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426B1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1426B1 KR100581426B1 KR1020040049682A KR20040049682A KR100581426B1 KR 100581426 B1 KR100581426 B1 KR 100581426B1 KR 1020040049682 A KR1020040049682 A KR 1020040049682A KR 20040049682 A KR20040049682 A KR 20040049682A KR 100581426 B1 KR100581426 B1 KR 100581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bill
- controller
- bills
- comma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inventory of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센서 상면에 설치되며 지폐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면에 쌓인 지폐의 일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지폐가 흐트러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하면과 결합되어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지폐에 전달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의 끝단면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 및 푸쉬로드가 지폐의 잔량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대; 무게감지 프로세스 작동시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지폐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무게감지센서 및 모터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부; 상기 컨트롤러부와 통신을 담당하며 컨트롤러부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폐의 잔량을 미리 측정함으로써 계원들에 의한 횡령 및 지폐 도난사고등 각종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현금자동입출금장치, 지폐류 저장장치, 무게감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지폐류 저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게를 이용한 지폐잔량감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 지폐류 저장장치 2 : 받침대
10 : 무게감지센서 20 : 지지수단
21 : 고정대 22 : 가이드관
23 : 탄성수단 24a : 푸쉬플레이트
24b : 푸쉬로드 25 : 구동부
25a : 푸쉬랙 25b : 모터
25c : 피니언 31 : 콘트롤러부
32 : 제어부 40 : 지점서버
50 : 본점서버
본 발명은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 자동화기기에 사용되는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있는 지폐류 저장장치에 쌓인 지폐의 잔량을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지폐 무게에 대한 데이터를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의 제어부와 해당지점의 서버 및 본점의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금융기관의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있는 현금의 잔량을 상시 모니터링 함으로써, 현금의 입출금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폐류 저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지폐류 저장장치(1)는 바닥면에 받침대(2)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2) 상면에 지폐(100)가 놓여지며 상기 지폐(100)의 일측면을 지지수단(20)이 지지하고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지폐(100)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지폐(100)가 흐트러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푸쉬플레이트(24a), 상기 푸쉬플레이트(24a)의 하면과 결합되어 탄성수단(23)의 탄성력을 지폐에 전달하는 푸쉬로드 (24b), 상기 푸쉬로드(24a)의 끝단면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수단(23), 상기 탄성수단(23) 및 푸쉬로드(24a)가 지폐의 잔량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22), 상기 가이드관(22)의 일측단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탄성수단(23)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고정대(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지폐류 저장장치(1)에 지폐가 입금되고 지폐 잔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계원이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의 지폐류 저장장치(1)에 일정량의 지폐를 입금한 후 그 수량을 직접 입력(Key in)하는 방법으로 지폐양을 입력하고, 업무시간 동안에 고객들에 의해 입출금이 행해진 다음 업무 마감시간에 상기 지폐류 저장장치(1)에 남아 있는 지폐 잔량을 계산함으로써 마감을 하는데, 업무시작시 계원이 입금한 지폐의 양과 업무시간에 고객들에 의해 입출금된 지폐의 양을 계산하여 마감시간에 지폐잔량이 정확한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한 지폐류 저장장치(1)에 의하면 마감시간에는 지폐잔량을 측정함으로써 지폐도난 및 유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업무시간중에는 각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남아 있는 지폐의 잔량을 금융기관 본점 뿐만 아니라 개별지점에서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계원들에 의한 횡령 및 기타 도난사고가 빈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폐류 저장장치(1)내의 지폐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지폐 한 장의 두께를 미리 측정한 후 지폐 잔량의 전체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지폐의 매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지폐는 그 손상 정도가 각기 다르므로 상기와 같은 두께를 이용한 방법은 유통권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지폐류 저장장치내에 지폐잔량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감지센서와 지폐를 고정시키는 푸쉬플레이트를 무게 측정시에는 지폐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 및 무게감지센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성함으로써, 금융기관의 본점이나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남아 있는 지폐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계원들에 의한 횡령 및 기타 지폐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방법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센서 상면에 설치되며 지폐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면에 쌓인 지폐의 일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지폐가 흐트러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하면과 결합되어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지폐에 전달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의 끝단면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 및 푸쉬로드가 지폐의 잔량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대; 무게감지 프로세스 작동시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지폐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무게감지센서 및 모터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부; 상기 컨트롤러부와 통신을 담당하며 컨트롤러부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단과 접촉되며 상부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있는 푸쉬랙; 상기 푸쉬랙의 치차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양단에 형성된 모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폐잔량 감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명령어가 입력되는 제1단계; 상기 명령어를 제어부가 수신받아 컨트롤러부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2단계; 상기 컨트롤러부가 명령을 수신받아 모터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3단계; 상기 모터가 명령을 수신받아 구동부를 구동시켜 푸쉬플레이트가 지폐로부터 이격되는 제4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명령을 수신받아 무게감지센서가 무게를 측정하는 제5단계; 측정된 무게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제6단계; 제어부에 수신된 무게 데이터를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지폐잔량을 산출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산출된 지폐잔량 데이터를 지점서버와 본점서버에 송신하는 제8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무게를 이용한 지폐잔량감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지폐류 저장장치(1)내의 바닥면에는 지폐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10)가 설치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10)의 상면에는 지폐(100)를 받치는 받침대(2)가 설치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0)는 지폐(10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면에 지폐(100) 및 받침대(2)를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종류든 사용 가능하고, 상기 받침대(2)는 판형상으로서 금속재질, 플라스틱재질 등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받침대(2) 상면에 쌓인 지폐(100)는 일측면이 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푸쉬플레이트(24a)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푸쉬플레이트(24a)의 타측면 중앙부에 는 푸쉬로드(24b)가 지폐의 잔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항상 지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로드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어 있고, 또한 가장자리에는 푸쉬랙(25a)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24b)의 일측 끝단은 일례로 스프링이 사용되는 탄성수단(22)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탄성수단(22)의 탄성력을 지폐(100)에 전달하게 되어 있어 지폐(100)의 잔량에 따라 항상 지폐(100)를 균일한 힘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22) 및 푸쉬로드(24b)가 지폐의 잔량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때 상기 탄성수단(22)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푸쉬로드(24b)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탄성수단(22) 및 푸쉬로드(24b)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관(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관(22)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대(21)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무게감지 프로세스가 작동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금융기관의 본점서버(50) 또는 각 지점서버(40)에서 각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남아 있는 지폐잔량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입력되는 단계인데, 이는 필요시에 수시로 지폐잔량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일정한 시간마다 자동으로 지폐잔량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각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지점이나 본점에서 지폐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설치된 서버(30)에는 상기 무게감지센서(10) 및 모터(25b)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부(31)와 상기 컨트롤러부(31)와 통신을 담당하며 컨트롤러부(31)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32)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단계에서 명령어를 수신받은 제어부(32)가 컨트롤러부(31)에 구동부(25)의 모터(25b)를 작동시키는 명령을 송신하는 제2단계, 상기 컨트롤러부(31)가 명령을 수신받아 모터(25b)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3단계가 수행된다.
제4단계는 상기 모터(25b)가 명령을 수신받아 구동부(25)를 구동시켜 푸쉬플레이트(24a)가 지폐로부터 이격되는 단계인데, 무게감지센서(10)에 의해 지폐(100)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폐(100) 측면을 지지하고 있던 푸쉬플레이트(24a)를 지폐로부터 약간 이격시켜야 지폐의 무게가 정확히 측정되므로, 상기 푸쉬플레이트(24a)를 지폐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구동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25)는 상기 푸쉬플레이트(24a)의 양측단과 결합되며 상부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있는 푸쉬랙(25a)과 상기 푸쉬랙(25a)의 치차와 치합되는 피니언(25c)이 양단에 형성된 모터(25b)로 이루어져 있는데, 무게감지 프로세스가 작동되면 상기 컨트롤러부(31)로부터 명령을 송신받은 모터(25b)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 (25b) 양단에 형성된 피니언(25c)이 모터(25b)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상기 피니언(25c)에 전달된 구동력은 피니언(25c)에 형성된 치차와 치합되어 있는 푸쉬랙(25a)에 전달되어 작동되는 좌우 직선운동에 의해 푸쉬플레이트(24a)를 지폐(100)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25)의 푸쉬랙(25a)과 모터(25b)양단에 형성된 피니언(25c)은 기어가 맞물리는 형상으로서 모터(25b)의 회전운동을 푸쉬플레이트(24a)의 직선운동으로 바꿔주기 위한 것이면 피니언과 랙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단계는 상기 제어부(32)로부터 명령을 수신받아 무게감지센서(10)가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인데, 상기 푸쉬플레이트(24a)가 지폐(100)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어부(32)가 상기 콘트롤러부(31)를 통해 무게감지센서(10)에 무게측정명령을 송신하게 되는데, 이 명령을 송신받은 무게감지센서(10)는 받침대(2)를 포함한 지폐(100)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제6단계는 측정된 무게를 제어부(32)에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무게감지센서(10)에 의해 측정된 무게데이터는 콘트롤러부(31)를 통해 제어부(32)에 송신되게 된다.
제7단계는 제어부에 수신된 무게 데이터를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데이터를 비 교하여 지폐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부(32)는 수신받은 무게데이터에서 미리 입력된 받침대(2)무게를 뺀 다음 지폐 한 장의 무게로 나누어 측정된 지폐의 잔량이 얼마인지를 산출하게 된다.
제8단계는 상기 제7단계에서 산출된 지폐잔량 데이터를 지점서버와 본점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로서, 각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설치된 서버(30)에서 산출된 지폐 잔량의 데이터는 각 금융기관 지점서버(40)에 송신되고, 각 지점의 서버(40)에 수신된 데이터는 본점의 서버(50)에 송신되어 해당 금융기관에서 관리하는 모든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의 지폐잔량을 업무시간 중에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각종 금융사고 및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에 의하면, 금융기관의 본점이나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현금자동입출금장치내에 남아 있는 지폐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원들에 의한 횡령 및 지폐 도난사고등 각종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센서 상면에 설치되며 지폐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면에 쌓인 지폐의 일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지폐가 흐트러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하면과 결합되어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지폐에 전달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의 끝단면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 및 푸쉬로드가 지폐의 잔량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대; 무게감지 프로세스 작동시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지폐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무게감지센서 및 모터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부; 상기 컨트롤러부와 통신을 담당하며 컨트롤러부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단과 접촉되며 상부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있는 푸쉬랙; 상기 푸쉬랙의 치차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양단에 형성된 모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 지폐잔량 감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명령어가 입력되는 제1단계; 상기 명령어를 제어부가 수신받아 컨트롤러부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2단계; 상기 컨트롤러부가 명령을 수신받아 모터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3단계; 상기 모터가 명령을 수신받아 구동부를 구동시켜 푸쉬플레이트가 지폐로부터 이격되는 제4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명령을 수신받아 무게감지센서가 무게를 측정하는 제5단계; 측정된 무게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제6단계; 제어부에 수신된 무게 데이터를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지폐잔량을 산출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산출된 지폐잔량 데이터를 지점서버와 본점서버에 송신하는 제8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를 이용한 지폐잔량감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9682A KR100581426B1 (ko) | 2004-06-29 | 2004-06-29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9682A KR100581426B1 (ko) | 2004-06-29 | 2004-06-29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8437U Division KR200363177Y1 (ko) | 2004-06-29 | 2004-06-29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0727A KR20060000727A (ko) | 2006-01-06 |
KR100581426B1 true KR100581426B1 (ko) | 2006-05-22 |
Family
ID=3710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9682A KR100581426B1 (ko) | 2004-06-29 | 2004-06-29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14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043B1 (ko) * | 2008-08-12 | 2014-10-08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매체 가압력 제어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출납장치 |
KR101354584B1 (ko) * | 2012-04-03 | 2014-01-27 | (주)가이디 | 지폐 결속 및 계수 장치 |
KR102299227B1 (ko) * | 2020-02-18 | 2021-09-06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정산 방법 및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62969A (ko) * | 1996-02-29 | 1997-09-12 | 배순훈 | 화폐교환장치 |
KR19980038706A (ko) * | 1996-11-26 | 1998-08-05 | 구자홍 | 지폐 또는 수표 적치함의 적치 잔량 감지 장치 |
KR20010007249A (ko) * | 1999-06-07 | 2001-01-26 | 아카이 가즈유키 | 지폐식별방법 및 장치 |
KR20010050656A (ko) * | 1999-09-28 | 2001-06-15 | 아카이 가즈유키 | 종잇장 식별 방법 및 장치 |
-
2004
- 2004-06-29 KR KR1020040049682A patent/KR1005814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62969A (ko) * | 1996-02-29 | 1997-09-12 | 배순훈 | 화폐교환장치 |
KR19980038706A (ko) * | 1996-11-26 | 1998-08-05 | 구자홍 | 지폐 또는 수표 적치함의 적치 잔량 감지 장치 |
KR20010007249A (ko) * | 1999-06-07 | 2001-01-26 | 아카이 가즈유키 | 지폐식별방법 및 장치 |
KR20010050656A (ko) * | 1999-09-28 | 2001-06-15 | 아카이 가즈유키 | 종잇장 식별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0727A (ko) | 2006-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65700A (en) | Money receiving and dispensing system | |
KR100973874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20090093699A (ko) |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 |
US20160163145A1 (en) | Paper sheet transaction device | |
JP5178012B2 (ja) | 自動取引装置 | |
KR101231691B1 (ko) | 지엽류 취급 장치 | |
JP6005546B2 (ja) | 現金管理装置 | |
KR100973875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100581426B1 (ko)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저장장치 및 지폐잔량감지 방법 | |
JP6302900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機構 | |
JP2015230673A (ja) |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装置における解錠方法 | |
KR200363177Y1 (ko) | 무게를 이용한 지폐 잔량 감지기능을 갖춘 지폐류 저장장치 | |
JP5163267B2 (ja) | 貨幣処理装置 | |
JP2015032172A (ja) | 紙葉類取扱装置 | |
KR100721659B1 (ko) | 환류보충겸용박스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운용방법 | |
KR101499090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0140967B1 (ko) | 자동거래장치 감시 시스템 | |
JP6003701B2 (ja) | 現金処理システム | |
JP5968709B2 (ja) | 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 |
KR101009172B1 (ko) |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 |
KR101508267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JP5271807B2 (ja) | 紙幣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 |
JPH08305929A (ja) | 自動入出金装置およびその保守管理方法 | |
JP2601056Y2 (ja) | 両替装置 | |
JPS60241164A (ja) | 紙幣処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