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09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509B1
KR100591509B1 KR1020040093417A KR20040093417A KR100591509B1 KR 100591509 B1 KR100591509 B1 KR 100591509B1 KR 1020040093417 A KR1020040093417 A KR 1020040093417A KR 20040093417 A KR20040093417 A KR 20040093417A KR 100591509 B1 KR100591509 B1 KR 10059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sin member
cavity
case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484A (ko
Inventor
아카가와고이치
나가세도시아키
오니시히로유키
이시카와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5004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6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e.g. centering rings
    • H01L23/18Fill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its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its arrangement within the complete device
    • H01L23/24Fill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its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its arrangement within the complete device solid or gel at the normal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07Induc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실리콘 겔이 케이스 내부에 주입될 경우, 그 겔은 경화하기 전에 액상이기 때문에, 그 겔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제 1 전극의 전면과 수지부재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갭을 따라 상승하려 한다. 그러나, 제 1 전극의 캐비티에서 갭은 더 넓어지기 때문에, 겔의 상승 이동은 캐비티의 높이에서 중단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겔이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까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겔의 상승 이동이 캐비티에 의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수지부재, 갭, 캐비티, 밀봉재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 내지 5 는, 각각, 변형 실시형태들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 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베이스 기판 12: 제 1 전극
12a, 13a, 14a: 개구부 13: 수지부재
14: 제 2 전극 15: 반도체 소자
16: 본딩 와이어 17: 케이스
18: 커버 19: 실리콘 겔
D1: 갭 P: 액면 높이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반도체 전력 모듈과 같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JP4-18468A 에 개시되어 있는 반도체 장치에서는, 반도체 소자, 전극 등을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하고, 본딩 와이어를 통해 소정 부분들 사이에서 접속을 형성하고, 이들 모두를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그 케이스 내에 실리콘 겔을 주입하고 경화시켜, 그 케이스 내부의 소자 등을 보호한다.
그러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밀봉형 반도체에서, 일 전극 (1) 은 베이스 기판 (2) 에 고정되고, 다른 전극 (3) 은 커버 (4) 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지부재 (5) 에 의해 지지된다. 2 개의 전극 (1 및 3) 은 케이스 (6) 내에서 서로 근접하게 인출되어, 일 전극 (1) 과 수지부재 (5) 사이에 미세한 갭 (gap) D 가 형성된다. 어떤 경우에는, 경화하기 전에 겔 (7) 이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갭 D 를 따라 상승하여, 전극들 (1 및 3) 의 외부단자와의 접속 부분까지 도달하고 그 부분에 부착된다. 겔 (7) 이 전극들 (1 및 3) 의 외부단자와의 접속 부분에 부착될 경우, 겔 (7) 은 절연체이기 때문에, 전극들 (1 및 3) 과 외부단자 사이의 접속은 불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전극을 지지하는 수지부재와 일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그 갭을 따라 상승하는 수지부재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더 넓은 갭은 2 개의 전극 사이의 거리를 더 넓게 하여,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겔의 상승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 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소자;
내부에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된 상부를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그 케이스의 상방까지 인출(引出)되는 제 1 전극;
제 1 전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1 전극과의 사이에 갭을 갖는 수지부재; 및
케이스 내부에 액상으로 주입된 후에 경화되는 절연 밀봉재를 구비하며,
수지부재와 제 1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부분적으로 확장함으로써, 경화 전의 밀봉재가 제 1 전극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까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부재와 제 1 전극 중 적어도 일방에 캐비티가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밀봉재가 케이스로 주입될 경우,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그 밀봉재는 전극과 수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따라 상승하려 한다. 그러나, 갭이 캐비티에서 더 넓어지기 때문에, 밀봉재의 그러한 상승 이동은 캐비티의 높이에서 중단되고, 이에 따라, 밀봉재가 전극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에 까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 반도체 장치는 전력 모듈 등으로서 이용된다. 그 반도체 장치는 베이스 기판 (11) 을 가진다. 베이스 기판 (11) 은 그 표면에 솔더링 (soldering) 된 제 1 전극 (12) 를 가진다. 제 1 전극 (12) 은 단면이 L-형상이다. 제 1 전극 (12) 근방에는 수지부재 (13) 가 배치되는데, 이 수지부재 (13) 는 제 1 전극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단면이 L-형상이다. 제 1 전극 (12) 의 전면과 수지부재 (13) 의 후면 사이에는 미세한 갭 (gap) 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이 L-형상인 제 2 전극 (14) 은 수지부재 (13) 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 (12) 과 제 2 전극 (14) 은 근접하게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 (12) 의 수직부는 그 전면 상에, 즉, 수지부재 (13) 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형성된 오목 캐비티 (12a) 를 가짐으로써, 제 1 전극 (12) 의 전면과 수지부재 (13) 의 후면에 형성된 갭이 캐비티 (12a) 에서 부분적으로 더 넓어진다. 캐비티 (12a) 는, 제 1 전극 (12) 의 폭방향으로 그루브 (groove) 와 같이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 (12) 의 두께가 1 - 1.5 mm 정도이고, 제 1 전극 (12) 의 전면과 수지부재 (13) 의 후면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갭이 0.2 - 0.5 mm 정도일 경우, 제 1 전극 (12) 와 수지부재 (13) 사이의 캐비티 (12a) 에서의 갭 D1 은 1 m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소자 (15) 는 제 1 전극 (12) 과 일정한 간격으로 베이스 기판 (11) 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 소자 (15) 의 표면 상의 전극과 제 2 전극 (14) 는 본딩 와이어 (16) 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7) 는 베이스 기판 (11) 의 주변부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기판 (11) 상에 배치되 는 제 1 전극 (12), 제 2 전극 (14), 반도체 소자 (15) 등은 케이스 (1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 (17) 는 그 위에 배치되는 커버 (18) 을 가진다. 수지부재 (13) 는 커버 (18) 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2 전극 (14) 을 지지한다.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은 커버 (18) 에 형성된 개구부 (opening; 18a) 를 통해 케이스 (17) 의 외부로 인출되기 때문에, 커버 (18)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의 일부는 외부단자 (미도시) 와 접속될 수 있다. 케이스 (17) 내에 수용된 소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밀봉재로서의 실리콘 겔 (19) 은 소정 액면 높이 P 까지 케이스 (17) 에 주입되고 경화되어 있다.
제 1 전극 (12) 에 형성되는 캐비티 (12a) 의 높이는 겔 (19) 의 소정 액면 높이 보다 더 높고,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의 높이 보다는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구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리콘 겔 (19) 이 케이스 (17) 내부에 주입될 경우, 겔 (19) 는 경화하기 전에 액상이므로, 그 겔 (19) 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제 1 전극 (12) 의 전면과 수지부재 (13) 의 후면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갭을 따라 상승하려 한다. 그러나, 그 갭이 제 1 전극 (12) 의 캐비티 (12a) 에서 더 넓어지기 때문에, 겔 (19) 의 상승 이동은 캐비티 (12a) 의 높이에서 중단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겔 (19) 이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까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에 겔 (19) 이 부착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의 외부단 자와의 불량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 (12) 과 제 2 전극 (14) 사이에 더 큰 거리를 만들 필요없이, 겔 (19) 의 상승 이동이 캐비티 (12a) 에 의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전극 (12) 과 제 2 전극 (14) 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제 1 전극 (12) 및 제 2 전극 (14) 을 포함하는 회로에서 야기되는 인덕턴스를 저감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 (12) 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12a) 를 갖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12) 에 대향하는 수지부재 (13) 의 후면이 수지부재 (13) 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계단형 캐비티 (13a) 를 가질 수도 있다. 제 1 전극 (12) 의 전면과 수지부재 (13) 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갭이 캐비티 (13a) 에서 더 넓어지기 때문에, 겔 (19) 의 상승 이동은 캐비티 (13a) 의 높이에서 방지되며,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12) 및 수지부재 (13) 가 그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캐비티 (12a 및 13a) 를 가질 경우, 캐비티 (12a 및 13a) 에서 갭을 훨씬 더 넓게 할 수 있으므로, 겔의 상승 이동은 더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허용하는 한, 제 1 전극 (12) 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계단형 캐비티 (12a) 가 제 1 전극 (12) 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유사하게, 겔 (19) 의 상승 이동은 캐비티 (12a) 의 높이에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3 의 수지부재 (13) 의 캐비티 (13a) 는 계단형이 아닌 그루브형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극 (12) 의 캐비티 (12a) 는 절삭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수지부재 (13) 의 캐비티 (13a) 는 절삭 가공, 몰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 (14) 은, 그 제 2 전극 (14) 과 수지부재 (13)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지부재 (13) 에 대향하는 제 2 전극 (14) 의 후면 상에 캐비티 (12a 및 13a) 와 유사한 캐비티 (14a) 를 형성함으로써, 겔 (19) 의 상승 이동은 그 캐비티 (14a) 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전극 (14) 에 대향하는 수지부재 (13) 의 전면 상에 캐비티를 형성함으로써, 겔 (19) 의 상승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부재 (13) 의 전면 및 제 2 전극 (14) 의 후면 모두에 캐비티를 형성함으로써, 겔의 상승 이동이 더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들에서는, 실리콘 겔 (19) 이 밀봉재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겔 (19) 의 유연성이 반도체 장치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겔 (19) 대신에 에폭시 수지 등이 밀봉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캐비티는,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밀봉재의 상승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수지부재 (13) 는 커버 (18) 에 고정되는 대신에 케이스 (17) 에 고정될 수 도 있다.
또한, 비록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전극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3 개 이상의 전극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는 케이스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전극, 및 제 1 전극에 대향하고 그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수지부재를 구비하며, 그 반도체 장치에서, 수지부재와 제 1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부분적으로 확장함으로써, 경화하기 전에 밀봉재가 제 1 전극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까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부재와 제 1 전극 중 적어도 일방에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겔의 상승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겔의 상승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소자;
    상기 반도체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된 상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방까지 인출(引出)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과의 사이에 갭을 갖는 수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액상으로 주입된 후에 경화되는 절연 밀봉재를 구비하되,
    상기 수지부재와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갭을 부분적으로 확장함으로써, 경화 전의 상기 밀봉재가 상기 제 1 전극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까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티가 상기 수지부재와 상기 제 1 전극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높이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부단자와의 접속부의 높이 보다 낮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주입되는 상기 밀봉재의 소정의 액면 높이 보다는 더 높은,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지부재는 상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커버에 고정되는, 반도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고, 상기 제 1 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수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지부재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더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고, 상기 제 1 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수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지부재의 전면과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제 2 전극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지부재와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부분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상기 수지부재와 상기 제 2 전극 중 적어도 일방에 또 다른 캐비티가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수지부재와 상기 제 1 전극 중 적어도 일방의 폭방향으로 그루브형으로 연장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수지부재와 상기 제 1 전극 중 적어도 일방의 폭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연장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로서는 실리콘 겔이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수지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수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갭이 0.2 - 0.5 mm 정도일 경우,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수지부재 사이의 상기 캐비티에서의 갭은 1 mm 정도로 설정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40093417A 2003-11-19 2004-11-16 반도체 장치 KR100591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9670 2003-11-19
JP2003389670A JP4081611B2 (ja) 2003-11-19 2003-11-19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484A KR20050048484A (ko) 2005-05-24
KR100591509B1 true KR100591509B1 (ko) 2006-06-19

Family

ID=3443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417A KR100591509B1 (ko) 2003-11-19 2004-11-16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1580B2 (ko)
EP (1) EP1533839B1 (ko)
JP (1) JP4081611B2 (ko)
KR (1) KR100591509B1 (ko)
CN (1) CN1307712C (ko)
TW (1) TWI2481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9544B (zh) * 2006-09-29 2012-02-22 北陆电气工业株式会社 防水型按钮开关
US7768124B2 (en) * 2007-02-16 2010-08-03 Denso Corporation Semiconductor sensor having a flat mounting plate with banks
CN101446351B (zh) * 2007-11-27 2010-12-22 航天材料及工艺研究所 一种密封防护方法
JP4911725B2 (ja) * 2008-02-18 2012-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548467B2 (ja) * 2010-01-29 2014-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5357667B2 (ja) * 2009-08-24 2013-1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装置の製造方法
CN102484102A (zh) * 2009-08-24 2012-05-3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子器件以及电子器件的制造方法
CN102044794B (zh) * 2009-10-21 2012-12-1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密封结构
CN103633125A (zh) * 2012-08-22 2014-03-12 西安永电电气有限责任公司 电力半导体器件用电极
US20150001700A1 (en) * 2013-06-28 2015-01-01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Modules with Parylene Coating
JP2015018971A (ja) * 2013-07-11 2015-01-29 富士通株式会社 放熱板、及び海中機器
JP6300751B2 (ja) 2015-03-25 2018-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10177057B2 (en) 2016-12-15 2019-01-08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semiconductor modules with protective coating
EP4270466A1 (en) * 2022-04-25 2023-11-01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semiconductor module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producing power semiconductor module arrang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1652A (ja) * 1981-12-11 1983-07-20 Fuji Electric Co Ltd 混成集積回路装置
JPS62104145A (ja) 1985-10-31 1987-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2999930B2 (ja) 1994-08-26 2000-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混成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56231A (en) * 1994-10-07 1999-09-21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ower semiconductor elements
JP3193852B2 (ja) * 1995-10-18 2001-07-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センサチップ保護用キャップの固定構造
US6184544B1 (en) * 1998-01-29 2001-02-06 Rohm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ith light reflective current diffusion layer
JP3562311B2 (ja) * 1998-05-27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および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695260B2 (ja) * 1999-11-04 2005-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モジュール
JP2001210758A (ja) * 2000-01-28 2001-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パワーモジュール
JP4614038B2 (ja) 2001-09-25 2011-01-19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樹脂封止型電子部品
DE10237561C1 (de) * 2002-08-16 2003-10-16 Semikron Elektronik Gmbh Induktivitätsarme Schaltungsanordnung bzw. Schaltungsaufbau für Leistungshalbleiter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3839A2 (en) 2005-05-25
CN1307712C (zh) 2007-03-28
JP2005150621A (ja) 2005-06-09
JP4081611B2 (ja) 2008-04-30
EP1533839A3 (en) 2011-09-07
US7091580B2 (en) 2006-08-15
TWI248175B (en) 2006-01-21
CN1619796A (zh) 2005-05-25
EP1533839B1 (en) 2016-04-27
KR20050048484A (ko) 2005-05-24
US20050104189A1 (en) 2005-05-19
TW200522291A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509B1 (ko) 반도체 장치
KR950030323A (ko)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의 생산방법 및 반도체 모듈
JP200717327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26426B2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金型構造
JP6806024B2 (ja) 半導体装置
KR20060051806A (ko) 리드 프레임 및 그 반도체 패키지
KR20150004282A (ko) 반도체 장치
JP2020098885A (ja) 半導体装置
KR101331737B1 (ko) 반도체 패키지
JP2005191147A (ja) 混成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200103596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5916A (ko) 전력 모듈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4214294A (ja) 電力用半導体モジュール
JPH1050897A (ja) 半導体装置
US11551983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ontrol terminal and control substrate
KR102418409B1 (ko) 방열 클립을 구비한 전력 반도체 장치
KR10024105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전력반도체 모듈
CN112289689B (zh) 半导体封装结构制作方法和半导体封装结构
CN108630620B (zh) 半导体装置
KR20040015139A (ko) 전자 부품용 연결 하우징
CN103579135A (zh) 半导体封装件及其制造方法以及半导体封装件制造模具
JP2022062802A (ja) 半導体部品
JP2003077945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KR10019928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모듈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력반도체모듈
KR100198996B1 (ko) 전력 반도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