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82B1 -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82B1
KR102133782B1 KR1020190030934A KR20190030934A KR102133782B1 KR 102133782 B1 KR102133782 B1 KR 102133782B1 KR 1020190030934 A KR1020190030934 A KR 1020190030934A KR 20190030934 A KR20190030934 A KR 20190030934A KR 102133782 B1 KR102133782 B1 KR 10213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interlocking
slide
do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
Original Assignee
김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솔 filed Critical 김솔
Priority to KR102019003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6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continuous, e.g. closed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4Specific positions
    • E05Y2800/742Specific positions abnormal
    • E05Y2800/744Specific positions abnormal cleaning or ser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3중 트랙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상기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3중 슬라이더; 상기 3중 슬라이더 중에서 하나의 슬라이더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 롤러(42); 상기 3중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도어;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42)에 결합된 와이어(82); 상기 와이어(82)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점검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Threefold door system with reparable and exchangeable components}
본 발명은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중 슬라이드 도어에서 댐퍼와 같은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에 간편하게 수리 또는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도어를 연동장치를 이용해 서로 연동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연동식 도어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아파트의 거실과 현관문 사이에 설치되는 중문 등으로 연동식 도어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동식 도어 중에는 3개의 도어가 같이 열리고 닫히는 연동식 3중 도어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연동식 3중 도어의 일례로서 와이어가 도어의 상부면 양단부에 장착되는 롤러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도어를 결합시키는 연동연결구에 의하여 하나의 도어를 끌어당기면,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도어가 함께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3중 도어를 함께 열리고 닫히도록 지지하는 도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에 도어 마운팅 프레임(벽체 등에 설치되는 도어 슬라이드 개폐 지지 프레임)에 거의 가까워진 상태에서 도어가 서서히 닫혀지도록 하는 댐퍼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 등의 부품이 고장나는 경우에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과 도어를 전부 뜯어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수리나 교체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고, 수리나 교체에 따른 시간 소요가 많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품의 수리나 교체 등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만큼 도어가 설치된 아파트 등의 사용자에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3중 슬라이드 도어를 거의 전부 뜯어내고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하여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 수리비나 인건비 등의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도 있다.
또한, 3중 슬라이드 도어가 같이 열리고 닫히도록 작동시키는 연동장치에서 와이어를 롤러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하는 와이어 브라켓 부분이 롤러의 끝에 걸리게 되어 있어서 도어의 양쪽 끝이 도어 마운팅 프레임에서 들뜨지 않고 도어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어 프레임에서 적어도 좌우 양쪽 사이드 도어 프레임의 폭이 넓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고, 도어의 좌우 양쪽 사이드 프레임의 폭이 넓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도어의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의 중량이 많이 나가면 도어를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상하부의 도어 슬라이드 지지부의 구조가 더 견고해져야 하므로 도어 슬라이드 지지부의 구조가 그만큼 더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3중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이 천정 부분에 실린 상태, 다시 말해, 천정에 설치되는 도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부분 등에 도어의 하중이 실린 상태에서 도어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행거 서포트 타입(즉, 상부 구동 타입)과 도어의 하중이 하부에 실리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바텀 서포트 타입(즉, 하부 구동 타입)이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3중 슬라이드 도어를 상부 구동 타입이나 하부 구동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3중 슬라이드 도어 설치시에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에는 필요에 따라 3중 슬라이드 도어를 상부 구동 타입으로 선택하여 설치하거나 하부 구동 타입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3중 슬라이드 도어에서 각 도어들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에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열리고 닫히도록 되어 있는데,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에 슬라이드 라인을 따라 똑바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틀어져서 제대로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내부의 트랙에서 롤러가 틀어지게 되어 도어의 직진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도어가 트랙에서 제대로 열리고 닫히지 못하게 된다. 특히, 좌우 폭이 좁은 도어의 경우에는 직진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더 심해서 제대로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0450호(2013년08월20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16848호(2010년2월16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중 슬라이드 도어에서 댐퍼와 같은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에 간편하게 수리 또는 교체가 가능하고, 내부의 부품 수리나 교체시에 주요부인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등은 그대로 놔두고 필요한 부분만 최소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유용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3중 트랙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상기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3중 슬라이더; 상기 3중 슬라이더 중에서 하나의 슬라이더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 롤러; 상기 3중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도어;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에 결합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 롤러가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점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점검구는 상기 트랙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서포트편의 내외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끝단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내부의 상기 트랙에 내장된 댐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3중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세 개의 3중 슬라이더로 구성되고, 상기 3중 슬라이더 중에서 하나의 슬라이더는 스톱퍼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어느 하나의 트랙에 고정되고, 상기 3중 슬라이더에는 상기 댐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중 슬라이더는 상기 댐퍼에 체결구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브라켓은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와이어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결합홀은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양단부 중에서 상기 와이어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선단부에서 상기 와이어가 나오는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홀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끝단 부분이 상기 와이어 결합홀로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그립하는 복수개의 와이어 그립볼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브라켓은 와이어 브라켓 바디에 상기 와이어 결합홀이 구비디고, 상기 와이어 브라켓 바디에는 픽싱 브라켓편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편에는 체결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홀에 체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연동 롤러가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롤러가 장착된 슬라이더는 연동 슬라이더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에 이웃하여 배치된 한 쪽의 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른 쪽의 슬라이더는 제2슬라이더이며, 상기 연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가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볼 때에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은 한쪽의 연동 롤러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은 다른 쪽의 연동 롤러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2슬라이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내부의 3중 트랙에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는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제3도어가 서로 마주하도록 개방된 상태이며,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제3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의 외주면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연동 롤러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브라켓 내부의 와이어 결합홀에 양끝단이 들어와서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 외주면에 결합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브라켓을 기준으로 양갈래로 갈라진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와이어 브라켓이 상기 연동 롤러의 외주면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연동 롤러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3중 트랙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트랙에 구비된 스톱퍼에 의해 걸려져서 고정되는 픽스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트랙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내부의 상기 트랙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은 주요부인 연동 댐퍼와 제1댐퍼, 제2댐퍼 등의 부품들이 들어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점검구를 통해서 상기 부품들만을 분리하거나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분리 교체가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효과에 의해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의 주요부인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와이어 브라켓의 내부 구조와 와이어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3중 슬라이더와 댐퍼 및 슬라이드 가이더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에서 3중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3중 슬라이더와 와이어 및 와이어 브라켓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도 5의 3중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3중 슬라이더와 와이어 및 와이어 브라켓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에서 3중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3중 슬라이더와 와이어 및 와이어 브라켓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에서 3중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주요부인 연동 댐퍼와 슬라이드 가이더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에서 3중 도어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의 3중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의 3중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주요부인 연동 댐퍼와 슬라이드 가이더 및 제1댐퍼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8은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에서 주요부의 하나인 제1댐퍼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에서 인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은 내부에 3중 트랙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에 3중 슬라이더가 결합되고, 상기 3중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드 도어가 결합되고, 3중 슬라이더 중에서 하나의 슬라이더에는 한 쌍의 연동 롤러(4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연동 롤러(42)에는 와이어(82)가 결합되고, 와이어(82)에 결합된 와이어 브라켓(72)은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에는 점검구(133)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은 내부에 3중 트랙을 구비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3중 트랙은 복수개의 트랙 포밍편(22)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단면으로 볼 때에 가장 바깥쪽에 있는 두 개의 외곽 트랙 포밍편(22)과 두 개의 내부 트랙 포밍편(22)에 의해 3중 트랙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된다. 3중 트랙은 가운데의 연동 트랙(122)과 양쪽의 제1트랙(124)과 제2트랙(126)으로 구성된다. 연동 트랙(122)을 가운데에 양옆에 제1트랙(124)과 제2트랙(126)이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에는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이 구비된다.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두 개의 외곽 트랙 포밍편(22)과 두 개의 내부 트랙 포밍편(22)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천정 슬라이드 프레임편(24)에 외곽 트랙 포밍편(22)과 내부 트랙 포밍편(22)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연동 트랙(122)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이고, 제1트랙(124)과 제2트랙(126)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이라 할 수 있다.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 및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상기 천정 슬라이드 프레임편(24)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은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이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곽 트랙 포밍편(22)과 내부 트랙 포밍편(22)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 및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천정 슬라이드 프레임편(24)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 트랙에는 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이 더 구비된다. 연동 트랙(122)에 구비된 한 쌍의 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은 내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이고, 제1트랙(124)과 제2트랙(126)에 구비된 한 쌍의 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은 제1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과 제2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이라 할 수 있다. 내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 및 제2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도 상기 천정 슬라이드 프레임편(24)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 및 제2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 및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에는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과 제2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27)에도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을 천정에 설치한 상태에서 단면으로 볼 때에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은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고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은 수직 방향 하부로 연장된다.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은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연동 트랙(122)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이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제1트랙(124)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이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제2트랙(126)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이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 트랙마다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끼리는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3중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3중 슬라이더라 함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3중 트랙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가 세 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더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3중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세 개의 3중 슬라이더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슬라이더는 연동 슬라이더(32)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이웃하여 배치된 한 쪽의 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34)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른 쪽의 슬라이더는 제2슬라이더(36)이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는 단면 직사각형의 띠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동 슬라이더(32)에 한 쌍의 연동 롤러(42)가 장착된다. 한 쌍의 연동 롤러(42)는 연동 슬라이더(32)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한 쌍의 연동 롤러(42)의 외주면에는 로프 결합홈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는 댐퍼(52)가 결합된다. 연동 롤러(42)는 연동 슬라이더(32)의 바깥면에 장착되고 댐퍼(52)는 연동 슬라이더(32)의 안쪽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동 슬라이더(32)는 바깥쪽 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도록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적어도 두 개의 체결구홀이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다.
상기 댐퍼(52)는 단면이 사각형인 길다란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52)는 상면과 저면과 양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길다란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52)의 저면이 연동 슬라이더(32)의 안쪽면에 접촉된다. 상기 댐퍼(52)의 저면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댐퍼(52)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을 연동 슬라이더(32)의 체결구홀에 맞춘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연동 슬라이더(32)의 체결구홀을 관통된 상태에서 댐퍼(52)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짐으로써 연동 슬라이더(32)에 댐퍼(5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동 슬라이더(32)의 안쪽면에 댐퍼(5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장착된 댐퍼(52)는 연동 댐퍼(52SD)라 할 수 있다.
상기 연동 댐퍼(52SD)에는 연동 가이드롤러(152)가 구비된다. 연동 댐퍼(52SD)의 네 군데에 연동 가이드롤러(152)가 구비된다. 연동 댐퍼(52SD)의 선단부측 양쪽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연동 가이드롤러(152)가 구비되고 연동 댐퍼(52SD)의 기단부측 양쪽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연동 가이드롤러(152)가 구비된다. 연동 댐퍼(52SD)에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각각 하나씩 네 개의 연동 가이드롤러(152)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의 한쪽 측면 위치에 배치되는 제1슬라이더(34)는 연동 슬라이더(32)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제1슬라이더(34)에는 바깥쪽 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도록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적어도 두 개의 체결구홀이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34)에도 댐퍼(52)가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34)에 결합된 댐퍼(52)는 제1댐퍼(52FD)라 할 수 있다. 제1댐퍼(52FD)의 구조는 연동 댐퍼(52SD)의 구조와 동일하며, 제1댐퍼(52FD) 역시 제1슬라이더(34)에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댐퍼(52FD)의 저면이 제1슬라이더(34)의 안쪽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댐퍼(52FD)의 저면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1댐퍼(52FD)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을 제1슬라이더(34)의 체결구홀에 맞춘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제1슬라이더(34)의 체결구홀을 관통된 상태에서 제1댐퍼(52FD)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짐으로써 제1슬라이더(34)에 제1댐퍼(52FD)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34)의 안쪽면에 제1댐퍼(52FD)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댐퍼(52FD)와 연동 댐퍼(52SD)의 위치는 제1슬라이더(34)와 연동 슬라이더(32)의 양단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다르다. 제1슬라이더(34)와 연동 슬라이더(32)의 선단부와 기단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슬라이더(34)와 연동 슬라이더(32)의 위에서 볼 때에 연동 댐퍼(52SD)가 우측에 배치된다고 하면 제1댐퍼(52FD)는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댐퍼(52FD)에는 제1가이드롤러(154)가 구비된다. 제1댐퍼(52FD)의 네 군데에 제1가이드롤러(154)가 구비된다. 제1댐퍼(52FD)의 선단부측 양쪽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제1가이드롤러(154)가 구비되고 제1댐퍼(52FD)의 기단부측 양쪽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제1가이드롤러(154)가 구비된다. 제1댐퍼(52FD)에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각각 하나씩 네 개의 제1가이드롤러(154)가 구비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제2슬라이더(36)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에 구비된 스톱퍼(SP)와 도어 마운팅 프레임의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3)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에서 슬라이드되지 않고 고정된 픽싱 슬라이더가 된다. 상기 스톱퍼(SP)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에 고정되고 도어 마운팅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3)도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더(36)가 픽싱 슬라이더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의 다른 쪽 측면 위치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36) 역시 연동 슬라이더(32)의 구조와 동일하다.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의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제2슬라이더(36)에도 바깥쪽 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도록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적어도 두 개의 체결구홀이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36)에는 슬라이드 가이더(62)가 결합된다. 슬라이드 가이더(62)는 단면이 사각형인 길다란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상면과 저면과 양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슬라이더(36)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라이드 가이더(62)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이 제2슬라이더(36)의 안쪽면에 접촉된다. 제2슬라이더(36)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제2슬라이드 가이더(62)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는 제2슬라이더(36)에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이 제2슬라이더(36)의 안쪽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을 제2슬라이더(36)의 체결구홀에 맞춘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제2슬라이더(36)의 체결구홀을 관통된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짐으로써 제2슬라이더(36)에 제2슬라이드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슬라이더(36)의 안쪽면에 제2슬라이드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는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구비된다. 두 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 각각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구비된다.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양쪽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구비된다. 두 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양쪽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36)의 안쪽면이나 바깥쪽 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더(62)가 구비되고 네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제2슬라이의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도 슬라이드 가이더(62)가 결합된다. 연동 슬라이더(32)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제2슬라이더(36)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라 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 역시 연동 슬라이더(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이 연동 슬라이더(32)의 안쪽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을 연동 슬라이더(32)의 체결구홀에 맞춘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연동 슬라이더(32)의 체결구홀을 관통된 상태에서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짐으로써 연동 슬라이더(32)에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동 슬라이더(32)의 안쪽면에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도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더(34)에도 역시 슬라이드 가이더(62)가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34)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연동 슬라이더(32)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제1슬라이더(34)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제1슬라이드 가이더(62)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 역시 제1슬라이더(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이 제1슬라이더(34)의 안쪽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을 제1슬라이더(34)의 체결구홀에 맞춘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제1슬라이더(34)의 체결구홀을 관통된 상태에서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짐으로써 제1슬라이더(34)에 제1슬라이드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34)의 안쪽면에 제1슬라이드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도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는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의 양단부가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위에서 볼 때에 연동 슬라이더(32)의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가 각각 좌측과 우측에 구비된다고 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34)의 제1댐퍼(52FD)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는 각각 우측과 좌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는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1댐퍼(52FD)가 3중 도어가 열리는 방향과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고 하면 상기 연동 댐퍼(52SD)는 3중 도어가 닫히는 방향과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는 연결 볼트홀이 구비된다.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연결 볼트홀은 각각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내부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또한, 제1슬라이더(34)에 구비된 제1댐퍼(52FD)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에도 연결 볼트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36)에 구비된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도 연결 볼트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1댐퍼(52FD)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연결 볼트홀도 제1댐퍼(52FD)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내부에서 저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연결 볼트홀도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내부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연결 볼트홀에 연결 볼트(12)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볼트(12)에는 연동 도어(14)가 연결된다. 연결 볼트(12)의 헤드부는 연동 도어(14)의 상측 도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 도어(14)의 상측 도어 프레임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헤드부 지지채널을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 지지채널에 연결 볼트(12)의 헤드부가 수용되서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 볼트(12)가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연결 볼트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동 도어(14)의 상단부에 연결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볼트(12)에 의해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 연동 도어(14)의 상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연동 도어(14)가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1댐퍼(52FD)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에도 연결 볼트(12)를 매개로 제1도어(16)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제1댐퍼(52FD)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에 연결 볼트(12)로 제1도어(16)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구조는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 연동 도어(14)가 연결 볼트(12)로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다. 제1슬라이더(34)에 제1도어(16)의 상단부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도 역시 연결 볼트(12)를 매개로 제2도어(18)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 연결 볼트(12)로 제2도어(18)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구조 역시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 연동 도어(14)가 연결 볼트(12)로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다. 제2슬라이더(36)에 제2도어(18)의 상단부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는 양단부와 직교하는 방향인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지지단턱이 구비된다. 연동 슬라이더(32)의 한 상의 지지단턱은 연동 지지단턱(32SS), 제1슬라이더(34)의 한 쌍의 지지단턱은 제1지지단턱(34SS), 제2슬라이더(36)의 한 쌍의 지지단턱은 제2지지단턱(36SS)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연동 댐퍼(52SD)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연동 슬라이더(32)의 한 쌍의 연동 지지단턱(32SS)에 지지된다. 상기 연동 댐퍼(52SD)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한 쌍의 연동 지지단턱(32SS)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 연동 댐퍼(52SD)에 구비된 복수개의 연동 가이드롤러(152)는 연동 슬라이더(32)의 연동 지지단턱(32SS)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도 각각 연동 슬라이더(32)의 한 쌍의 연동 지지단턱(32SS)에 지지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한 쌍의 연동 지지단턱(32SS)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도 방지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는 연동 슬라이더(32)의 연동 지지단턱(32SS)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댐퍼(52FD)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제1슬라이더(34)의 한 쌍의 제1지지단턱(34SS)에 지지된다. 상기 제1댐퍼(52FD)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한 쌍의 제1지지단턱(34SS)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 제1댐퍼(52FD)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가이드롤러(154)는 제1슬라이더(34)의 제1지지단턱(34SS)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도 각각 제1슬라이더(34)의 한 쌍의 제1지지단턱(34SS)에 지지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한 쌍의 제1지지단턱(34SS)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도 방지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는 제1슬라이더(34)의 제1지지단턱(34SS)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댐퍼(52)의 전단부와 후단부도 각각 제2슬라이더(36)의 한 쌍의 제2지지단턱(36SS)에 지지된다. 상기 제2댐퍼(52)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한 쌍의 제2지지단턱(36SS)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 제2댐퍼(52)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가이드롤러는 제2슬라이더(36)의 제2지지단턱(36SS)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도 각각 제2슬라이더(36)의 한 쌍의 제2지지단턱(36SS)에 지지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한 쌍의 제2지지단턱(36SS)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도 방지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도 제2슬라이더(36)의 제2지지단턱(36SS)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연동 가이드롤러(152)와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목홈 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각 트랙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에 결합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연동 댐퍼(52SD) 및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1트랙(124)을 따라 슬라이드될 때에 연동 가이드롤러(152)와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제1트랙(124) 내부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을 따라 롤링되면서 연동 슬라이더(32)와 연동 댐퍼(52SD)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 및 연동 도어(14)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1트랙(124)을 따라 유동이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34)는 픽싱 슬라이더라서 제1슬라이더(34)에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에 구비된 하부 가이드 돌편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슬라이더(36)와 제2댐퍼(52) 및 제2슬라이드 가이더(62)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2트랙(126)을 따라 슬라이드될 때에 제2가이드롤러와 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제2트랙(126) 내부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을 따라 롤링되면서 제2슬라이더(36)와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 및 제2도어(18) 역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2트랙(126)을 따라 유동됨이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는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이 결합된 구조이다. 코어 가이더 블록(62CB)은 금속재이고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은 플라스틱 재질이다.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의 전후단부가 연동 슬라이더(3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된 연동 지지턱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가 연동 슬라이더(32)의 한 쌍의 연동 지지턱과의 사이에 유격이 없이 연동 슬라이더(32)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상기 연결 볼트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도 금속재의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이 결합되고, 상기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연결 볼트홀이 구비된다.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의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의 전후단부가 제1슬라이더(34)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지지턱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가 제1슬라이더(34)의 한 쌍의 제1지지턱과의 사이에 유격이 없이 제1슬라이더(34)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 역시 금속재의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이 결합되고, 상기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연결 볼트홀이 구비된 구조이다.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의 전후단부도 제2슬라이더(36)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2지지턱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가 제2슬라이더(36)의 한 쌍의 제2지지턱과의 사이에 유격이 없이 제2슬라이더(36)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은 단면 원형의 단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와이어(82) 고정 브라켓은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와이어 결합홀(74)을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 결합홀(74)은 와이어 브라켓(72)의 양단부 중에서 와이어(82)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선단부에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나오는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 결합홀(74)은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나오는 기단부 쪽에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들어오는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 결합홀(74)에는 와이어 부재(84)의 양끝단 부분이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부재(84)를 그립하는 복수개의 와이어 그립볼(76)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에는 픽싱볼트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볼트 결합홀의 내주면은 나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픽싱볼트 결합홀의 나사부에는 픽싱볼트(77)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은 선단부에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는 와이어 브라켓(72)의 선단부측 내주면에 구비된 브라켓 나사부에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에 구비된 포지셔닝 나사부(73PT)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의 내부에는 양단부와 연통되면서 동시에 상기 와이어 결합홀(74)과 연통되는 와이어 인서트홀(73WH)이 구비된다. 와이어 인서트홀(73WH)의 내경은 와이어 그립볼(76)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와이어 브라켓(72) 중에서 어느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에 구비된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 내부의 와이어 인서트홀(73WH)을 통과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어느 한 쪽의 와이어 브라켓(72) 내부의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오면 상기 와이어 그립볼(76)이 와이어 부재(84)의 외부로 밀려나게 되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일단부를 와이어 브라켓(72)의 기단부로 인출되어 나오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일단부가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의 기단부에서 인출되어 나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82)를 당겨주고, 상기 와이어(82)를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픽싱볼트(77)에 의해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와이어 결합홀(74)에 내장되어 있는 부분을 눌러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부재(84)가 당겨진 상태에서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와이어 브라켓(72) 중에서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에 구비된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 내부의 와이어 인서트홀(73WH)을 통과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 내부의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오면 상기 와이어 그립볼(76)이 와이어 부재(84)의 외부로 밀려나게 되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타단부를 와이어 브라켓(72)의 기단부로 인출되어 나오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타단부가 다른 쪽 와이어 브라켓(72)의 기단부에서 인출되어 나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82)를 당겨주고, 상기 와이어(82)를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픽싱볼트(77)에 의해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와이어 결합홀(74)에 내장되어 있는 부분을 눌러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당겨진 상태에서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에 한 쌍의 와이어(82) 고정부재의 양단부측을 연결함으로써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폐루프 형상의 와이어(82)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의 내부로 들어온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를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에 의해서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가이더를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인서트홀(73WH)을 통해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어느 한 쪽의 와이어 브라켓(72) 내부의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오면 상기 와이어 그립볼(76)이 와이어 부재(84)의 외부로 밀려날 수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일단부를 와이어 브라켓(72)의 기단부로 인출되어 나오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일단부가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의 기단부에서 인출되어 나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82)를 당겨주고, 상기 와이어(82)를 당겨준 상태로 유지한 다음, 상기 인서트 가이더를 와이어 브라켓(72)에서 풀어져 있던 상태에서 다시 조여준다. 상기 인서트 가이더의 포지셔닝 나사부(73PT)가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의 선단부측 내주면에 구비된 브라켓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인서트 가이더를 볼트식으로 다른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73)에 구비된 포지셔닝 나사부(73PT)가 와이어 브라켓(72) 내부의 와이어 결합홀(74)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와이어 그립볼(76)은 와이어 결합홀(74)의 기단부 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의 상기 와이어 결합홀(74)은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홀이므로, 상기 와이어 그립볼(76)들이 와이어 결합홀(74)의 기단부 쪽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의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와 있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를 강하게 그립하게 되므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와이어 브라켓(72)의 와이어 결합홀(74)에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 중에서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의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온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타단부측도 상기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에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를 고정하는 방법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에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양단부측을 투입하여 고정하면,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에 의해 연결된 폐루프 형태의 와이어(82)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에는 픽싱 브라켓편(72FP)이 구비된다. 픽싱 브라켓편(72FP)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와이어 브라켓(72)에 픽싱 브라켓편(72FP)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픽싱 브라켓편(72FP)에는 체결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홀에 체결구가 삽입되어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체결구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연동 슬라이더(32)에 두 개의 이웃한 제1슬라이더(34)와 제2슬라이더(36)가 구비되는데, 상기 픽싱 브라켓편(72FP)에 형성된 체결구홀을 관통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상기 제1슬라이더(34)와 제2슬라이더(36)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이 제1슬라이더(34)와 제2슬라이더(36)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위치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상기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슬라이더는 연동 슬라이더(32)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이웃하여 배치된 한 쪽의 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34)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른 쪽의 슬라이더는 제2슬라이더(36)인데,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가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볼 때에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한쪽의 연동 롤러(42)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34)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다른 쪽의 연동 롤러(42)와 인접하도록 제2슬라이더(36)에 고정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34)와 제2슬라이더(36)의 위에서 볼 때에 한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이 우측에 있다고 하면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좌측에 있게 된다.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 롤러(42)에 와이어(82)가 결합된다. 두 개로 분할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의 양끝 단부가 와이어 브라켓(72)에 의해 지지되어 폐루프형 와이어(82) 형태로 구성된 와이어(82)가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42)에 결합된다. 연동 롤러(42) 외주면에 구비된 와이어 결합홈에 상기 폐루프형 와이어(82) 형태로 이루어진 와이어(82)가 안착되어 결합된다. 두 개로 분할된 와이어 부재(84)가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에 의해 지지되어 폐루프형 와이어(82)가 되며, 상기 폐루프형 와이어(82)가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42) 외주면의 와이어 결합홈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폐루프형 와이어(82)의 일부가 한 쌍의 연동 롤러(42) 외주면의 와이어 결합홈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폐루프형 와이어(82)가 무한궤도 운동할 때에 한 쌍의 연동 롤러(42) 외주면의 와이어 결합홈에 폐루프형 와이어(82)의 일부가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브라켓(72) 내부의 와이어 결합홀(74)에 양끝단이 들어와서 결합된 와이어 부재(84)는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42) 외주면에 결합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폐루프 형상의 와이어(82)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82)는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을 기준으로 양갈래로 갈라진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이 연동 롤러(42)의 외주면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연동 롤러(42)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브라켓(72)이 연동 롤러(42)에 걸리지 않도록 연동 롤러(42)의 외주면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이 연동 롤러(42)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영역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점검구(133)가 구비된다. 상기 점검구(133)는 트랙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의 내외표면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끝단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 트랙(122)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이고, 제1트랙(124)과 제2트랙(126)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이라 할 수 있고,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 및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은 천정 슬라이드 프레임편(24)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연동 슬라이드 서포트편(26)과 제1슬라이드 서포트편(26) 및 제2슬라이드 서포트편(26)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 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을 일정 길이만큼 따내어 줌으로써 상기 점검구(13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133)의 길이는 대략 5cm이다. 물론, 점검구(133)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된 연동 트랙(122)과 제1트랙(124) 및 제2트랙(126)을 형성하는 각각의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을 일정 길이로 따내어서 상기 점검구(13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각각의 연동 트랙(122)과 제1트랙(124) 및 제2트랙(126)에 각각 점검구(133)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에 세 개의 점검구(133)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에 연결된 연동 도어(14)와 제1도어(16) 및 제2도어(18) 중에서 제1슬라이더(34)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1트랙(124)에 구비된 스톱퍼(SP)에 걸려진 상태여서 픽싱 슬라이더이고 제1슬라이어에 연결된 제1도어(16)도 픽싱 도어가 되어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2슬라이더(36)와 함께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같이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가 양쪽 측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열된 상태가 3중 도어가 열린 상태인데, 3중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한쪽 단부측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한쪽 단부측을 오프닝 단부라 하고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다른 쪽 단부측을 클로즈 단부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3중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이 한 쪽의 연동 롤러(42)와 인접한 제1포지션에 있다고 하면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과 멀리 떨어진 위치의 다른 쪽의 연동 롤러(42)와 인접한 제2포지션에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이라 칭하고, 한쪽의 연동 롤러(42)는 제1포지션 연동롤러, 다른 쪽의 연동 롤러(42)는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도어(16)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측단부는 제1도어(16) 오프닝 단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측단부는 제1도어(16) 클로즈 단부라 칭하고, 연동 도어(14)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측단부는 연동 도어(14) 오프닝 단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측단부는 연동 도어(14) 클로즈 단부라 칭하고, 제2도어(18)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측단부는 제2도어(18) 오프닝 단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측단부는 제2도어(18) 클로즈 단부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3중 도어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제2도어(18)와 연동 도어(14)를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2트랙(126)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닫히게 된다. 제2도어(18)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2댐퍼(52)의 복수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을 따라 롤링되면서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을 따라 상기 클로즈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목홈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에 구비된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 외주면의 오목홈도 상기 제2트랙(126) 내부의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2댐퍼(52)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와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을 따라 롤링되면서 상기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 및 제2슬라이더(36)가 상기 제2트랙(126)을 따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트랙(126)을 따라 제2슬라이더(36)가 상기 클로즈 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제2슬라이더(36)에 연결되어 있는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 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폐루프 형태의 와이어(82)가 한 쌍의 연동 롤러(42) 외주면을 따라서 무한궤도 운동하고 한 쌍의 연동 롤러(42)는 연동 슬라이더(32)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열릴 수 있게 된다. 연동 도어(14)보다 제2도어(18)가 먼저 앞서가서 열리게 된다. 상기 와이어(82)는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두 개의 연동 도어(14)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제2도어(18)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와이어(82)가 한 쌍의 연동 도어(14)와 연동 슬라이더(32)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 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게 되면서 상기 제2도어(18)가 닫히도록 슬라이드될 때에 연동 도어(14)도 닫히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제2도어(18)가 연동 도어(14)보다 어 앞서가서 닫히도록 슬라이드된다.
상기 제2도어(18)와 제2슬라이더(36)가 계속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쪽(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이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이 있던 위치인 제1포지션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이 있던 위치인 제2포지션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제2도어(18)의 제2도어(18) 오프닝 단부가 연동 도어(14)의 연동 도어(14) 오프닝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는 되지만 제2도어(18)의 제2도어(18) 오프닝 단부와 연동 도어(14) 연동 도어(14) 오프닝 단부가 벌어져 있지는 않은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가 제2도어(18) 1차 클로즈 상태라 할 수 있다. 제2도어(18) 1차 클로즈 상태에서는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원래에 있던 위치인 제1포지션에서 제2포지션과 제1포지션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상기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원래 있던 위치인 제2포지션에서부터 제1포지션으로 이동하여 제2포지션과 제1포지션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제2도어(18)의 1차 클로즈 상태에서 제2도어(18)를 계속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2도어(18)와 연동 도어(14)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제2도어(18)와 연동 도어(14)가 완전히 닫히는 2차 클로즈 상태로 된다. 제2도어(18)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제2도어(18) 클로즈 단부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장착되어 있는 클로즈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에 완전 밀착된 상태가 2차 클로즈 상태이다. 이러한 제2도어(18)의 2차 클로즈 상태가 3중 도어가 완전히 닫힌 클로즈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가 출입구를 완전히 닫아준 상태가 3중 도어 클로즈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더(34)는 픽싱 슬라이더라서 고정되고 제1도어(16) 역시 고정되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2슬라이더(36)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의 양쪽 측단부가 서로 어긋나는 상태가 3중 도어가 닫히고 있는 상태인데, 이처럼 3중 도어가 닫히고 있는 상태에서 제2도어(18)의 제2도어(18) 클로즈 단부가 클로즈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의 내측단에 거의 근접한 상태가 되면 상기 제2슬라이더(36)에 구비된 제2댐퍼(52)가 완충 기능과 3중 도어가 제대로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3중 도어가 거의 닫히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댐퍼(52)가 완충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제대로 닫히도록 한다. 제1도어(16)는 원래 고정된 픽싱 도어이기 때문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제대로 닫힌 상태(즉, 제2도어(18)의 2차 클로즈 상태)가 되면 3중 도어가 제대로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도어(18) 2차 클로즈 상태에서는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원래에 있던 위치인 제1포지션에서 제2포지션으로 이동하여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외주면보다 더 안쪽 내부 영역으로 들어오는 한편, 상기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원래 있던 위치인 제2포지션에서 제1포지션으로 이동하여 제1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내부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즉,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에 걸리지 않고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안쪽 영역에 들어오고,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 연동 롤러(42)에 걸리지 않고 제1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안쪽 영역에 들어온다.
상기 3중 도어가 닫혀져 있는 클로즈 상태에서 제2도어(18)와 연동 도어(14)를 다시 열리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2트랙(126)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열리게 된다. 제2도어(18)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2댐퍼(52)의 복수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제2트랙(126)을 따라 롤링되면서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을 따라 상기 오프닝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2댐퍼(52)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와 상기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제2슬라이드 가이드롤러(162)가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26LRP)과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26URP)을 따라 롤링되면서 상기 제2댐퍼(5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 및 제2슬라이더(36)가 상기 제2트랙(126)을 따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트랙(126)을 따라 제2슬라이더(36)가 상기 오프닝 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제2슬라이더(36)에 연결되어 있는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다시 제2포지션 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다시 제1포지션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폐루프 형태의 와이어(82)가 한 쌍의 연동 롤러(42) 외주면을 따라서 무한궤도 운동하고 한 쌍의 연동 롤러(42)는 연동 슬라이더(32)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열릴 수 있게 된다. 연동 도어(14)가 제2도어(18)보다 먼저 앞서가서 닫히게 된다. 상기 와이어(82)는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두 개의 연동 도어(14)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제2도어(18)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클로즈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와이어(82)가 한 쌍의 연동 도어(14)와 연동 슬라이더(32)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 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게 되면서 상기 연동 도어(14)가 열리도록 슬라이드될 때에 제2 도어도 열리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연동 도어(14)가 제2도어(18)보다 어 앞서가서 열리도록 슬라이드된다.
상기 연동 도어(14)와 연동 슬라이더(32)가 계속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쪽(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이 제1포지션쪽에서 제2포지션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쪽에서 제1포지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의 양쪽 측단부(즉,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의 좌우 양쪽 도어 클로즈 단부와 도어 오프닝 단부)들이 전후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연동 도어(14) 1차 오프닝 상태라 할 수 있다. 연동 도어(14) 1차 오프닝 상태에서는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에서 제1포지션에서 제2포지션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상기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에서 제2포지션으로 이동하여 제2포지션과 제1포지션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연동 도어(14)의 1차 오프닝 상태에서 연동 도어(14)를 계속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오프닝 단부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완전히 닫히는 2차 오프닝 상태로 된다. 연동 도어(14)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연동 도어(14) 오프닝 단부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장착되어 있는 오프닝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에 완전 밀착된 상태가 2차 오프닝 상태이다. 상기 제1도어(16)는 원래 픽싱 도어로서 가만히 있기 때문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의 2차 오프닝 상태가 3중 도어가 완전히 열린 오프닝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가 출입구를 완전히 열어준 상태가 3중 도어 오프닝 상태이다. 이때에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의 양쪽 측단부(즉,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의 좌우 양쪽 도어 클로즈 단부와 도어 오프닝 단부)들이 전후로 나란한 상태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의 양쪽 측단부가 전후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가 3중 슬라이드 도어가 열린 상태인데, 제1슬라이더(34)는 고정되어 있는 픽싱 슬라이더라서 제1슬라이더(34)에 연결된 제1도어(16)도 고정되어 있는 한편, 3중 도어 중에서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움직여서 3중 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에서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의 한쪽 측단부가 클로즈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의 한쪽 내측단에 거의 근접한 상태가 되면 연동 슬라이더(32)에 구비된 연동 댐퍼(52SD)가 완충 기능을 하면서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제대로 완전히 열리도록 한다. 즉, 3중 도어가 거의 열리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장착된 연동 댐퍼(52SD)가 완충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제대로 열리도록 한다. 제1도어(16)는 원래 고정된 픽싱 도어이기 때문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제대로 열리게 되면 3중 도어가 제대로 완전히 열린 상태(3중 도어 오프닝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 2차 오프닝 상태에서는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에서 원래에 있던 위치인 제1포지션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1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외주면보다 더 안쪽 내부 영역으로 들어오는 한편, 상기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에서 원래 있던 위치인 제2포지션으로 이동하여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내부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즉, 제1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1포지션동 롤러에 걸리지 않고 제1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안쪽 영역에 들어오고, 제2포지션 와이어 브라켓(72)은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에 걸리지 않고 제2포지션 연동 롤러(42)의 안쪽 영역에 들어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연동 댐퍼(52SD)와 제1댐퍼(52FD) 및 제2댐퍼(52) 등의 부품들이 들어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점검구(133)를 통해서 상기 부품들만을 분리하거나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분리 교체가 매우 쉽다.
상기 연동 댐퍼(52SD)와 제1댐퍼(52FD) 및 제2댐퍼(52)는 체결구에 의해 각각 연동 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4) 및 제2슬라이더(3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연동 댐퍼(52SD)나 제1댐퍼(52FD) 또는 제2댐퍼(52)를 교체하려면 해당 교체 대상 댐퍼(52)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점검구(133)를 통해서 꺼내고 재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동 댐퍼(52SD)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체결구를 풀어서 연동 댐퍼(52SD)를 연동 슬라이더(32)에서 분리하고, 상기 연동 댐퍼(52SD)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점검구(133) 쪽으로 슬라이드시킨 다음, 점검구(133)를 통해서 연동 댐퍼(52SD)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연동 트랙(122)에서 빼준다. 수리 대상이나 교체 대상 연동 댐퍼(52SD)를 꺼낸 다음에는 다시 대체하기 위한 연동 댐퍼(52SD)를 상기 점검구(133)를 통해서 연동 트랙(122)으로 투입한 다음, 체결구로 연동 슬라이더(32)에 새로 투입된 연동 댐퍼(52SD)를 조립하여 주면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제1트랙(124)에서 제1댐퍼(52FD)를 점검구(133)를 통해서 슬라이드 가이이 프레임(20)의 외부로 인출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 댐퍼(52SD) 역시 제1댐퍼(52FD)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연동 트랙(122)에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에 들어있는 슬라이드 가이더(62)를 수리 교체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가이더(62) 부분만을 들어내서 수리 교체가 가능하다.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나 제1슬라이드 가이더(62) 또는 제2슬라이드 가이더(62)를 수리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댐퍼(52)의 수리 교체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점검구(133)를 통해서 빼내거나 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를 수리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동 슬라이더(32)에서 체결구를 풀어서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와 연동 슬라이더(32)를 분리하고,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를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점검구(133) 쪽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를 점검구(133)를 통해 밖으로 빼낸다.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를 빼낸 다음에 신규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를 상기 점검구(133)를 통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연동 트랙(122)으로 투입한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해 다시 연동 슬라이더(32)와 조립시켜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댐퍼(52) 등의 내부 부품만을 점검구(133)를 통해서 인출하거나 투입할 수 있으므로, 댐퍼(52) 등의 내부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때에 작업 공수를 현저히 출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댐퍼(52) 등의 내부 부품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서 기존에는 3중 도어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은 물론 주변의 다른 3중 슬라이드 도어 지지물까지 다 뜯어내야 하지만, 본 발명은 3중 슬라이드 도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과 주변의 다른 도어 지지물을 모두 뜯어낼 필요가 없이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에서 상기 댐퍼(52) 등의 내부 부품만을 인출하고 신규 내부 부품만을 투입하여 슬라이더에 체결구를 매개로 조립하여 주면 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하여 상당한 수리나 교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에서 교체나 수리를 원하는 댐퍼(52) 등의 내부 부품만을 들어내고 재투입하는 만큼 수리나 교체 등의 인력과 시간의 및 유지 보수에 따른 코스트의 낭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댐퍼(52) 등의 내부 부품만을 들어내고 주변의 도어 지지물까지 뜯어낼 필요가 없는만큼 기존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인력 절감, 시간 낭비 방지, 유지 보수비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가 열린 상태는 물론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이 각각 한 쌍의 연동 롤러(42)에 걸리지 않고 연동 롤러(42)의 내부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어서,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의 양쪽 사이드에 있는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폭을 기존에 비하여 많이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3중 도어의 중량, 다시 말해서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 및 제2도어(18)의 중량을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많이 줄일 수 있는 만큼 3중 도어의 하중을 천정쪽에서 지지하는 행거타입 도어나 도어의 하중을 바닥에서 지지하는 바텀 지지타입 도어 중에서 원하는 타입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는 행거 타입이면 행거 타입, 바텀 지지타입이면 바텀 지지타입만을 선택해서 도어를 설치해야 하지만 본 발명은 행거타입 도어나 바텀 지지타입 도어 중에서 원하는 것을 마음데로 채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도어(16)와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폭을 줄이는 만큼 미관적인 측면에서도 좋다. 3중 도어의 사이드 프레임의 폭을 줄이는 만큼 외관이 더 미려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3중 슬라이더에 각각 댐퍼(52)에 더하여 슬라이드 가이더(62)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더(62)가 3중 슬라이더가 유동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도어가 슬라이드되다가 균형이 무너져서 제대로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는 경우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 및 제2슬라이드 가이더(62)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연동 슬라이더(32)의 전후단 연동 지지턱과 제1슬라이더(34)의 전후단 제1지지턱과 제2슬라이더(36)의 전후단 제2지지턱에 밀착되어 유격이 없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 및 제2슬라이드 가이더(62)는 연동 도어(14)와 제1도어(16) 및 제2도어(18)에 연결되어,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의 슬라이드 작동시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좌우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슬라이드되다가 균형이 무너져서 제대로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는 경우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와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와 제2슬라이드 가이더(62)는 코어 가이더 블록(62CB)에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이 덮혀져 있는 것에 더하여서 보조 밸런스편(62SBP)이 더 구비된다. 상기 외피 가이더 하우징(62HS)이 코어 가이더 블록(62CB)의 전체 외표면을 감싸지 않고 남겨 두어서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의 코어 가이드 블록의 일부 노출부의 하단부와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의 상면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생기는데, 상기 보조 밸런스편(62SBP)이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의 상면과 코어 가이드 블록의 일부 노출부의 하단부 사이에 비어있는 상기 스페이스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 사이의 떠 있는 부분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 가이더(62)와 제2슬라이드 가이도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와 마찬가지로 각각 보조 밸런스편(62SBP)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제2슬라이더(36)가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드될 때에 상기 연동 슬라이드 가이더(62)가 상기 보조 밸런스편(62SBP)에 의해서도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동 슬라이더(32)와 함께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받쳐주므로, 상기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슬라이드되는 도중에 좌우 측면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적어도 아래의 바텀 슬라이드 프레임에 연동 도어(14)와 제2도어(18)가 끼어버려서 제대로 열리고 닫히지 못하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은 도어 마운팅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바아(3)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지지되는데,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 바아를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구(BT)를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체결보스(20CB)에 조여줌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은 도어 마운팅 프레임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연결 볼트 14. 연동 도어
16. 제1도어 18. 제2도어
20.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 22. 트랙 포밍편
24. 천정 슬라이드 프레임편 26. 슬라이드 서포트편
26LRP. 하부 롤링 가이드 돌편 26URP. 상부 롤링 가이드 돌편
27. 내부 슬라이드 서포트편 32. 연동 슬라이더
32SS. 연동 지지단턱 34. 제1슬라이더
34SS. 제1지지단턱 36. 제2슬라이더
36SS. 제2지지단턱 42. 연동 롤러
52. 댐퍼 52SD. 연동 댐퍼
52FD. 제1댐퍼 52SD. 제2댐퍼
62. 슬라이드 가이더 62CB. 코어 가이더 블록
62SH. 외피 가이더 하우징 72. 와이어 브라켓
72FP. 픽싱 브라켓편 73. 와이어 인서트 가이더
73PT. 포지셔닝 나사부 73WH. 와이어 인서트홀
74. 와이어 결합홀 76. 와이어 그립볼
77. 픽싱볼트 82. 와이어
84. 와이어 부재 122. 연동 트랙
124. 제1트랙 126. 제2트랙
133. 점검구 152. 연동 가이드롤러
154. 제1가이드롤러 156. 제2가이드롤러
162. 슬라이드 가이드롤러 SP. 스톱퍼

Claims (12)

  1. 내부에 3중 트랙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상기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3중 슬라이더;
    상기 3중 슬라이더 중에서 하나의 슬라이더에 구비된 한 쌍의 연동 롤러(42);
    상기 3중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도어;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42)에 결합된 와이어(82);
    상기 와이어(82)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점검구(1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은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와이어 결합홀(74)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결합홀(74)은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의 양단부 중에서 상기 와이어(82)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선단부에서 한 쌍의 와이어 부재(84)가 나오는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홀(74)에는 상기 와이어 부재(84)의 양끝단 부분이 상기 와이어 결합홀(74)로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부재(84)를 그립하는 복수개의 와이어 그립볼(76)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133)는 상기 트랙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서포트편(26)의 내외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끝단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상기 트랙에 내장된 댐퍼(5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3중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세 개의 3중 슬라이더로 구성되고, 상기 3중 슬라이더 중에서 하나의 슬라이더는 스톱퍼(SP)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어느 하나의 트랙에 고정되고, 상기 3중 슬라이더에 상기 댐퍼(5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중 슬라이더는 상기 댐퍼(52)에 체결구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브라켓(72)에는 픽싱 브라켓편(72FP)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편(72FP)에는 체결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홀에 체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와 이웃한 두 개의 슬라이더에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롤러(42)가 장착된 슬라이더는 연동 슬라이더(32)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이웃하여 배치된 한 쪽의 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34)이고,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른 쪽의 슬라이더는 제2슬라이더(36)이며,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상기 제1슬라이더(34) 및 상기 제2슬라이더(36)가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볼 때에 한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한쪽의 연동 롤러(42)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34)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와이어 브라켓(72)은 다른 쪽의 연동 롤러(42)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2슬라이더(36)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상기 제1슬라이더(34) 및 상기 제2슬라이더(36)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3중 트랙에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는 제1도어(16)와 제2도어(18) 및 제3도어가 서로 마주하도록 개방된 상태이며, 상기 제1도어(16)와 제2도어(18) 및 제3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브라켓(72)은 상기 한 쌍의 연동 롤러(42)의 외주면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연동 롤러(42)의 외주면 보다 더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상기 제1슬라이더(34) 및 상기 제2슬라이더(36)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3중 트랙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트랙에 구비된 스톱퍼(SP)에 의해 걸려져서 고정되는 픽스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슬라이더(32)와 상기 제1슬라이더(34) 및 상기 제2슬라이더(36)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의 트랙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더(6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20) 내부의 상기 트랙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1020190030934A 2019-03-19 2019-03-19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10213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34A KR102133782B1 (ko) 2019-03-19 2019-03-19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34A KR102133782B1 (ko) 2019-03-19 2019-03-19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82B1 true KR102133782B1 (ko) 2020-07-14

Family

ID=7152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934A KR102133782B1 (ko) 2019-03-19 2019-03-19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2296A (zh) * 2021-09-18 2021-11-05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站台滑动门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48A (ko) 2008-08-05 2010-02-16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JP4938062B2 (ja) * 2003-03-11 2012-05-2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多重引き式引戸装置
KR20130001596U (ko) * 2011-08-30 2013-03-08 이길원 3 슬라이딩 도어용 이동장치
KR101300450B1 (ko)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20170022482A (ko) * 2015-08-20 2017-03-02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101765131B1 (ko) * 2015-07-27 2017-08-04 박영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KR200488539Y1 (ko) * 2017-12-07 2019-02-18 주식회사 우리기업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8062B2 (ja) * 2003-03-11 2012-05-2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多重引き式引戸装置
KR20100016848A (ko) 2008-08-05 2010-02-16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KR20130001596U (ko) * 2011-08-30 2013-03-08 이길원 3 슬라이딩 도어용 이동장치
KR101300450B1 (ko)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101765131B1 (ko) * 2015-07-27 2017-08-04 박영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KR20170022482A (ko) * 2015-08-20 2017-03-02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200488539Y1 (ko) * 2017-12-07 2019-02-18 주식회사 우리기업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2296A (zh) * 2021-09-18 2021-11-05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站台滑动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783B1 (ko)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와이어 브라켓 어셈블리
KR101018297B1 (ko)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102133782B1 (ko)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102168868B1 (ko) 3중 연동도어 장치
KR101000909B1 (ko)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CN204212585U (zh) 一种挂趟门上轮组件
KR102147525B1 (ko)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0488952Y1 (ko)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193941B1 (ko)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가이더 어셈블리
JP3618329B2 (ja) 連動式吊戸装置
EP1705327B1 (en) Suspension guide for sliding doors
DE202005011249U1 (de) Schiebetür-Element
KR10232994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057296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DE102005033417B4 (de) Schiebetür-Element
KR20230078257A (ko) 슬라이딩 작동용 연동 와이어 결합 구조와 현장 설치 구조를 개선한 슬라이드 도어 구조
KR20080014693A (ko)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1122251B1 (ko) 구동부 상부레일의 결합구조
ITBZ940012U1 (it) Guida di estrazione per un cassetto.
JP2015137490A (ja) 連動開閉装置を備えた複動式の開閉ドア、およびドアの連動開閉装置
KR200478775Y1 (ko) 슬라이딩도어
KR102511982B1 (ko) 슬라이딩 도어 본체 프레임
JP7246252B2 (ja) 引き戸式ドア装置における吊りレー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JP2572285Y2 (ja) パネルシャッターのパネル吊持構造
TWI638088B (zh) Three-piece lin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