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699A -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699A
KR20090093699A KR1020080019385A KR20080019385A KR20090093699A KR 20090093699 A KR20090093699 A KR 20090093699A KR 1020080019385 A KR1020080019385 A KR 1020080019385A KR 20080019385 A KR20080019385 A KR 20080019385A KR 20090093699 A KR20090093699 A KR 2009009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storage unit
bank
bundle bank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기
이우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699A/ko
Publication of KR2009009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상기 제1저장부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묶음지폐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는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하중과 무관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의 적재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AND METHOD FOR LOADING BUNDLE NOTE}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계원을 위한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묶음 단위로 지폐를 적재함에 있어서 적재된 묶음지폐의 상면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무인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계원(teller) 등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도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 제10-2005-030838호에 계원을 위한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 입출금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계원을 현금 입출금기는 현금의 묶음 출금만 가능할 뿐 현금의 묶음 입금은 불가능하며, 별도의 묶음지폐 입금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계원용 현금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이동부는 항상 정해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벨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업무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계원용 입출금기는 묶음지폐 이동부가 묶음지폐의 권종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계원용 입출금기는 크기 때문에 계원을 위한 업무 공간이 부족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출금 및 입금도 가능한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항상 일정한 높이 또는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저장부에 보관될 수 있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묶음지폐 저장부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잡기 위한 장치의 이동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상기 제1저장부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묶음지폐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는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하중과 무관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계원이 금융기관의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묶음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각 계원마다 정산해야 할 지폐를 낱장 단위로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는 묶음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묶음지폐를 잡기 위한 장치가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로 하강하는 경우에 그 하강 거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풀리, 상기 풀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의 최상단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는 묶음지폐의 최상단면 또는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의 작동을 정확히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묶음지폐를 적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제공되어 묶음지폐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또는 제2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구비되어 적재된 묶음지폐의 높이를 조절하는 묶음지폐 승강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설정치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제공된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 또는 적재된 묶음지폐의 상면을 감지하여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묶음지폐가 적재되기 전에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적재될 묶음지폐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에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적재된 묶음지폐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묶음지폐를 적재함으로써,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묶음지폐를 잡기 위한 장치의 행정 또는 하강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저장부를 개방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고유 암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고, 도난 등의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적재 방법은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 상기 개방된 저장부가 닫히기 전에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하강한 후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가 상기 설정치가 될 때까지 상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묶음지폐는 지폐의 가운데 부분을 묶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 묶음지폐의 가장자리 부분이 묶이는 가운데 부분 보다 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묶음지폐의 가장자리가 상기 설정치 보다 높게 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최종적으로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한번 더 하강하였다가 상승함으로써 묶음지폐의 가장자리를 상기 설정치에 맞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출금 및 입금 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계원이 담당한 지폐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낱장 단위로 출금 또는 입금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항상 동일한 높이 내지 위치를 유지한 채로 저장부 내에 적재되기 때문에, 묶음지폐 이송유닛이 묶음지폐를 잡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를 줄이거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업무 효율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입출금기의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입출금기의 상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4b는 도 2에 따른 입출금기에 사용되는 제1저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입출금기에 사용되는 제2저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묶음지폐 입출금기 101:본체
110:제1저장부 113,133: 위치감지센서
120: 제1묶음지폐 승강부 130: 제2저장부
140:제2묶음지폐 승강부 150: 묶음지폐 이송유닛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teller)용 묶음지폐 입출금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 입출금을 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계원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미도시), 계원 등의 신분증을 입력하는 카드인지부(미도시), 입력된 계원 등의 정보 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입출금 내역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104) 및 본체(101)의 내부에 제공되어 입금 또는 출금되는 묶음지폐를 보관하는 묶음지폐 보관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묶음지폐 입출금기(100)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입출금기의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입출금기의 상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묶음지폐 보관부(105)는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6), 메인 프레임(106)의 내부에 제공되며 입금 또는 출금하고자 하는 묶음 지폐(BN; Bundle Note)가 적재되는 제1저장부(110), 제1저장부(110)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1저장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BN) 또는 제1저장부(110)로 전달될 묶음지폐를 보관하는 제2저장부(130) 및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의 상부에 제공되어 제1저장부(110)에서부터 제2저장부(130)로 묶음지폐를 전달하거나 제2저장부(130)에서부터 제1저장부(110)로 묶음지폐를 전달하는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저장부(110,130)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인 금융기관 계원이 수취할 수 있는 묶음지폐를 보관하는 입출금용 트레이이고, 다른 어느 하나는 제1저장부(110)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1저장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제1저장부(110)로 전달될 묶음지폐를 보관하는 묶음지폐 카세트가 될 수도 있다.
만약, 제1저장부(110)가 입출금용 트레이이면, 제2저장부(130)는 제1저장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제1저장부(110)로 전달할 묶음지폐를 보관하는 묶음지폐 카세트가 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저장부(110,130)는 각각 입출금용 트레이 및 묶음지폐 카세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금융기관의 고객이 입금한 많은 지폐를 묶음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금융기관의 업무 종료 후에 각 계원마다 정산 등을 하는 경우에 지폐를 낱장 단위로 카운트 내지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계산 오류를 줄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계원들의 업무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06)은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프레임 레일 가이드(108) 및 세로 부재인 프레임 바(107)를 구비하여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위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는 메인 프레임(106)의 일측에서 장착 또는 탈착되며, 제1저장부(110) 등이 장탈착되는 쪽과 마주 보는 메인 프레임(106)의 일측에는 각종 피씨비(109, PC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또는 제2저장부(110,130) 등이 장탈착되는 측과 마주 보는 메인 프레임(106)의 일측에는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의 장착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는 메인 프레임(106)의 일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또는 탈착) 내지 폐쇄(또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저장부(110)는 묶음지폐를 입출금하고자 하는 계원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나, 제2저장부(130)는 계원에 의해서는 개폐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BN"은 묶음지폐(Bundle Note)를 의미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위한 공간을 구획하고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의 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레일 가이드(108)의 상측에는 별도의 무빙 샤프트(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빙 샤프트(160)는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샤프트(160)의 표면에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을 형성하고,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에 물릴 수 있는 돌기를 구비한 관통공(미도시)을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의 몸체부에 형성한 후에 메인 프레임(106)에 설치된 모터(161)를 이용하여 무빙 샤프트(16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이 메인 프레임(10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함으로써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30)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이 때, 무빙 샤프트(160)는 나란하게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 적어도 1개는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을 단순히 안내하기 위한 아이들 가이드 샤프트인 것이 효과적이다.
제1 및 제2저장부(110,130)는 그 구조가 서로 비슷하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저장부(110,130)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4b는 도 2에 따른 입출금기에 사용되는 제1저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입출금기에 사용되는 제2저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부(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111) 및 제1프레임(111)의 내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를 지지하는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1)의 상부 측에는 묶음지폐의 투입 또는 반출을 위한 출입구(112)가 마련되어 있다. 출입구(112)의 아래로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공간이 있으며, 그 공간의 최하부에는 묶음지폐를 지지하고 묶음지폐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는 묶음지폐의 하면과 접촉하는 플레이트(121) 및 플레이트(1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구동부(122)는 플레이트(121)의 일측 내지 일단이 연결 또는 고정되는 순환벨트(121a), 순환벨트(121a)의 양단에 설치되어 순환벨트(121a)를 형성 지지하는 제1풀리(122c), 제1풀리와 맞물려서 함께 회전하는 제2풀리(122b) 및 제2풀리(122b)를 직접 회전시키는 모터(12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22d)는 스테핑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순환벨트(122a)는 타이밍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같이 구성된 플레이트 구동부(122)는 실시예의 하나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환벨트 대신 체인 등의 이송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 구동부(122)를 구동하기 위해 제1프레임(111)에는 위치감지센서(113)를 장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113)가 제1저장부(11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 또는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를 감지함으로써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묶음지폐 상면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의 플레이트(121)에는 묶음지폐의 색상 등을 인식하여 권종을 구별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113)의 신호에 따라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를 구동하기 위한 피씨비(124)를 제1프레임(11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을 참조하면, 제2저장부(13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2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1)의 내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BN)를 지지하는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131)의 상단에는 묶음지폐(BN)를 투입 또는 방출하기 위한 출입구(132)가 있으며, 제2프레임(132)의 일측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34)를 통해 적재된 묶음지폐의 양을 알 수 있으며, 묶음지폐 이송유닛(150)과 제2프레임(131)이 충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2저장부(130)의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는 적재된 묶음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미도시) 및 플레이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구체적인 구성은 제1저장부(110)와 유사하다.
한편, 제2저장부(130)의 제2 프레임(131)의 출입구(132) 측에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13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위치감지센서(133)는 제2저장부(13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 또는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를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저장부(130)의 최상단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저장부(13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가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묶음지폐를 잡기 위해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이 하강하는 경우에 그 하강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만약, 묶음지폐의 상면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가 승강하지 못한다면, 적재된 묶음지폐가 적은 경우에는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이 많이 하강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저장부(130)의 출입구(132)에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출입구(132)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다. 따라서,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에 의해서 묶음지폐의 상면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제1저장부(110)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100매의 지폐를 묶어서 하나의 묶음지폐를 만들게 된다.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 또는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는 5개의 지폐묶음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묶음지폐 승강부(120,140)는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하중 또는 무게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묶음지폐의 하중 등과 무관하게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압축스프링과 같은 기계적 기구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 및 센싱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된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일정한 설정치에 맞출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제1 및 제2묶음지폐 승강부(120,140)를 구비함으로 인해,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보관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저장부(110,130)에 사용되는 위치감지센서(113,133)로는 광센서(photo sensor) 또는 접촉센서(touch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저장부(130)의 제2프레임(131)에는 위치감지센서(133)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피씨비(1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저장부(130)는 입금 또는 출금하고자 하는 권종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저장부(130)에 여러 종류의 묶음지폐가 적재되면 계원들이 정산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금액 계산이 부정확해 질 수 있으며, 원하는 금액에 해당하는 묶음지폐를 이송하기 위해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이 구동되어야 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금된 묶음지폐가 최종적으로 보관되는 저장부에는 한 종류의 묶음지폐만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천원권 제2저장부, 오천원권 제2저장부 및 만원권 제2저장부 등을 각각 마련하고, 각각의 저장부에는 해당 묶음지폐만 적재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권종의 결정은 피씨비(136)에 구비된 딥스위치(미도시) 등에 의해서 정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저장부(130)의 내부에는 그 길이 방향(높이)을 따라 장착된 브라켓(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2프레임(131)에 리벳 등의 방법으로 장착되며, 묶음지폐의 일측과 제2저장부(130)의 내면에 대략 2mm 정도의 간격을 만드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즉, 묶음지폐의 전체 일 측면이 제2저장부(130)의 내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마찰력 등으로 인해 묶음지폐가 손상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저장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오버 플로우 카세트(over-flow cassette, 135, 도 2 참조)이며, 오버 플로우 카세트(135)에는 제2저장부(130)에 묶음지폐가 최대로 적재된 경우에 나머지 묶음지폐가 적재될 수 있다. 즉, 입금하고자 하는 제2저장부(130)에 묶음지폐가 꽉 차 있어서 더 이상 묶음지폐를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 이러한 과잉 묶음지폐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오버 플로우 카세트(135)를 구비함으로써 입금된 묶음지폐가 리트랙트(Retract) 또는 리젝트(Reject)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버 플로우 카세트(135)에는 여러 종류의 권종이 혼합하여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 플로우 카세트(135)에 적재된 묶음지폐는 다시 출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묶음지폐가 혼입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100)의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묶음지폐를 적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묶음지폐 입출금기(100)에 묶음지폐를 적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묶음지폐 입출금기(100)에 제공되어 묶음지폐를 저장하는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를 개방하는 단계(S120); 개방된 저장부(110,130)에 구비되어 적재된 묶음지폐의 높이를 조절하는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개방된 저장부(110,13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설정치로 유지하는 단계(S130); 및 개방된 저장부(110,130)에 제공된 위치감지센서(113,133)가 묶음지폐 승강부(120,140) 또는 적재된 묶음지폐의 상면을 감지하여 묶음지폐 승강부(120,140)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묶음지폐의 적재 방법에 의해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의 승강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묶음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정한 개수의 묶음지폐가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됨에도 불구하고,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된 묶음매체가 저장부 밖으로 돌출되거나 튀어나오지 않고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 내부에서 묶음지폐의 상면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묶음지폐의 적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에 언급한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S130)는 크게 2가지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묶음지폐를 적재한 후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하는 방법 및 묶음지폐를 적재하기 전에 미리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한 후 묶음지폐를 적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S130)가 개방된 저장부(110,130)에 묶음지폐가 적재되기 전에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적재될 묶음지폐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단계(S131)를 포함하는 경우,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 묶음지폐 승강부(120,140)의 하강 거리는 적재된 묶음지폐의 전체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묶음지폐가 1개씩 적재되는 경우라면 묶음지폐 1개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묶음지폐 승강부(120,140)이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묶음지폐를 신속하게 적재하기 위해서 일정한 개수만큼의 묶음지폐를 한꺼번에 적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5개의 묶음지폐를 한꺼번에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5개의 묶음지폐의 전체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묶음지폐 상면의 설정치는 묶음지폐 5개가 하강할 때 그 상면이 위치감지센서(113,133)에 의해 인식되는 지점이 될 것이다. 즉, 묶음지폐의 상면이 있어야 할 높이에 위치감지센서(113,133)를 설치하고, 이 위치감지센서(113,133)를 이용해 하강하는 묶음지폐 승강부(120,14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상면을 감지함으로써 묶음지폐 상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S130)가 개방된 저장부(110,130)에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에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적재된 묶음지폐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단계(S132)를 포함하는 경우는 S131 단계와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묶음지폐를 적재함으로써,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상면이 항상 동일한 높이, 즉 미리 정해지 설정치를 유지할 수 있고,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의 승강거리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잡아서 이송하는 장치인 묶음지폐 이송유닛(150)은 묶음지폐를 1개씩 운반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금된 묶음지폐가 최종적으로 적재되는 저장부는 묶음지폐 1개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만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묶음지폐를 수동으로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입출금용 트레이가 제1저장부(110)이고 입금된 묶음지폐가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묶음지폐 카세트가 제2저장부(130)라고 한다면, 제1저장부(110)의 제1묶음지폐 승강부(120)는 묶음지폐 5개의 전체 두께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제2저장부(130)의 제2묶음지폐 승강부(140)는 묶음지폐 1개의 두께만큼만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느 하나의 저장부(110,130)를 개방하는 단계(S120)는 사용자가 고유 암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지폐를 적재할 어느 하나의 저장부(110,130)를 개방하기 전에 묶음지폐 입출금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예를 들면, 금융기관의 출납계원 등)의 신분확인단계(S100,S110)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고유암호를 입력하는 단계(S100) 및 입력된 암호의 판독에 의해 허용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고 각 사용자별 입출금 내역을 전산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업무(예를 들면, 출납계원 등의 정산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업무의 정확성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적재 방법은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 개방된 저장부(S110,S130)가 닫히기 전(S160)에 묶음지폐 승강부(S120,140)가 하강한 후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가 설정치가 될 때까지 상승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묶음지폐는 지폐의 가운데 부분을 묶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 묶음지폐의 가장자리 부분이 묶이는 가운데 부분 보다 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묶음지폐의 가장자리가 설정치 보다 높게 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최종적으로 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한번 더 하강하였다가 상승함으로써 묶음지폐의 가장자리 상면이 설정치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S150 단계는 제1 또는 제2저장부(110,130)에 장착된 위치감지센서(113,133)가 묶음지폐의 상면을 감지했는지 또는 묶음지폐 상면 높이가 설정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의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묶음지폐 승강부(120,140)가 한번 더 하강한 후 상승한 다음에는 개방된 어느 하나의 저장부(110,130)가 닫히고(S160) 묶음지폐의 적재가 종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묶음지폐를 취급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수표 등의 종이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묶음지폐를 적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제공되어 묶음지폐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또는 제2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구비되어 적재된 묶음지폐의 높이를 조절하는 묶음지폐 승강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설정치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제공된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 또는 적재된 묶음지폐의 상면을 감지하여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묶음지폐가 적재되기 전에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적재될 묶음지폐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된 저장부에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에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적재된 묶음지폐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저장부를 개방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고유 암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묶음지폐가 적재된 후 상기 개방된 저장부가 닫히기 전에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가 하강한 후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가 상기 설정치가 될 때까지 상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적재 방법.
  6.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상기 제1저장부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 상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묶음지폐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는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하중과 무관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는 묶음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풀리, 상기 풀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는 묶음지폐의 최상단면 또는 상기 묶음지폐 승강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80019385A 2008-02-29 2008-02-29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KR20090093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85A KR20090093699A (ko) 2008-02-29 2008-02-29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85A KR20090093699A (ko) 2008-02-29 2008-02-29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99A true KR20090093699A (ko) 2009-09-02

Family

ID=4130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385A KR20090093699A (ko) 2008-02-29 2008-02-29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699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6412A1 (en) * 2009-09-29 2011-04-06 Glory Lt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banknote bundle dispensing method
CN103578178A (zh) * 2012-07-20 2014-02-12 辽宁聚龙金融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金融系统的纸币整理机构
CN103946902A (zh) * 2011-11-25 2014-07-23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系统以及货币处理方法
CN103959347A (zh) * 2011-11-30 2014-07-30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系统、货币处理装置以及货币处理方法
CN104063942A (zh) * 2014-03-11 2014-09-24 浙江万利九聚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金融自助设备出钞闸门
CN104091393A (zh) * 2014-08-01 2014-10-08 广州御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手的摆动机构
CN104112312A (zh) * 2014-05-22 2014-10-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CN104112311A (zh) * 2014-05-06 2014-10-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分离机构
CN104331977A (zh) * 2014-10-30 2015-02-04 东莞职业技术学院 基于fpga的纸币多特征采集系统及方法
CN105139517A (zh) * 2015-09-06 2015-12-0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易处理装置
CN105184963A (zh) * 2015-08-05 2015-12-23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
CN105336038A (zh) * 2015-08-31 2016-02-17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纸张类分类装置及纸张类分类系统
CN111564008A (zh) * 2020-04-27 2020-08-21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金库现钞打标签方法、装置及系统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6412A1 (en) * 2009-09-29 2011-04-06 Glory Lt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banknote bundle dispensing method
US8978970B2 (en) 2009-09-29 2015-03-17 Glory Lt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banknote bundle dispensing method
CN103946902A (zh) * 2011-11-25 2014-07-23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系统以及货币处理方法
CN103946902B (zh) * 2011-11-25 2016-05-04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系统以及货币处理方法
CN103959347A (zh) * 2011-11-30 2014-07-30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系统、货币处理装置以及货币处理方法
CN106097559A (zh) * 2011-11-30 2016-11-09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装置
CN103578178A (zh) * 2012-07-20 2014-02-12 辽宁聚龙金融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金融系统的纸币整理机构
CN103578178B (zh) * 2012-07-20 2015-08-12 聚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金融系统的纸币整理机构
CN104063942A (zh) * 2014-03-11 2014-09-24 浙江万利九聚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金融自助设备出钞闸门
CN104112311A (zh) * 2014-05-06 2014-10-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分离机构
CN104112312A (zh) * 2014-05-22 2014-10-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CN104091393A (zh) * 2014-08-01 2014-10-08 广州御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手的摆动机构
CN104091393B (zh) * 2014-08-01 2016-08-24 广州御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手的摆动机构
CN104331977A (zh) * 2014-10-30 2015-02-04 东莞职业技术学院 基于fpga的纸币多特征采集系统及方法
CN104331977B (zh) * 2014-10-30 2017-01-11 东莞职业技术学院 基于fpga的纸币多特征采集系统及方法
CN105184963A (zh) * 2015-08-05 2015-12-23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
CN105336038A (zh) * 2015-08-31 2016-02-17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纸张类分类装置及纸张类分类系统
CN105139517A (zh) * 2015-09-06 2015-12-0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易处理装置
CN111564008A (zh) * 2020-04-27 2020-08-21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金库现钞打标签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3699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KR10097387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US9315355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0973875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54346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46758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JP5439336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2312680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190131996A (ko) 지폐 저장 카세트
KR101009172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KR101499090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5204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2299227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정산 방법 및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508267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347518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계수 방법
JP4402555B2 (ja) 紙葉類繰出し収納庫
KR101035190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KR102312669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용방법
KR102312171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픽업 오동작 알람 장치
KR102312166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5190321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
KR101452912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제어 방법
KR101550129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049311B1 (ko) 묶음지폐 입출금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