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279B1 -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279B1
KR100589279B1 KR1020030072000A KR20030072000A KR100589279B1 KR 100589279 B1 KR100589279 B1 KR 100589279B1 KR 1020030072000 A KR1020030072000 A KR 1020030072000A KR 20030072000 A KR20030072000 A KR 20030072000A KR 100589279 B1 KR100589279 B1 KR 10058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arble
sheet
carbon blac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352A (ko
Inventor
박창환
김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7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2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연속공법으로 제조하여 제조경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특히 마블효과가 표현된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전도성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장식재는 전도성 카본블랙을 균일하게 함유하고 다양한 마블의 바닥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면에 전도성 카본블랙 잉크를 백프린팅(back printing)하여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제품 상하부에 안정된 전도성을 부여하고 제품의 마모에 따른 전도성의 변화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장척 및 타일 타입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전도성, 카본블랙, 균일층, 폴리염화비닐, 마블바닥재

Description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Conductive marble floor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by continuous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마블이 부여된 2종의 시트와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한 시트의 합판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속공법으로 제조한 마블이 부여된 전도성 마블바닥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품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가 백프린팅된 전도성 마블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 마블시트
2: 전도성 시트
3: 제 2 마블시트
4: 전도성 마블시트
5: 전도성 카본블랙
6: 전도성 카본잉크층
본 발명의 전도성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공법으로 제조가능한 마블이 부여된 특히 하나의 균일한 층으로 구성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전도성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기능을 갖는 바닥재는 그 기능이 전기 저항치로 표현되며, NFPA(미국 화재 방지협회)의 99규정에 의하면 표면, 체적저항을 10,000 내지 1,000,000 Ohm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반도체 조립공장 등 정전기 장애에 의해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장소에서는 상기의 요구품질이 만족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성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종래의 전도성 타일의 제조방법은 염화비닐 시트를 제조하고, 이것을 커팅 또는 분쇄하여 칩으로 제조한 후, 이 염화비닐수지 칩에 리본브렌다를 이용하여 전도성 카본블랙을 칩 표면에 코팅시킨 다음, 이렇게 제조된 전도성 카본블랙이 코팅된 칩을 일정형태의 몰드(mold)에 넣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열 가압하여 전도성 카본블랙을 포함한 하나의 균일층(homogeneous layer)으로 구성된 블록(block)을 제조한 후, 이 블록(block)을 일정 두께로 슬라이싱(slicing)하고 상기 균일층의 표면과 이면을 샌딩(sanding) 처리하여 전도성 바닥장식재를 완성한다.
전도성 바닥재의 전도성 효과구현을 위해서는 전도성 카본블랙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몰드프레스를 사용한 단속공정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도성 바닥장식재는 단속공정으로 제조되므로 생산성 향 상 및 외관효과의 변화에 제약이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고려하여, 연속공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종래의 단속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경비가 저렴하고, 마블효과가 부여되어 종래에 비해 미려한 외관의 표현이 가능한 전도성 장척 시트(sheet) 및 타일 타입(tlie type)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이면에 전도성 기능을 부여하는 잉크(ink)를 코팅(coating)함으로써 기존의 단속공정으로 제조된 것에 비하여 일정하고 안정적인 전도성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마블효과가 부여된 균일층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단속식 공법이 아닌 연속공법에 의해 제조한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공법은 종래의 몰드프레스 공법이 아닌 미리 마블링시트와 카본블랙을 포함한 시트를 열을 이용하여 합판, 롤상으로 만들고 이것을 칩으로 분쇄 ⇒ 배열 ⇒ 카렌다링의 공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몰드프레스를 사용하여 몰드에서 한번에 한 몰드씩 나오는 단속공정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는 제품 상하부에 전도성을 확보하고 제품 의 마모에 따른 전도성의 변화가 없도록, 제품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가 백프린팅(Back Prin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의 제조방법은 a)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한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마블이 부여된 2종의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전도성 물질을 함유한 시트와 상기 마블이 부여된 2종의 시트를 합판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합판된 시트를 분쇄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분쇄된 칩을 배열 및 카렌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가 연속공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f) 상기 e) 단계를 거친 장척시트의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를 사용하여 백프린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닥장식재는 연속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표면에서 이면까지 하나의 균일층으로 구성된 전도성 바닥장식재이며, 다양한 마블효과가 부여된다.
종래의 몰드프레스 공법은 마블이 없는 단색시트(또는 단순마블이 부여된 단색시트)를 분쇄한 후 전도성 카본블랙을 코팅하고 이것을 몰드프레스를 사용하여 가공 및 슬라이싱하므로, 카본블랙이 싸고 있는 칩내부에 마블효과가 본 발명과 같이 1종 또는 2종의 마블이 부여된 시트를 사용한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마블이 부여된 2종의 시트와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한 시트의 합판 단면도로서, 균일층의 전도성 마블바닥재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 제조단계에서 카본블랙을 함유한 전도성 시트(2)를 마블이 부여된 2종의 시트인 제 1 및 제 2 마블시트(1, 3) 사이에 두고 합판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속공법으로 제조한 마블이 부여된 전도성 마블바닥재의 정면도로서, 도 1의 합판시트를 분쇄하고 카렌다링하여 제조한 전도성 마블시트(4) 내에 전도성 카본블랙(5)이 함유되어 하나의 균일층을 이루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품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가 백프린팅된 전도성 마블바닥재의 단면도로서, 도 2의 전도성 마블시트(4)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6)를 백프린팅하여 제품 상하부에 전도성을 부여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는 연속공법에 의해 다음의 단계로 제조된다.
a) 전도성 카본블랙(carbon black)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b-1) 마블(marble)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b-2) 마블(marble)이 부여된 이종의 염화비닐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a), b) 단계를 거친 시트를 합판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시트(sheet)를 분쇄(crushing)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를 거친 칩(chip)을 배열 및 카렌다링(calendaring) 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를 거친 장척시트의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carbon ink)를 사용하여 백프린팅(back printing)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를 거친 장척시트를 필요시 재단하여 타일타입으로 만드는 단계.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면저,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는 중합도 700~1,200인 염화비닐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로 디올틸프탈레이트(DOP) 5~35 중량부, 에폭시(epoxy)수지 1~5 중량부, 내열안정제로 바륨-아연계 화합물 5~15 중량부, 인계 화합물 0.1~2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글리세린(glycerine) 0.2~3 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0.2~3 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100~600 중량부, 전도성 카본블랙 20~100 중량부를 리본브렌다(ribbon blender)에서 15~20분간 배합하고,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에서 150~210℃의 온도로 150~250초간 혼련 및 겔링(gelling)한 후, 이것을 믹싱롤(mixing roll)에서 140~170℃로 약 1~3분간 정련하고, 가열 연화된 콤파운드(compound)를 100~170℃의 온도로 카렌다(calendar)로 압연하여 0.5~3 ㎜ 두께의 시트로 제조하고, 이상으로 완성된 염화비닐수지 시트를 롤(roll)로 권취한다.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는 중합도 800~1,200인 염화비닐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로 디올틸프탈레이트 5~35 중량부, 에폭시수지 1~5 중량부, 내열안정제로 바륨-아연계 화합물 5~15 중량부, 인계 화합물 0.1~2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글리세린 0.2~3 중량부, 스테아린산 0.2~3 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100~600 중량부, 안료 20~80 중량부를 리본브렌다에서 15~20분간 배합하고, 반바리 믹서에서 150~210℃의 온도로 150~250초간 혼련 및 겔링한 후, 이것을 믹싱롤에서 140~170℃ 로 약 1~3분간 정련하고 판상으로 가열연화된 컴파운드에, 이 컴파운드와 동일처방이며 다른 안료로 미리 제조된 판상 스포트(spot)(중량비로 컴파운드의 약 10 wt% 이상)를 넣은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오븐(oven) 컨베이어(conveyer)에 살포한 다음 150~250℃로 가열하고 카렌다로 압연하여 0.5~3 ㎜ 두께의 단순 마블효과가 부여된 염화비닐시트를 얻고 이것을 롤로 권취한다.
상기 마블시트 제조공정에서 압연 카렌다의 온도가 100℃ 이하로 낮을 경우 마블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지 않으며, 130℃ 이상 높은 경우 길이방향으로 늘어난 마블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에서 판상 스포트를 넣지 않고 단색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사용하여도 전도성 부여에는 무방하여 최종제품이 카본블랙색의 단조로운 마블 부여가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도성 시트와 2종의 마블시트를 도 1과 같이 합판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3개의 언와인더(unwinder)에서 각각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 마블이 부여된 제 1 염화비닐 시트, 마블이 부여된 제 2 염화비닐 시트를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시트가 샌드위치(sand witch) 구조의 내부에 오도록 준비하고 합판드럼(drum)을 이용하여 합판으로 일체화한 후 권취한다. 이 공정은 프레스(press)로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합판된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와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의 일체화물을 분쇄하는 단계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체분류 하여 칩을 얻을 수 있다. 칩의 지름은 5~20 ㎜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칩분쇄 공정 은 분쇄기 이외의 커팅(cutting)기를 사용하여 5~20 ㎜ 크기로 커팅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분쇄된 칩을 배열 및 카렌다링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전도성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와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시트의 일체화물(또는 마블이 부여되지 않은 단색시트)을 분쇄한 칩을 믹서에서 혼합하고, 컨베이어에 살포하여 150~250℃로 가열하고 100~170℃의 온도로 카렌다로 압연하여 폭 2 m, 두께 2~4 ㎜의 시트로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장척시트를 롤상으로 권취하기 전에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이면에 백프린팅함으로써 안정적 전도성을 부여한다. 이면에 사용되는 잉크는 비닐 클로라이드(vinyl chloride, 90 wt%)와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10 wt%)의 공중합체 11~25 중량부, 아크릴수지(acryl resin, 40 wt%)를 메틸에틸케톤 (methyl ethyl ketone, 60 wt%)에 용해시켜 만든 아크릴 수지 8~2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70~100 중량부, 블로킹(blocking) 방지제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rose acetate butylate) 2~6 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 중량부 및 전도성 카본 7~13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도성 잉크가 백프린팅된 장척시트는 필요에 따라 표면 샌딩(sanding) 처리하여 미려한 외관의 확보가 가능하며, 백프린팅한 후 펀칭 타입(punching type)의 재단기를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다음 검사 및 포장하면 공정이 완료된다.
[실시예]
1.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의 제조
중합도 1,000인 염화비닐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로 디올틸프탈레이트 20~30 중량부, 에폭시수지 1~5 중량부, 내열안정제로 바륨-아연계 화합물 5~10 중량부, 인계 화합물 0.5~2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글리세린 0.2~2 중량부, 스테아린산 0.2~2 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200~500 중량부, 전도성 카본블랙 40~60 중량부를 리본브렌다에서 15분(±3분)간 배합하고, 반바리 믹서에서 170℃(±10℃)의 온도로 180(±20초)초간 혼련 및 겔링(gelling)한 후, 이것을 믹싱롤로 정련하고, 가열 연화된 컴파운드를 130℃(±20℃)의 온도로 카렌다로 압연하여 0.8 ㎜(±0.2 ㎜) 두께의 시트로 제조하고 롤로 권취하였다.
2.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의 제조
중합도 1,0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로 디올틸프탈레이트 20~30 중량부, 에폭시수지 1~4 중량부, 내열안정제로 바륨-아연계 화합물 5~10 중량부, 인계 화합물 0.1~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글리세린 0.2~2 중량부, 스테아린산 0.2~2 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400~500 중량부, 안료 50~60 중량부를 리본브렌다에서 15분(±3분)간 배합하고, 반바리 믹서에서 170℃(±10℃)의 온도로 180(±20초)초간 혼련 및 겔링(gelling)한 후, 이것을 믹싱롤로 정련하고, 판상으로 가열 연화된 컴파운드에 이 컴파운드와 동일처방이며 다른 안료로 미리 제조된 판상 스포트(중량비로 컴파운드의 10~25 wt%)를 넣은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오븐(oven) 컨베이이어에 살포한 다음 200℃(±15℃)로 가열하고 카렌다로 130℃(±20℃)의 온도로 압연하여 0.8 ㎜(±0.2 ㎜) 두께의 시트로 제조하고, 이상으로 완성된 마블 시트를 롤로 권취하여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를 제조하였다.
3.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와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를 합판하는 공정
3개의 언와인더에서 각각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 마블이 부여된 제 1 염화비닐 시트, 마블이 부여된 제 2 염화비닐 시트를 도 1과 같이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시트가 샌드위치 구조의 내부에 오도록 준비하고 합판드럼을 이용하여 합판으로 일체화한 후 권취하였다.
4. 합판된 시트를 분쇄하는 공정
전도성 카본블랙이 함유된 염화비닐 시트와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의 일체화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2 메시(mesh)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분쇄하였다.
5. 분쇄된 칩을 배열 및 카렌다링하는 단계
전도성이 부여된 염화비닐 시트와 마블이 부여된 염화비닐시트의 일체화물을 분쇄한 칩을 믹서에서 혼합하고, 컨베이어에 살포하여 200℃(±15℃)로 가열하고 130℃(±20℃)의 온도로 카렌다를 사용하여 압연하여 2 ㎜(±0.2 ㎜) 두께의 시트로 제조하고, 완성된 염화비닐 수지 시트를 롤로 권취하여 도 2와 같은 연속공정으로 제조한 전도성이 부여되고 마블이 있는 염화비닐 시트를 제조하였다.
6. 전도성 카본잉크를 사용하여 백프린팅하는 공정
제조된 장척시트를 권취하기 전에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이면에 백프린팅하여 안정적 전도성을 부여하였다. 이때 이면에 사용된 잉크는 비닐 클로라이드 90 wt%와 비닐아세테이트 10 wt%의 공중합체인 VYNS-3(미합중국 유니온카바이드사) 11~15 중량부, 아크릴수지(40 wt%)를 메틸에틸케톤(60 wt%)에 용해시켜 만든 아크릴 수지 A-101(일본 미스비시레이온사) 8~16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70~8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2~4 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4 중량부 및 전도성 카본 7~9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7. 재단하여 타일 타입으로 제조하는 공정
제조된 장척시트를 백프린팅한 후 펀칭 타입의 재단기를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다음 검사 및 포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일 타입의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상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된 장척시트 및 타일은 연속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하였으며, 마블효과를 부여하여 다양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도성 장척시트 및 타일의 전기적 물성은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의 바닥재 규격 시험방법
전기저항 표면-표면 100,000~300,000 Ω 25,000~1,000,000 Ω ASTM F150, NFPA99(100V,500V)
표면-접지 70,000~300,000 Ω 25,000~1,000,000 Ω
정전기 발생 0.4 kV (보행) 0.5 kV (끌기) 3.5 kV 이내 AATCC-134
정전기 소멸 0.02 sec (끌기) 0.5 sec 이내 Federal Method 101-4046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하여 표 1과 같은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전도성이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속공법으로 제조경비 측면에서 단속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였다. 또한 이면에 전도성 카본블랙 잉크를 백프린팅하여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제품 상하부에 안정된 전도성을 부여하고 제품의 마모에 따른 전도성의 변화가 없도록 하였으며, 장척 및 타일 타입으로 제조가 가능하였다.

Claims (4)

  1. 이미 마블이 부여된 2종의 마블시트와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전도성 시트를 합판한 후 이를 분쇄하여 얻은 전도성 마블칩을 배열 및 카렌다링하여 연속공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마블효과가 부여된 균일층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마블시트와, 이 전도성 마블시트의 이면에 백프린팅(Back Printing)된 전도성 카본잉크층으로 이루어지며, ASTM F150(온도: 23±1℃, 상대습도: 50±5%, 전압: 직류 100 V 또는 500 V, 표면 대 접지 저항)에 의한 70,000 내지 300,000 Ω의 전기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2. 삭제
  3. a) 전도성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전도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마블이 부여된 2종의 마블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전도성 시트와 2종의 마블시트를 합판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합판된 시트를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분쇄된 전도성 마블칩을 배열 및 카렌다링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를 거친 장척 전도성 마블시트의 이면에 전도성 카본잉크를 사용하여 백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가 연속공법으로 수행되고, ASTM F150(온도: 23±1℃, 상대습도: 50±5%, 전압: 직류 100 V 또는 500 V, 표면 대 접지 저항)에 의한 70,000 내지 300,000 Ω의 전기저항값을 갖는 마블바닥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30072000A 2003-10-16 2003-10-16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KR10058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000A KR100589279B1 (ko) 2003-10-16 2003-10-16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000A KR100589279B1 (ko) 2003-10-16 2003-10-16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52A KR20050036352A (ko) 2005-04-20
KR100589279B1 true KR100589279B1 (ko) 2006-06-13

Family

ID=372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000A KR100589279B1 (ko) 2003-10-16 2003-10-16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703B1 (ko) 2005-11-16 200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가소제를 사용한 전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080792A2 (en) 2008-01-17 2009-07-22 Chae-Ho Kim Water soluble photo-curable antista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high transparency, and conductive hard tile flooring material coated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34B1 (ko) * 2007-01-26 2009-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9635B1 (ko) * 2013-05-10 2014-11-27 이영태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1980B1 (ko) * 2016-12-15 2020-04-20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1983B1 (ko) * 2017-01-02 2020-04-20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기능을 갖는 시트형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4900B1 (ko) * 2019-06-17 2024-01-15 (주)엘엑스하우시스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703B1 (ko) 2005-11-16 200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가소제를 사용한 전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080792A2 (en) 2008-01-17 2009-07-22 Chae-Ho Kim Water soluble photo-curable antista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high transparency, and conductive hard tile flooring material coat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52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688B2 (en) Amorphous marble flooring through two embo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100589279B1 (ko)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CN110216957A (zh) 一种低收缩率的石塑地板及其制备方法
KR100723221B1 (ko)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CN100540281C (zh) 通过双印花系统的无定形大理石地板及其制备方法
CN100478168C (zh) 均质无定形大理石地板及其制造方法
JP3091748B2 (ja) エラストマー製床ライニング及びその製造法
JP3103306B2 (ja) 装飾材とその製造方法
US20030077431A1 (en) Jaspe pattern flooring and welding rod
KR100430843B1 (ko) Pvc 수지로 된 칩층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
JP3842420B2 (ja) 模様現出用二次チ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模様現出方法
JP2000211296A (ja) 装飾材
KR100766703B1 (ko) 전도성 가소제를 사용한 전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1116B2 (ko)
KR19990074618A (ko) 마블감이 우수한 바닥 타일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타일
KR100522820B1 (ko) 섬유 및 입자상을 이용한 전도성패널 제조방법
JPH03281243A (ja) 導電性着色合成樹脂粒およびこれを用いた導電性合成樹脂シート
KR100831573B1 (ko) 사이드 압출칩에 의한 스포트 효과를 갖는 바닥재 및 이의제조방법
KR20030009861A (ko) 착색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는 전도성 바닥장식재 및 그의제조방법
KR20190037821A (ko)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재
TW265304B (en) Process of producing light-shielding flame-retardant drapery
JPH032650B2 (ko)
KR960001965B1 (ko) 자개효과를 갖는 칩 및 이칩이 작용된 바닥장식재
JP3570702B2 (ja) 模様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
TW559637B (en) A manufacture method of a plastic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