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336B1 -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336B1
KR101594336B1 KR1020140147152A KR20140147152A KR101594336B1 KR 101594336 B1 KR101594336 B1 KR 101594336B1 KR 1020140147152 A KR1020140147152 A KR 1020140147152A KR 20140147152 A KR20140147152 A KR 20140147152A KR 101594336 B1 KR101594336 B1 KR 10159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oor
slid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파산업
Priority to KR102014014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05D15/063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by vertical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롱의 전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조절한 후에는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상부로울러(21)(31)를 가지면서 다수의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에 의해 도어와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23)(33)가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조절토록 하는 높낮이 조절수단(A)은 상부브라켓트(23)(33)에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면서 표면에는 수평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공(41)과 수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축공(42)이 각각 나란히 형성되는 슬라이드면(40); 상기 슬라이드면(40)의 후방에 체결됨과동시에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는 작동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상기한 슬라이드면(40)의 축공(42)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52)가 체결고정되는 고정너트공(53)가 형성되며, 상,하부 양측단에는 가이더(55)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50); 상기 고정판(50)의 작동공(51)에 삽입체결되어 회전가능토록 구비되고, 전면에는 육각형의 공구삽입공(61)을 가지면서 편심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면(40)의 슬라이드공(41)내에 삽입체결되는 조절구(62)를 가지는 작동원판(6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ment of the closet with a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롱의 전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조절한 후에는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0-0464490호를 개량 발명한 것이다.
각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장롱의 도어는 그 형태나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나 근래에는 장롱의 도어를 좌,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은 종래의 경첩에 의해 전면으로 개폐되는 일명 여닫이식 도어에 비하여 공간활용도가 좋은 장점과 더불어, 티타늄,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과 더불어 강화유리, 목재 등 비교적 중량이 나가는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기가 유리한 장점이 있음으로써 점차 그 사용의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장롱의 전면에 아웃도어(out door)와 인도어(in door)로 구분되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도어가 내,외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장롱의 천판과 지판이라고 하는 상,하부판의 전면에는 각각 상,하부레일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아웃도어 및 인도어의 상,하부에는 상기 상,하부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상부로울러 및 하부로울러가 각각의 브라켓트에 의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로울러는 각 도어의 상부에서 상부브라켓트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므로써 장롱의 상부레일에 안착되어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하부로울러는 각 도어의 하부에서 하부브라켓트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하부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외측의 아웃도어 및 인도어는 그 상,하부에서 브라켓트에 의해 설치된 상,하부로울러가 장롱의 상,하부판에 설치된 상,하부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이들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손쉽게 개폐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경우 장롱에 결합시에나 또는 장롱이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면의 고르기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상부로울러가 장착된 상부브라켓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로울러의 위치 즉,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종래에도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8827호를 들수 있다.
이의 구성은 아웃도어 및 인도어의 상부측에 각각 브라켓트가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트에는 로울러가 장착된 또다른 보조브라켓트가 일측의 힌지핀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핀이 설치되는 반대측 위치의 브라켓트에는 볼트지지대에 의해 보울트가 나사체결되어 이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진퇴작동에 의해 보조브라켓트가 힌지핀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이 이루어져 로울러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울트를 풀어주거나 조여주는 조절에 의해 보조브라켓트가 힌지핀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면서 이에 장착된 로울러의 위치가 즉, 도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나면 이탈방지구를 회전시켜 보조브라켓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보울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줌과 동시에 보조브라켓트를 인위적으로 움직여서 위치를 조절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미세한 조절이 용이치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는 이탈방지구를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긴 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돌려서 고정한 방법임으로써 그 고정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개폐작동에 따른 충격에 의해서 쉽게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없이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은 이탈방지구 는 물론이고, 조절보울트 등으로 전달되어져 그 위치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같이 약간만 느슨해지는 위치변형은 계속되는 개폐충격에 의해 가속되어져 도어 전체가 뒤틀어지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브라켓트에 설치되는 보조브라켓트를 보울트나 스크류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 역시 수없이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에 따른 충격을 견디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출원 실용신안등록 제20-0464490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등록고안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3에서 보듯이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으로서, 장롱의 슬라이드식 도어인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상부로울러(21)(31)를 가지면서 다수의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에 의해 도어와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23)(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브라켓트(23)(33)에는 회전축(41)에 의해 편심으로 축결합되면서 각 도어(20)(30)의 체결홈(27)에 삽입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되는 원판형의 블럭(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1)의 중심부에는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정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각형의 조절공(4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1)의 반대측 위치인 상부브라켓트(23)(33)에는 곡선형의 고정공(28)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연통되는 블럭(40)상에는 별도의 고정보울트(43)가 나사체결되는 너트공(44)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고안은 렌치와 같은 공구를 조절공(42)에 삽입하여 정 또는 역회전시키게 되면, 블럭(40)이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편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브라켓트(23)를 상,하 이동시키게 되므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의 구성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먼저, 원형으로 형성되는 블럭(40)은 도어(20)(30)에 형성되는 체결홈(27)내에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이의 설치작업이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블럭(40)이 설치되는 체결홈(27)은 도어의 표면에 형성하여야 하는 것임으로써 목재나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표면에 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체결홈(27)을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가공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를 제조시 자동화된 공정으로 많은 양을 대량생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체결홈을 다시 가공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시간은 물론이고 공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대폭 상승시키게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현장에서 조립시에는 상기 체결홈을 가공하기 위한 특수한 장비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럭(40)을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한 후, 고정을 위한 너트공(44)이 블럭(40)의 회전에 따른 곡면을 가지게 됨으로써 고정보울트로 고정시 조여주는 작업에 의해 약간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강하게 조여주지 않는 한,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높낮이의 변경이 생길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면서도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을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아웃도어 및 인도어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구조를 매우 간편하게 함으로써 제조는 물론이고, 조립에 따른 구조성을 월등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낮이 조절에 따른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도 손쉽게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의 개폐작동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혀 유동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을 새롭게 개선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브라켓트에 높낮이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이는 상부브라켓트의 소정위치에 슬라이드공과 축공이 각각 나란히 형성되면서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면과, 상기 슬라이드면의 후방과 조립되면서 도어의 표면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안내 및 도어에 고정토록 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슬라이드면의 사이에 중심축 또는 편심축으로 축결합되어 별도의 렌치와 같은 공구에 의해 회전조절됨으로써 슬라이드면을 통하여 상부브라켓트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토록 하는 작동원판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에 있어서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을 슬라이드식 도어에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나 기타 부품에 별도의 선가공없이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제조성 및 조립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불량율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렌치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정,역회전작동시킴에 따라 상부브라켓트가 상,하 승강작동되어 로울러의 위치를 조절토록 하는 것임으로써 조절작동이 간단하고 손쉬울 뿐만 아니라 미세한 조절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높낮이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상부브라켓트에 다수의 고정보울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를 별도로 풀어주지 않는 한 여러 가지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한 외력에도 고정력이 해소되지 않는 등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정면구성도.
도 2는 종래 슬라이드식 도어의 측단면구성도
도 3은 종래 상부브라켓트에 블럭이 체결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도어의 측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브라켓트에 체결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의 도5에서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체결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0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작동설명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을 일실시예로 보인 도면이고, 도4 내지 도9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설치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10 이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롱(100)은 도1 및 도4에서 상세히 보듯이 그 전면에 아웃도어(20)와 인도어(30)가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장롱(100)의 전면 상,하부판(11)(12)에는 상부레일(13)과 하부레일(1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내측 상,하부에는 상부로울러(21)(31)와 하부로울러(22)(32)가 상,하부브라켓트(23)(33),(24)(34)에 의해 각각 설치되어 장롱(100)의 상,하부레일(13)(14)에 안착된 채로 좌우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는 상호 엇갈리게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이들의 내측 상,하부에는 상부브라켓트(23)(33) 및 하부브라켓트(24)(34)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브라켓트에는 상부로울러(21)(31) 및 (22)(32)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하부로울러는 장롱(100) 몸체에 설치되는 상,하부레일(13)(14)에 각각 안착되어 이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하부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A)의 구조는 인도어(20) 및 아웃도어(30)와 상부브라켓트(23)(33)에 설치되는 것이고, 이의 구조는 양측 도어의 상부브라켓트(23)(33)의 형상에 따른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므로 아웃도어(20)를 기준으로 그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4 내지 도9 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아웃도어(20)의 내측 상단에는 절곡되는 형태의 상부브라켓트(23)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브라켓트(23)의 일측에는 상부로울러(21)가 축결합되어 공회전 가능토록 구성되고, 표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다수의 장공(25)이 설치되며, 이 장공(25)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26)로서 아웃도어(2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공(25)은 상부브라켓트(23)를 아웃도어(20)상에 고정설치시 그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상,하 또는 좌,우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두 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부로울러(2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의 장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트(23)의 장공(25)들이 설치된 중심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A)이 형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A)은 도5 내지 도9 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트(23)의 소정위치에 전방을 향해 절곡되는 슬라이드면(40)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면(40)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장공의 슬라이드공(41)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근접되는 위치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의 축공(42)이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면(40)의 후면에는 아웃도어(20)의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5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50)은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일측에는 별도의 조절원판(60)이 체결될 수 있는 작동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상기한 슬라이드면(40)의 축공(42)과 일치되도록 별도의 고정보울트(52)가 체결고정되는 고정너트공(53)이 형성되고, 이 고정너트공(53)의 상,하부에는 고정판(50)을 아웃도어(20)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또다른 형태의 체결공(54)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50)의 상,하부 양측단에는 각각 돌출되는 가이더(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작동시 상부브라켓트(23)의 상,하 슬라이드를 원할하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작동공(51)은 조절원판(60)이 삽입체결될 수 있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너트공(53)은 슬라이드면(40)의 수직 축공(42)과 일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도 별도의 고정보울트(52)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너트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고정보울트(52)는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후, 고정너트공(5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판(50)에 상부브라켓트(23)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즉 아웃도어(20)에 고정된 고정판(50)에 상부브라켓트(23)를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공(53)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체결공(54)은 고정판(50)을 아웃도어(2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공으로서 고정력을 배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절작동시 상부브라켓트(23)가 상,하 슬라이드 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수직 장공의 축공(42)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원판(60)은 원판체로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판(50)의 작동공(51)내에 삽입체결되는 것으로, 이의 전면에는 육각형의 공구삽입공(61)을 가지는 원형의 조절구(62)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의 작동원판(60)은 원판체로 이루어져 고정판(50)의 작동공(51)내에서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토록 구비되는 것이고, 조절구(62)는 작동원판(60)의 전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편심축(P1)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공구삽입공(61)은 조절구(62)의 중심에서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어 렌치와 같은 별도의 공구가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구(62)는 조립시 슬라이드면(40)의 수평 장공인 슬라이드공(41)내에 삽입체결되어 이에 안내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또한 작동원판(60)에 편심축(P1)으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공구에 의해 조절구(62)를 회전작동시킴에 의해 조절구(62)는 작동원판(60)의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된다.
이같이 조절구(62)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이와 슬라이드공(41)으로 결합된 슬라이드면(40)은 상,하 이동되어져 전체적으로 상부브라켓트(23)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절수단은 첨부된 도면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아웃도어(20) 뿐만 아니라 인도어(30)상에도 각각 동일한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이들 도어의 상부브라켓트(23)(33)상에 설치된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을 비롯하여 붙박이 장과 같은 여러 가지 가구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외를 구분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도어에 적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장롱(100)에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를 설치시, 장롱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이나 기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이들 도어에 설치되는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조절하여야만 상부레일을 타고 원활한 슬라이딩을 기대할 수가 있음에 따라 높낮이 조절수단(A)의 조절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A)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10 이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트(23)의 슬라이드면(40)의 슬라이드공(41)에 결합된 조절구(62)의 육각형 공구삽입공(61)에 렌치의 공구를 삽입하여 정 또는 역회전 작동에 의한 방법으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렌치의 공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회전력에 의해 조절구(62)가 조절원판(60)의 중심축(P)에 편심축(P1)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고, 이같이 위치가 변경되는 조절구(62)는 슬라이드공(41)으로 결합된 슬라이드면(40)을 통하여 상부브라켓트(23)를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즉, 조절구(62)는 조절원판(60)에 편심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의 중심을 회전시키는 작동에 의해 고정판(50)의 작동공(51)에 삽입된 조절원판(60)을 중심축(P)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같이 조절원판(60)이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됨에 따라 편심으로 형성된 조절구(62)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구(62)의 위치는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운동에 의해 변경되면서 이와 슬라이드공(41)으로 축결합된 슬라이드면(40)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구(62)의 회전운동에 따른 슬라이드면(40)의 직선운동의 범위는 슬라이드공(41)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슬라이드면(40)의 상,하 이동범위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브라켓트(23)의 전체적인 높낮이 조절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매우 넓은 범위의 조절은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부브라켓트(23)의 위치가 조절 완료되면, 축공(42)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52)를 고정판(50)의 고정너트공(53)에 조여서 유동없이 고정하고, 이어서 상기 상부브라켓트(23)에 형성된 다수 개의 장공(25) 즉, 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을 각각 나사조임함으로써 아웃도어(20)와 일체형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높낮이 조절수단(A)은 필요에 의해 렌치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회전작동만으로도 언제든지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고, 조절후에는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고정할 수가 있음으로써 어떠한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부터 도어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0:장롱 11:상부판
12:하부판 13:상부레일
14:하부레일 20:아웃도어
21,31:상부로울러 22,32:하부로울러
30:인도어 23,33:상부브라켓트
24,34:하부브라켓트 25:장공
26:고정보울트 A:높낮이 조절수단
40:슬라이드면 41:슬라이공
42:축공 50:고정판
51:작동공 52:고정보울트
53:고정너트공 54:체결공
55:가이더 60:조절원판
61:공구삽입공 62:조절구

Claims (2)

  1.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상부로울러(21)(31)를 가지면서 다수의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에 의해 상부브라켓트(23)(33)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부브라켓트(23)(33)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조절토록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수단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높낮이 조절수단(A)은 상부브라켓트(23)(33)의 일측에 도어와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절곡되게 구비되면서 수평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공(41)과 수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축공(42)이 각각 나란히 형성되는 슬라이드면(4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면(40)의 후방 공간에는 체결공(54)을 통하여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에 고정설치되면서 일측에는 전,후 관통되는 작동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상기한 슬라이드면(40)의 축공(42)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52)로 체결고정되는 고정너트공(53)과, 상,하 양측단에는 가이더(55)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50)을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50)의 작동공(51)에는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토록 구비되면서 전면에는 육각형의 공구삽입공(61)이 편심축(P1)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면(40)의 슬라이드공(41)내에 삽입체결되는 조절구(62)를 가지는 작동원판(60)을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조절구(62)의 공구삽입공(61)을 통해 렌치와 같은 공구로 회전작동시 중심축(P)을 지지점으로 회전되면서 편심축(P1)이 상,하 이동되므로 도어의 높낮이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2. 삭제
KR1020140147152A 2014-10-28 2014-10-28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KR10159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52A KR101594336B1 (ko) 2014-10-28 2014-10-28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52A KR101594336B1 (ko) 2014-10-28 2014-10-28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336B1 true KR101594336B1 (ko) 2016-02-17

Family

ID=5545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152A KR101594336B1 (ko) 2014-10-28 2014-10-28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775B1 (ko) 2016-11-29 2017-04-27 엄원주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20210141894A (ko) * 2020-05-15 2021-11-2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도어 조립체와 몸통 조립체 및 이들의 조립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703A (ja) * 1998-08-19 2000-02-29 Fujisash Co 吊車の高さ位置調節装置
JP2005097951A (ja) * 2003-09-24 2005-04-14 Murakoshi Mfg Corp 開閉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703A (ja) * 1998-08-19 2000-02-29 Fujisash Co 吊車の高さ位置調節装置
JP2005097951A (ja) * 2003-09-24 2005-04-14 Murakoshi Mfg Corp 開閉体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775B1 (ko) 2016-11-29 2017-04-27 엄원주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20210141894A (ko) * 2020-05-15 2021-11-2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도어 조립체와 몸통 조립체 및 이들의 조립 방법
KR102420370B1 (ko) * 2020-05-15 2022-07-1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도어 조립체와 몸통 조립체 및 이들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5825B2 (ja) 仕切り要素を保持するキャリッジ及び仕切り要素
RU2585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передней панели выдвижных ящиков и выдвижной ящик
JP2015085166A (ja) 引出のパネル取外しおよび係止機構
US9549643B2 (en) Adjustable curved door assembly
US9663979B2 (en) Recessed adjustable door hinge
KR101216978B1 (ko) 강화유리문의 위치 조절장치
KR10159433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TWI739205B (zh) 用於引導至少一個可移動地安裝之門扇的引導系統、具有該引導系統的家具以及用於將至少一個門扇組裝在該引導系統上的方法
CN203893556U (zh) 一种冰箱门体高度调节机构
US11078699B2 (en) Furniture hinge
KR10102281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CN209670635U (zh) 一种可调式铰链
CN109184399B (zh) 一种隐藏式门窗铰链用多功能调节座
KR200464490Y1 (ko) 장롱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69499B1 (ko)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EP3039207B1 (en) Leaf of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and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provided with such a leaf
KR20110002643U (ko)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RU2484227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етля
KR20160001744U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RU2607068C1 (ru) Комплект опор с роликами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этих опор по высоте
EP1722057A2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Door and Window Hinges
US20180228288A1 (en) Anchoring group for wall cupboards with facilitated assembly
US10323447B2 (en) Adjustable guide device for a sliding element
CN209683874U (zh) 汽车门窗框固定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