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247B1 -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247B1
KR100591247B1 KR1020050030296A KR20050030296A KR100591247B1 KR 100591247 B1 KR100591247 B1 KR 100591247B1 KR 1020050030296 A KR1020050030296 A KR 1020050030296A KR 20050030296 A KR20050030296 A KR 20050030296A KR 100591247 B1 KR100591247 B1 KR 10059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emitter
collec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423A (ko
Inventor
이종민
주철원
이경호
김성일
민병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6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2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the panes mounted flush with the surrounding frame or with the surround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에피층과, 상기 제1 에피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에피층과, 상기 제2 에피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전류차단층 및 부컬렉터층과, 상기 부컬렉터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컬렉터층 및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에미터층 및 에미터캡층과, 상기 에미터캡층의 상부,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에미터전극, 베이스전극, 컬렉터전극, 다이오드용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컬렉터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기 에미터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 금속배선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반도체 소자와 분리된 다이오드를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금속선으로 연결하는 방법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체 회로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며, 금속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저항과 손실 등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 PN 접합 다이오드, 화합물반도체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구현된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1 : 에미터캡층, 202 : 에미터층,
203 : 베이스층, 204 : 컬렉터층,
205 : 부컬렉터층, 206 : 전류차단층,
207 : 다이오드용 제2 에피층, 208 : 다이오드용 제1 에피층,
209 : 반절연 기판, 210 : 에미터전극,
211 : 베이스전극, 212 : 컬렉터전극,
220 : 제1 금속배선, 221 : 제2 금속배선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미터 상층구조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동일한 기판 상에 구현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구현된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동일 기판 상에 에미터 상층구조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 및 에미터 상층구조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컬렉터를 단락시켜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절연 화합물 반도체 기판(109) 상에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부컬렉터층(105)으로 작용하는 에피층, 컬렉터층(104)으로 작용하는 화합물반도체 에피층, 베이스층(103)으로 작용하는 화합물반도체 에피층, 에미터층(102)으로 작용하는 화합물반도체 에피층 및 에미터캡층(101)으로 작용하는 화합물반도체 에피층을 성장시킨다. 소정의 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마스크로 하여 에미터 상층구조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베이스 및 컬렉터를 형성한다.
이어서,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한 감광막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웨이퍼 전면에 금속막을 증착한 다음, 감광막 및 금속막을 제거하여 전극을 형성시키는 리프트 오프(lift-off)공정에 의해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전극(110), 베이스전극(111) 및 컬렉터전극(112)을 형성한 후,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극(111)과 컬렉터전극(112)을 단락(short)시키는 배선(120)을 리프트 오프 공정에 의해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 기판(109) 상에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를 구현하기 위해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 스터의 베이스전극(111)과 컬렉터전극(112)을 단락시키는 방법으로 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소자와 다이오드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금속배선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단차에 의한 배선금속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금속배선에 의해 면적이 크게 증가되며 배선에서의 전압강하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기판 상에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추가적인 다이오드용 에피층을 성장시킴으로써, 개별적인 다이오드 제작과 추가적인 금속배선을 제거하여 면적의 증가와 배선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에피층; 상기 제1 에피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에피층; 상기 제2 에피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전류차단층 및 부컬렉터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컬렉터층 및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에미터층 및 에미터캡층; 상기 에미터캡층의 상부,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에미터전극, 베이스전극, 컬렉터전극, 다이오드용 제1 전극 및 제2 전 극; 및 상기 컬렉터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기 에미터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 금속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a) 기판 상에 다이오드용 제1 에피층, 제2 에피층,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용 전류차단층, 부컬렉터층, 컬렉터층, 베이스층, 에미터층 및 에미터캡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b) 소정의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에미터캡층, 상기 에미터층, 상기 베이스층, 상기 컬렉터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전류차단층 및 상기 제2 에피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c) 상기 에미터캡층의 상부,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에 각각 에미터전극, 베이스전극, 컬렉터전극, 다이오드용 제1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컬렉터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기 에미터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및 제2 금속배선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절연 기판(209) 상에 화합물 반도체 에피층 즉, 다이오드용 제1 에피층(예컨대, p-type 도핑된 도핑농도 조절 다이오드층)(208), 다이오드용 제2 에피층(예컨대, n-type 도핑된 도핑농도 조절 다이오드층)(207),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용 전류차단층(206), n-type 도핑된 부컬렉터층(205), n-type 도핑된 컬렉터층(204), p-type 고농도로 도핑된 베이스층(203), n-type 도핑된 에미터층(202) 및 n-type 고농도로 도핑된 에미터캡층(201)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소정의 감광막(미도시)을 제1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에미터캡층(201) 및 상기 에미터층(202)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베이스층(203)을 노출시킨다.
도 2c를 참조하면, 소정의 감광막(미도시)을 제2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203) 및 상기 컬렉터층(204)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부컬렉터층(205)을 노출시킨다.
도 2d를 참조하면, 소정의 감광막(미도시)을 제3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부컬렉터층(205) 및 상기 전류차단층(206)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다이오드용 제2 에피층(207)을 노출시킨다.
도 2e를 참조하면, 소정의 감광막(미도시)을 제4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다이오드용 제2 에피층(207)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다이오드용 제 1 에피층(208)을 노출시킨다.
도 2f를 참조하면, 예컨대,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으로 에미터전극(210), 베이스전극(211), 컬렉터전극(212), 다이오드용 n-type 전극(213) 및 다이오드용 p-type전극(214)을 각각 형성시킨다.
도 2g를 참조하면,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를 연결하기 위해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전극(212)과 PN 접합 다이오드용 n-type 전극(213)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금속배선(220)을 형성하고,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전극(210)과 PN 접합 다이오드용 p-type 전극(214)을 연결하기 위한 제2 금속배선(22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다이오드용 제1 및 제2 에피층(208 및 207)의 도핑농도를 조절함으로써 PN 접합 다이오드의 턴온 전압을 필요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는 동일기판 상에 제조된 에미터 상층구조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PN 접합 다이오드는 회로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소자와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금속배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상에서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PN 접합 다이오드는 바이어스 회로나 회로 레벨(level) 천이단 등에서 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즉,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다이오드용 제2 에피층을 연결하거나,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다이오드용 제1 에피층을 연결해서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이러한 목적으로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를 연결할 때 면적이 감소하며 추가적인 배선이 필요치 않으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회로 상에서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를 연결할 필요가 없을 때는 PN 접합 다이오드층을 노출시키지 않고 전극 형성을 하지 않으면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동일 기판 상에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추가적인 재성장, 확산 또는 임플란트 등의 복잡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감광막을 사용하는 에칭 방법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속 아날로그 집적 회로 상에 바이어스 회로나 전압 레벨 천이단에 사용되는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작은 면적과 금속 배선에서의 손실 없이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에피층;
    상기 제1 에피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에피층;
    상기 제2 에피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전류차단층 및 부컬렉터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컬렉터층 및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에미터층 및 에미터캡층;
    상기 에미터캡층의 상부,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에미터전극, 베이스전극, 컬렉터전극, 다이오드용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컬렉터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기 에미터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 금속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피층 및 상기 제2 에피층은 각각 p형 및 n형으로 도핑된 도핑농도 조절 다이오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컬렉터층, 상기 베이스층, 상기 에미터층 및 상기 에미터캡층은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용 화합물 반도체 에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a) 기판 상에 다이오드용 제1 에피층, 제2 에피층,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용 전류차단층, 부컬렉터층, 컬렉터층, 베이스층, 에미터층 및 에미터캡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b) 소정의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에미터캡층, 상기 에미터층, 상기 베이스층, 상기 컬렉터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전류차단층 및 상기 제2 에피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c) 상기 에미터캡층의 상부,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 상기 부컬렉터층, 상기 제2 에피층 및 상기 제1 에피층의 소정영역에 각각 에미터전극, 베이스전극, 컬렉터전극, 다이오드용 제1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컬렉터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기 에미터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및 제2 금속배선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 제1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에미터캡층 및 상기 에미터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베이스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b2) 제2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노출된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컬렉터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부컬렉터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b3) 제3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노출된 상기 부컬렉터층 및 상기 전류차단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2 에피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b4) 제4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노출된 상기 제2 에피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에피층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에미터전극, 상기 베이스전극, 상기 컬렉터전극, 상기 다이오드용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030296A 2004-12-10 2005-04-12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91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4339 2004-12-10
KR1020040104339 2004-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23A KR20060065423A (ko) 2006-06-14
KR100591247B1 true KR100591247B1 (ko) 2006-06-20

Family

ID=3716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296A KR100591247B1 (ko) 2004-12-10 2005-04-12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247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23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7532B2 (en) InP based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with emitter-up and emitter-down profiles on a common wafer
JPH0347593B2 (ko)
US4593457A (en) Method for making gallium arsenide NPN transistor with self-aligned base enhancement to emitter region and metal contact
US20210050434A1 (en) Integrated Circuit and Bipolar Transistor
JPH06151723A (ja) モノリシック半導体素子の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構造、及び前記モノリシック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7888226B2 (en) Method of fabricating power semiconductor device for suppressing substrate recirculation current
US20020195620A1 (en)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er and other component integrated together and process for fabrication thereof
KR100591247B1 (ko)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8581365B2 (en) Bipolar junction transistor with layout controlled base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CN114335150B (zh) 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100641055B1 (ko) 화합물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270316B1 (ko)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집적화된 주입논리 소자제조 방법
JPH02112272A (ja) 半導体装置
KR0145118B1 (ko) 다링톤 접속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02639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81556B1 (ko)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집적화된 주입논리 소자제조 방법
KR100340927B1 (ko) 이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4231658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06579B1 (ko) 집적 주입 논리(i 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333634B1 (ko) 턴-온 전압이 서로 다른 3개의 피엔 접합 다이오드가 집적화된화합물반도체소자 제조방법
JP2904981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0170200B1 (ko) 제너 다이오드를 구비한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EP0052465A2 (en) I2L semiconductor device
KR100298195B1 (ko) 절연막에의해분리된멀티-콜렉터를갖는집적화된주입논리소자제조방법
KR0163898B1 (ko) 싱크-익스트린식 베이스 접합 다이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