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114B1 -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 Google Patents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114B1
KR100576114B1 KR1020030037517A KR20030037517A KR100576114B1 KR 100576114 B1 KR100576114 B1 KR 100576114B1 KR 1020030037517 A KR1020030037517 A KR 1020030037517A KR 20030037517 A KR20030037517 A KR 20030037517A KR 100576114 B1 KR100576114 B1 KR 10057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powder
leaves
wate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703A (ko
Inventor
정태용
Original Assignee
정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용 filed Critical 정태용
Priority to KR102003003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엽체류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엽체류 고유의 깊은 맛과 향을 지녀, 음식물에 혼합하여 섭취하거나 음식물의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엽체류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엽체류 분말 제조방법은 엽체를 세척하는 단계, 초산, 구연산, 소금이 첨가된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건조시키는 단계, 그래률 파쇄하는 단계, 엽체 고유의 향을 엽체에 덧입히는 단계, 미세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다르면, 천연상태에서 섭취하기 어려운 대나무 잎, 녹차 잎 등의 엽체류를 식감을 좋게 가공함과 아울러, 엽체류 고유의 향이 분말에 진하게 배이도록 가공하여 각종 식품의 첨가제로서 사용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엽체류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엽체, 대나무 잎, 덧입힘

Description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A MAKING METHOD OF POWDER FOR COATING THE NATURAL INCENSE OF LEAF, AND POWDER MAID BY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엽체류 분말 제조 공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엽체류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엽체류 고유의 깊은 맛과 향을 지녀, 음식물에 혼합하여 섭취하거나 음식물의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엽체류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죽엽은 인체에 유익한 여러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데, 전남대학교 정희종 교수가 담양군에 제출한 "대나무 잎을 이용한 식품의 개발연구"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묵은 죽엽의 경우 하기와 같은 성분이 검출되었다.
표 1. 묵은 죽엽의 일반성분 비교(%)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질 조회분 조섬유질 당질
왕죽 49.1 5.0 2.3 6.9 29.2 7.4
분죽 47.8 5.4 2.2 7.2 27.9 7.5
맹종죽 49.0 5.2 2.2 7.1 28.8 7.0
산죽 46.5 5.3 2.4 7.0 29.6 8.2
표 1에서와 같이, 죽엽은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는 데, 특히 산죽의 경우, 영양소가 가장 풍부하여 현재 산죽을 이용한 제품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 죽엽을 섭취하게 되면, 소화가 촉진되며, 변비가 없어지고, 인체 내의 효소균이 활성화되어 장이 건강해지고, 혈중 콜레스테톨 수치가 떨어져 대장암, 위암, 고혈압 등의 질병을 줄일 수도 있다. 특히, 어린 대나무 잎의 경우에는 고혈압, 중풍, 불면증, 산후발열, 소아경기, 구창, 주독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죽엽은 이처럼 인체에 매우 유익하지만 매우 질기고 억세어 천연 상태의 죽엽을 그대로 섭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죽엽 뿐만 아니라 다른 엽체류의 경우에도, 이를 식품의 첨가제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여도 이를 분말화하는 과정에서 고유의 향과 맛이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고유의 향과 맛을 간직한 채 분말화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죽엽, 녹차잎 등 엽체류 내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며, 엽체류 고유의 향과 맛을 간직한 엽체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엽체류 분말의 제조 방법은 엽체를 깨끗이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엽체의 고유 독성을 제거하고 살균, 중화시키기 위해서, 초산, 구연산, 소금이 첨가된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살균 제독된 상기 엽체에 술을 분사하여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엽체를 그래률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엽체를 덖음기에 투입하여 다시 술을 엽체에 분사한 후,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70∼100℃인 상태에서 40∼50rmp의 속도로 저속회전시키고, 엽체 고유의 향이 기화되기 시작하면 덖음기를 밀폐하고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120℃가 넘지 않도록 설정하여 200∼250rmp의 속도로 고속 회전시켜 엽체 고유의 향을 엽체에 덧입히는 단계(향을 엽체에 배이게 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엽체를 100∼300 메시의 분말이 되도록 미세 분쇄하는 단계, 및 입자의 표면을 부드럽게 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미세 분쇄된 엽체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물에 첨가되는 초산의 량은 물 중량 대비 0.2∼0.5 중량%, 구연산의 량은 물 중량 대비 0.2∼0.5 중량%, 소금의 량은 물 중량 대비 0.1∼0.4 중량%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률 파쇄 전 및 덖음기에 투입한 후, 엽체에 분사되는 술의 알콜도수는 14∼20도이며, 분사되는 술의 량은 엽체 총중량 대비 0.3∼0.5%이다.
상기 건조단계는 저온진공 건조 단계 또는 자연 건조 단계를 거치게 되는 데, 저온 진공 건조 단계는 엽체를 저온진공건조기에 투입하여 엽체의 수분 함량이 18∼22%이 될 때까지 1차 건조시키고, 1차 건조된 엽체 표면에 알콜도수 14∼20도의 술을 엽체 총중량 대비 0.3∼0.5% 만큼 분사한 후, 엽체의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재차 건조시키는 단계이며, 자연건조단계는 엽체를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 골고루 잘 펼쳐서, 엽체의 수분 함량이 18∼22%가 될 때까지 1차 건조시키 고, 1차 건조된 엽체 표면에 알콜도수 14∼20도의 술을 엽체 총중량 대비 0.3∼0.5% 만큼 분사한 후,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재차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분사되는 술은 청주와 같은 발효주 또는 소주와 같은 증류주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분말로 제조될 수 있는 엽체류는 대나무 잎인 죽엽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녹차잎, 감잎, 뽕잎, 시금치, 부추 등 거의 모든 엽체류에 적용되어, 엽체류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는 분말이 제조될 수 있다. 엽체류 중에서 수분 함량의 과다에 따라서 건조시간이 변경될 수 있으나, 전체적인 공정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엽체류 분말 제조 공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엽체류 분말은 하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먼저, 엽체를 깨끗이 세척한다(S100). 분말화하고자 하는 엽체를 기포기가 장착된 에어 세척기에 투입한 후 깨끗이 세척한다.
세척 후, 제독(법제)탱크에 엽체를 투입하고, 엽체가 지닌 고유의 독성을 제거하고, 살균, 중화시키기 위해서 초산, 구연산, 소금이 첨가된 물에 침지시킨다(S200). 각종 엽체류는 각기 고유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다. 초산, 구연산, 소금이 첨가된 물에 엽체를 침지시키는 것은 이러한 고유 독성을 제거하고, 살균, 중화시키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엽체류를 약간 볶거나 데치는 것 또한 이러한 엽체류 고유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물에 물 중량대비 0.2∼0.5 중량%의 초산, 0.2∼0.5 중량%의 구연산, 0.1∼0.4 중량%의 소금을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엽체와 함께 제독 탱크에 넣어 12∼24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물에 첨가되는 초산은 살균, 해독 작용을 하고 엽체의 성질을 부드럽게 해 주며, 소금은 제독, 중화작용을 하고, 구연산은 엽체 고유의 영양소를 보호하는 데 특히 산소 이용율을 높이고 비타민 C의 파괴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침지시키는 동안에 에어브로아(air brower)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유동성을 준다. 에어브로아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유동성을 주는 이유는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여 엽체의 제독, 살균, 중화를 돕기 위해서이다. 침전시간 및 배합 비율은 엽체의 종류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는 데, 이는 섬유질, 지방, 당분 등의 함류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죽엽의 경우에는 초산 약 0.4%, 구연산 0.4%, 소금 0.3%를 첨가하고, 약 24시간 정도 침지시키고, 녹차잎의 경우에는 초산 약 0.3, 구연산 0.3%, 소금 0.2%를 첨가하고, 약 18시간 정도 침지시킨다.
엽체의 제독 후, 엽체에 술을 분사하고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S300). 제독된 엽체는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되는 데,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고유의 색택을 살리며, 향미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건조공정을 거친다. 건조공정은 저온진공건조공정 또는 자연건조공정을 거친다.
저온진공건조공정의 경우에는 엽체를 저온진공건조기에 투입하여 엽체의 수분 함량이 18∼22%이 될 때까지 약 4∼8시간동안 1차 건조시킨다. 1차 건조된 엽체 표면에 알콜도수 14∼20도의 술을 엽체 총중량 대비 0.3∼0.5% 만큼 분사한 후, 18∼22℃로 유지하면서 수분 함량이 약 5% 미만이 될 때까지 재건조시킨다. 분사되는 술은 청주와 같은 발효주 또는 소주와 같은 증류주가 사용될 수 있다.
자연건조의 경우에는 엽체를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 골고루 잘 펼쳐서, 수분 함량이 약 18∼22%가 될 때까지 1차 건조시킨다. 건조시간은 기온, 습도, 통풍정도 및 엽체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수분함량이 약 18∼22%가 될 때까지는 대략 14∼18시간이 소요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엽체의 수분 함량이 약 18∼22%가 되면, 1차 건조된 엽체 표면에 알콜도수 14∼20의 술을 엽체 총중량 대비 0.3∼0.5% 만큼 분사한 후, 수분 함량이 약 5%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자연건조의 총 건조시간은 약 18∼24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와 같이 엽체의 건조시에 엽체 표면에 술을 분사하는 이유는 건조과정에서 알콜 성분의 기화로 인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엽체 고유 성분이 표층부까지 올라오도록 하여 추후의 향 덧입힘 공정에서 단시간에 향이 엽체에 배이도록 하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수분 함량이 약 5% 미만으로 건조된 엽체를 그래률 파쇄한다(S400). 그래률 파쇄란 엽체를 길쭉하게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엽체를 둥글게 파쇄하는 것을 말하는 데, 별도의 그래률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다. 이와 같이, 엽체를 그래률 파쇄하는 이유는 엽체 고유의 향을 덧입힘하는 추후의 공정에서 향을 엽체에 골고루 입히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그래률 파쇄된 엽체를 덖음기에 넣고 엽체에 향을 덧입힌다(S500). 덧입힘 공정(엽체 고유의 향을 엽체 표면에 배이게 하는 공정)은 먼저 그래률 파쇄된 엽체를 덖음기에 투입하고 다시 술을 엽체에 분사한 후,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70∼100℃인 상태에서 40∼50rmp의 속도로 저속회전시켜 엽체 고유의 향을 기화시킨 후, 엽체 고유의 향이 기화되기 시작하면 덖음기를 밀폐하고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120℃가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200∼250rmp의 속도로 고속 회전시켜 향을 덧입힘한다. 덖음기에 투입되는 엽체의 량은 기계 내부 용량의 약 70%를 투입하고, 엽체에 분사되는 술은 알콜도수 약 14∼20이며, 엽체 총 중량 대비 약 0.3∼0.5%의 량을 투입한다. 처음에는 엽체 고유의 향이 기화될 때까지, 약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약 5∼10분동안 약 40∼50rpm의 속도로 저속 회전시킨 후, 엽체 고유의 향이 기화하기 시작하면 이때 비로소 덖음기를 밀폐하고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120℃가 넘지 않도록 설정하여 200∼250rpm의 속도로 고속 회전시켜 향을 덧입힘 즉, 향을 코팅한다. 이 경우에 덖음기 내부의 엽체는 원심력에 의해서 어느 정도 공간에 떠 있게 됨으로 향의 덧입힘이 엽체 전체에 골고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향의 코팅시간은 5∼10분 동안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시간 및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엽체는 탄화되기 시작하여 고유의 색택과 향미가 없어지고 엽체내의 영양소가 파괴되고, 화근내음을 동반하게 된다.
향 덧입힘 단계를 거친 엽체를 100∼300 메시의 분말이 되도록 미세 분쇄한다(S600). 미세 분쇄는 공기역학에 의한 기류식 분쇄기를 이용할 수 있는 데, 엽체 고유의 향, 색상, 영양소를 유지하도록 첨가될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약 100∼300 메시 정도로 미세 분쇄한다.
미세 분쇄된 엽체는 아직도 그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입자의 표면을 부드럽게 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말화한다(S700). 분말화는 롤러밀이란 기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말화된 엽체는 제품화하기 위해서 알루미늄이 코팅된 포장지에 진공 포장한 후, 약 -20℃ 이하의 온도에서 냉동보관한다. 알루미늄 코팅의 포장지는 향이 외부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포장지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면 미생물의 활동으로 가공된 분말이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미생물 활동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포장지 내부를 진공화하여 냉동 보관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채취한 죽엽(대나무 잎)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분말 제조방법에 따라서, 죽엽 분말을 제조하였다.
먼저, 죽엽 30kg을 자동 에어세척기(주식회사 라이스코리아, 한국, 규격: W1000×L4500×H1450)에 넣고 깨끗이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물 100kg에 초산 400g, 구연산 400g, 소금 300g을 넣고, 세척된 죽엽을 이 혼합물에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제독된 죽엽을 꺼내어, 저온진공 건조기(3KMI텍, STVG-200)에 투입하여 5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킨 후, 발효주인 청주(알콜도수: 14도) 100g을 죽엽에 골고루 분사한 후, 건조 온도를 20℃로 설정하여 6시간동안 재차 건조시켰다. 건조된 죽엽을 꺼내어, 그래률 파쇄기(주식회사 한성분체기계, 한국)를 이용하여 그래률 파쇄하였다. 그래률 파쇄된 죽엽를 덖음기(주식회사 태화자동화산업, THDR-18)에 투입하였다. 투입된 죽엽에 발효주인 청주(알콜도수: 14도) 100g을 죽엽에 골고루 분사하고, 덖음기 내부온도가 70∼100℃가 될 때까지 약 10분동안 45rpm의 속도로 저속회전시켰다. 저속 회전시킨지 10분 경과 후에 향이 기화되기 시작하였다. 덖 음기의 덮개를 닫아 덖음기를 밀폐시킨 후, 110℃로 내부 온도를 설정하고 200∼250rmp의 속도로 고속회전시켰다. 약 8분이 경과한 후에, 죽엽을 꺼내어, 기류식 분쇄기(대동인터내셔날, JM-050)를 이용하여 100∼300 매시로 미세분쇄하였다. 미세 분쇄 후 롤러밀(동광기계, 모델 NO. 101)에 통과시켜 입자의 표면을 부드럽게하여 식감을 향상시켰다.
롤러밀을 통과한 죽엽 분말은 대나무 고유의 향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표면이 부드러워 식감이 상당히 좋았다.
제조된 죽엽 분말을 알루미늄이 코팅된 포장지에 진공포장하여 냉동보관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분말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의 죽엽 대신에 녹차잎을 이용하여 녹차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먼저, 녹차잎 30kg을 자동 에어세척기(주식회사 라이스코리아, 한국, 규격: W1000×L4500×H1450)에 넣고 깨끗이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물 100kg에 초산 300g, 구연산 300g, 소금 200g을 넣고, 세척된 녹차잎을 이 혼합물에 18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제독된 녹차잎을 꺼내어, 저온진공건조 대신에 자연건조를 실시하였다.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 골고루 잘 펼쳐서 16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킨 후, 발효주인 청주(알콜도수: 14도) 100g을 녹차잎에 골고루 분사하였다. 그런 후, 다시 6시간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녹차잎을 꺼내어, 그래률 파쇄기(주식회사 한성분체기계, 한국)를 이용하여 그래률 파쇄하였다. 그래률 파쇄된 녹차잎을 덖음기(주식 회사 태화자동화산업, THDR-18)에 투입하였다. 투입된 녹차잎에 발효주인 청주(알콜도수: 14도) 100g을 녹차잎에 골고루 분사하고, 덖음기 내부온도가 70∼100℃가 될 때까지 약 10분동안 40rpm의 속도로 저속회전시켰다. 저속회전시킨지 10분이 경과한 후에 향이 기화되기 시작하였다. 덖음기의 덮개를 닫아 덖음기를 밀폐시킨 후, 110℃로 내부 온도를 설정하고 200∼250rmp의 속도로 고속회전시켰다. 약 5분이 경과한 후에, 녹차잎을 꺼내어 기류식 분쇄기(대동인터내셔날, JM-050)를 이용하여 100∼300 매시로 미세분쇄하였다. 미세 분쇄 후 롤러밀(동광기계, 모델 NO. 101)에 통과시켜 입자의 표면을 부드럽게하여 식감을 향상시켰다.
롤러밀을 통과한 녹차잎 분말은 녹차 고유의 향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표면이 부드러워 식감이 상당히 좋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 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엽체류 분말 제조방법에 따르면, 천연상태에서 섭취하기 어려운 대나무 잎, 녹차 잎 등의 엽체류를 식감을 좋게 가공함과 아울러, 엽체류 고유의 향이 분말에 진하게 배이도록 가공하여 각종 식품의 첨가제로서 사용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엽체류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어린 대나무 잎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서 분말을 제조한 경우에는 대나무 잎의 유효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고혈압, 중풍, 불면증, 산후발열, 소아경기, 구창, 주독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엽체를 깨끗이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엽체의 고유 독성을 제거하고 살균, 중화시키기 위해서, 초산, 구연산, 소금이 첨가된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살균 제독된 상기 엽체에 술을 분사하여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엽체를 그래률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엽체를 덖음기에 투입하여 다시 술을 엽체에 분사한 후,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70∼100℃인 상태에서 40∼50rmp의 속도로 저속회전시키고, 엽체 고유의 향이 기화되기 시작하면 덖음기를 밀폐하고 덖음기의 내부온도가 120℃가 넘지 않도록 설정하여 200∼250rmp의 속도로 고속 회전시켜 엽체 고유의 향을 엽체에 덧입히는 단계(향을 엽체에 배이게 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엽체를 100∼300 메시의 분말이 되도록 미세 분쇄하는 단계, 및
    입자의 표면을 부드럽게 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미세 분쇄된 엽체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에 첨가되는 초산의 량은 물 중량 대비 0.2∼0.5 중량%, 구연산의 량 은 물 중량 대비 0.2∼0.5 중량%, 소금의 량은 물 중량 대비 0.1∼0.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그래률 파쇄 전 및 덖음기에 투입한 후, 엽체에 분사되는 술의 알콜도수는 14∼20도이며, 분사되는 술의 량은 엽체 총중량 대비 0.3∼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엽체를 저온진공건조기에 투입하여 엽체의 수분 함량이 18∼22%이 될 때까지 1차 건조시키고, 1차 건조된 엽체 표면에 알콜도수 14∼20도의 술을 엽체 총중량 대비 0.3∼0.5% 만큼 분사한 후, 엽체의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재차 건조시키는 저온진공 건조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엽체를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 골고루 잘 펼쳐서, 엽체의 수분 함량이 18∼22%가 될 때까지 1차 건조시키고, 1차 건조된 엽체 표면에 알콜도수 14∼20도의 술을 엽체 총중량 대비 0.3∼0.5% 만큼 분사한 후,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재차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한 항에 따른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KR1020030037517A 2003-06-11 2003-06-11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KR10057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517A KR100576114B1 (ko) 2003-06-11 2003-06-11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517A KR100576114B1 (ko) 2003-06-11 2003-06-11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703A KR20040106703A (ko) 2004-12-18
KR100576114B1 true KR100576114B1 (ko) 2006-05-03

Family

ID=3738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517A KR100576114B1 (ko) 2003-06-11 2003-06-11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303A (zh) * 2013-05-18 2013-09-25 山东省鲁洲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玉米黄色素微胶囊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42B1 (ko) * 2004-05-20 2005-10-24 정태용 차 분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차 분말
KR20060079771A (ko) * 2006-05-26 2006-07-06 정태용 향 덧입힘 분말을 이용한 추출, 농축, 증류물 제조방법 및그 추출, 농축, 증류물
KR102604611B1 (ko) * 2022-10-26 2023-11-22 한국식품연구원 엽채류 부산물의 감량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303A (zh) * 2013-05-18 2013-09-25 山东省鲁洲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玉米黄色素微胶囊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703A (ko) 200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11B1 (ko) 향 덧입힘 분말을 이용한 동동주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동동주
KR101234744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CN106070571A (zh) 一种竹笋保鲜方法
KR100523442B1 (ko) 차 분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차 분말
KR102208406B1 (ko) 녹차를 함유한 보리굴비의 제조 방법
CN105166762A (zh) 大蒜制品及其制作方法
KR100576114B1 (ko) 엽체류 고유의 향을 덧입힘한 엽체류 분말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엽체류 분말
CN107410468A (zh) 一种番石榴的保鲜方法
KR100276350B1 (ko) 녹차냉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16789B1 (ko) 숙성 흑마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226B1 (ko) 곡류야콘티백차
KR100384902B1 (ko)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첨가 녹차 제조 방법
KR101673400B1 (ko) 노근 추출물이 포함된 갈대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갈대김치
KR20070114073A (ko) 향 덧입힘 버섯 분말을 이용한 추출, 농축, 증류물제조방법 및 그 추출, 농축, 증류물
KR100831930B1 (ko) 향 덧입힘 분말의 추출물로부터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의 제조방법 및 그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
KR20150114719A (ko) 효소 떡과 그 제조방법
CN107495233A (zh) 阳荷盐菜的制作工艺
KR20070114070A (ko) 향 덧입힘 녹차잎 분말을 이용한 추출, 농축, 증류물제조방법 및 그 추출, 농축, 증류물
CN106615054A (zh) 一种黄冠梨的贮藏保鲜综合处理方法
KR101342452B1 (ko) 감스낵의 제조방법
KR20120050554A (ko) 홍삼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홍삼 가공식품
CN108576200A (zh) 一种莲藕保鲜方法
KR101228075B1 (ko) 하수오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2455954B1 (ko) 솔잎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방법
KR20070114074A (ko) 향 덧입힘 청보리 또는 메밀 분말을 이용한 추출, 농축,증류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 농축, 증류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