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430B1 - 염화비닐용 하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화비닐용 하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430B1
KR100590430B1 KR1019980056366A KR19980056366A KR100590430B1 KR 100590430 B1 KR100590430 B1 KR 100590430B1 KR 1019980056366 A KR1019980056366 A KR 1019980056366A KR 19980056366 A KR19980056366 A KR 19980056366A KR 100590430 B1 KR100590430 B1 KR 10059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eight
primer
polyvinyl chloride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236A (ko
Inventor
히데유키 마쓰다
다쿠토 오카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5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mixtures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arom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착체인 폴리염화비닐의 종류에 관계없이, 우레탄계 접착제이면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하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당해 하도제 조성물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1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고형분 0.5 내지 10중량부와 1,4-부탄디올 0.01 내지 1.0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화비닐용 하도제 조성물
폴리염화비닐의 종류에 관계없이, 우레탄계 접착제이면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하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폴리염화비닐을 피착체로 하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소시아네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도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우레탄계 접착제가 상기 구성의 하도제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접착제에 배합되는 배합제 등에 따라 접착제의 접착성 자체가 저하되며 종래의 하도제로서는 충분한 접착성을 발현할 수 없는 우레탄계 접착제도 있다.
한편, 당해 수지에 여러 가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피착체인 폴리염화비닐에 다양한 배합제를 첨가하고 있지만, 배합제를 첨가함으로써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를 다량 함유하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일수록 접착시키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요사이, 자동차 차체용 창유리로서 폴리염화비닐이 주위에 피복되어 있는, 이른바 모듈 유리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모듈 유리와 다른 부재와의 접착에 있어서, 피착체인 폴리염화비닐에 대해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접착성이 양호한 하도제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계 하도제로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없었던 우레탄계에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하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1중량부에 대해 특정의 폴리이소시아네트 화합물 및 1,4-부탄디올을 소정량 배합함으로써 하도제의 접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1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트 화합물 0.5 내지 10중량부와 1,4-부탄디올 0.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다.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란, 아크릴 수지의 주쇄에 실리콘 결합을 도입하여 실리콘 변성시킨 아크릴 수지를 지칭하며, 이 중에서 아크릴 주쇄를 알콕시실란 Si(OR)n으로 변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란에 의한 변성량, 아크릴 수지 단량체의 상이함에 기인하는 골격의 차이에 따라 알콕시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에는 여러 가지 등급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젬락 YC-3623(가네가우치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을 들 수 있다.
당해 알콕시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를 하도제 중에 배합함으로써 알콕시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가 막 형성 성분으로서 작용하여, 접착성이 열등한 피착체, 특히 폴리염화비닐에 대해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이소시아네트 화합물로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와의 부가물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의 데스모듈 HL(바이엘사제)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배합량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1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부이다. 0.5중량부 미만이거나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제와 피착체와의 접착이 불충분해진다.
여기서, 데스모듈 HL(바이엘사제)은 고형분이 60중량%이며 용제로서 부틸 아세테이트를 40% 함유하므로, 데스모듈 HL(바이엘사제)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고형분량이 상기 범위에 함유되도록 이의 배합량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은 1,4-부탄디올을 함유한다. 1,4-부탄디올의 배합량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1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l.0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부이다. 1,4-부탄디올의 배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거나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제와 피착체와의 접착이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용제를 병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용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에 대해 불활성인 것이면, 공지의 각종 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메틸 에틸 케톤(MEK),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제 또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가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나 메틸 에틸 케톤(MEK) 등의 케톤계 용제가 인체에 대한 영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용도에 따라 노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개질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하도제 중의 총 고형분은 0.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이다. 하도제 중의 총 고형분의 양이 당해 범위가 되도록 용제를 첨가하는 것이 점도(도포 용이성)나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각 성분을 충분히 혼합할 수 있는 각종 공지된 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볼 밀을 사용하는 혼합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ABS 및 폴리염화비닐과 동일한 정도의 접착성 열가소성 수지를 피착체로 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도제로는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없는 폴리염화비닐에 대해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로서는 성분 중에 가소제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경질 폴리염화비닐일 수 있으며, 성분 중에 가소제 성분이 함유되어 접착되기 어려운 연질 폴리염화비닐이라도 양호하며 이 경우라도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접착제로서 우레탄계 접착제가 적절하게 예시된다. 본 발명은 우레탄계 접착제이면 어떤 것에 대하여도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우레탄계 접착제로서 WS 100(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제)나, WS-100H(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이 적절하게 예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과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폴리염화비닐과 접착시키는 기타 종류의 피착체로서 유리, 도장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은 실온에서 방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은 통상적인 이소시아네이트계 하도제 조성물과 동일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을 접착 대상 영역에 스프레이 등으로 도포하여 적당한 시간 동안 방치하여 건조시킨 다음, 통상적인 방법으로 접착 영역을 접착시키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은 차량 본체에 모듈 유리(수지 피복 유리)를 부착시킬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착체가 모듈 유리의 주위에 피복되는 있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이며 접착제가 우레탄계 접착제이고 이것을 우레탄계 밀봉재와 접착하는 경우 또는 직접 차량용 강판의 도포면에 접착하는 경우의 하도제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계 하도제로는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한 우레탄계 접착제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이 어려운 폴리염화비닐 등이 피착체인 경우라도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들로써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표 1에 기재된 배합으로 각종 하도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그 접착성을 평가한다. 접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피착체에 하도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접착제를 도포하여 경화 후에 손에 의한 박리시험을 실시한다.
[표 1]
* 표 중의 수치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표 중의 기재는 하기와 같다.
수지 1 : 젬락 YC-3623 (알콕시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 가네가우치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수지 2 : 판덱스 T-5205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이닛폰잉크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데스모듈 HL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바이엘사제)
접착제 1 : WS-10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우레탄계 접착제)
접착제 2 : WS-100H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고온 용융형 우레탄계 접착제)
CF : 접착제 층의 응집체가 파괴된다.
AF : 하도제와 피착체 사이의 계면이 파괴된다.
PS : 하도제와 접착제 사이의 계면이 파괴된다.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어떤 접착제, 피착체에서도 하도제와 접착제 또는 피착체 사이의 계면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접착성이 양호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계 하도제로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없었던 우레탄계 접착제에 대해 피착체인 폴리염화비닐의 종류에 관계없이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

  1.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1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5 내지 10중량부와 1,4-부탄디올 0.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제 조성물.
KR1019980056366A 1997-12-19 1998-12-19 염화비닐용 하도제 조성물 KR100590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077797A JP3276599B2 (ja) 1997-12-19 1997-12-19 塩ビ用プライマー組成物
JP97-350777 1997-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236A KR19990063236A (ko) 1999-07-26
KR100590430B1 true KR100590430B1 (ko) 2006-08-30

Family

ID=1841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366A KR100590430B1 (ko) 1997-12-19 1998-12-19 염화비닐용 하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53699A (ko)
JP (1) JP3276599B2 (ko)
KR (1) KR100590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82625A1 (de) * 2002-07-15 2004-01-21 Sika Technology AG Primer mit langer Offenzeit für polymere Untergründe
US7666929B2 (en) * 2006-05-31 2010-02-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reducing fluorosurfactant content of fluropolymer dispersions using anionic surfactant-treated anion exchange resin
JP6273083B2 (ja) * 2011-11-04 2018-01-31 横浜ゴム株式会社 変成シリコーン系シーリング材用プライマー組成物
TWI673330B (zh) * 2014-09-08 2019-10-01 日商橫濱橡膠股份有限公司 底漆組合物
CN111218201A (zh) * 2020-02-28 2020-06-02 杭州之江新材料有限公司 底涂材料、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汽车玻璃托架和粘接组合材料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05A (ja) * 1991-03-28 1993-01-26 Denki Kagaku Kogyo Kk ポリ塩化ビニルフイ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43863A (ja) * 1991-08-12 1993-02-23 Showa Highpolymer Co Ltd 耐可塑剤移行性に優れたアクリル系粘着剤
JPH05271642A (ja) * 1992-03-30 1993-10-19 Sunstar Eng Inc 二液型ポリウレタン接着剤
JPH0711223A (ja) * 1993-06-24 1995-01-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プライマー組成物
JPH08209099A (ja) * 1994-11-30 1996-08-13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JPH08239644A (ja) * 1995-03-02 1996-09-17 Aica Kogyo Co Ltd ウレタン系接着剤
JPH09263747A (ja) * 1996-03-29 1997-10-07 Hitachi Chem Co Ltd 接着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6082A (en) * 1995-04-05 1999-03-23 Kansai Paint Co., Ltd. Aqueous coating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05A (ja) * 1991-03-28 1993-01-26 Denki Kagaku Kogyo Kk ポリ塩化ビニルフイ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43863A (ja) * 1991-08-12 1993-02-23 Showa Highpolymer Co Ltd 耐可塑剤移行性に優れたアクリル系粘着剤
JPH05271642A (ja) * 1992-03-30 1993-10-19 Sunstar Eng Inc 二液型ポリウレタン接着剤
JPH0711223A (ja) * 1993-06-24 1995-01-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プライマー組成物
JPH08209099A (ja) * 1994-11-30 1996-08-13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JPH08239644A (ja) * 1995-03-02 1996-09-17 Aica Kogyo Co Ltd ウレタン系接着剤
JPH09263747A (ja) * 1996-03-29 1997-10-07 Hitachi Chem Co Ltd 接着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53699A (en) 2000-11-28
KR19990063236A (ko) 1999-07-26
JPH11181351A (ja) 1999-07-06
JP3276599B2 (ja)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525B1 (ko) 유리용 프라이머 조성물
JP3452926B2 (ja) 車両用窓を結合させる方法
JPS61183312A (ja) 湿分硬化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3374157B2 (ja) 接着増進剤組成物
JPS60161355A (ja) ガラス・プライマー
JP2010516829A (ja) ポリマー基材のための接着促進組成物
KR100590430B1 (ko) 염화비닐용 하도제 조성물
US4654257A (en) Structure for mounting molding
JP2000051401A (ja) ゴルフボ―ル用の2成分ポリウレタン上面被膜
EP3102341A2 (en) Flexible multilayer coating
WO2004003049A1 (en) Primer composition and bonded structure
US7199183B2 (en) Primer composition and bonded structure
JPH1081867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KR100295025B1 (ko) 프라이머조성물
JPH09328670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H09235505A (ja) 塗料用組成物および多層塗膜
JPH11302603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H06322323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H09132752A (ja) アルミホイ−ル用プライマ−
JPH08302134A (ja) 塩化ビニル系プラスチゾル組成物
JP3255727B2 (ja) 被着体の前処理方法
JPH06136316A (ja) ポリプロピレン用プライマー
JPH07138526A (ja) 塗料組成物
JP3140569B2 (ja) 被着体の前処理方法
JP2000096004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