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785B1 -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785B1
KR100577785B1 KR1019990024189A KR19990024189A KR100577785B1 KR 100577785 B1 KR100577785 B1 KR 100577785B1 KR 1019990024189 A KR1019990024189 A KR 1019990024189A KR 19990024189 A KR19990024189 A KR 19990024189A KR 100577785 B1 KR100577785 B1 KR 10057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resist
photoresist film
film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758A (ko
Inventor
정태균
조향미
Original Assignee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7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88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employing particular masking sequences or specially adapted masks, e.g. half-tone mask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얇은 두께로 식각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켜 제조비용 및 공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고,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표면처리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토레지스트막은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처리는 HMDS와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진행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method of forming photoresist lay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포토레지스트막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1 : 하부층
12 : 포토레지스트막 12A : 포토레지스트막 패턴
100 : HMDS막
본 발명은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얇은 두께로 식각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소자(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M-LCD)는 고속 응답성을 지니고, 높은 화소 개수를 갖는데 적당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고화질화, 대형화, 컬러화면화 등을 실현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액정 표시 소자의 스위칭 소자로서, 급준한 온/오프 특성을 지니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주로 사용된다.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에서,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의 진행시 식각 마스크로서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막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포토레지스트막은 습식식각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사슬(A) 사이의 공극(B)으로 식각액(C)이 침투하여 일부 손상되어 패턴불량을 야기시킨다. 또한, 건식식각시에도 쉽게 식각되어 패턴의 프로파일 및 CD(Critical Dimention) 조절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일정두께, 예컨대 TFT-LCD의 제조시 1.0 내지 1.2㎛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포토레지스트막은 토폴로지(topology)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한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해야 하므로, 포토레지스트막의 소모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노광 및 현상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공정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두꺼운 포토레지스트막으로 인하여 스컴(scum)등의 불량발생률이 증가하므로별도의 스컴제거 공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토레지스트막을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도 식각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켜 제조비용 및 공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고,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HMDS로 표면 처리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토레지스트막은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정의 막으로 이루어진 하부층(11)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하부층(11)의 패터닝을 위한 식각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막 (12)을 도포한다. 이때, 포토레지스트막(12)은 일정두께 이하, 바람직하게 1.0㎛ 이하의 두께로 도포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막(12)을 소프트 베이킹하고 노광 및 현상한 후, 하드 베이킹하여, 하부층(1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의 표면을 HMDS(Hexa-Methyl-DI- -Silazane)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표면처리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의 표면에 보호막으로서 HMDS막(100)을 형성한다.
여기서, HMDS는 일반적으로 층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 산성(aci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염기성 물질과 공존할 때 소량 제거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의 표면에 형성하게 되면, 이후 습식식각시 산성물질인 식각액이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으로 침투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이러한 표면처리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패턴 (12A)의 고분자 사슬의 공극이 최소화되므로, 식각액의 침투가 더욱더 감소된다.
그리고 나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처리된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을 이용하여 하부층(11)을 습식식각한다. 이때, HDMS막(100)에 의해 습식식각에 대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2A)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포토레지스트막(12) 막의 도포전에 하부층(11)을 상기한 바와 같은 HMDS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표면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토레지스트막을 일정 두께이하로 얇게 형성하더라도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에 형성된 HMDS막에 의해 이후 습식식각에 대한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의 내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식각액의 침투로 인한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패턴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포토레지스트막의 두께감소에 의해 노광 및 현상시간이 감소되므로 제조비용 및 공정시간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스컴제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1.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HMDS로 표면 처리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은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의 도포전에 상기 기판을 HMDS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KR1019990024189A 1999-06-25 1999-06-25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KR10057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89A KR100577785B1 (ko) 1999-06-25 1999-06-25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89A KR100577785B1 (ko) 1999-06-25 1999-06-25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58A KR20010003758A (ko) 2001-01-15
KR100577785B1 true KR100577785B1 (ko) 2006-05-10

Family

ID=1959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89A KR100577785B1 (ko) 1999-06-25 1999-06-25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7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705A (ko) * 1994-10-31 1996-05-22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감광막 패턴 제조방법
JPH09115810A (ja) * 1995-10-19 1997-05-0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26443A (ko) * 1996-10-09 1998-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04871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반도체 장치 사진 식각공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705A (ko) * 1994-10-31 1996-05-22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감광막 패턴 제조방법
JPH09115810A (ja) * 1995-10-19 1997-05-0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26443A (ko) * 1996-10-09 1998-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04871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반도체 장치 사진 식각공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58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259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US634488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82322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22885B1 (ko) 어레이 기판과 액정 디스플레이
JP2002141512A (ja) 薄膜のパターニング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tft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97850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00009499A (ko) 포토레지스트의 가장자리부의 버의 형성방법과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JP2002258486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6391499B1 (en) Light exposure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20082B1 (ko)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0577785B1 (ko) 액정 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막 형성방법
US751867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123810A (ko) 금속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9990038475A (ko)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의 구조
KR10061376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237005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절연막의 에칭방법
KR100830735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0620136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63293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891997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271757B1 (ko) 반도체장치의식각방법
KR100535353B1 (ko) 인듐 틴 옥사이드막의 패터닝 방법
KR100437599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10063289A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9980041518A (ko) 비정질 실리콘 lcd의 게이트 식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