및 상기 나사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61)에 의해 상기 리어바(140)의 두 지지브라켓(142) 중 상기 제1슬라이더(150)와 반대쪽의 지지브라켓(14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되는 제2슬라이더(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바(120)의 지지브라켓(122)과 상기 리어바(140)의 지지브라켓(14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나사공(123,143)이 상하 개구된 베이스(125,145)와, 상기 베이스(125,145)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상기 롤러(121,141)가 장착된 제1연장부(124,144) 및, 상기 베이스(125,145)의 타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124,144)와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150,160)의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27,147)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126,1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도어(10,20,30)의 상부 양측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도어체결구(11,21,31)가 각각 장착되고, 각 바(120,130,140)의 양측에는 매칭되는 각 도어(10,20,30)의 도어체결구(11,21,31)가 삽입 장착되는 체결공(129,139,14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22,142)은 각 바(120,130,140) 상에서 상기 체결공(129,139,149)의 직상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바(1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공(138)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수평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공(138)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상기 풀리(132)가 장착된 슬라이딩판(171)과, 상기 슬라이딩판(171)의 일측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나사공(173)이 개구되어 형성된 이동편(172)과,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상기 이동편(17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75)이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편(174) 및, 헤드는 상기 고정편(174)에 지지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는 상기 관통공(17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173)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편(172)과 고정편(174)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회전링(133)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76)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51,161)이 장착되어 지지브라켓(122,142)에 일측이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축(151,161)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폭방향(W)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부(181)와, 상기 바디부(181)로부터 폭방향(W)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지지바(182)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지지바(18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바(120)와 센터바(130)의 사이와 상기 센터바(130)와 리어바(140) 사이에 구름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수평롤러(183)를 포함하는 간격유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의하면,
첫째, 프론트도어(10)에 장착된 프론트바(120)와 리어도어(30)에 장착된 리어바(140)에는 각각 양측에 각 지지브라켓(122,142)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22,142)과 회전링(133) 사이에 연결되어 프론트도어(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센터도어(20)로 전달하는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는 각각 매칭되는 바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각 슬라이더(150,160)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어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개폐방향이 다른 문틀에도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22,142)에는 나사공(123,143)이 형성되고 각 슬라이더(150,160)는 상기 나사공(123,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지지브라켓(122,14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일반인도 쉽게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문작업자에 의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각 도어(10,20,30)의 상부 양측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도어체결구(11,21,31)가 각각 장착되고, 각 바(120,130,140)의 양측에는 매칭되는 각 도어(10,20,30)의 도어체결구(11,21,31)가 삽입 장착되는 체결공(129,139,14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22,142)은 각 바(120,130,140) 상에서 상기 체결공(129,139,149)의 직상부 위치에 장착되어, 각 바(120,130,140) 상에서 각 도어체결구(11,21,31)이 장착되는 위치와 각 지지브라켓(122,1371,42)이 장착되는 위치의 수평적인 거리차에 의해 각 바(120,130,14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휨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프론트바(120)의 지지브라켓(122)과 상기 리어바(140)의 지지브라켓(14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나사공(123,143)이 상하 개구된 베이스(125,145)와, 상기 베이스(125,145)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상기 롤러(121,141)가 장착된 제1연장부(124,144) 및, 상기 베이스(125,145)의 타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124,144)와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150,160)의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27,147)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126,146)가 포함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각 롤러(121,141)를 각 바(120,14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과 각 슬라이더(150,160)를 각 바(120,14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각각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베이스(125,145)에는 상면에 안착된 슬라이더(150,160)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차진 지지턱(128,148)이 형성되어 선형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더(150,160)가 베이스(125,145)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더라도 지지턱(128,148)에 측방이 지지되므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직교되게 설치된 상태가 틀어지거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센터바(1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공(138)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수평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공(138)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L)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상기 풀리(132)가 장착된 슬라이딩판(171)과, 상기 슬라이딩판(171)의 일측에 배치되며 길이방향(L)으로 나사공(173)이 개구되어 형성된 이동편(172)과,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상기 이동편(17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관통공(175)이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편(174) 및, 헤드는 상기 고정편(174)에 지지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는 상기 관통공(17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173)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176)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나사(176)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편(172)과 고정편(174)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회전링(133)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이용에 따라 회전링(133)의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상기 텐션조절부(170)로 두 풀리(132)간의 이격거리를 늘릴 수 있어 회전링(133)이 각 슬라이더(150,160)를 장착한 상태로 순환회전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텐션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는, 중앙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힌지축(151,161)이 장착되어 지지브라켓(122,142)에 일측이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축(151,161)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므로, 각 도어(10,20,30)의 바닥레일의 높이조절로 각 바(120,130,140)의 배치높이가 달라지더라도 각 슬라이더(150,160)가 일정각도로 접어지면서 회전링(133)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바(120,130,140)의 배치높이 차에 의해 회전링(133)이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풀리(132)로부터 이탈되거나 쉽게 연신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폭방향(W)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부(181)와, 상기 바디부(181)로부터 폭방향(W)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지지바(182)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지지바(18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바(120)와 센터바(130)의 사이와 상기 센터바(130)와 리어바(140) 사이에 구름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수평롤러(183)를 포함하는 간격유지부(180)가 구비되어, 각 도어(10,20,30)에 측방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각 도어(10,20,30)는 수평롤러(183)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압력에 의한 유동으로 인해 각 도어(10,20,30)가 접촉하며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81)에는 폭방향(W)으로 연장된 조절공(184)이 상하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81)는 조절공(18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터바(130)에 회전결합되는 고정나사(18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나사(185)를 풀러 바디부(181)를 폭방향(W)으로 위치조절한 후 고정나사(185)로 재장착하는 방식을 통해 센터도어(20)로부터 프론트도어(10)나 리어도어(30)가 이격되는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하부 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상부 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주요 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가 좌측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위치가 변경되고 있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10은 도 9의 주요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가 우측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는 각 도어의 개폐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일반인도 쉽게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연동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110), 프론트바(120), 센터바(130), 리어바(140),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를 포함한다.
먼저, 레일프레임(110)은 각 도어(10,20,30)의 개폐경로를 제공하는 샷시부재로서, 수평배치되어 문틀에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레일홈(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레일홈(111)에는 각 바(120,130,140)별로 구비된 롤러(121,131,141)가 안착된 상태로 구름지지될 수 있게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지지판이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며, 장착되는 도어의 수량에 따라 대응되는 수량으로 배치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3중 도어인 경우 3개의 레일홈(111)이 형성되고 4중 도어인 경우 4개의 레일홈(11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바(120)는 프론트도어(10)에 제1슬라이더(15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레임부재로서 프론트도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21)와, 나사공(12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2)이 각각 이격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121)는 프론트도어(10)의 상부가 문틀에 지지되어 직립할 수 있도록 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지지브라켓(122)은 상기 롤러(121)와 제1슬라이더(150)를 프론트바(12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122)은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나사공(123)이 상하 개구된 베이스(125)와, 상기 베이스(125)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상기 롤러(121)가 장착되는 제1연장부(124) 및, 상기 베이스(125)의 타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124)와의 사이에 제1슬라이더(150)의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27)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12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롤러(121)와 제1슬라이더(150)가 함께 장착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지지브라켓(122)에 의해 롤러(121)를 프론트바(12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과 제1슬라이더(150)를 프론트바(12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상기 센터바(130)는 각 슬라이더(150,160)가 회전링(133)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재로서 센터도어(2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31)와, 회전링(133)에 연결된 풀리(132)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131)는 센터도어(20)의 상부가 문틀에 지지되어 직립할 수 있도록 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양측에 이격배치된 두 풀리(132)는 회전링(133)이 순환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롤러(131)는 센터바(130)의 양측에 이격배치된 지지브라켓(137)에 체결되어 센터바(130)에 장착되며 롤러(131)가 장착된 부위는 상기 프론트바(120)에 장착된 지지브라켓(122)의 제1연장부(124)와 동일한 높이로 상향 연장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바(140)는 리어도어(30)에 제2슬라이더(16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레임부재로서 리어도어(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41)와, 나사공(14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42)이 각각 이격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바(120)에 장착된 지지브라켓(122)나 리어바(140)에 장착된 지지브라켓(142)의 각 베이스(125,145)에는 상면에 안착된 슬라이더(150,160)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차진 지지턱(128,148)이 형성되어 선형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더(150,160)가 베이스(125,145)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더라도 지지턱(128,148)에 측방이 지지되므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직교되게 설치된 상태가 틀어지거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141)는 리어도어(30)의 상부가 문틀에 지지되어 직립할 수 있도록 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지지브라켓(142)은 롤러(141)와 제2슬라이더(160)를 리어바(14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142)은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나사공(143)이 상하 개구된 베이스(145)와, 상기 베이스(145)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상기 롤러(141)가 장착되는 제1연장부(144) 및, 상기 베이스(145)의 타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144)와의 사이에 제2슬라이더(160)의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27)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126)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더(150)와 제2슬라이더(160)는 회전링(133)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프론트도어(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센터도어(2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로서, 상기 제1슬라이더(150)는 나사공(12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프론트바(120)의 두 지지브라켓(12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브라켓(12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더(160)는 상기 나사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61)에 의해 상기 리어바(140)의 두 지지브라켓(142) 중 상기 제1슬라이더(150)와 반대쪽의 지지브라켓(14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된다.
따라서, 리어도어(30)가 문틀에 고정되고 각 도어를 좌측으로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프론트바(120)의 우단 지지브라켓(122)에 제1슬라이더(150)가 장착되고 리어바(140)의 우단 지지브라켓(142)에 제2슬라이더(160)가 장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를 닫기 위해 프론트도어(10)를 좌측으로 가압하면 프론트바(120)에 장착된 제1슬라이더(1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회전링(1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터도어(20)의 센터바(13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프론트도어(10)와 센터도어(20)가 연동하여 함께 폐쇄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프론트도어(10)를 우측으로 가압하면 프론트도어(10)와 센터도어(20)가 연동하여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되는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150)를 지지브라켓(122)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151)와 제2슬라이더(160)를 지지브라켓(142)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161)를 각각 풀러 각 지지브라켓(122,142)으로부터 각 슬라이더(150,160)를 분리시킨 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더(150)를 프론트바(120)의 좌단 지지브라켓(122)에 장착하고 제2슬라이더(160)를 리어바(140)의 우단 지지브라켓(142)에 장착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를 닫기 위해 프론트도어(10)를 우측으로 가압하면 프론트바(120)에 장착된 제1슬라이더(1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회전링(1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터도어(20)의 센터바(13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프론트도어(10)와 센터도어(20)가 연동하여 함께 폐쇄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프론트도어(10)를 좌측으로 가압하면 프론트도어(10)와 센터도어(20)가 연동하여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도어(10)에 장착된 프론트바(120)와 리어도어(30)에 장착된 리어바(140)에는 각각 양측에 각 지지브라켓(122,142)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22,142)과 회전링(133) 사이에 연결되어 프론트도어(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센터도어(20)로 전달하는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는 각각 매칭되는 바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각 슬라이더(150,160)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어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개폐방향이 다른 문틀에도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22,142)에는 나사공(123,143)이 형성되고 각 슬라이더(150,160)는 상기 나사공(123,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지지브라켓(122,14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일반인도 쉽게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문작업자에 의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어(10,20,30)의 상부 양측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도어체결구(11,21,31)가 각각 장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120,130,140)의 양측에는 매칭되는 각 도어(10,20,30)의 도어체결구(11,21,31)가 삽입 장착되는 체결공(129,139,14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22,142)은 각 바(120,130,140) 상에서 상기 체결공(129,139,149)의 직상부 위치에 장착되어, 각 바(120,130,140) 상에서 각 도어체결구(11,21,31)이 장착되는 위치와 각 지지브라켓(122,1371,42)이 장착되는 위치의 수평적인 거리차에 의해 각 바(120,130,14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휨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링(133)의 경우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 및 벨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를 장기간 이용하게 되면 회전링(133)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회전링(133)이 점차적으로 늘어나 텐션이 하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회전링(133)이 풀리(132)로부터 이탈되거나 각 도어(10,20,30)의 연동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에서는 상기 회전링(133)이 늘어난 경우 텐션조절부(170)를 이용하여 회전링(133)에 적절한 텐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바(1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공(138)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텐션조절부(170)는 수평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공(138)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L)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상기 풀리(132)가 장착된 슬라이딩판(171)과, 상기 슬라이딩판(171)의 일측에 배치되며 길이방향(L)으로 나사공(173)이 개구되어 형성된 이동편(172)과,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상기 이동편(17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관통공(175)이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편(174) 및, 헤드는 상기 고정편(174)에 지지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는 상기 나사공(173)과 관통공(175)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편(172)과 고정편(174)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회전링(133)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기간 이용에 따라 회전링(133)의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상기 텐션조절부(170)로 두 풀리(132) 간의 이격거리를 늘릴 수 있으므로 회전링(133)이 각 슬라이더(150,160)를 장착한 상태로 순환회전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텐션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문틀의 하부에는 각 도어(10,20,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레일(미도시)이 배치되고 각 도어(10,20,30)의 하단에는 하부레일에 구름지지되기 위한 롤러(미도시)가 장착되며 각 롤러는 각 도어(10,20,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미도시)가 장착된다. 따라서, 이 높이조절수단의 조절미숙이나 하부레일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어(10,20,30)의 설치된 높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프론트도어(10)의 높이가 센터도어(20)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센터도어(20)에 장착된 회전링(133)의 설치높이보다 프론트도어(10)의 지지브라켓(122)에 장착된 제1슬라이더(150)의 설치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제1슬라이더(150)가 회전링(133)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서 회전링(133)이 지나치게 늘어나거나 심한 경우 회전링(133)이 풀리(13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는, 중앙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힌지축(151,161)이 장착되어 지지브라켓(122,142)에 일측이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축(151,161)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하로 회동가능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도어(10,20,30)의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조절로 각 바(120,130,140)의 배치높이가 달라지더라도 각 슬라이더(150,160)가 일정각도로 접어지면서 회전링(133)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바(120,130,140)의 배치높이 차에 의해 회전링(133)이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풀리(132)로부터 이탈되거나 쉽게 연신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방에서 부는 바람이나 사용자의 누름행위 등의 가압력이 각 도어(10,20,30)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가해지는 경우 각 도어(10,20,30)의 측면이 상호 접촉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에서는 간격유지부(180)를 이용하여 각 도어(10,20,30)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호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180)는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폭방향(W)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부(181)와, 상기 바디부(181)로부터 폭방향(W)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지지바(182)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지지바(18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바(120)와 센터바(130)의 사이와 상기 센터바(130)와 리어바(140) 사이에 구름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수평롤러(183)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도어(10,20,30)에 측방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각 도어(10,20,30)는 수평롤러(183)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압력에 의한 유동으로 인해 각 도어(10,20,30)가 접촉하며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81)에는 폭방향(W)으로 연장된 조절공(184)이 상하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81)는 조절공(18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터바(130)에 회전결합되는 고정나사(18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나사(185)를 풀러 바디부(181)를 폭방향(W)으로 위치조절한 후 고정나사(185)로 재장착하는 방식을 통해 센터도어(20)로부터 프론트도어(10)나 리어도어(30)가 이격되는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프론트도어 20...센터도어
30...리어도어 100...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110...레일프레임 111...레일홈
120...프론트바 121,131,141...롤러
122,17,142...지지브라켓 130...센터바
132...풀리 133...회전링
140...리어바 150...제1슬라이더
160...제2슬라이더 170...텐션조절부
180...간격유지부

Claims (5)

  1. 수평배치되어 상부문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홈(111)이 형성된 레일프레임(110); 프론트도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21)와, 나사공(12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2)이 각각 장착된 프론트바(120); 센터도어(2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31)와, 회전링(133)이 연결된 풀리(132)가 각각 장착된 센터바(130); 리어도어(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1)에 구름지지되는 롤러(141)와, 나사공(143)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42)이 각각 장착된 리어바(140); 상기 나사공(12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120)의 두 지지브라켓(12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브라켓(12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되는 제1슬라이더(150); 및 상기 나사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61)에 의해 상기 리어바(140)의 두 지지브라켓(142) 중 상기 제1슬라이더(150)와 반대쪽의 지지브라켓(142)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133)에 고정장착되는 제2슬라이더(16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바(120)의 지지브라켓(122)과 상기 리어바(140)의 지지브라켓(14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나사공(123,143)이 상하 개구된 베이스(125,145)와, 상기 베이스(125,145)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상기 롤러(121,141)가 장착된 제1연장부(124,144) 및, 상기 베이스(125,145)의 타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직립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124,144)와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150,160)의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27,147)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126,146)를 포함하며,
    각 도어(10,20,30)의 상부 양측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도어체결구(11,21,31)가 각각 장착되고, 각 바(120,130,140)의 양측에는 매칭되는 각 도어(10,20,30)의 도어체결구(11,21,31)가 삽입 장착되는 체결공(129,139,14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22,142)은 각 바(120,130,140) 상에서 상기 체결공(129,139,149)의 직상부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1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공(138)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수평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공(138)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상기 풀리(132)가 장착된 슬라이딩판(171)과,
    상기 슬라이딩판(171)의 일측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나사공(173)이 개구되어 형성된 이동편(172)과,
    상기 센터바(130) 상에서 상기 이동편(17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75)이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편(174) 및,
    헤드는 상기 고정편(174)에 지지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는 상기 관통공(17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173)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편(172)과 고정편(174)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회전링(133)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76)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150) 및 제2슬라이더(16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51,161)이 장착되어 지지브라켓(122,142)에 일측이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축(151,161)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2020170006295U 2017-12-07 2017-12-07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200488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95U KR200488539Y1 (ko) 2017-12-07 2017-12-07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95U KR200488539Y1 (ko) 2017-12-07 2017-12-07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39Y1 true KR200488539Y1 (ko) 2019-02-18

Family

ID=6551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95U KR200488539Y1 (ko) 2017-12-07 2017-12-07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82B1 (ko) * 2019-03-19 2020-07-14 김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20200111357A (ko) * 2019-03-19 2020-09-29 김솔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가이더 어셈블리
KR102330557B1 (ko) * 2020-11-18 2021-11-24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50B1 (ko) *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101794259B1 (ko) 2016-07-14 2017-11-07 안중식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50B1 (ko) *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101794259B1 (ko) 2016-07-14 2017-11-07 안중식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82B1 (ko) * 2019-03-19 2020-07-14 김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20200111357A (ko) * 2019-03-19 2020-09-29 김솔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가이더 어셈블리
KR102193941B1 (ko) * 2019-03-19 2020-12-22 김솔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가이더 어셈블리
KR102330557B1 (ko) * 2020-11-18 2021-11-24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539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EP3362359B1 (en) Aircraft passenger suite privacy scre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6258344B2 (ja) 引戸の開閉装置
US5375922A (en) Drawer pull-out guide fitting with improved height adjusting cam
JP5915825B2 (ja) 仕切り要素を保持するキャリッジ及び仕切り要素
KR100785706B1 (ko) 창문용 호차
TWI739205B (zh) 用於引導至少一個可移動地安裝之門扇的引導系統、具有該引導系統的家具以及用於將至少一個門扇組裝在該引導系統上的方法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EP4350111A1 (en) Synchronous reverse linkage door mounting mechanism
KR20120124203A (ko) 슬라이드형 멀티 이젤
EP0735222B1 (en) Hinge
KR101369499B1 (ko)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KR101753462B1 (ko)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JP3208988U (ja) モーター付減速機を駆動軸に直接嵌合した縦型回転棚装置
KR10159433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KR102163892B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다용도 테이블
JP3620421B2 (ja) Oa用机
JP5079572B2 (ja) 間仕切へのドアの取付構造
JPH0620429Y2 (ja) 棚装置
KR102137083B1 (ko) 폴딩 도어 장치
KR10165491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롤러 브라켓
KR20200086058A (ko)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KR101784982B1 (ko) 병렬식 속도조절댐퍼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20130103194A (ko) 밸트장력조정이 가능한 자동문 아이들풀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