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405B1 -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405B1
KR100576405B1 KR1020000002311A KR20000002311A KR100576405B1 KR 100576405 B1 KR100576405 B1 KR 100576405B1 KR 1020000002311 A KR1020000002311 A KR 1020000002311A KR 20000002311 A KR20000002311 A KR 20000002311A KR 100576405 B1 KR100576405 B1 KR 10057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tooth
transfer
clot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487A (ko
Inventor
아키야마타츠히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지그재그 재봉기 등에 있어 좌우의 솔기가 재봉실의 장력에 의해 끌어당겨짐으로써 천에 발생하는 주름(puckering)을 방지하고, 재봉제품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봉실의 장력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여 봉제시 작업능률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우로 분할한 이송톱니와, 그 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구동수단과, 그 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구동수단과, 그 이송톱니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종이 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좌우구동수단을 갖추고, 상기 각 구동수단에 의한 이송톱니의 합성운동에 의해, 그 이송톱니에 의한 천이송시에 그 이송톱니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바늘로부터 이간하는 천이송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천이송장치{CLOTH FEEDING APPARATUS FOR A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 이송톱니의 운동궤적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J부 상세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측면 조립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정면도.
도17은 도16의 평면도.
도18은 도16의 좌측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송대 2a,2b: 톱니부(이송톱니)
5: 편심핀 6: 종방향 링팔
12a,12b: 안내홈 13: 안내홈
16A,16B: 이송톱니체 18: 종방향 이송축
19: 편심캠 23: 연동체
25: 개폐링크팔 27: 상하이동체(왕복이동부재)
29a,29b,44a,44b: 이송톱니링크
37: 연동팔(왕복이동부재) 41: 접동체
83,101: 조절기구 84: 조절대
86: 조절자 86a: 홈부
86b: 장공 88a: 장공
88b: 결합부 89a,89b: 안내핀
90A,90B: 규제체 90a,90b: 가이드홈부
91: 북 102: 구동모터
103: 제어회로
본 발명은 재봉기의 천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송톱니에 천이송의 상하,수평운동을 하게 하여 천을 보내는 재봉기의 천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재봉기의 천이송기구에 있어서는 이송톱니가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타원 또는 평행사변형의 궤적을 그리는 이송운동을 하도록 재봉기 주축에 연동시켰다. 그리고 이 이송톱니가 바늘판위에 돌출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누름발과 이송톱니 사이에 끼워진 바늘판위의 피봉제물이 이동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예를들어 바늘을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좌우방향으로 틀면서 그 바늘의 방향을 바꾸는 위치에서 솔기를 형성하는 이른바 지그재그솔기를 형성하는 지그재그솔기 재봉기나 2개 또는 3개의 바늘을 갖추어 천에 2개 또는 3개의 평행하는 솔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평행하는 솔기의 천 윗면에 윗장식 실을 지그재그형상으로 박아넣는 이른바 윗장식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한 천이송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천이송 기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지그재그솔기 재봉기에 의해 지그재그솔기를 형성하면 좌우의 바늘을 트는 위치에 있어 솔기형성할 때 천칭(天秤)이나 천이송 등에 의해 재봉실이 긴장되므로 그 때 좌우의 솔기위치에 이어지는 재봉실은 그 장력에 의해 왼쪽솔기와 오른쪽솔기가 가까와지도록 끌어당겨져 그 결과 솔기사이에 있어 천에 종방향의 주름이 잡히는 이른바 주름(puckering)이 발생하여 제품의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윗장식 재봉기에 있어서도 윗장식실에 장력을 주어 박아넣기 때문에 좌우단의 바늘에 의한 솔기가 윗장식실의 장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지고, 그 결과 좌우솔기 사이에 있어 천에 종방향의 주름이 잡히므로 상기한 것과 같이 주름에 의해 제품의 상품가치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주름을 감소하기 위해 실의 장력을 약하게 하면 실의 긴장이 불량이 되는 등의 모순이 발생하거나 이들 실 장력의 조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여 봉제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최소한 2개의 병행하는 솔기선이 형성되는 재봉기에 있어서 천이송톱니가 이송운동을 행할 때 피봉제물을 좌우의 솔기방향으로 갈라놓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2분할한 이송톱니와, 각 이송톱니에 상하방향운동과 수평방향운동의 합성에 의한 천이송운동을 부여하는 이송구동수단과, 각 이송톱니에 의한 천이송시에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도록 이동하는 개폐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는 천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송대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구동수단과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에 연결한 왕복이동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연동하여 왕복이동하는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에 연결한 이송톱니링크로 구성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링크는 왕복이동부재에 연동하여 수평축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링크는 왕복이동부재에 연동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구 성으로 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액튜에이터를 갖추고 액튜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에 바늘로부터 이간하여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천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늘봉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늘봉 지지부재와, 이 바늘봉 지지부재를 통해 바늘봉에 요동운동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8기재의 재봉기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천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늘봉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늘봉 지지부재와, 이 바늘봉 지지부재를 통해 바늘봉에 요동운동을 부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바늘봉의 요동운동의 요동량에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했다.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실긴장에 의한 실의 장력이 더욱 커지게 되는 이송톱니에 의한 천이송시에 봉합부의 천에 대해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여 바늘에서 이간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실긴장에 의한 실의 장력에 의해 천이 솔기사이에 있어 내측으로 끌어당겨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여 외관상 좋은 봉제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가치가 향상됨과 동시에 실장력의 조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봉제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 의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4에 의해 제 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송톱니 유닛은 이송대(1)와 좌우 한쌍의 이송톱니체(16A)(16B)에 의해 구성된다.
이송대(1)는 기부(1a)의 선단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지지공(1b)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재봉기의 북(도시하지 않음) 위쪽에 위치하는 사각형의 개구부(11)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11)의 전후단 테두리의 상부에는 평행한 2개의 안내홈(12a)(12b)이 대향형성된다. 또 기부(1a)에는 개구부(11)의 앞단테두리에서 아래쪽으로 뻗는 안내부(14)가 배치되고, 이 안내부(14)의 단면에 종방향의 안내홈(13)이 형성된다. 또 개구부(11)의 일측단테두리(1c)에서 아래쪽으로 L자형상의 팔부(15)가 뻗어나오고, 그 팔부(15) 선단에 좌우방향을 따르는 지지공(15a)이 형성된다.
한쌍의 이송톱니체(16A)(16B)는 각각 이송톱니로서의 톱니부(2a)(2b)가 윗면에 형성되어있음과 동시에 전후방향을 따르는 지지공(17a)(17b)이 형성된 연결부(17A)(17B)가 아래쪽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들 이송톱니체(16A)(16B)는 각각의 전후 단테두리(16Aa)(16Ab)(16Ba)(16Bb)를 상기 안내홈(12a)(12b)에 대해 좌우로 접동가능하게 감합함으로써 이송대(1)에 지지된다.
상기 이송톱니체(16A)(16B) 즉 이송톱니로서의 톱니부(2a)(2b)를 좌우로 개 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는 왕복이동부재로서의 상하이동체(27)와 이송톱니링크(29a)(29b)와 지축(31a)(31b)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하이동체(27)는 선단을 상기 안내부(14)의 안내홈(13)에 상하이동이 자유롭도록 여유롭게 끼우고, 뒷단의 지지공(27b)에 수평한 지지축(28)의 일단을 감입하여 고정한다. 또 상하이동체(27)는 위쪽으로 뻗어나오는 지지부(27a)를 배치하고 이 지지부(27a)의 전후단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지지핀(30a)(30b)을 배치한다.
이송톱니링크(29a)(29b)는 각각의 하단을 상기 지지핀(30a)(30b)에 회동자유롭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이송톱니링크(29a)의 상단은 그 윗단에 고정된 지축(31a)을 상기 이송톱니체(16A)의 지지공(17a)에 회동자유롭도록 헐겁게 끼워서 연결하고, 이송톱니링크(29b)의 상단은 그 상단에 고정된 지축(31b)을 이송톱니체(16B)의 연결부(17B)에 회동자유롭도록 헐겁게 끼워서 연결한다.
다음에 이송운동을 발생시키는 이송구동기구를 설명한다. 재봉기주축(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회전하는 이송축(18)에는 종방향 구동수단으로서의 편심핀(5)이 배치된다.
종방향링크팔(6)은 그 상단이 편심핀(5)에 회동자유롭도록 연결되고, 하단은 이송대(1)의 팔부(15)의 지지공(15a)에 감합한 연결축(24)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된다.
상기 종방향 이송축(18)에 평행하게 배치된 횡방향 이송축(33)은 도시하지 않은 수평이송기구에 의해 재봉기주축에 연동하여 축심을 중심으로 왕복요동된다. 횡방향 이송축(33)의 일단에는 횡방향 이송팔(8)의 하단이 고정되고, 횡방향 이송팔(8)의 상단은 상기 이송대(1) 선단의 지지공(1b)에 감합한 연결축(32)에 회동자유롭도록 연결된다.
상기 개폐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종방향 이송축(18)에는 개폐구동수단으로서의 편심캠(19)이 고정되고, 개폐링크팔(25)은 기단을 상기 편심캠(19)에 감합하며, 선단을 연동체(23)의 연결팔부(20)의 선단에 연결축(26)에 의해 회동자유롭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동체(23)는 상기 횡방향 이송축(33)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결팔부(20)와 선단에 2개로 나뉜 분할부(21)가 형성된 구동팔부(2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2개로 나뉜 분할부(21)에는 상기 상하이동체(27)의 지지축(28)선단이 접동가능하게 감합된다.
다음에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재봉기가 구동되어 종방향 이송축(18)이 주축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면 편심핀(5)에 의해 이송링크(6)를 종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따라 연결축(24)을 통해 이송대(1)를 종방향으로 요동시킴과 동시에 횡방향 이송축(33)이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축심을 중심으로 요동하면 횡방향 이송팔(8)이 상단을 횡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이에 따라 연결축(32)을 통해 이송대(1)에 횡방향의 운동을 부여한다. 이 이송대(1)의 종방향의 운동과 횡방향의 운동에 의해 이송톱니체(16A)(16B)에 종래와 같은 천이송의 상하수평운동(타원궤적 또는 평행사변형 궤적)을 행한다.
또한 상기의 종방향 이송축(18)의 회전에 의해 편심캠(19)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개폐링크팔(25)이 선단을 종방향으로 요동하며, 개폐링크팔(25) 선단에 연결한 연결팔부(20)를 통해 연동체(23)가 수평이송축(33)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이 연동체(23)의 요동에 의해 2개로 나뉜 분할부(21) 선단이 종방향으로 요동하며, 지지축(28)을 통해 상하이동체(27)가 이송대(1)의 안내홈(13)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이 상하이동체(27)의 상하운동에 의해 도 5a의 상태에서 상하이동체(27)가 상승하면 상하이동체(27)에 배치한 지지핀(30a)(30b)의 상승에 따라 이송톱니링크(29a)(29b)의 상단이 떨어지게 되고, 이송톱니체(16A)(16B)가 서로 떨어지는 개리방향의 작용력을 받으며, 안내홈(12a)(12b)을 따라 천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된다. 따라서 이송톱니체(16A)(16B)에 배치한 톱니부(2a)(2b)는 바늘(N)에서 이격하는 개(開)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5b의 위치에서 상하이동체(27)가 하강하면 지지핀(30a)(30b)이 하강하기 때문에 이송톱니링크(29a)(29b)의 상단이 접근하게 되고, 이송톱니체(16A)(16B)는 서로 다가가는 폐쇄방향의 작용력을 받으며, 이 작용력으로 이송톱니체(16A)(16B)는 이송대(1)의 안내홈(12a)(12b)을 따라 이동하고,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된다. 따라서 톱니부(2a)(2b)는 바늘(N)에 대해 접근하는 폐(閉)상태, 즉 통상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이송톱니(2a)(2b)가 개폐쇄방향으로 운동할 경우, 바늘(N)에서 떨어지는 개리방향의 운동은 바늘(N)의 바늘끝이 천에서 빠지는 시기, 즉 이송톱니(2a)(2b)에 의한 천이송방향의 천이송이 시작하는 시기에 개시되는 한편 바늘(N)에 다가가는 폐쇄방향의 운동은 바늘(N)이 천에 꽂히는 시기, 즉 이송톱니(2a)(2b)에 의한 천이송이 끝나는 시기에 개시되도록 재봉기 주축의 운동에 대응하여 기계적으로 설정된다.
이 결과 상기 이송톱니(2a)(2b)의 개폐쇄방향의 운동은 상기 이송톱니(2a)(2b)의 이송시 상하수평운동과의 합성운동이 되고, 이송톱니(2a)(2b) 운동의 평면궤적은 도 6과 같이 되며, 천은 바늘(N)에서 좌우로 떨어지는 방향의 작용력을 받아 횡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천이송방향의 앞쪽으로 보내진다.
또한 다음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의 이송톱니(2a)(2b)의 이송시 상하수평운동과 개폐운동의 합성운동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7에 있어 제 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톱니체(16A)(16B)의 톱니부(2a)(2b) 양쪽이 각각 개폐동작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제 2실시예는 한쪽의 이송톱니인 톱니부(2a)만이 개폐동작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한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구성,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이송톱니체(16A)(16B)의 톱니부(2a)(2b)의 한쪽만이 개폐동작하는 구성이므로 이송톱니체(16A)를 이송대(1)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1실시예에 있어 이송톱니체(16B)에 연결한 이송톱니링크(29b) 또는 이송톱니링크(29b)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30b,31b,17B,17b)을 뺀 점만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다.
이에 따라 재봉기가 구동하면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하이동 체(27)는 상하로 왕복구동되고 그 결과 한쪽의 이송톱니체(16A)만이 개폐동작한다.
또 상기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톱니체(16A)만을 개폐동작시키는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했지만 반대로 이송톱니체(16A)를 고정하고, 이송톱니체(16B)만을 개폐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개폐구동의 변형예인 제 3실시예에 대해 도 8, 도 9를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대(1)는 제 1실시예의 앞쪽의 안내홈(12a) 대신에 안내홈(12b)에 평행한 안내공(71a)이 관통형성된다. 또 안내부(14)의 안내홈(13)대신에 상기 팔부의 앞쪽단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안내홈(71b)이 형성된다.
이송톱니체(16A)(16B)는 각각의 앞단부(16Aa)(16Ba)를 이송대(1)의 옆쪽에 대향가능하게 하고, 이송대(1)의 안내공(71a)에 접동가능하게 감합하는 지지축(77)(78)을 앞단부(16Aa)(16Ba)에서 이송대(1)측으로 돌출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지지축(77)(78)과 안내공(71a)과의 감합과, 상기 안내홈(12b)과 각 이송톱니체(16A)(16B)의 후단테두리(16Aa)(16Ba)의 감합에 의해 이송톱니체(16A)(16B)는 이송대(1)에 대해 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접동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상하이동체(27)는 제 1실시예의 지지공(27b) 대신에 양측단에서 옆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안내핀(89a)(89b)을 배치한다. 또 상하이동체(27)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양측단에 관통한 장공(88a)과 뒤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안내홈(71b)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88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실시예의 2개로 나뉜 분할부(21)를 대신하여 베어링부(87)에 기단이 고정된 지지축(28)이 그 선단이 상하이동체(27)의 상기 장공(88a)에 헐겁게 끼워진다.
상하이동체(27)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규제체(90A)(90B)는 판재를 절곡하여 종방향을 따른 홈형상으로 된 가이드홈부(90a)(90b)를 배치하고, 기기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홈(90a)(90b)에는 상하이동체(27)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하이동체(27)의 안내핀(89a)(89b)이 헐겁게 끼워진다. 즉 상하이동체(27)는 상기 팔부(15)의 안내홈(71b)과 규제체(90A)(90B)의 안내홈부(90a)(90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자유롭도록 지지된다.
도 8에 있어 부호 J로 표시되는 기구는 도 9의 (1)에 도시하는 기구에 상당한다. 종방향 이송축(18)에 대한 개폐링크팔(25)의 부착부에는 조절기구(83)가 배치된다. 이 조절기구(83)는 종방향 이송축(18)에 고정되고, 상하로 평탄면(84a)(84b)을 형성한 조절대(84)와, 개폐링크팔(25)의 기부에 헐겁게 끼워진 조절자(86)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조절자(86)는 조절대(84)의 평탄면(84a)(84b)이 접동자유롭게 계합하는 홈부(86a)와, 상기 홈부(86a)에 개구하도록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종방향 이송축(18)을 헐겁게 끼우는 장공(86b)을 형성한다. 조절자(86)는 장공(86b)의 긴쪽방향에 있어 소정의 위치에서 나사(85)로 종방향 이송축(18)에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제 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재봉기가 구동하여 종방향 이송축(18)이 회전하면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송대(1)와 그곳에 배치한 이송톱니체(16A)(16B)가 천이송의 상하수평운동을 행한다.
상기 종방향 이송축(18)의 회전에 의해 조절기구(83)의 조절자(86)가 회전하고, 여기에 의해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폐링크팔(25)과 연동팔부(20)를 통해 횡방향 이송축(33)을 중심으로 연동체(23)와 지지축(28)을 접동시킨다.
상하이동체(27)의 장공(88a)에 감입하는 지지축(28)의 요동은 지지축(28)의 상하방향운동만이 전달되어 상하이동체(27)를 상하이동시킨다. 이 때 상하이동체(27)는 안내홈(71b)과 결합부(88b)의 결합 및 규제체(90A)(90B)의 가이드홈부(90a)(90b)와 안내핀(89a)(89b)의 결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자유롭도록 지지되므로 덜컹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상하이동체(27)의 상하운동에 의해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송톱니링크(29a)(29b)의 상단이 개폐되고, 이에 따라 이송대(1)에 대해 양 이송톱니체(16A)(16B)가 안내홈(12b)과 안내공(71a)에 의해 안내되어 개폐동작한다.
이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동작량, 즉 톱니부(2a)(2b)의 개폐동작량은 조절대(84)를 조절자(86)의 장공(86b)의 범위내에서 긴쪽방향(화살표 X)으로 고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된다. 즉 종방향 이송축(18)에 대한 편심량은 변화하고, 종방향 이송축(18)의 회전시에 조절자(86)의 요동량과 위상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상하이동체(27)의 상하운동의 위상, 운동량이 변화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축(28)과 종방향 이송축(18)에 의한 이송대(1)의 상하운동과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조절자(86)를 도 9의 (1)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량 은 적어지고, 조절자(86)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동작량은 커지도록 설정된다.
또 도 9의 (2)와 같이 조절기구(83)를 대신하여 조절기구(1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조절기구(110)는 피지지축(111a)과 편심캠부(111b)로 이루어지는 편심캠(111)을 배치하고, 상기 개폐링크팔(25)을 편심캠부(111b)의 외주부에 끼워장착하며, 종방향 이송축(18)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부착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지지축(111a)에 있어 나사(112)로 고정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종방향 이송축(18)에 대한 편심캠(111)의 고정회전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하이동체(27)의 운동량이 변화한다.
또 제 3실시예의 상하이동체(27)와 한쌍의 규제체(90A)(90B)의 구성을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해도 좋다. 즉 제 3실시예의 상하이동체(27)의 안내핀(89a)(89b)을 대신하여 한쪽으로 개구하는 안내홈(88c)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88c)에 선단부(91a)를 접동가능하게 감합하는 L자형의 규제체(91)를 기기틀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하이동체(27)는 선단부(91a)와 안내홈(88c)의 결합에 의해 상하이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대해 도 11, 도 12를 기초로 설명한다. 제 4실시예는 제 3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이송대(11)와 이송톱니체(16A)(16B)의 형상이 다른 점이 특징으로, 그 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 이송대(1)는 제 3실시예의 개구부(11)를 대신하여 한쪽으로 개구된 절개부(93a)가 형성된다. 절개부(93a)는 아래쪽에 북(91)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이송대(1)에는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내홈(71b)이 형성된 팔부(15)와, 안내홈(12b)이 형성되며 또한 선단측에 상기 지지공(1c)에 평행하게 지지공(93b)이 관통형성된다.
이송대(1)에 적치되는 이송톱니체(16A)(16B)는 각각 지지부재(94)(97)와 그 윗면에 고정된 L자형의 톱니부재(95)(98)에 의해 구성되고, 각 톱니부재(95)(96)에는 각각 팔부(95a)(98a)의 선단에 이송톱니로서의 톱니부(2a)(2b)가 형성된다. 또 지지부재(94)(97)의 선단부에는 상기 지지공(93b)에 축선방향으로 접동가능하도록 감합하는 지지축(77)(78)이 각각 돌설된다.
지지부재(94)(97)는 후단부(94a)(97a)를 상기 이송대(1)의 안내홈(12b)에 접동가능하도록 감합시키고, 이 안내홈(12b)과 결합공(93b)에 헐겁게 끼워지는 지지축(77)(78)에 의해 이송톱니체(16A)(16B)를 서로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자유롭도록 이송대(1)상에 지지된다.
이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기구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3실시예와 같은 구성이 배치되고, 재봉기 주축에 동기하여 개폐동작된다.
또 지지부재(94)의 후단부(94a)는 옆쪽으로 연장하는 팔부(98a)의 기단 아래쪽에 대향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팔부(98a)선단을 길게하는 것에 의해 톱니부재(95)의 아래쪽에 대향하여 지지한다.
또 도 12와 같이 개폐기구를 구성하는 이송톱니링크(29a)(29b)와 상하이동체(27)는 북 축(91a)에서 옆쪽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므로 북(91)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 ∼ 도 14에 의해 제 5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제 5실시예 구성의 특징은 상하이동체(27)의 상하이동에 따르는 양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기구에 있으며, 그 외의 기구는 제 1실시예 또는 제 3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그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하이동체(27)의 상단부에 캠체(35)를 고정하며, 이 캠체(35)는 양쪽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뻗는 캠팔(34A)(34B)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캠팔(34A)(34B)의 후단면에 홈캠(34a)(34b)을 형성한다. 이송톱니체(16A)(16B)의 연결부(17A)(17B)에 고정된 지지핀(31a)(31b)이 홈캠(34a)(34b)에 감합한다.
이에 따라 재봉기가 구동하면 상기 제 1 또는 제 3실시예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하이동체(27)가 상하이동되는 것에 의해 도 14(a)(b)와 같이 상하이동체(27)와 함께 캠체(35)가 상하이동하므로 이송톱니체(16A)(16B)는 홈캠(34a)(34b)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작용력을 받으며, 이 작용력에 의해 이송톱니체(16A)(16B)는 상하이동체가 상승하면 이송대(1)상을 천이송방향으로 직교하여 여는(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이동체(27)가 하강하면 닫는(접근하는)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 도 15에 의해 제 5실시예의 변형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5실시예에 있어서는 캠팔(34A)(34B)을 하측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했지만 도 15의 변형예에서는 상측으로 경사진 캠팔(34A)(34B)을 갖추고, 이 캠팔(34A)(34B)에 홈캠(34a)(34b)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상하이동체(27)의 상하이동에 대한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동작 은 도 13의 구성과는 역으로 된다.
즉 상하이동체(27)가 하강하면 이송톱니체(16A)(16B)는 개리하는(이격하는)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이동체(27)가 상승하면 닫는(접근하는)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제 5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팔(22)을 제 1과 제 3실시예에 도시한 편심캠(19)의 위상을 180도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16 ∼ 도 19에 의해 제 6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제 6실시예의 특징은 양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기구에 있고, 그 외의 기구는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그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송대(1)에는 제 1실시예와 같은 팔부(15)가 형성되고, 팔부(15)선단의 지지공(15a)에 고정한 연결축(24)을 종방향 이송축(18)의 편심핀(5)에 연결하며, 또 이송대(1)의 기단에 배치한 연결축(32)을 횡방향 이송팔(8)을 통해 횡방향 이송축(33)에 연결한다.
도 18과 같이 L자형상의 지지팔(36)이 이송대(1)의 기부(1a)에서 직하한다. L자형상의 연동체(37)가 상기 연결축(32)에 평행하는 지축(38)에 의해 그 중간부는 상기 지지팔(36)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왕복이동부재로서의 연동체(37)는 상단에 2개로 나뉜 분할부(39)가 형성되고, 절곡부 선단에는 연결축(40)의 기단이 고정된다. 연결축(40)의 선단은 상기 연동체(23)의 2개로 나뉜 분할부(21)에 헐겁게 끼워진다. 이송대(1)에 대해 천이송방향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접동자유롭게 지지된 접동체(41)는 상기 연동체(37)의 2개로 나뉜 분할부(39)에 헐겁게 끼워지는 수평방향을 따르는 가이드축(42)과, 상단에서 위쪽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작동축(43)이 배치된다. 한쌍의 이송톱니링크(44a)(44b)는 각각 일단이 연동체(37)의 작동축(4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이송톱니링크(44a)(44b)의 타단이 이송톱니체(16A)(16B)에 지축(45a)(45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동체(37)와 접동체(41)와 이송톱니링크(44a)(44b)등에 의해 개폐기구가 구성된다.
재봉기가 구동하면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송대(1)는 이송톱니체(16A)(16B)와 함께 결합되며, 이송톱니인 톱니부(2a)(2b)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천이송의 상하수평운동을 행한다.
연동체(23)의 2개로 나뉜 분할부(21)가 종방향 이송축(18)에 연동하여 요동함으로써 도 18의 연결축(40)이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이 연결축(40)의 상하이동에 의해 연동체(37)는 지지축(38)을 중심으로 요동된다. 이 연동체(37)의 요동에 의해 2개로 나뉜 분할부(39)를 통해 접동체(41)의 가이드축(42)에 전달되고 가이드축(42)은 도 18의 좌우방향으로 요동된다. 이에 따라 같은 요동체(41)에 고정된 작동축(43)이 도 19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양 이송톱니링크(44a)(44b)의 지지축(45a)(45b)이 접리한다. 이에 따라 이송톱니체(16A)(16B)가 개폐운동을 행한다.
즉 도19의 (a)와 같이 작동축(43)이 도 19 위쪽에 위치할 때는 이송톱니체(16A)(16B)는 떨어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작동축(43)이 도 19 아 래쪽으로 이동되면 양 이송톱니링크(44a)(44b)가 평행하게 가까와지며, 이송톱니체(16A)(16B)를 바깥쪽으로 밀어내 서로 이격시켜서 톱니(2a)(2b)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 개폐타이밍은 상기의 제 1실시예와 같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대해 도 20을 기초로 설명한다.
제 7실시예는 상하이동체(27)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02)에 의해 구동되는 점이 특징이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특별히 제 2실시예의 구성을 기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재봉기프레임에 고정된 구동모터로서의 모터(102)의 출력축단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그 선단에 지지축(28)을 고정한 요동판(101)이 고정되어있다. 지지축(28)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상하이동체(27)의 장공(88a)에 긴쪽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삽통된다. 그리고 모터(102)가 정역회전되면 요동판(101)의 선단에 고정된 지지축(28)이 요동되고, 상하이동체(2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실시예의 설명과 같이 이송톱니링크(29a)(29b)가 동작하고, 이송톱니체(16A)(16B)를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화살부호 Y)으로 접리(개폐)시킨다.
모터(102)에는 모터(102)의 회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제어수단)(103)가 접속된다. 이 제어수단(103)은 내부에 CPU, ROM, RAM을 내장하고 있으며 또한 바늘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는 바늘위치신호나 작업자가 키(key)스위치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입력설정수단이 CPU입력측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입력신호와 데이터가 CPU에서 연산된 후 이송톱니체(16A)(16B)의 톱니부(2a)(2b)는 도 6에 도시하는 평면궤적이 되도록 드라이버회로를 통해 재봉기주축의 회전타이밍에 관련되는 타이밍으로 모터(102)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즉 바늘위치신호에 의해 바늘끝이 천에서 빠질 때에 모터(102)를 정회전시켜 이송톱니체(16A)(16B)를 연 상태로 하고, 천이송이 끝나는 시기부터 모터(102)를 역회전시켜 이송톱니체(16A)(16B)를 닫는 상태로 한다. 또 모터(102)는 상기 입력설정수단에 의해 천의 재질이나 천 두께 등의 봉제조건에 의해 임의로 모터(102)의 구동타이밍이나 구동량을 제어할 수 있어 주름이 없는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새발뜨기 재봉기에 실시할 경우 바늘흔들림을 기계적으로 행하게 하는 캠구동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스텝핑모터 등의 구동모터를 바늘봉에 연결하여 소정의 바늘의 방향을 바꾸는 위치에 요동시키거나 구동모터를 바늘흔들림 조절기구에 연결하여 바늘흔들림양을 제어하는 전자식 새발뜨기 재봉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동모터에 의해 바늘흔들림양을 규제하는 전자식 새발뜨기 재봉기의 경우, 바늘흔들림양을 데이터에 따라 구동모터(102)의 구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 바늘흔들림양 데이터를 제어수단(103)에 입력시키고, 바늘흔들림양에 따라 구동모터(102)의 구동량을 증감시키고 이송톱니체(16A)(16B)의 개폐이동량을 증감시켜 가장 적당한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하 다.
예를들면 상기 각 실시예의 각 부를 다시 조립하여 실시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개개의 이송톱니체(16A)(16B)를 접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여러개의 액튜에이터(에러실린더)를 이송대(1)에 고정하고, 이 에어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이송톱니체(16A)(16B)를 접리시켜 주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액튜에이터로서의 모터를 대신하여 전자실린더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즉 전자실린더의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재봉기프레임에 고정하고, 이 로드의 구동에 의해 상하이동체를 상하이동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이송톱니는 평행톱니를 이용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천이송방향을 따라 한쌍의 경사진 이송톱니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사진 톱니를 이용하면 이송톱니의 개폐쇄방향으로의 이동량이 같아도 평행톱니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천으로 잡아늘이는 작용이 커진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이송톱니는 좌우로 2분할되어 있지만 이를 대신에 이송대에 고정된 중앙부의 이송톱니와, 이 중앙부의 이송톱니의 좌우에 왼쪽 이송톱니를 배치하고, 이 좌우이송톱니를 개폐수단에 의해 접리가능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3분할된 중앙부 이송톱니와, 좌우이송톱니를 이용하면 천의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확실하게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좌우이송톱니를 경사진 톱니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개폐수단은 수평이송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예를들면 재봉기프레임에 수평일방향으로 돌설된 축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이송톱니는 예를들어 이송대에 천이송방향에 대해 역 경사홈을 형성하고, 이송톱니를 이 역 경사모양의 홈을 따라 접동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이송톱니와 이송톱니링크의 연결부에 유니버셜 죠인트를 이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긴장에 의한 실의 장력이 더욱 커지는 이송톱니에 의한 천이송시에 봉합부의 천에 대해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여 바늘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실긴장에 의한 실의 장력에 의해 천이 내측으로 끌어당겨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여 외관상 보기좋은 봉제품을 얻을 수 있고, 제품의 상품가치가 향상됨과 동시에 실의 장력조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봉제작업능률이 향상된다.

Claims (10)

  1.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2분할 된 이송톱니와,
    각 이송톱니에 상하방향운동과 수평방향운동의 합성에 의한 천이송운동을 부여하는 이송구동수단과,
    각 이송톱니에 의한 천이송시에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도록 이동하는 개폐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는 천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송대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구동수단과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에 연결한 왕복이동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연동하여 왕복이동하는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에 연결한 이송톱니링크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6. 재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링크는 왕복이동부재에 연동하여 수평축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링크는 왕복이동부재에 연동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를 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액튜에이터를 갖추고,
    이 액튜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의 이송톱니에 바늘로부터 이간하여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천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늘봉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늘봉 지지부재와,
    이 바늘봉 지지부재를 통해 바늘봉의 바늘흔들림을 규정하는 구동모터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천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늘봉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늘봉 지지부재와,
    이 바늘봉 지지부재를 통해 바늘봉의 바늘흔들림을 규정하는 모터와,
    상기 바늘봉의 요동운동의 요동량을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KR1020000002311A 1999-01-21 2000-01-19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KR100576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3799 1999-01-21
JP99-12637 1999-01-21
JP99-237720 1999-08-25
JP23772099A JP4261698B2 (ja) 1999-01-21 1999-08-25 ミシンの布送り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87A KR20000076487A (ko) 2000-12-26
KR100576405B1 true KR100576405B1 (ko) 2006-05-09

Family

ID=263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311A KR100576405B1 (ko) 1999-01-21 2000-01-19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61698B2 (ko)
KR (1) KR100576405B1 (ko)
CN (1) CN1144906C (ko)
DE (1) DE10002456B4 (ko)
TW (1) TW445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260A (ja) * 2001-03-23 2002-12-03 Juki Corp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3929458B2 (ja) * 2004-01-26 2007-06-1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JP4665619B2 (ja) * 2005-06-15 2011-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ジグザグミシン
CN101037833B (zh) * 2006-03-17 2011-07-06 兄弟工业株式会社 图案缝缝纫机的送料装置
DE202007011553U1 (de) * 2007-08-17 2008-12-24 Dürkopp Adler AG Transporteur zum Transport von Nähgut während des Betriebs einer Nähmaschine
DE102008030000A1 (de) * 2008-06-24 2009-12-31 Dürkopp Adler AG Transporteur zum Transport von Nähgut während des Betriebs einer Nähmaschine
TWI484080B (zh) * 2011-08-17 2015-05-11 Hsien Chang Tseng 送布機構的導引結構
CN102296429B (zh) * 2011-08-25 2013-06-19 中屹机械工业有限公司 弹性布料专用送布装置
CN102995303B (zh) * 2011-09-09 2015-04-01 曾贤长 送布机构的导引结构
CN104294484B (zh) * 2014-09-05 2016-05-04 宁波瑞铭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缝纫机的牙架及其加工方法
CN104294483B (zh) * 2014-09-05 2016-05-11 宁波瑞铭机械有限公司 一种送布组件及其制备方法
CN104294495B (zh) * 2014-09-05 2016-06-08 宁波瑞铭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水平传送轴及其加工方法
CN105091762B (zh) * 2015-05-26 2016-05-25 雷艳梅 一种光刀透射式试剂药液涂抹均匀性检测方法及装置
JP6653600B2 (ja) * 2016-03-10 2020-02-26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443A (ko) * 1974-05-17 1975-11-29
JPS56136592A (en) * 1980-09-18 1981-10-24 Gunze Kk Method of sewing cloth
JPS6425896A (en) * 1987-07-20 1989-01-27 Yamato Sewing Machine Mfg Right-hand cloth forcible feed method and apparatus of overlock sewing machine
KR920003252A (ko) * 1990-07-06 1992-02-29 오오가 노리오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965A (en) * 1955-07-20 1958-08-12 Singer Mfg Co Feeding mechanisms for sewing machines
US3561382A (en) * 1969-09-29 1971-02-09 Singer Co Universal work feeding mechanisms for sewing machines
DE3531630C1 (de) * 1985-09-05 1986-12-18 Dorina Nähmaschinen GmbH, 7500 Karlsruhe Vorschubeinrichtung an einer Naehmaschine
DE4027364A1 (de) * 1990-08-30 1992-03-05 Pfaff Haushaltmasch Verfahren und naehmaschine zur herstellung von naehmuster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443A (ko) * 1974-05-17 1975-11-29
JPS56136592A (en) * 1980-09-18 1981-10-24 Gunze Kk Method of sewing cloth
JPS6425896A (en) * 1987-07-20 1989-01-27 Yamato Sewing Machine Mfg Right-hand cloth forcible feed method and apparatus of overlock sewing machine
KR920003252A (ko) * 1990-07-06 1992-02-29 오오가 노리오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1698B2 (ja) 2009-04-30
JP2000271364A (ja) 2000-10-03
CN1144906C (zh) 2004-04-07
DE10002456B4 (de) 2006-05-24
CN1263958A (zh) 2000-08-23
DE10002456A1 (de) 2000-08-10
TW445322B (en) 2001-07-11
KR20000076487A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405B1 (ko)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KR19980086542A (ko)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KR100343605B1 (ko) 미싱의중압체높이조정장치
US9150991B1 (en) Sewing machine feed device
JP2017184983A (ja) ミシン
KR20030051314A (ko) 재봉기의 바늘땀 형성 장치
JP2010213767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100723025B1 (ko) 미싱
KR100440362B1 (ko) 차동이송기구를구비한실린더베드재봉틀
US39838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the sewing of a pocket stitch
JP5468236B2 (ja) 玉縁縫いミシン
DE19740178A1 (de) Nähmaschine
KR100861147B1 (ko)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US4633796A (en) Sewing machine material feeder
US4539925A (en) Bi-directional feed do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JP3673902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KR101170841B1 (ko) 루퍼 구동 장치
US3096737A (en) Fabric feeder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GB2027764A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KR920007559B1 (ko) 체인상 봉합 재봉기
JP4304599B2 (ja) 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及び穴かがり縫目縫製プログラム
JP2000262779A (ja) 千鳥縫いミシンの縫製方法および千鳥縫いミシン
KR920012603A (ko) 동시에 다른 시이밍(seaming) 문양을 만드는 산업적 재봉기
JP2734770B2 (ja) 穴かがりミシン
JP4105817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