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59B1 - 체인상 봉합 재봉기 - Google Patents

체인상 봉합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59B1
KR920007559B1 KR1019850001187A KR850001187A KR920007559B1 KR 920007559 B1 KR920007559 B1 KR 920007559B1 KR 1019850001187 A KR1019850001187 A KR 1019850001187A KR 850001187 A KR850001187 A KR 850001187A KR 920007559 B1 KR920007559 B1 KR 92000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oper
needle
lev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557A (ko
Inventor
슈루데 라인홀드
로헤 라이너
함펠 크라우스
Original Assignee
콕흐스 아들러 아게
율겐 샥크, 한스 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콕흐스 아들러 아게, 율겐 샥크, 한스 숄 filed Critical 콕흐스 아들러 아게
Publication of KR85000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인상 봉합 재봉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체인상 봉합 재봉기의 전동장치의 개략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르는 전동장치용 루우퍼(실고리를 만드는 장치) 구동전동 장치의 전개 사시도.
제3a도는 큰 봉목(縫目)길이에 대하여 바늘 및 루우퍼를 상이한 위치에서 보이는 확대된 운동학적 선도.
제3b도는 작은봉목길이에 대한 제3a도에 대응하는 선도.
제4도는 바늘용 크랭크 전동장치의 회전각 "a"에 관련하여 루우퍼의 경사각(b)을 보이는 선도.
제5도는 제2도와 비교하여 봉목길이 보상을 하지 않은 루우퍼의 구동전동장치에 관한 전개사시도.
제6도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7a도 내지 제7e도는 여러가지의 전동장치를 운동학적 연쇄로서 보인 개략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아암축 6 : 크랭크구동장치
7 : 바늘 12 : 요동축
15 : 축 21 : 크랭크
22 : 연결봉 23 : 재료이송치
25 : 축 33 : 조정후레임
38 : 크랭크 39 : 타이롯드
40 : 찌름구멍 55 : 루우퍼
90, 91, 92, 93 : 피봇트 131 : 타이롯드
133 : 피봇트 134 : 접동지지체
일반적으로 이 발명은 봉성물(縫成物)을 전진시키고, 바늘이송운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크랭크 기구에 의하여 왕복으로 구동된 바늘을 동기적으로 밀어주기 위한 이송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바늘은 바늘이송운동과 평행하게 진동하면서 움직이는 루우퍼(looper)와 공동작용을 하는 2사(絲) 체인상 봉합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루우퍼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한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체인상 봉합재봉기는 이 재봉기들이 크랭크 전동장치에 의해 바늘을 가지는 침봉을 승강구동하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이 비교적 고속에서 구동되어질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류의 재봉기에서 기본적인 문제는 루우프의 양호한 받아들이는 상태 및 자입(刺入)상태가 얻어지도록 루우퍼를 구동하는 것이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33 13 981호 명세서로부터 봉목의 길이가 조절 가능한 전술한 종류의 재봉기용 루우퍼 조작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재봉기에서는 근본적으로 루우퍼의 첨단자체의 궤도는 변하지 않고 있으나, 그러나 상기 궤도는 전체로서 이동되어서 루우퍼의 첨단과 바늘의 하사점(下死点)에 위치된 그 바늘에 의하여 표현되는 수직선 사이의 간격이 항상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진동은 일정한 진폭에서 개시되어서 봉목의 길이의 증대시 루우퍼의 첨단에 의하여 그려진 원호의 시발점이 바늘의 하사점을 통과하는 수직선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봉목의 길이가 감소하면 루우퍼 첨단이 그리는 원호의 시발점은, 바늘의 하사점을 통하는 수직선의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미국특허번호 제3 285 210호 명세서에 대응하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고번호 제1 294 171호 명세서로부터 최초에 주어진 종류의 체인상 봉합 재봉기용 루우퍼 구동장치가 역시 공지되고 있는데 이것에서는 루우퍼가 일정한 진폭에서 요동구동 가능하다.
봉목의 길이의 변화시에 루우퍼의 궤도는 이송방향에 있어서 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동되어서 루우퍼의 첨단과 하사점에 위치한 바늘과의 간격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통상적으로 형성된 루우퍼를 사용하여 가동가능한 봉성물의 두께를 증가되어지도록 하는 재봉기의 상술한 종류에 대한 루우퍼 구동장치를 창안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증가된 봉목길이를 가지는 봉목들에 의하여 형성된 봉목의 열((Stitch row)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종류의 체인상 봉합 재봉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이 이중체인상 봉합의 형성에 관한 신뢰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면서 이루어지는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를 제안하며 이기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루우퍼 구동전동장치가 6링크 3지지전동장치로서 구성되는 전술한 종류의 체인상 봉합재봉기를 제공한다.
그러한 종류의 링크 장치는 안전한 봉목형성을 적극적으로 이룩하는 것과 같은, 즉 특히 한편으로는 루우퍼에 의하여 잡혀지는 더 안전한 바늘 실 루우프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레더(Spreader)와 공동작업으로, 내려오고 있는 실이 바늘실의 2변과 루우퍼실의 1변으로 형성된 실의 삼각형만으로 확실하게 들어가는 것을 보증하는 것과 같은 정해진 루우퍼의 운동을 생성한다.
링크장치의 특별한 종류이기 때문에 루우퍼는 일정한 각속도의 진입운동에서 하나의 맨끝위치에서 다른 맨끝 위치까지 비교적 높은 속도에서 진동하면서 흔들린다.
나아가서는 루우퍼는 가공편의 이송방향에 위치한 상기의 맨끝 위치에서는 짧은 기간의 휴지시간을 가지고 움직이며 가공편의 이송방향에 반대로 위치한 상기의 맨끝 위치에서는 긴기간의 휴지시간을 가지고 움직인다.
루우퍼가 바늘을 통과하는 바른 속도로 인하여 바늘과 루우퍼 사이의 충돌 범위가 최소로 되어지며 그결과로 전체적으로 바늘의 행정높이는 증가되어질수 있으며 즉 봉성물의 가공 가능한 두께가 증대되어질 수 있다.
또 루우퍼 첨단은 고속에서 바늘의 옆을 인도되므로 큰 봉물길이로 가공할수가 있다. 이 때문에 루우퍼 길이는 크게할 필요가 없다.
봉목길이변화를 의도 한다고해도 즉 상응하는 바늘이송운동을 포함하는 재료 이송치(移送齒)가 변동될 수 있다 하더라도 이 발명에 따르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는 전술한 범위에 있어서의 루우퍼의 높은속도 때문에, 루우퍼는 비교적 큰 요동각도를 통과할때 바늘은 비교적 작은 값만큼 밖에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결과를 가져온다. 루우퍼는 바늘의 홈을 통하여 되돌아오므로 바늘의 갈라짐에 해당하는 가시의 형성이 생길수 없으며 그래서 역시 실의 어떤 손상도 피하여 진다.
봉목의 길이가 변동될 수 있는 경우에는 청구범위 제2항의 수단에 의해 루우퍼 진동 운동의 보상을 행하면 특히 유리하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의한 이 가능성과 함께 6링크로 3지지 전동장치의 사용에서 3개의 고정 피봇트중의 중간 피봇트를 조정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정가능성과 함께 6링크장치의 사용은 또다른 이점들을 준다.
청구범위 제3항에서는 큰힘 없이도 동작하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의 대단히 튼튼한 구조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은 상이한 봉목길이용의 루우퍼구동전동장치의 보상 해결책을 보이며 이구성은 전부하와 전회전수에서 무단계로 절환되어질 수 있다.
제1도에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5항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여 봉목의 길이와 중간피봇트의 재배치등 양자의 동시 조정이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재봉기의 간단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에 따르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는 소위 평평한 전동장치이다.
즉 모든 운동들이 서로 평행한 면내에서 행하여진다.
이 발명에 따르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의 또 다른 근본적인 이점은 보통의 크랭크 전동장치를 침봉의 구동장치로서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청구범위 제1항에 의한 상기한 루우퍼 운동을 얻기 위하여 침봉구동수단에 간섭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수많은 다른 이점과 특징은 도면과 관련하는 실시예의 다음과 같은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재봉기 두부의 기계적 전동장치에 관한 개력적인 표현이며 이도면에서는 재봉기 두부의 상부분(1), 재봉기 두부의 하부분(2) 및 직립주(3)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재봉기 두부의 상부분(1)에는 아암축(4)이 지지체(5)에 지지되어 있다. 아암축(4)은 크랭크 전동장치(6)를 거쳐서 바늘 (7)을 가지고 있는 침봉(8)을 승강구동한다. 침봉(8)을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지지체(9)와 하부지지체(10)는 요동편(11)에 부착되어 있다.
이 요동편(11)은 만곡한 아암(13)을 가지는 요동축(12)에 의해 요동방향 화살표(14)에 따라서 요동구동가능하다.
그러한 바늘요동 구동장치는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왕복운동하든가 회전운동하지 않는 요동축(12)의 요동구동은 재봉기 두부하부(2)에 지지되는 축(15)에 의하여, 이것에 부착되고 이것으로부터 반경방향 상방으로 직립주(3)내에서 돌출하는 레버(16)를 거쳐서 행하여진다.
이 레버(16)는 하방으로 요동축(1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직립주(3)를 통하여 뻗어나오고 있는 레버(18)에 계수(17)를 거쳐서 결합되어 있다.
요동축(15)은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지 않고 왕복요동구동되므로 이 요동운동은 계수(17)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레버(16),(8)를 거쳐서, 지지체(19)에 의해 재봉기두부상부(1)내에 지지된 요동축(12)에 전달된다.
재봉기두부(2)에 지지체(20)에 지지되는 추동축(15)에 의해 이것에 부착된 크랭크(21) 및 이것에 추착된 추동봉(推動棒)(22)를 거쳐서 이송치(23)가 거의 수평으로 왕복 구동되며, 즉 이 이송치(23)에의 방향(24)에 있어서의 재료이송운동과 동양으로 거의 수평한 복귀운동이 주어진다.
나아가서는 재봉기 두부의 하부분(2)에는 지지체(26)에 축 (25)이 축수되어 있으며 이 축은 아암축(4)에 의하여 치부 벨트 접동장치(27)을 거쳐서 아암축(4)과 동일한 회전수에서 구동된다.
이 축(25)로부터 추동축(15)의 추동구동이 추동전동장치(28)에 의하여 유도된다. 이 추동전동장치(28)는 각형레버(29)를 가지고 있으며 이 레버의 일단(30)은 추동축(15)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레바(31)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각형레버(29)의 타단(32)은 요동이 가능한 설정축(34)에 부착되어 있는 설정후레임(33)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설정후레임(33)에 부착된 안내봉(35)상에는 접동편(36)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십자계수(37)소위 카르단계수를 거쳐서 각형레버(29)의 타단(3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각형레버(29)는 설정후레임(33)의 설정운동에 따를수가 있다. 요동구동 그자체는 축(25)에 형성된 추동 크랭크 및 이것에 지지된 각형레버(29)의 정점(40)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인장봉(39)을 거쳐서 발생된다.
설정축(34)는 재봉기 두부의 하부분(2)에 위치한 지지체(41)에 지지되고 있으며 조작자가 접근할수 있는 설정레버(42)에 의하여 요동가능하다. 설정레버(42)는 정치안내편(43)내에 안내된다.
"0"으로 표시된 안내편(43)의 종단 위치에서는 설정축(34) 따라서 설정후레임(33)의 각도위치는 각형레버(29)의 일단(30)이 거의 움직이지 않도록 이송치(23)에도 바늘요동편(11)에도 재료이송방향(24) 또는 요동방향(14)의 운동이 주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추동 크랭크(38) 및 인장봉(39)에 의하여 각형레버(29)에 전달된 운동은 접동편(36)에 의해 안내봉(35)상에 자유로 행하여지는 각형레버(29)의 타단 (32)의 운동에 완전히 변환한다.
설정레버(42)의 상기 위치에서는 설정후레임(33)의 안내봉(35)은 레버(31)과 단부(30)와의 추착점으로부터 십자계수(37)에 이르는 가상직선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되어 있다.
설정레버(42)가 "+"방향에로 움직이면 각형레버(29)의 타단(32)에 대한 안내봉(35)의 각도위치가 변화되므로 추동크래크(38) 및 인장봉(39)을 거쳐서 강제되는 운동은 각형레버(29)의 일단(30)의 추동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요동전동장치(28)는 화살표(44)방향으로 추동운동을 미치며 이 운동은 레버(31)에 의하여 추동축(15)의 요동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한 추동전동장치(28)는 "0"과 최대치"+"사이에 무단계로 부하를 받아도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재봉작업하는 동안에 직물이송 내지 바늘요동 운동의 크기를 무단계로 변동할수 있다. 축(25)으로부터는 승강전동장치(45)를 거쳐서 재료이송치(23)의 수직운동이 나오게 되며 이 수직운동은 전술한 수평운동에 겹쳐져서 재료이송치(23)의 거의 타원형운동을 생기게 한다. 이 승강전동장치(45)는 재봉기 두부의 하부분(2)의 지지체(46)에 지지되어 있는 승강축(47)을 가지며 이축(47)의 일단에 있는 크랭크(48)에는 인장봉(49)이 지지되어서, 축 (25)의 승강크랭크(5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승강축(47)에는 축(25)의 회전수에만 관계하고 요동폭의 불변한 요동운동이 강제된다.
승강축(47)의 타단에는 크랭크(51)가 부착되어 있다. 접동 지지체(52)를 거쳐서 크랭크(51)를 레버(53)에 연결한다. 레버(53)은 거의 수직하방에 재료이송치(23)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승강축(47)의 요동운동은 재료이송치(23)의 승강운동으로 변환된다. 상술한 수단에 의해 바늘(7)이 재료이송치(23)에 형성된 찌름구멍(54)을 관통할 때도 역시 재료이송치(23)와 완전히 동기하는 운동을 행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이송작용의 이와 같은 타잎은 거래에서 소위 바늘-이송-운동(Needle-feed-movement)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졌으며 또 복합-이송(compound-feed)라고도 불려진다. 축(25)으로부터는 또 루우퍼(55)로서 표시하는 이중 체인상 봉합훅크를 요동적으로 구동시키머 이 루우퍼(55)는 제료이송치(23)의 재료이송방향(24)에 평행으로 요동한다. 그래서 소위 이중체인봉합직선재봉기가 관련되는 것이다.
루우퍼(55)의 첨단(56)은 따라서 재료 이송방향(24)에 관련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운동한다. 루우퍼(55)는 레바(57)을 거쳐서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요동 종동축(oscillating off-drive shaft) (58)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57)는 요동종동축(58)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요동종동축(58)의 요동운동은 루우퍼(55)내지 루우퍼 첨단(56)의 상승하는 왕복 요동운동(60)으로 변환된다. 이 루우퍼요동운동(60)은 축 (25)로 유도되어진다.
설정축(34)에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보상접동장치(61)를 거쳐서 루우퍼 구동전동 장치(59)에 의해 생기는 요동운동이 그 진폭을 변화되어서 각각의 봉목의 길이에 관계없이 바늘(7)과 루우퍼 첨단(56)과의 사이의 자입 및 루우프 수입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와 보상전동장치(61)는 제2도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다만 윤곽만으로 도해되어 있지만 제2도와 제1도에서는 같은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관련번호등이 사용되었다.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는 축(25)에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62)에 의하여 구동된다. 크랭크(62)는 계수(90)에 의하여 인장봉(63)에 연결되어 있으며 인장봉(63)은 계수(91)에 의하여 레버(64)에 추착되어 있다. 레버(64)는 레버(66)을 가지고 있는 레버 지지체(65)의 일부분이다. 재봉기 기술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크랭크(62)는 제2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편심륜으로 되어 있다.
레버지지체(65)로부터 레버(66)가 돌출하여 그 단부에 계수(92)에 의해 추착된 안장봉(67)과 그리고 계수 (93)를 거쳐서 지지체(69)에 지지되는 요동종동축(58)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레버(68)에 결합되어 있다.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이 구성에 의해서 축(25)의 회전운동이 루우퍼(55) 및 루우퍼 첨단(56)의 요동운동에 변환된다.
다음에 기술된 보상전동장치(61)의 목적은 작동도중에 레버지지체(65)의 위치를 무단계로 변동해서 루우퍼 첨단(56)의 요동폭과 그 요동운동을 침봉(8)의 크랭크각 (a)에 관하여 변화될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요동지지체(70)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2개의 저어날(71)의 주위에 재봉기 두부하부(2)의 정치지지체(72)가 지지되어 있다. 이들 저어날(71)에는 측편(73), (74)이 상대회전이 안되도록 부착되어 있어서 결합봉(7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측편(73),(74)사이에는 지지봉(76)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레버지지체(65)가 지지봉(76)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체(65)에 레버(64) 및 (66)이 부착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레버 지지체들이 관모양으로 도해되어 있다. 실제에서는 레버 지지체(65)는 레버(64),(66)과 함께 계수(91),(92)를 가지는 하나의 판으로 구성된다. 지지체(76)는 저어널(71)에 대하여 편심거리(77)를 가지고 있다. 측편(74)에는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정봉(78)이 추착되고, 설정축(34)에 부착된 크랭크(79)에 관절 결합되어 있다. 설정축(34)이 설정레버(42)에 의하여 요동되면 레버지지체(65)의 지지봉(76)도 역시 요동되며 즉 보상전동장치(61)가 조작되며 그래서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변속비가 변화된다.
보상전동장치(61)를 가지고 있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아암축(4)가 회전될 때 침봉(8)에 고정된 바늘(7)은 수직평면안에서 크랭크 전동장치(6)에 의하여 수직궤도상을 승강구동되어진다.
동시에 축(25)는 치부 벨트 전동장치(27)에 의하여 즉 1:1 의 변속비 때문에 동일한 회전수와 회전각도를 가지고 구동되어진다.
축(25)의 회전에 의하여 추동크랭크(38)를 거쳐서 추동전동장치(28)의 삼각형으로 형성된 각형레버(29)를 요동구동시키며 그 결과로 십자계수(37)에 지지되는 접동편(36)이 안내봉(35)위에서 왕복운동한다.
안내봉(35)의 각도위치는 정치안내편(43)에 안내된 설정레버(42)에 의하여 변동되어질수 있으므로 각형레버(29)의 단부(30)는 레버(31)를 요동운동 시킨다.
이 요동운동은 추동축(15)을 거쳐서 크랭크(21)에 전달되며 그 결과로 이송치(23)는 재료 이송방향(24)과 동일한 혹은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운동을 하게된다. 추동축(15)과, 요동편(11)을 보유하는 요동축(12)이 레버(16), 계수(17) 및 레버(18)를 거쳐서 관절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7)도 이송치(23)에 동기로하여 왕복요동 구동 되므로 바늘(7)은 이송치(23)에 형성된 침자구멍(54)와 충돌없이 공동동작할 수가 있다.
또 승강축(47)은 승강전동장치(45)를 거쳐서 축(25)의 회전에 의해 요동구동되므로 이송치(23)는 레버(53),접동지지체(52) 및 크랭크(51)를 거쳐서 승강하며, 즉 침봉(8)에 대해서 여러 행으로 향하여 궤도상에서 움직여진다.
크랭크 전동장치(6), 추동클랭크(38) 및 승강크랭크(50)을 위상에 관하여 바르게 설명한다면 이송치(23)는 타원형과 유산한 운동을 하게 되므로 바늘(7)이 관통할 때 꿰매질 봉성물(80), 재료 이송방향(24)으로 보내어진다.
이 이송단계중 바늘(7)은 동자상태에서 봉성물(80)중에 있으므로 바늘-이송-운동(needle-feed-movement)이라고 말하여진다.
추동축(15)과 요동편(11)의 규정된 운동학적 결합에 의해 봉목길이의 변화에 기인하는 이송치(23)의 운동진폭의 변화와 동시에 바늘(7)의 편차운동도 변화한다. 양방의 변화는 설정축(34)의 조작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축 (25)의 회전에 의해 레버지지체(65)의 요동운동이 행하여지며 이것에 의해 바늘(7)과 공동작용하는 이중 체인상 봉합 루우퍼(55)의 요동운동도 행하여진다. 설정축(34)의 요동에 의하여 레버지지체(65)의 위치가 변동된다.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크랭크(62), 인장봉(63) 및 레버(64)는 제1의 전동장치 부분을 형성하며 레버(66) 및 인장봉(67)은 제2의 전동장치 부분(소위 연결핀부 크랭크)를 형성하고 있다.
양방의 전동장치 부분은 서로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의 전동장치 부분이 그의 중첩된 위치, 즉 그의 부분이 가장 근접하도록 요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2의 전동장치 부분은 거의 신장위치에 있다.
이들 2개 전동장치 부분들의 직렬접속에 의하여 루우퍼(55)는 재료이송방(24)에 대하여 반대의 종단위치에서 휴지와 같은 운동을 행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운동경과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그림에서 회전각 +a의 표시 및 루우퍼(55)의 요동각 +b의 표시는 제1도에서 도시된 방향 +a와 +b에 일치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루우퍼(55)는 이 종단위치의 범위에서 큰 크랭크 각 범위에 걸쳐서 거의 휴지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4도에서 루우퍼의 운동곡선의 급경사진 변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루우퍼첨단(56)은 그의 종점위치의 영역, 즉 직물이송방향(24)에 향한 다른 종단위치의 범위에서 급격한 운동반전을 행한다.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중체인상봉합 루우퍼(55)의 운동을 종래의 크랭크전동장치(6)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바늘(7)에 대응시킬수가 있다.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바늘(7)이 각각 돌자 상태에서 즉 침자구멍(54)보다 밑에 있는 위치에서 보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9mm의 큰 봉목길이가 설정되어 있다면 바늘(7)은 실선으로 그려진 궤도곡선(81)에서 움직인다(제3a도 참조)
이것에 반하여 3mm의 현저하게 작은 봉목길이가 설정되어 있으면 바늘(7)은 파선으로 그려진 궤도곡선(82)상을 움직인다(제3b도참조).
크랭크 전동장치(6)의 크랭크 각은 360°의 1회전에 걸쳐서 각 15°의 24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이들 부분은 위치 100-124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은 위치(100)은 상사점 즉 바늘(7)이 그의 운동을 반대로 하는 상부위치에 상당하며 위치(112)는 바늘(7)의 하사점 즉 소위 바늘의 최저위치에 해당된다.
제3a도 및 제3b도에서는 바늘 (7)의 하사점의 각각 앞과 뒤에서 크랭크 전동장치(6)의 90°의 각에 상당하는 106에서 118까지의 점들이 기입되어 있다.
크랭크 구동장치(6)의 상응하는 각위치가 역시 제4도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제4도에서는 봉목길이에 대한 루우퍼첨단(56)의 요동각 곡선(83)과 작은 봉목길이에 대한 루우퍼첨단(56)의 요동각 곡선 (84)이 크랭크각에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그래서 루우퍼 첨단(56)에 대한 바늘(7)의 첨단과의 대응관계가 알수 있다.
제3a도에 따라서 바늘(7)이 궤도곡선(81)상을 하방으로 움직이면 바늘(7)은 이미 침자구멍(54) 밑에(107)에 위치하게 되며 즉 바늘(7)은 이미 봉성물에 돌자되어 있다. 위치(107)에서 바늘(7)의 선단은 상사(上絲)(85)와 하사(下絲)(86)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스프레더(87)의 작용에 의하여 루우퍼(55)의 위로 열려진 실의 삼각형에 도달하며 이 삼각형에 들어간다 이 경우에 소위 자입이 일어난다. 이 시점에 루우퍼 첨단(56)은 제4도의 요동각 b=y에 있으며 즉 루우퍼(55)가 재료이송방향(24)에 있어서의 가속운동중에 있다.
바늘(7)이 그의 하부위치(112)를 통화한 후, 바로 루우퍼첨단(56)은 재료이송방향(24)에서 그의 종단위치에 도달하며 이 종단 위치는 제4도에 따르는 요동각 곡선 (83)의 상부정점에 상당한다.
이어서 루우퍼 첨단(56)은 이제 가속되는 재료 이송방향(24)과는 역으로 움직이며 바늘(7)이 최저위치로부터 약15°의 크랭크각후에 있는 위치(114)와 (115)의 사이에 도달하면 루우퍼 첨단(56)은 바늘(7)의 장소에 도달한다. 바늘(7)이 적당한 홈(88)을 가지고 있으므로 바늘(7)과의 충돌은 피하여진다.
루우퍼(55)의 이 위치는 제3a도에서 바늘(7)의 좌측에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루우퍼 첨단(56)은 상기 위치에서 바늘(7)의 상승운동 때문에 상사(85)로부터 형성된 상사루우프(89)를 가지나 제3a도에서는 다만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상상 루우프(89)를 사시도로 보이고 있다.
이 개소에서 루우프 첨단(56)은 요동각 b=x만큼 외측에 요동되고 있다. 바늘(7)이 더 상승하는 동안에 루우퍼 첨단(56)은 가속된 재료이송방향(24)과 반대로 움직인다.
바늘(7)이 아직도 상방에 최고위치에 상당하는 위치(100),(124)까지 움직이는 사이에 루우퍼첨단(56)은 이미 그의 최대요동각 b=z의 범위 즉 재료이송방향 (24)과는 역의 종단위치의 범위에 달한다.
이 범위는 제4도에 있어서 요동각곡선(83)의 평평한 하방부분이다.
바늘(7)의 상상점(100),(124)의 양측의 각각 약 60°의 범위에 걸쳐서 루우퍼첨단(56)은 제3a도에서 쇄선으로된 도시에 따라서 거의 휴지위치에 위치되며 다음에 다시 가속되어서 되돌아오며 다시 b=y에 사응하는 자입 위치(107), 즉 실의 삼각형에로 하강하는 바늘(7)이 들어가게 된다.
봉목길이용의 궤도곡선(82)상을 바늘이 움직일경우에, 보상전동장치(61)에 의한 루우퍼 첨단(56)의 요동각곡선(84)도 변화된다.
루우퍼첨단(56)은 제3b도에서 쇄선에 의하여 좌측에 그려진 바와 같이 재료 이송방향(24)에 위치한 종단 위치로부터 제4도에서 요동각(84)의 가파르게 하강하는 점선에 상응하여 아직도 더 빨리 움직이며 그결과로 루우퍼첨단(56)은 위치(114) 와 (115)사이의 바늘(7)의 동일한 위치에서 상사 루우프(89)에 도달한다.
한편 제3a도 및 제3b도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요동각 x'는 요동각 b=x보다 상응하게 더 크다. 그래서 바늘(7)과 루우퍼 첨단(56)의 상대적인위치는 제3a도에 의한 봉목길이에 있어서의 것과 같은 것이다.
재료이송방향(24)에 반대로 향하여진 루우퍼첨단(56)의 종단 위치는 큰 봉목길이에서와 같은 크랭크 각도의 범위에서, 즉 (120)부터 (104)까지의 범위에서 얻어진다. 최대요동각 b=z'는 큰 봉목길이에서 보다 더 작다.
제3b에 따라서 바늘(7)이 실의 삼각형에 들어가기 위하여 자입 위치(107) 주위에 도달된때에는 루우퍼 첨단(56)은 그의 복귀운동에 있어서 b=y'의 요동각 위치에 있으며 즉 루우퍼(55)는 이미 제3a도에서 도시된 것보다 크게 복귀요동되고 있다. 따라서 바늘(7)에 대한 루우퍼(55)의 상대적 위치는 또다시 제3a도에 보인바와 대략 같으며 즉 바늘 (7)이 실의 삼각형으로 들어가는 상태들은 제3a도에서 보여진바와 대략같다.
상사루우프(89)의 심지어 수입시 및 스프레더(87)에 의하여 벌려지는 실삼각형에의 자입시에 있어서 루우퍼 첨단(56)과 바늘(7)과의 특히 유리한 상대적 위치 때문에 중요한 것은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구성이며 이것보다도 휴지위치에 유사한 요동각 곡선이 재료이송방향(24)과는 역의 종단위치의 범위에 발생한다. 상기 이유로부터 많은 경우에도 제5도에서의 도해에 상응하여 보상 전동장치가 없이 다만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만이 부설되어 있다면 충분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는 제2도에서 도시된 것에 일치하고 있으므로 같은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관련번호를 사용하였으며 다만 구별을 위하여 위에 붙인 표시 "'"를 하였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지지봉(76')는 저어널(71')와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요동각 곡선(83) 내지 (84)가 가파른 변에 있어서 루우퍼 첨단(56)의 강하게 가속된 즉 대단히 빠른 운동에 기인하여 루우퍼 첨단(56)은 제3a에서 좌측에 실선에 의하여 그려진 위치로부터 제3b도에서 좌측에 파선에 의하여 그려진 위치에 따라서 요동각 x로부터 x'에의 작은 도수의 크랭크 각 밖에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위에 상당한 것이 범위 y와 y'에 대하여도 즉 실의 삼각형에 들어가는 바늘에 관련하는 위치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제6도에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다른 변화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2도 및 제5도의 구성에 비교하여 2개의 회전계수를 2개의 추동계수로 대체되어진 6링크 3지지 전동장치가 쓰여지고 있다.
즉 측(25)상에 부착된 크랭크(130)상에는 인장봉(131)이 계수(13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인장봉(131)의 타단은 계수(133)에 의하여 접동지지체(134)에 결합되어 있다. 이 접동지지체(134)는 요동종동축(58)상에 상대회전이 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는 크랭크편(136)의 일부인 접동봉(135)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접동지지체(134)는 가상 대칭면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핀(137)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핀(137)상에 접동편(138)이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접동편(138)의 안내편(141)의 부분들로서의 포오크(139),(140)에 이동할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포오크(139),(140)사이에는 안내편(141)이 홈을 가지고 있으며 이홈에는 접동지지체 (134)가 유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다. 안내편(141)은 인장봉(131)으로부터 먼쪽의 단부에 저어널(143)을 가지며 이 저어널은 재봉기 두부의 하부부분(2)의 부분으로서 제1도에 있는 지지체(72)에 상당하며 이 그림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지지체에 받쳐지고 있다. 나아가서는 안내편(141)이 레버(144)를 가지고 있으며 이 레버에는 설정봉(78)이 피봇트 연결되어 있다. 이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에 설정봉(78)의 특정한 위치에 상응하며 그래서 설정레바(42)의 특정한 위치에 상당하는 일정한 각위치에 안내편(141)이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된다.
축 (25)의 회전에 의하여 크랭크(130)가 인장봉(131)을 거쳐서 접동지지체(134)와 접동봉(135)에 의하여 형성된 추동계수(145)를 움직인다.
접동지지체(134)의 경사는 접동봉(135)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여기서 접동편(138)은 포오크(139),(140)내에서 이동되며 이것이 접동봉(135) 그리고 그래서 종동축(58)의 요동을 일으킨다. 또다른 추동계수(146)가 접동편(137) 및 (138)그리고 포오크(139) 및 (140)에 의하여 형성된다.
양 추동계수(145),(146)의 운동의 중첩은 제4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크랭크 각에 관하여 루우퍼 첨단(56)의 운동이 행하여진다.
이 선동장치에서는 크랭크(130) 및 인장봉(131)이 신장위치에 도달하고 접동편(135) 및 포오크(139),(140)가 거의 평행으로 될 때 제4도에 특정적인 편평화가 행하여 진다. 설정봉(78)에 의한 안내편(141)의 요동에 의하여 추동 종동축(58)의 요동운동이 변화된다.
레버지지체(65)의 끼우는 제1도에 의하여 지지봉(76)의 이동에 추동계수(146)의 방향의 변화가 상응한다.
제7a도에서는 제2도에 따르는 실시예의 운동학적인 원리가 표시되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제2도로 부터의 관련번호는 제7a도에 전용되었으며 그러나 여기서는 추가적인 "a"로 표시되었다. 그위에 도시된 작은 원들은 제1도 및 제2도에서 사용된 계수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6링크 3지지전동장치가 쓰이고 있다. 6개의 링크는 크랭크(62), 인장봉(63), 레버(64), 레버(66), 인장봉(67) 및 레버(68) 또는 대응하는 링크 (62a),(63a),(64a),(66a),(67a),(68a)에 의하여 주어진다. 3개의 개소 즉 지지체(26),(65) 및 (69) 또는 대응하는 운동학적 추착점(26a),(65a),(69a)에서 지지가 행하여지므로 3지지 전동장치가 존재하며 레버지지체(65)에 상당하는 추착점(65a)이 이동가능하다.
운동학적링크(62a) 및 (63a)에 의하여 형성된 제1의 전동장치 부분의 중첩된 위치에서 운동학적링크(67a) 및 (68a)에 의하여 형성된 제2의 전동장치 부분이 그의 신장된 위치를 갖게됨을 역시 제7a도에 있는 연쇄의 도해로부터 알수가 있다.
나아가서는 레버(64),(66) 내지 대응하는 운동학적링크(64a),(66a)는 서로 고정된 각도로 위치하고 있으며 인장봉(67a)를 레버(66a)에 추착하는 계수(92a)가 원호부분상을 움직이는 것도 알수 있다.
제7b도에서는 운동학적 연쇄의 형태에서 제5도에 따르는 구성의 운동학적 원리 즉 보상 전동장치가 없는 루우퍼 구동전동장치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 운동학적 연쇄따라 지지봉(76)이 이동할 수 없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레버지지체(65)는 이동할수 없다는 하나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7a도의 것과 일치한다.
제7b도에서 개별적인 운동학적링크는 대응하는 관련번호로 표시되어 있으나 "b"를 붙인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제7c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루우퍼의 구동을 위하여는 역시 6링크 3지지 전동장치도 생각된다. 즉 종동측 연결링크부 크랭크(67c),(68c)의 출발점으로서의 추착점(92c)은 제7a도 및 제7c도 있어서의 구성과는 다르며 원호부분상을 움직여지는 것은 아니며, 구동축에서 추착점(26c),(90c),(91c),(65c)를 가지는 4계수 전동장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결합곡선상을 움직여진다. 제7d도는 제6도에 따른 구성의 운동학적 원리를 보이고 있다. 이경우에 제6도에서와 같이 개별적인 관련변호가 그려지나 추가된 "a"로 가지고 사용되었다.
특히 이 도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미 기술되고 특별히 제4도에서 도해된 성과는 전동장치 칫수들이 운동학적으로 고려하여 무한대의 값을 취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특정한 전동장치 칫수들이 사용된다면 역시 성취되어진다.
이것은 운동학적으로 유한한 연결봉길이를 직선안내부에 의해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계수는 따라서 추동계수에 의하여 대체된다.
제7e도에 따르는 운동학적 연쇄에 있어서의 변형에 의하면 제7b도에 의한 구성과 같이 변위가능한 가대점(지지점)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설정레버(42)에 의한 조절의 가능성은 고려되지 않는다. 역시 제7e도에서도 제6도의 관련번호가 사용되었으며 "b"가 가해졌다.

Claims (3)

  1. 이송방향 및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요동구동하며 봉성물과 재봉기 두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운동을 생성하는 이송장치와, 이것과 동기적으로 구동가능하고 크랭크 전동장치에 의해 승강가능한 바늘을 가지는 침봉과, 바늘과 공동작용하며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또 역방향으로 루우퍼 요동구동가능한 이중체인상 봉합루우퍼를 가지며 여기서 루우퍼 구동전동장차치는 다수링크 3지지 전동장치로서 구성되며 이 다수링크 3지지 전동장치는 구동측과 종동축에서 각각 정치지지체 및 하나의 또다른 정치 지지체를 거쳐서 지지되어 있으며 그리고 여기서 바늘과 이송방향은 상이한 종목길이에 설정가능한 이중체인상 봉합재봉기에 있어서,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59'),(59")는 6링크 전동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이 6링크 전동장치는 하나의 구동장치로서 구동가능하고 이것의 제3지지체는 구동측의 지지체(26)와 종동측의 지지체(69)사이의 중간 지지체(레버 지지체 65)로서 배열되어 있으며, 중간지지체(레버지지체 65)는 조절가능하며 그리고 구동측에 있어서 일정한 각속도에 있어서 이송방향(24)에 있어서 전후에 있는 양종단위치의 사이에서 높은 속도를 가지는 루우퍼(55)의 요동운동이 한편의 종단위치에서는 짧은 체재시간으로 타방의 종단위치에서는 긴체재시간에서 발생되는 특징으로 하는 체인상 봉합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루우퍼 구동전동장치(59,59')는 구동측 지지체(26)와 중간 지지체(레버지지체 65) 사이에 배열된 제1의 전동장치부분(62,63,64,2)과 그리고 중간 지지체(65)와 구동측의 지지체(69)사이에 배열된 제2전동장치(66,67)로부터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2의 전동장치(66,67)는 제1의 전동장치 부분(62,63,64,2)이 중첩된 위치에 있을 때 대략 신장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봉기.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의 레버(레버지지체 65)는 요동지지체(70)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동지지체는 보상전동장치(61)를 거쳐서 봉목길이 설정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19850001187A 1984-03-27 1985-02-26 체인상 봉합 재봉기 KR920007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411217A DE3411217C2 (de) 1984-03-27 1984-03-27 Doppelkettenstich-Nähmaschine
DEP3411217.0 1984-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557A KR850006557A (ko) 1985-10-14
KR920007559B1 true KR920007559B1 (ko) 1992-09-07

Family

ID=623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187A KR920007559B1 (ko) 1984-03-27 1985-02-26 체인상 봉합 재봉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43113A (ko)
JP (1) JPS60212190A (ko)
KR (1) KR920007559B1 (ko)
BR (1) BR8501368A (ko)
DE (1) DE3411217C2 (ko)
GB (1) GB2156392B (ko)
IT (1) IT1184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3753C2 (de) * 1984-06-28 1987-04-16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Greiferfadens einer Doppelkettenstich-Nähmaschine
JPS63317186A (ja) * 1987-06-19 1988-12-26 株式会社 森本製作所 ミシンの生地送り装置
US5094180A (en) * 1990-12-26 1992-03-10 C & W Sewing Machine Attachment Co., Inc.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stitch length in a double lock stitch sewing machine
DE102017216725A1 (de) * 2017-09-21 2019-03-21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ähmaschine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9056197B (zh) * 2018-10-12 2024-04-09 台州市泓列缝纫机有限公司 电动缝纫机的针距可调精密倒顺缝驱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9443A (en) * 1924-05-23 1928-02-14 Union Special Machine Co Two-needle overedge sewing machine
US2292724A (en) * 1939-04-27 1942-08-11 Union Special Machine Co Sewing machine
DE1294171B (de) * 1962-10-13 1969-04-30 Pfaff Ag G M Greiferantrieb fuer Kettenstichnaehmaschinen
DE1685056A1 (de) * 1966-01-08 1971-04-29 Union Special Maschinenfab Antrieb fuer im Wechsel mit der Nadel einer Kettenstich-Zickzack-Naehmaschine zusammenwirkende Greifer
DE2108309B1 (de) * 1971-02-22 1972-05-25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Doppelkettenstichnähmaschine mit einer kombinierten Vorschubeinrichtung
IT1150859B (it) * 1982-04-21 1986-12-17 Rockwell Rimoldi Spa Dispositivo di azionamenteto del crochet a movimento fontale in macchine oer cucire con traspoto a punte d'ag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84369B (it) 1987-10-28
KR850006557A (ko) 1985-10-14
GB2156392A (en) 1985-10-09
DE3411217A1 (de) 1985-10-10
IT8519843A0 (it) 1985-03-11
BR8501368A (pt) 1985-11-26
DE3411217C2 (de) 1989-11-02
JPS60212190A (ja) 1985-10-24
GB2156392B (en) 1987-01-21
GB8507996D0 (en) 1985-05-01
US4643113A (en) 1987-02-17
JPH0117712B2 (ko) 198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3152B2 (ja) 裁縫、刺しゆう又はタフテイングミシンの針棒の如く往復運動する機械部材のための駆動装置
KR100343605B1 (ko) 미싱의중압체높이조정장치
US4422398A (en) Top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KR920007559B1 (ko) 체인상 봉합 재봉기
US4616586A (en) Upper feeding device of a sewing machine
KR100576405B1 (ko)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US4624202A (en) Sewing machine differential feed
US39838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the sewing of a pocket stitch
US3353510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 formation of work uniting seam and edge binding seam or seams
JPH0358755B2 (ko)
JPS6350036B2 (ko)
JPH06158487A (ja) かぎ針を備えたたて編機
US3835716A (en) Crank-driven reciprocating mechanisms
US5095834A (en) Sewing machine with swingable stitch forming unit
US3472188A (en) Parallel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CN100535221C (zh) 机针送料缝纫机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JPH0728966B2 (ja) シリンダ−ベツドミシンの差動送り装置
US4771715A (en) Zigzag sewing machine
US5209172A (en) Upper fabric feed device for sewing machine, utilizing parallel motion mechanism for reciprocating feed foot and presser foot
US3313258A (en) Needle jogging mechanisms
JPS61176391A (ja) ジグザグミシン
JP3917242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EP0393297A2 (en) Driving mechanism for the control of the needle-bar and tube-bars in fast knitting machines
JPH05597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