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643U -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643U
KR20110002643U KR2020090011837U KR20090011837U KR20110002643U KR 20110002643 U KR20110002643 U KR 20110002643U KR 2020090011837 U KR2020090011837 U KR 2020090011837U KR 20090011837 U KR20090011837 U KR 20090011837U KR 20110002643 U KR20110002643 U KR 201100026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furniture
heigh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파산업
Priority to KR202009001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643U/ko
Publication of KR20110002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절한 후에는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토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로서,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인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상부로울러(21)(31)를 가지면서 다수의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에 의해 도어와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23)(3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브라켓트(23)(33)에는 회전축(41)에 의해 편심으로 축결합되면서 도어의 체결홈(27)에 삽입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되는 원판형의 블럭(4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1)의 중심부에는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정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각형의 조절공(4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1)의 반대측 위치인 상부브라켓트(23)(33)에는 곡선형의 고정공(28)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연통되는 블럭(40)상에는 별도의 고정보울트(43)가 나사체결되는 너트공(44)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어, 가구도어, 장롱도어,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드식 도어, 도어 높낮이,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Slide type door furniture of high ang low regulation system}
본 고안은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절한 후에는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토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구류의 도어는 그 형태나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근자에는 장롱과 같은 가구류의 도어를 좌,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는 종래의 경첩에 의해 전면으로 개폐되는 일명 여닫이식 도어에 비하여 공간활용도가 좋은 장점과 더불어, 티타늄,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과 더불어 강화유리, 목재 등 비교적 중량이 나가는 여러 가지 다 양한 재질로 형성하기가 유리한 장점이 있음으로써 점차 그 사용의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장롱과 같은 가구(이하 "장롱"이라 함)의 전면에 아웃도어(out door)와 인도어(in door)로 구분되는 두 개의 도어가 내,외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장롱의 천판과 지판이라고 하는 상,하부판의 전면에는 각각 상,하부레일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아웃도어 및 인도어의 상,하부에는 상기 상,하부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상부로울러 및 하부로울러가 각각의 브라켓트에 의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로울러는 각 도어의 상부에서 상부브라켓트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므로써 장롱의 상부레일에 안착되어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하부로울러는 각 도어의 하부에서 하부브라켓트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하부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외측의 아웃도어 및 인도어는 그 상,하부에서 브라켓트에 의해 설치된 상,하부로울러가 장롱의 상,하부판에 설치된 상,하부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이들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손쉽게 개폐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경우 장롱에 결합시에나 또는 장롱이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면의 고르기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상부로울러가 장착된 상부브라켓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로울러의 위치 즉,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종래에도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8827호를 들수 있다.
이의 구성은 아웃도어 및 인도어의 상부측에 각각 브라켓트가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트에는 로울러가 장착된 또다른 보조브라켓트가 일측의 힌지핀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핀이 설치되는 반대측 위치의 브라켓트에는 볼트지지대에 의해 보울트가 나사체결되어 이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진퇴작동에 의해 보조브라켓트가 힌지핀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이 이루어져 로울러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울트를 풀어주거나 조여주는 조절에 의해 보조브라켓트가 힌지핀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면서 이에 장착된 로울러의 위치가 즉, 도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나면 이탈방지구를 회전시켜 보조브라켓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보울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줌과 동시에 보조브라켓트를 인위적으로 움직여서 위치를 조절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미세한 조절이 용이치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는 이탈방지구를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긴 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돌려서 고정한 방법임으로써 그 고정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개폐작동에 따른 충격에 의해서 쉽게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없이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은 이탈방지구 는 물론이고, 조절 보울트 등으로 전달되어져 그 위치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같이 약간만 느슨해지는 위치변형은 계속되는 개폐충격에 의해 가속되어져 도어 전체가 뒤틀어지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브라켓트에 설치되는 보조브라켓트를 보울트나 스크류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 역시 수없이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에 따른 충격을 견디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에 있어서, 아웃도어 및 인도어의 높낮이 조절을 매우 간편하고도 손쉽게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조절후에는 도어의 개폐작동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혀 유동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를 편리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새로운 형태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로울러가 장착되는 상부브라켓트상에 일정크기의 원판형 블럭을 축결합하되, 상기 블럭의 일측에서 편심으로 축결합하여 조절용너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은 도어에 축결합하여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절용너트공을 통한 정,회전작동에 따라 블럭이 편심으로 회전구동되어 브라켓트가 도어로 부터 상,하 이송작동되므로 로울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블럭의 타측에는 블럭의 회전구동에 따라 브라켓트에 형성된 곡선형의 고정공을 따라 이송되는 너트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로 고정토록 구성함으로써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유동없이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에 있어서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슬라이드식 도어에서 브라켓트를 원판형의 블럭으로 축결합함과 동시에 이 블럭상에 편심으로 형성되는 조절너트공을 통하여 렌치 등의 공구로 정,역회전작동시킴에 따라 브라켓트가 상,하 승강작동되어 로울러의 위치를 조절토록 하는 것임으로써 조절작동이 간단하고 손쉬울 뿐만 아니라 미세한 조절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높낮이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브라켓트에 블럭을 고정보울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를 별도로 풀어주지 않는 한 여러 가지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한 외력에도 고정력이 해소되지 않는 등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을 일실시예로 보인 도면이고, 도2 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설치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5 이하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장롱(100)은 그 전면에 아웃도어(20)와 인도어(30)가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장롱(100)의 전면 상,하부판(11)(12)에는 상부레일(13)과 하부레일(1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내측 상,하부에는 상부로울러(21)(31)와 하부로울러(22)(32)가 상,하부브라켓트(23)(33),(24)(34)에 의해 각각 설치되어 장롱(100)의 상,하부레일(13)(14)에 안착된 채로 좌우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는 상호 엇갈리게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이들의 내측 상,하부에는 상부브라켓트(23)(33) 및 하부브라켓트(24)(34)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브라켓트에는 상부로울러(21)(31) 및 (22)(32)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하부로울러는 장롱(100) 몸체에 설치되는 상,하부레 일(13)(14)에 각각 안착되어 이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상,하부로울러(21)(31),(22)(32)의 높낮이, 특히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하부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조는 인도어(20) 및 아웃도어(30)와 상부브라켓트(23)(33)상에 설치되는 것이고, 이의 구조는 양측 도어의 상부브라켓트(23)(33)의 형상에 따른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므로 아웃도어(20)를 기준으로 그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2 내지 도4 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아웃도어(20)의 내측 상단에는 절곡되는 형태의 상부브라켓트(23)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브라켓트(23)의 일측에는 상부로울러(21)가 축결합되어 공회전 가능토록 구성되고, 표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다수의 장공(25)이 설치되며, 이 장공(25)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26)로서 아웃도어(2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공(25)은 상부브라켓트(23)를 아웃도어(20)상에 고정설치시 그 고정력을 배가하면서 상,하 또는 좌,우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두 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에 설치되는 상부로울러(2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장공을 갖도록 구성함을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장공(25)들이 설치되는 중심부에는 아웃도어(20)의 체결홈(27)으로 삽입체결되는 원판형의 블럭(40)이 상부브라켓트(23)와 회전축(41)에 의해 편심으로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블럭(40)은 일측면이 상부브라켓트(23)와 회전축(4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블럭(40)의 타측면은 아웃도어(20)상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체결홈(27)내에 삽입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원판형 블럭(40)의 일측면상에 편심형태로 축결합되면서도 이의 중심부에는 육각형의 조절공(42)이 형성되어 별도의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1)이 축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23)의 반대측에는 곡선형의 고정공(28)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28)이 관통되는 블럭(40)상에는 이를 통하여 또다른 별도의 고정보울트(43)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너트공(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브라켓트(23)의 곡선형 고정공(28)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보울트(43)를 블럭(40)의 너트공(44)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한 후, 이들을 유동없이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절수단은 첨부된 도면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아웃도어(20) 뿐만 아니라 인도어(30)상에도 각각 동일한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이들 도어의 상부브라켓트(23)(33)상에 설치된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 를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을 비롯하여 붙박이 장과 같은 여러 가지 가구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외를 구분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도어에 적용하더라도 매우 적합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장롱(100)에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를 설치시, 장롱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이나 기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이들 도어에 설치되는 상부로울러(21)(31)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조절하여야만 상부레일을 타고 원활한 슬라이딩을 기대할 수가 있음에 따라 정확한 높낮이의 조절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첨부된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트(23)상에 설치되는 회전축(41)의 중심 조절공(42)으로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정 또는 역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41)과 축결합된 블럭(40)은 회전작동되면서 회전축(41)의 위치가 블럭(40)을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어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축(41)이 블럭(40)상에 편심으로 축결합됨으로써 공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블럭(40)을 지지점으로 회전되는 원리에 의해 회전축(41)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41)과 축결합된 상부브라켓트(23)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원리를 다시 설명하면, 첨부된 도면의 도7 및 도10 에서 보듯이 조절공(4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의 중심축 "A"는 블럭(40)의 중심축 "B"와는 편심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공(42)을 통하여 회전축(41)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회전력에 의해 블럭(40)의 중심축 "B"를 지지점으로 회전축(41)이 회전작동되어 그 중심축 "A"가 이동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블럭(40)은 아웃도어(20)와 체결홈(27)에 의해 축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제자리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축(41)과 축결합된 상부브라켓트(23)는 상,하 이동되는 것이다.
즉, 도면의 도7 에서와 같은 중간위치에서 조절공(43)을 통하여 도8 및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조절공(43)은 블럭(40)의 중심축 "A"를 지지점으로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조절공(43)의 회전축(41)과 축결합된 상부브라켓트(23)가 상,하 이동됨으로써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럭(40)이 회전작동됨에 따라 너트공(44)은 블럭(4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되고, 이의 너트공(44)은 상부브라켓트(23)의 곡선형 고정공(28)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높낮이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곡선형의 고정공(28)을 통하여 별도의 또다른 고정보울트(43)를 블럭(40)의 너트공(44)에 나사조임함으로써 상부브라켓트(23)와 블럭(40)을 일체형으로 고정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상부브라켓트(23)에 형성된 다수개의 장공(25) 즉, 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을 각각 나사조임함으로써 아웃도어(20)와 일체형으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보울트(43)를 블럭(40)의 너트공(44)에 고정하여 상 부브라켓트(23)와 아웃도어(20)를 일체형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브라켓트(23)를 도어(20)와 역시 일체형으로 고정함으로써 유동을 원초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수단은 렌치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회전작동만으로도 언제든지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고, 조절후에는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고정할 수가 있음으로써 어떠한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부터 도어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도1의 측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브라켓트에 블럭이 체결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5의 배면사시도
도 7 내지 도9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블럭의 작동설명도
도 11은 본 고안 블럭의 체결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장롱 11:상부판
12:하부판 13:상부레일
14:하부레일 20:아웃도어
21,31:상부로울러 22,32:하부로울러
30:인도어 23,33:상부브라켓트
24,34:하부브라켓트 25:장공
26:고정보울트 27:체결홈
28:고정공 40:블럭
41:회전축 42:조절공
43:고정보울트 44:너트공

Claims (1)

  1.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로서,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인 아웃도어(20) 및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상부로울러(21)(31)를 가지면서 다수의 장공(25)을 통하여 고정보울트(26)에 의해 도어와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23)(3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브라켓트(23)(33)에는 회전축(41)에 의해 편심으로 축결합되면서 도어의 체결홈(27)에 삽입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되는 원판형의 블럭(4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1)의 중심부에는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정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각형의 조절공(4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1)의 반대측 위치인 상부브라켓트(23)(33)에는 곡선형의 고정공(28)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연통되는 블럭(40)상에는 별도의 고정보울트(43)가 나사체결되는 너트공(4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90011837U 2009-09-09 2009-09-09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100026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37U KR20110002643U (ko) 2009-09-09 2009-09-09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37U KR20110002643U (ko) 2009-09-09 2009-09-09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43U true KR20110002643U (ko) 2011-03-16

Family

ID=4420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837U KR20110002643U (ko) 2009-09-09 2009-09-09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6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90Y1 (ko) * 2011-05-31 2013-01-08 주식회사 코파산업 장롱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086058A (ko) * 2019-01-08 2020-07-16 윤태산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90Y1 (ko) * 2011-05-31 2013-01-08 주식회사 코파산업 장롱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086058A (ko) * 2019-01-08 2020-07-16 윤태산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WO2020145505A1 (ko) * 2019-01-08 2020-07-16 윤태산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5825B2 (ja) 仕切り要素を保持するキャリッジ及び仕切り要素
US11525295B2 (en) Furniture board having a flap fitting and carcass and furniture item having such a furniture board
CN106917554B (zh) 一种自锁滑趟门下滑轮组件
EP3269282B1 (en) Shower door
KR200476510Y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EP3184713B1 (en) Anchoring device for panels
KR20110002643U (ko) 가구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64490Y1 (ko) 장롱 도어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3893556U (zh) 一种冰箱门体高度调节机构
KR200458273Y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하부스톱퍼 체결구조
KR10159433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도어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2281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EP3039207B1 (en) Leaf of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and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provided with such a leaf
CN206530191U (zh) 一种自锁滑趟门下滑轮组件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CN201751514U (zh) 可调式铝合金推拉门
KR19980011002U (ko) 이동식 절첩문의 상부 슬라이드 롤러
KR200357349Y1 (ko) 미닫이 도어용 하부롤러
CN213297580U (zh) 装配式抗震支架用可调抗震铰链
KR200455503Y1 (ko) 도어 프레임
CN209621026U (zh) 一种卫浴门
JP4491467B2 (ja) アジャスタ取付構造
WO2017059916A1 (en) Adjustable hinge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CN201786176U (zh) 一种淋浴门边框
KR200237674Y1 (ko) 옥내에 설치되는 미닫이형 중문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