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35B1 -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35B1
KR101459635B1 KR1020140044482A KR20140044482A KR101459635B1 KR 101459635 B1 KR101459635 B1 KR 101459635B1 KR 1020140044482 A KR1020140044482 A KR 1020140044482A KR 20140044482 A KR20140044482 A KR 20140044482A KR 101459635 B1 KR101459635 B1 KR 10145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rts
thermoplastic
surfacta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신호
이영태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이영태
이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태, 이준혁 filed Critical 이영태
Priority to KR102014004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35B1/ko
Priority to PCT/KR2014/004229 priority patent/WO201516002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8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가 되는 열가소성수지, 상기 수지에 분산되는 전도성입자, 및 상기 수지에 분산된 상기 전도성입자를 서로 연결해주는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가열을 포함한 성형작업을 통해 구성됨으로써, 정전기 방지 기능, 안정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전기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Conductive compou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과 안정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연질 및 경질의 전기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 등 첨단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기전도성을 갖는 산업용 ESD(Electrostatic Discharge)의 수요는 증가추세이며, 대전방지제, 반도체 부품, 자동차 전자부품, 항공기 부품 및 소재로, 세부적으로는 패킹 링, 파이프, 전선의 도전성피복, 패드, 부품 및 제품케이스, 포장용기 등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계적 특성이 양호한 복합재료의 대표적인 예는, 고무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이며, 이러한 재료는 우수한 가공성, 경량성, 신축성을 나타내며 ESD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전도성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정전기방지를 위해서는 전기전도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등의 카본계 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정전기방지를 위한 전기전도성은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104~1011Ω/sq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상기 허용범위에 통과하려면 전도성입자의 내첨량이 증가되어야하고, 전도성입자의 함량 증가에 따라 재료의 고무경도 수치가 증가되면, 복합재료의 기계적물성이 떨어진다.
세부적으로는, 내첨되는 전도성입자의 증가에 따라 안정적 분산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과 전도성입자의 내첨량 증가로 연질물성이 경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도성입자 중에서 카본블랙보다는 도전성이 월등한 카본나노튜브를 고무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분산시키면, 정전기 방지용 소재로서 그 조성에 유리하지만, 카본나노튜브의 고무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대비 분산량이 증가할수록 기술적 한계와 비용증가의 문제가 발생되며, 카본나노튜브 분산량이 많아지면 일정한 분산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특히 카본나노튜브의 상용화 장애요인은 CNT의 높은 가격과 CNT분산기술 부족이며, CNT가 혼합물 내에서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한쪽부분에 몰려있게 되어, 안정적인 ESD 충족을 위한 표면 저항치를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CNT와 혼합물의 안정화 미흡으로 CNT합성소재의 표준화, 규격화가 정립되지 않고 있으며, CNT 및 CNT합성소재가 환경에 대한 유해성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카본나노튜브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연질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이 경화되는 단점을 나타내고, 카본나노튜브의 가격부담이 가중되어 산업현장에서 범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천연고무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카본나노튜브를 첨가하면, 표면저항치가 개선되지만, 천연고무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인장하거나 수축 등 기계적으로 그 형태를 변형하면, 카본나노튜브가 천연고무 및 열가소성플라스틱에서 안정적으로 분산된 연결이 분리되어, 도전성이 현격하게 저하되고, 표면저항수치가 현격하게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카본나노튜브 함량을 줄이면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기술적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천연고무 및 연질 플라스틱의 경우 외부의 층격이나 인장력을 가하면 분자들은 힘 방향으로 늘어나며, 힘이 끊기면 신속히 무질서한 배열로 회복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복원되는데, 이러한 소재의 인장강도, 신장률, 듀로미터경도등의 물성에 따라 사용용도에 적합한 소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소재의 인장강도, 신장률, 듀로미터경도 수치의 물성조성을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르게 조성하는 기술과 함께 안정적인 ESD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 물성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KR20110147896A 한국등록특허 KR20087032200A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정전기 방지 기능을 포함하고, 복합재료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도성 및 기계적 물성저해를 방지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과 안정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연질 및 경질의 전기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가 되는 열가소성수지; 상기 수지 내에 분산되는 전도성입자;상기 수지 내의 포함되어 상기 전도성입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액체 계면활성제; 및 상기 수지의 표면에 용출된 유분을 억제거나 유분용출을 지연시키는 용출억제제를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재료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계면활성제는 750 내지 850 m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질소를 함유한 지방 유도체로서 양이온계, 음이온계, 양쪽성,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재료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니트릴고무, 천연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에폭시계수지, 폴리스타이렌계수지(thermoplastic styrenic elastomer, TPS ), 폴리올레핀계수지(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폴리우레탄계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에틸렌계수지(TPEE), 폴리에스터계수지(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폴리아마이드계수지(thermoplastic polyamide, TPAE), 폴리염화비닐계수지(TPVC), 페놀계수지, 및 멜라민계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레핀계수지는 폴리플로필렌(Poly Propylene), 폴리스타이렌(Poly Stylene),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나일론(nylon),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Styrene-acrylonitrile),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천연고무, 및 SBR(styrene-butadiene rubber)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재료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계 입자로 이루어질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본계 입자는 카본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그래핀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상기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28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복합재료는 경도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도조절제는 화이트오일(white oil), 다이옥틸프탈레이트(DOP), 및 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도조절제는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30 내지 1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재료에 있어서, 상기 용출억제제는 평균입경이 0.3 내지 10의 고체입자로서, 상기 고체입자와 상기 열가소성수지 사이에 상기 액체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용출억제제는 카본블랙, TiO2 또는 산화제이철(Fe2O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출억제제는 상기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05 ~ 1.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복합재료는 UV 안정제, 접착제, 및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등의 복합재료에 전도성입자가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전도성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합재료에 외부의 힘 및 인장력을 가한 변형에도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전도성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 복합재료의 개념도 및 SEM사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이나 단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성 복합재료를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복합재료란 성분이나 형태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소재가 거시적으로 서로 간에 구분되는 계면을 가지도록 조합되어 유효한 기능을 가지는 재료를 일컫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복합재료는 열가소성수지, 전도성입자,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전기전도성 복합재료의 표면저항은 적절하게는 상온에서 104~1011Ω/sq 일수 있으며, 이는 전도성입자, 계면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열가소성수지는 전기전도성 복합재료의 수지로 사용되며, 니트릴고무, 천연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에폭시계수지, 폴리스타이렌계수지(thermoplastic styrenic elastomer, TPS ), 폴리올레핀계수지(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폴리우레탄계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에틸렌계수지(TPEE), 폴리에스터계수지(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폴리아마이드계수지(thermoplastic polyamide, TPAE), 폴리염화비닐계수지(TPVC), 페놀계수지, 및 멜라민계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Olefin계는 Poly Propylene, Poly Stylene, Poly Ethylene, nylon, Styrene-acrylonitrile,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천연고무, 및 SBR(styrene-butadiene rubber)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수 있다.
전도성입자는 카본계 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그래핀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CNT)는 단일벽 카본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카본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카본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다발형 카본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일벽 카본나노튜브와 다중벽 카본나노튜브가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벽 카본나노튜브는 지름이 1~10nm, 길이가 1~2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중벽 카본나노튜브는 지름이 5~30nm, 길이가 1~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일벽 카본나노튜브와 다중벽 카본나노튜브의 지름 및 길이는 각각 카본나노튜브 일단면의 원 지름 및 카본나노튜브의 횡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카본나노튜브의 지름 및 길이를 제한하는 것은 고비용, 분산성 및 합성기술에 관한 제조공정 기술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반드시 위의 수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정전기방지기능이 발현된다면 어떠한 조건의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전도성입자의 다른 일예로 카본블랙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무충전제 카본블랙인 Furnace 카본블랙 및 Thermal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카본블랙은 입자 크기에 따라 Hard/Soft Black, High/Low Black, Tread/Carcass Black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95% 이상의 무정형 탄소질로 이루어지는 미립자 형태로 5~500nm의 입자크기가 바람직하다. 입자의 크기가 5nm 이하인 입자는 가격상승요인으로 적정하지 않으며, 500nm 이상 크기의 입자는 수지내에서 카본블랙 입자가 떨어져 나와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로 적합하지 않다.
이때, 미립자 형태는 구형, 선형, 타원체, 오면기둥형, 육면기둥형, 칠면기둥형, 팔면기둥형, 원기둥형, 육면체형, 모서리가 굴곡된 육면 기둥형, 모서리가 굴곡된 육면체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본블랙은 수지와의 계면에서 입자의 크기 또는 비표면적, 입자의 구조 및 불포화 원자 또는 말단의 종류 등과 같은 표면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받으며, 카본블랙과 결합재의 계면에서 작용하는 물리적 결합의 정도에 따라 복합재료의 물성이 결정된다.
전도성입자로 카본나노튜브, 카본블랙이 각각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본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전기전도성 탄화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입자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28중량부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입자가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 3중량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입자인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도전성이 약화되어 정전기 방지 요건 충족에 부적절하며, 2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산의 어려움이 가중되며, 고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계면활성제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므로 통상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에 대전방지제로 사용가능하지만, 특별히 폴리올레핀 및 폴리스틸렌의 정전기방지제로서 적합할 수 있다.
특히 계면활성제가 액체로 수지에 내첨되면, 수지에 분산된 전도성입자를 연결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액상으로 만들기 위해 용제는 에탄올, 2,2'이미노비스-, N-코코 알킬 유도체(ETHANOL, 2,2'IMINOBIS-, N-COCO ALKYL DERIVATIVES)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장 및 수축되는 기계적 장점을 가지는 수지가 반복적으로 수축ㅇ팽창되더라도, 액체인 계면활성제가 수지를 따라 수축팽창을 함께 반복하기 때문에 수지 내의 전도성입자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게 되어 도전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액체 계면활성제는 750 내지 850 mPa.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가 750 미만이면 후술할 바와 같이 액체의 계면활성제가 과도히 용출되는 문제가 있고, 850을 초과하면 분산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질소를 포함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즉, 계면활성제는 질소를 함유한 지방 유도체로서 양이온계, 음이온계, 양쪽성,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이온계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질소계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차 아민, 2차 아민, 및 3차 아민으로 구성되는 아민염과 4차 아민으로 구성되는 암모늄염으로 구분된다. 아민염의 예로는 옥타데실디에탄올아민, 라우릴디폴리글리콜아민, 스테아르산디에틸렌트리아미드, ??아르산에탄올에틸렌디아미드 등이 있으며, 암모늄염의 예로는 트라이메틸도데실암모니움브로마이드, 알킬디부틸도데실암모니움브로마이드, 등이 있다.
질소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1개의 분자 중에 음과 양 양쪽 이온으로 하전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 구조적으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글리신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알라닌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술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구조를 포함하는 지방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디옥틸에틸렌트리아미노아세트산, 도데실디아미노에틸글리신염산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아민 또는 개질아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아민 또는 개질아민의 예는 아래의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1) 아민
Figure 112014035531624-pat00001
(화학식1에서, R은 8∼2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형,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분지형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수소 또는 1∼2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탄화수소 사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2) 디아민 및 폴리아민
Figure 112014035531624-pat00002
(화학식2에서, R은 상기 화학식1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R3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화학식3)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 아민
Figure 112014035531624-pat00003
(화학식3에서, R은 상기 화학식1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x와 y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4) 에톡시화 및/또는 프로폭시화 알킬디아민 및 에톡시화 알킬폴리아민
Figure 112014035531624-pat00004
(화학식4에서, R 및 R3은 상기 화학식2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x, y 및 z는 독립적으로 0, 1, 및 2로부터 선택되고, x+y+z≤5이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5) 아미도아민
Figure 112014035531624-pat00005
(화학식5에서, R, R1, R2 및 R3은 상기 화학식1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화학식6) 아미도폴리아민 및 이미다졸린
Figure 112014035531624-pat00006
(화학식6에서, R 및 R3은 화학식2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x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계면활성제의 내첨량은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가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지에 분포량이 적어 도전성이 약화됨으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표면저항치에 미치지 못하며, 수지에 외부의 충격, 인방 등의 영향이 미칠 때 표면저항력이 저하되는 요인 등으로 부적합하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중량부 이상일 때는 분산량이 많아지지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표면저항치 향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수지 표면에서 계면활성제가 용출되는데, 용출된 계면활성제 유분이 작업자의 손에 묻거나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고 비용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도성입자로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할 때 계면활성제의 내첨량이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1.5중량부일 수 있고, 카본블랙을 사용할 때 계면활성제의 내첨량이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0중량부일 수 있다.
전기전도성 복합재료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는 경도조절제, UV안정제, 산화방지제, 유분흡수제 및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경도조절제는 열가소성 수지의 가소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온에서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며, 내열성·내한성·내연성·전기적 성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경도조절제로는 화이트오일(white oil), DOP(다이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A(다이옥틸아디페이트:Dioctyladipate), TCP(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Tricresyl phosphate )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30 내지 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 4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UV안정제는 180~380㎚, 바람직하게는 280~350㎚의 파장을 가지는 UV광의 적어도 70%이상, 바람직하게는 8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을 흡수할 수 있는 UV안정제이다. 상기 UV 안정화제는 260~300℃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안정하면, 즉 분해되지 않거나 가스로 변화하지 않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UV안정제는 2-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유기니켈 화합물, 살리실 에스테르, 시남 에스테르 유도제,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옥사닐라이드(oxanilide), 히드록시벤조 에스테르, 입체 힌더드 아민(sterically hindered amines), 트리아진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7 내지 1. 4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는 전도성 복합재료가 산화되는 것, 즉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산화방지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6-t-부틸-m-크레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싸이오비스[2-(1,1-디-메티에틸)-5-메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터트-뷰틸-4-하이드록시시나네이트)-메탄 등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77 내지 1.43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액체의 계면활성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수지의 표면으로 누수되어, 수지가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서, 수지 내부에 공극을 만들고 그 공극 사이에 계면활성제가 삼투되도록 하여 수지 표면에 용출된 유분을 억제거나 유분용출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용출억제제를 내첨할 수 있다.
용출억제제는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의 표면에서 유분용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평균입경 0.3㎛ 내지 10㎛의 고체입자로서, 고체입자와 수지사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하는 물질이면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체입자와 수지 사이에 미세한 공극에 액체 계면활성제가 흡수 저장되어 외부로 용출되지 않게 한다.
용출억제제는 카본블랙, TiO2, 또는 산화제이철(Fe2O3), 하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05 ~ 1.4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출억제제는 복합재료의 전기전도성을 고려할 때 전도성을 가진 재료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용출억제제가 0.05 미만으로 포함되면 흡유량이 적어 용출억제의 문제가 있고, 1.4중량부를 초과하면 흡유량이 많아져 안정적인 도전성 저해를 초래하며, 분산의 문제가 발생하며, 수지의 경도가 강해져 경도조절의 한계와 경도가 강해짐으로 수지에 균열의 문제가 있다.
접착제는 제조된 전도성 복합재료가 나일론, 우레탄 등 기타소재에 융착될 수 있도록 접착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MA Graft PE, MH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 내지 26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0.3 내지 26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접착제가 0.3 미만이며 접착력이 약해 나일론, 우레탄 등 기타소재에 융착에 저해되는 경향이 있고, 26 중량부 이상 포함되면, 수지의 경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가격상승을 초례하는 단점이 발생하고, 수지에 정전기 방지라는 본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 복합재료의 개념도 및 SEM사진이다. 도 1 우측의 사진은 열가소성수지에 나노카본튜브(Nanocarbon tube)를 내첨된 컴파운드의 시험편 단면을 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사진의 흰색은 나노카본튜브(Nanocarbon tube)가 열가소성수지에 분산된 상태에서 보여지는 모습이다.
좌측 모형도는 흰색 빛의 일정한 선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열가소성수지에 분산된 나노카본튜브(Nanocarbon tube) 입자들을 계면활성제 균일하게 입체적으로 연결함으로 균일한 도전성이 유지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수지에 분산된 카본나노튜브 입자와 입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수지가 안정적인 도전성을 얻기에는 어려우며, 더욱이 수지가 외부의 충격 및 인장력을 받으면 카본나노튜브 입자의 간격변화로 도전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지에 계면활성제를 내첨하여 카본나노튜브 입자간의 간격을 연결하고,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하여, 수지가 도전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액체상태로 수지에 내첨되어 고르게 분포되면서 카본나노튜브입자와 입자를 감싸게 되어 도전성이 연결되는 원리이며, 부도체인 수지가 안정적인 도전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수지에 카본나노튜브 및 계면활성제가 분산된 상태에서는, 수지가 외부의 힘으로 충격 또는 인장력을 받아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계면활성제가 액체상태로 수지 변형에 따라 연성과 전성이 자유롭게 변형되면서 도전성을 유지하게 되므로 표면저항치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카본블랙 입자간의 간격을 연결하여 안정된 도전성 확보하여, 수지가 도전성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액체물질로 수지에 고르게 분포되어 카본블랙입자와 입자를 감싸게 된다. 수지에 카본블랙 및 계면활성제가 분산되면 안정적으로 도전성이 유지되며, 외부의 힘 또는 충격 및 인장력을 받아 수지가 변형되더라도, 계면활성제는 액체물질로 수지의 변형에 따라 연성과 전성의 특징으로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면서도 카본블랙을 감싸고 있어, 도전성이 유지하게 되므로, 표면저항치에 변화를 주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한편, 카본블랙이 수지에 분산되어 수지를 채움으로써 충전 효과가 발현되어, 복합재료의 강도, 내마모도 등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를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구성 중량%
분류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수지 EPDM 40.65 45.65 49.75 38.9 53.9
전도성입자 카본나노튜브 0.55 0.55 0.55 - -
카본블랙 - - - 12 12
계면활성제
(점도)
라우릴디폴리글리콜아민 5.5
(750)
5.5
(780)
5.5
(780)
7
(800)
7
(800)
경도 조절제l (White Oil) 40 35 31 40 25
UV 안정제 2-히드록시벤조페논 0.55 0.55 0.55 0.55 0.55
산화방지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65 0.65 0.55 0.55 0.55
용출억제제 TIO2 1.85 1.85 1.85 1 1
접착제 MA Graft PE 10.25 10.25 10.25 - -
구성 중량%
분류 성분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수지 EPDM 50.6 71.9 45.65 49.75
전도성입자 카본나노튜브 0.65 0.65 0.55 0.55
카본블랙 6 6 - -
계면활성제
(점도)
라우릴디폴리글리콜아민 0.65
(780)
0.85
(850)
5.5
(720)
5.5
(860)
경도 조절제l White Oil 40 24.5 35 31
UV 안정제 2-히드록시벤조페논 0.55 0.55 0.55 0.55
산화방지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55 0.55 0.65 0.55
용출억제제 TIO2 1 1 1.85 1.85
접착제 MA Graft PE - - 10.25 10.25
구성 중량%
분류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지 EPDM 51.15 55.25 47.5 86.15
전도성입자 카본나노튜브 0.55 0.55 0.55 0.55
카본블랙 - - - -
계면활성제
(점도)
라우릴디폴리글리콜아민 5.5
(780)
경도 조절제l (White Oil) 35 31 35
UV 안정제 2-히드록시벤조페논 0.55 0.55 0.55 0.55
산화방지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65 0.55 0.65 0.65
용출억제제 TIO2 1.85 1.85 - 1.85
접착제 MA Graft PE 10.25 10.25 10.25 10.25
<실험예>
<실험예 1>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해서 하기 인장시험 및 표면저항시험 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표1에 정리하였다.
1. 인장시험(Tensile test)
인장시험은 인장시험기에 시험편의 양쪽 부분을 물려 서서히 인장하중을 가해서 재료의 항복점, 내력, 인장강도, 신장, 드로잉 등 기계적 특징을 측정하는 것이다.
2. 경도측정
시험편의 두께는 측정할 때 다른 재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6 ㎜이상으로 한다. 6 ㎜ 미만인 것은 겹쳐서 6 ㎜이상으로 한다. 시험편의 측정 면은 평활 하여야 하며 적어도 시험기의 가압 기준면이 측정면내에 들어갈 수 있을만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시험기는 스프링식 경도 시험기 A타입을 사용한다. 이 시험기에 의한 경도가 90이상일 경우 KS M ISO 868 {플라스틱 및 에보나이트 -듀로미터를 사용한 압입 경도 측정(쇼어 경도)}에 규정한 D타입의 듀로미터를 사용한다. (A타입 압자 단위 : mm D타입 압자 단위 : mm) 시험기를 수직으로 하고 압자가 시험편 측정면에 수직이 되도록 가압면을 접촉시켜서 시험편에 9.8 N의 하중을 가하여 압착시켜 경도를 측정한다.
3. 표면저항측정(Surface Resistance)
표면저항은 절연물 표면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누설 전류에서 구한 단위 면적당의 저항이며, 절연물 표면의 저항을 상대하는 극 사이의 1cm2의 저항으로 환산한 것이다. 인장시험은 표준화된 시편을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는데, 그 규격은 ASTM D257-07(") (KS B 0801 : 2007)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도성 복합재료를 4극점 측정기를 사용하여 면저항을 측정하였고, 그 측정값에 박막의 두께를 곱하여 비저항값을 구하였다.
4. 액상의 계면활성제 표면용출
제조된 복합재료의 표면에 내부에서 용출되는 액상의 계면활성제를 육안 관찰하여 용출여부를 확인하였다.
전도성 복합재료 시험 항목
인장강도
(MPa)
신장률
(%)
듀로미터경도 표면저항률
(/sq)
계면활성제 용출여부
실시예1 5.6-5.9 745-758 23-26 105~1010
실시예2 5.3-5.7 650-664 34-36 105~1010
실시예3 5.0-5.42 558-571 54-56 105~1010
실시예4 4.5-4.7 520-530 34-36 106~1010
실시예5 4.2-4.5 510-528 48-51 107~1010
실시예6 5.2-5.6 560-573 28-33 104~1010
실시예7 4.1-4.4 518-531 47-52 104~1010
실시예8 5.6-5.9 745-758 23-26 106~1011
실시예9 5.3-5.7 650-664 34-36 1010~1012
비교예1 5.4-5.8 642-656 34-36 1013~
비교예2 4.3-4.9 505-516 48-51 1013~
비교예3 5.87 755 29 109~1012
비교예4 2.8 480 80 1013~
<실험예 2>
실시예 1-3, 비교예 4에 대해서 인장률에 따른 표면저항 측정실험을 진행하고 표2에 정리하였다.
1. 인장률의 변화에 따른 표면저항 측정
전술된 실험예1의 인장시험 및 표면저항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 3,5 비교예 3에 해당하는 각 샘플의 신장률을 체적대비 10%, 20%, 30%, 40%하였을 때, 각각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Test sample
Test item Unit Test method Result
실시예1 실시예3 실시예5 비교예3
Tensile Strength MPa ASTM D412-06ae2
(Die C)
5.6 5.0 4.20 5.87
Ultimate Elongation % ASTM D412-06ae2
(Die C)
745 558 510 755
Durometer
Hardness(A type)
- ASTM D2240-05 23 54 48 29
a-1
Surface Resistance
/Square ASTM D257-07(") 10 10 10 10 10 10 10 9 ~10 12
a-2
Surface Resistance
(10% Elongation)
/Square - 10 10 10 10 10 10 10 13 ~
a-3
Surface Resistance
(20% Elongation)
/Square - 10 10 10 10 10 10 10 13 ~
a-4
Surface Resistance
(30% Elongation)
/Square - 10 10 10 10 10 10 10 13 ~
a-5
Surface Resistance
(40% Elongation)
/Square - 10 10 10 10 10 10 10 13 ~
비교예3은 카본나노튜브 및 질소함유 지방유도체를 내첨하지 않은 것이며, 실시예1, 실시예3, 실시예5은 카본나노튜브 및 질소함유 지방유도체를 내첨하여 도전성을 지닌 시험편의 시험실시예이다.
시편에 인장력과 표면저항시험을 병행한 테스트에서 a-1은 시험편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표면측정방법으로 ASTM D257-07(") 준한 실시예로 1010Ω/Square 를 나타내었다.
a-2은 시험편에 전체 체적의 10%에 해당하는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표면측정방법의 실시예로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한 1010Ω/Square 가 나타났다.
a-3은 시험편에 전체 체적의 20%에 해당하는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표면측정방법의 실시예로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한 1010Ω/Square 가 나타났다.
a-4는 시험편에 전체 체적의 30%에 해당하는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표면측정방법의 실시예로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한 1010Ω/Square 가 나타났다.
a-5는 시험편에 전체 체적의 40%에 해당하는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표면측정방법의 실시예로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한 1010Ω/Square 가 나타났다.
즉, 수지에 전도성입자 및 계면활성제가 함께 내첨되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재료의 경우 외부의 힘 및 인장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도, 변형전의 전도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2에서 비교예3은 카본나노튜브 및 질소함유 지방유도체를 내첨하지 않은 상태로, 비교에 3은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전표면저항은 부도체를 나타내며 물성시험 실시예로 인장강도 5.58MPa, 신장률, 755%, 경도29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재료의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17)

  1. 수지가 되는 열가소성수지;
    상기 수지 내에 분산되는 전도성입자;
    상기 수지 내의 포함되어 상기 전도성입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액체 계면활성제; 및
    상기 수지의 표면에 용출된 유분을 억제하거나 유분용출을 지연시키는 용출억제제;
    를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계면활성제는 750 내지 850 mPa.s의 점도를 가지는 전도성 복합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질소를 함유한 지방 유도체로서 양이온계, 음이온계, 양쪽성,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되는 전도성 복합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5중량부로 포함되는 전도성 복합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니트릴고무, 천연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에폭시계수지, 폴리스타이렌계수지(thermoplastic styrenic elastomer, TPS ), 폴리올레핀계수지(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폴리우레탄계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에틸렌계수지(TPEE), 폴리에스터계수지(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폴리아마이드계수지(thermoplastic polyamide, TPAE), 폴리염화비닐계수지(TPVC), 페놀계수지, 및 멜라민계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수지는 폴리플로필렌(Poly Propylene), 폴리스타이렌(Poly Stylene),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나일론(nylon),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Styrene-acrylonitrile),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천연고무, 및 SBR(styrene-butadiene rubber)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입자는 카본계 입자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복합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계 입자는 카본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그래핀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전도성 복합재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입자는 상기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28중량부인 전도성 복합재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복합재료는 경도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조절제는 화이트오일(white oil), 다이옥틸프탈레이트(DOP), 및 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조절제는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30 내지 110중량부로 포함되는 전도성 복합재료.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억제제는 평균입경이 0.3㎛ 내지 10㎛의 고체입자로서, 상기 고체입자와 상기 열가소성수지 사이에 상기 액체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극을 형성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억제제는 카본블랙, TiO2 또는 산화제이철(Fe2O3)로 구성되는 전도성 복합재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억제제는 상기 열가소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05 ~ 1.4 중량부로 포함되는 전도성 복합재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복합재료에 UV 안정제, 접착제, 및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복합재료.
KR1020140044482A 2013-05-10 2014-04-14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9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482A KR101459635B1 (ko) 2013-05-10 2014-04-14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PCT/KR2014/004229 WO2015160026A1 (ko) 2013-05-10 2014-05-12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324 2013-05-10
KR1020130053324 2013-05-10
KR1020140044482A KR101459635B1 (ko) 2013-05-10 2014-04-14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635B1 true KR101459635B1 (ko) 2014-11-27

Family

ID=5229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482A KR101459635B1 (ko) 2013-05-10 2014-04-14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9635B1 (ko)
WO (1) WO20151600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239A (ko) * 2018-09-28 2020-04-07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저전력 고효율 피치계 탄소섬유기반 탄소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374A1 (ja) * 2017-03-02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伸縮性配線、伸縮性配線を有する衣服型電子機器
CN110283402A (zh) * 2019-05-29 2019-09-27 安徽同心林塑胶科技有限公司 Pvc地板用石墨烯基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742A (ko) * 2004-03-09 2005-09-14 동우전기공업(주) 열가소성수지로 성형제조된 옥내용 폴리머 지지애자
JP2010007060A (ja) * 2008-05-30 2010-01-14 Sanyo Chem Ind Ltd 導電性または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KR20100059156A (ko) * 2008-11-26 2010-06-04 신일화학공업(주) 대전방지제,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마스터배치, 상기 마스터배치를 이용한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대전방지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279B1 (ko) * 2003-10-16 2006-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KR101104910B1 (ko) * 2009-12-04 2012-0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742A (ko) * 2004-03-09 2005-09-14 동우전기공업(주) 열가소성수지로 성형제조된 옥내용 폴리머 지지애자
JP2010007060A (ja) * 2008-05-30 2010-01-14 Sanyo Chem Ind Ltd 導電性または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KR20100059156A (ko) * 2008-11-26 2010-06-04 신일화학공업(주) 대전방지제,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마스터배치, 상기 마스터배치를 이용한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대전방지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239A (ko) * 2018-09-28 2020-04-07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저전력 고효율 피치계 탄소섬유기반 탄소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9412B1 (ko) * 2018-09-28 2020-06-05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저전력 고효율 피치계 탄소섬유기반 탄소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026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960B1 (ko) 저농도의 카르복스아미드 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및 전기 전도성 탄소의 조성물
JP6095572B2 (ja) ポリマーおよび導電性カーボンを含む組成物
US10550231B2 (en) Masterbatches for preparing a composite material based on semi-crystalline polymer with enhanced conductivity properties, process and composite materials produced therefrom
KR101805961B1 (ko)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12 조성물
EP1012853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2009084561A (ja) プラスチック複合材料及び前記材料を製造する方法
KR101459635B1 (ko) 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EP326841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articles having enhanced electrical properties
Ma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and super-tough polypropylen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prepared by melt compounding
US7816417B2 (en) Water soluble photo-curable antistatic compound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high transparency and conductive hard tile flooring material coated with the same
KR20040030553A (ko)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코팅막
KR101347358B1 (ko) 피가공체를 흡착하는 진공 척에 사용되는 완충시트
Via et al. Electrical conductivity modeling of carbon black/polycarbonate, carbon nanotube/polycarbonate, and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polycarbonate composites
CN103794269B (zh) 扁平电缆
KR20110068479A (ko) 차단성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수지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Singh et 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multiwall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prepared by melt‐blending
EP3288890B1 (de) Leitfähige folie für eine widerstandsheizung
CN105837950A (zh) 一种聚烯烃基导电和介电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Belaïd et al. Rheolog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VA copolymer filled with bamboo charcoal
Drücker et al. Solid epoxy for functional 3D printing with isotropic mechanical properties by material extrusion
KR20160108089A (ko) 전도성 마스터 배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KR101431381B1 (ko) 도전성 충전재,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컴파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8911B1 (ko) 전도성 시트 제조용 고분자 복합재 조성물
Othman et al. The impedance characterization of hybrid cnt-silica epoxy nanocomposites
JP2024513073A (ja) 静電気防止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